KR0121869Y1 -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 Google Patents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69Y1
KR0121869Y1 KR2019930018539U KR930018539U KR0121869Y1 KR 0121869 Y1 KR0121869 Y1 KR 0121869Y1 KR 2019930018539 U KR2019930018539 U KR 2019930018539U KR 930018539 U KR930018539 U KR 930018539U KR 0121869 Y1 KR0121869 Y1 KR 0121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backpack
belt
hanging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206U (ko
Inventor
쥰이치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쥰이치 히구치
락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쥰이치 히구치, 락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쥰이치 히구치
Publication of KR9400092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고안은 배낭에 안는 기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배낭을 제공한다.
본고안은 배낭 본체의 어깨걸이 벨트를 2개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분리된 벨트의 끝부에 걸기용 버클을 부착하고 이 걸기용 버클에 별도로 준비한 안는 기구의 허리 벨트의 양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과 안는 기구본체의 상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을 끼워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어, 배낭과 안는 기구를 위화감 없이 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도는 안는 기구와 배낭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제 2도는 배낭에 안는 기구를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배낭과 안는 기구를 병용한 상태의 사시도,
제 4도는 또다른 구조의 안는 기구를 배낭에 부착한 예를 도시하는 배낭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배낭 B:안는 기구
1:배낭 본체 2:어깨걸이 벨트
21: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
22: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 23:걸기용 버클
23′:걸기용 버클
24:벨트를 되접어 반대편으로 꺾어넣는 삽통부
3:허리벨트 4:유아지지부
41:유아지지벨트 43:등받이 천
44:배면 지지용 벨트 5:유아보호벨트
6:개구부
[고안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고안은 배낭 본래의 기능을 이용하는 외에, 배낭의 어깨걸이 벨트에 안는 기구를 부착하도록 구성한 배낭과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배낭은 자루모양으로 형성한 배낭 본체의 전면에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두개의 어깨걸이 벨트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이며, 자루상 부분에 물품을 수납시키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부여한 것은 아직 제안되지 않았다.
또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안는 기구는, 사용자의 전면에서 유아를 껴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이며, 복수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는, 업는 기구와 안는 기구를 겸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을 뿐이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배낭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 유아를 껴안을 필요가 생기는 경우, 배낭과 안는 기구를 동시에 사용하려고 하면 배낭에 부착된 어깨걸이 벨트 위에 안는 기구에 부착된 어깨걸이 벨트를 2중으로 받치는 상태로 되어 사용자의 심한 위화감을 주는 외에 극히 부자연스러운 사용태세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배낭의 사용을 중지하고 안는 기구만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었고, 사용을 중지한 배낭은 사용자가 손에 드리워 휴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수화물이 늘어나는 결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에 대응하려 하는 것으로, 배낭에 부착한 어깨걸이 벨트를 두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2개로 분리된 어깨걸이 벨트의 선단부에 안는 기구에 부착한 유아지지 벨트의 양단부를 각각 끼워맞춤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낭과 안는 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낭에 본래적으로 장비되어 있는 어깨걸이 벨트의 끝부에 안는 기구를 구성하는 유아지지벨트의 선단부를 걸므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두개의 어깨걸이 벨트가 동시에 걸어멈춤되는 문제점을 회피하고, 위화감을 주는 일없이 극히 사용감이 우수한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고안의 요점]
본고안은 배낭과 이에 착탈 자유로이 장착하는 안는 기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낭은 배낭 본체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로 분리할 수 있는 2가닥의 어깨걸이 벨트의 양단부를 각각 부착하고, 2개로 분리된 어깨걸이 벨트의 끝부에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걸기용 버클을 각각 부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안는 기구는 양단부에 걸기용 버클을 부착한 허리벨트의 전면에 유아지지부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유아지지부의 상부로 늘어지는 2가닥의 지지벨트의 선단에는 각각 걸기용 버클을 부착하고, 허리벨트의 양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이 배낭에 부착한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 선단의 걸기용 버클과 착탈 자유로이 끼워맞춤되고, 동시에 지지벨트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이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에 착탈 자유로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의 구조를 고안의 요점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제 1도 내지 제 3도는 본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 4도는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부호(A)로 도시하는 배낭은 자루모양으로 구성한 배낭 본체(1) 의 전면 상단에 2가닥의 어깨걸이 벨트(2, 2)이 상단부를 부착하고, 어깨걸이 벨트(2, 2)의 하단부는 배낭 본체(1) 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배낭 본체(1) 에 부착하는 2가닥의 어깨걸이 벨트(2, 2)는 중간부분에서 2개로 분리되어 있고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1)의 하단부와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의 상단부에는 서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걸기용의 버클(23) 및 (23')을 각각 부착하고 있다.
어깨걸이 벨트(2, 2)는 사용자의 체형에 합치하고 최적한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를 부착하고 있고,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의 상단에 부착하는 걸기용 버클(23')의 기단부에 벨트를 되접어 반대편으로 꺾어넣는 삽통부(24)를 형성하여 이 되접어 반대편으로 꺾어넣는 삽통부(24)에 하측으로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의 선단부를 길이조절이 자유롭도록 고정하고 있다.
안는 기구(B)는 허리벨트(3)와, 허리벨트(3)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늘어지는 유아지지부(4)로 구성되어 있다.
허리벨트(3)는 배낭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어깨걸이 벨트(2)중,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 22)와 일체로 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에 감겨 고착되는 것이고, 허리벨트(3)의 양단에는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 22)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 23')과 끼워맞춤하는 걸기용 버클(23, 23)을 부착하고 있다(제 1도, 제2도 참조).
말할것도 없이 허리벨트(3)의 선단에 부착하는 걸기용 버클(23, 23)의 구조는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1)의 선단에 부착하는 걸기용 버클(23, 23)과 같은 구조의 것이다.
유아지지부(4)는 하단부를 허리벨트(3)의 선단부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향하여 V 자형으로 늘어지는 2가닥의 유아지지벨트(41, 4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2가닥의 유아지지벨트(41, 41)의 하부가 만들어내는 V 자형의 간격부분에는 유아의 배면을 안전하게 받침하기 위한 등받이 천(43), 또는 배면지지용 벨트(44)를 걸쳐두고 있다.
5는 2가닥의 유아지지벨트(41,41)사이에 메어걸쳐진 유아보호벨트이고, 유아지지부(4)에 실린 유아의 앞가슴부에 길이의 조절을 자유로이한 벨트을 메어걸치고 단단히 죔으로써 유아지지부(4)와 유아보호벨트(5)와의 사이에 유아를 정확히 유지하여 유아가 난폭한 움직임을 하였을 때에도 유아지지부(4)로부터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유아지지벨트(41,41)의 선단에는 걸기용 버클(23',2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걸기용 버클(23',23')은 배낭의 어깨걸이 벨트(2,2)중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1,21)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23)과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배낭 본체(1)에 부착한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과 같은 구조로 하고 있다.
더욱 걸기용 버클(23 및 23')이 구조는 버클구조로서 주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도는 본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허리벨트(3)의 선단에 부착하는 유아지지부(4)는, 그 하단부에 유아의 다리부를 삽통시키기 위한 개구부(6, 6)를 형성한 자루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루상태로 구성한 유아지지부(4)의 내측상단에 유아지지벨트(41,41)를 부착하고 이 유아지지 벨트(41,41)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23')을,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1,21)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23,23)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 허리벨트(3)의 구조는 제 1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과 꼭 같다.
[고안의 효과]
본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유아를 껴안을 필요가 없을 때는 제 1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안는 기구(B)를 배낭 본체(1)로 부터 떼어내어,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과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1)의 하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을 끼워맞춤하면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보통의 배낭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므로 배낭 본래의 사용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배낭 본체(1)로 부터 떼낸 안는 기구(B)는 배낭(A)속에 수납한다.
또 유아를 껴안고 싶을 때에는 제 2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두개의 걸기용 버클(23 및 23')의 결합을 해제하고, 어깨걸이 벨트(2, 2)를 상측의 어깨걸이 벨트(21)와 하측의 어깨걸이 벨트(22)로 2개로 분리한다.
뒤이어 안는 기구(B)의 허리벨트(3)의 양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23)을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22) 선단의 걸기용 버클(23',23')에 끼워맞추어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단단히 죈후 유아지지부(4)에 유아를 수용한다.
또 2가닥의 유아지지 벨트(41,41)의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3',23')을 배낭의 어깨걸이 벨트(2, 2)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 21,21)의 선단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23,23)에 단지 끼워맞춤으로써 배낭과 안는 기구(B)의 쌍방을 동시에 그리고 극히 간단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제 3도 참조).
특히 본고안은 배낭(A)과 안는 기구(B)의 쌍방을 동시에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어깨에는 배낭(A)에 부착된 어깨걸이 벨트(2, 2)와 유아지지부(4)의 상단에서 늘어지는 유아의 지지벨트(41,41)가 1가닥의 벨트상으로 형성되어 걸어멈춤되므로(제 3도 참조) 배낭에 부착된 어깨걸이 벨트상에 안는 기구의 어깨걸이 벨트가 2중으로 걸쳐져 덛받쳐지는 부자연스러운 사용상태를 회피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제 3도 참조).

Claims (2)

  1. 배낭과 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안는 기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낭은 배낭 본체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로 분리할 수 있는 2가닥이 어깨걸이 벨트의 양단부를 각각 부착하고, 2개로 분리된 어깨걸이 벨트의 끝부에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걸기용 버클을 각각 부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안는 기구는 양단부에 걸기용 버클을 부착한 허리벨트의 전면에 유아지지부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유아지지부의 상부로 늘어지는 2가닥의 지지벨트의 선단에는 각각 걸기용 버클을 부착하고, 허리벨트의 양단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이 배낭에 부착된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 선단의 걸기용 버클과 착탈 자유로이 끼워맞춤될 수 있고, 동시에 지지벨트의 선단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이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에 착탈 자유로이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2. 배낭과 이에 착탈 자유로이 장착하는 안는 기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낭은 배낭 본체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로 분리할 수 있는 2가닥의 어깨걸이 벨트의 양단부를 각각 부착하고, 2개로 분리된 어깨걸이 벨트의 끝부에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걸기용 버클을 각각 부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안는 기구는 양단부에 걸기용 버클을 부착한 허리벨트의 전면에 하면으로 유아의 다리부를 삽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자루상태의 유아지지부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유아지지부의 상부로부터 늘어지는 2가닥의 지지벨트의 선단에 각각 걸기용 버클을 부착하고, 허리벨트의 양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이 배낭에 부착된 하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 선단의 걸기용 버클과 착탈 자유로이 끼워맞춤될 수 있고, 동시에 지지벨트의 선단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이 상측에 위치하는 어깨걸이 벨트에 부착된 걸기용 버클에 착탈 자유로이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KR2019930018539U 1992-10-22 1993-09-16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KR01218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9438 1992-10-22
JP1992079438U JPH0727871Y2 (ja) 1992-10-22 1992-10-22 抱き具を併用できるリュックサ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06U KR940009206U (ko) 1994-05-17
KR0121869Y1 true KR0121869Y1 (ko) 1998-08-01

Family

ID=1368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539U KR0121869Y1 (ko) 1992-10-22 1993-09-16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7871Y2 (ko)
KR (1) KR0121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7871Y2 (ja) 1995-06-28
JPH0645533U (ja) 1994-06-21
KR940009206U (ko)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6866173B2 (en) Backpack for carrying an umbrella and/or child hands free
US6019335A (en) Water and soda bottle holder
FI98264C (fi) Lapsen kantamiseen tarkoitetut olkavaljaat
US6112960A (en) Combination sling carrier and cushion
US6098856A (en) Shoulder baby carrier
KR19980071399A (ko) 베이비 캐리어
US5660312A (en) Straps for backpacking apparatus and backpacking apparatus
US4458834A (en) Infant carrier
US20060213943A1 (en) Character harness with storage pouch
KR200483956Y1 (ko) 유아 식탁용 방수 턱받이
US4724987A (en) Baby carrier
JPH10108764A (ja) 袋形ベビーキャリア
KR0121869Y1 (ko)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KR0121870Y1 (ko)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KR200296329Y1 (ko) 유아용 캐리어
JPH0737531Y2 (ja) 抱き具の機能を併有するリュックサック
JP2527154Y2 (ja) 抱き具を併用できるリュックサック
KR20190118502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JPS602848Y2 (ja) 子守帯
US20050072818A1 (en) Harness apparatus for enabling a child to support a bottle
KR100356554B1 (ko) 배낭및배낭용스트랩
KR200161790Y1 (ko) 골프백용 운반벨트
KR20200111649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JP3523385B2 (ja) 乳幼児キャリアおよびカバー付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