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63Y1 - 아기 멜빵 - Google Patents

아기 멜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63Y1
KR970002163Y1 KR2019940021678U KR19940021678U KR970002163Y1 KR 970002163 Y1 KR970002163 Y1 KR 970002163Y1 KR 2019940021678 U KR2019940021678 U KR 2019940021678U KR 19940021678 U KR19940021678 U KR 19940021678U KR 970002163 Y1 KR970002163 Y1 KR 970002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suspenders
bag
strap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955U (ko
Inventor
윤희선
Original Assignee
윤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선 filed Critical 윤희선
Priority to KR2019940021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63Y1/ko
Publication of KR960006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아기 멜빵
제1도는 일반적인 아기 멜빵의 사용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멜빵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1-1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멜빵의 휴대주머니를 꺼낸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멜빵이 휴대주머니에 넣어진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어깨끈 13 : 등받이
14 : 주머니 15 : 지퍼
16 : 휴대주머니 18 : 조임끈
19 : 고정부재 20 : 버튼
본 고안은 아기 멜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체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아기를 편안하게 안을 수 있도록 한 아기 멜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아기 멜빵의 주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어깨끈(1)과 아기의 허리를 포함하는 등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끈(1)을 어깨에 걸어 아기 멜빵을 편안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아기를 안게 되면, 등받이(2)가 아기의 등을 받쳐주게 되고, 어깨끈(1)이 아기의 등과 양어깨를 받쳐주기 때문에 손으로 아기를 받쳐 지지하지 않아도 아기를 편안한 상태로 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기 멜빵을 사용하여 아기를 안고 다니다가 아기 멜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예를 들면, 아기 멜빵을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경우 어깨끈(1)이 아래로 쳐지므로 땅에 닿을 염려가 있고, 행동하는데 자연스럽지 못한 제약을 받게 되며, 아기 멜빵의 어깨끈(1)과 등받이(2)를 포개어 뭉친 다음 손으로 파지할 경우에도 손으로 파지하는 것이 힘들 뿐만아니라 이렇게 장시간 휴대하고 다닌다는 것은 정말 힘들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아기를 안고 외출할 경우에는 대개 우유병, 기저귀등의 아기용품을 넣을 수 있는 유아용 가방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아기 멜빵을 유아용 가방에 넣을 경우, 아기 멜빵의 부피가 다른 아기용품들 보다 크기 때문에 가방내의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실제로 필요한 아기용품을 가방에 넣는데 공간적인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출시 아기 멜빵을 착용하여 아기를 안고 다니다가 아기 멜빵을 사용하지 않을 때 아기 멜빵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여 아기 멜빵의 사용이 더욱 편리할 수 있도록 한 아기 멜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어깨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에 고정되어 아기의 허리를 포함하는 등을 받쳐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로 구성된 아기 멜빵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내에 아기 멜빵을 담을 수 있는 휴대주머니의 일단을 고정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멜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머니의 입구는 지퍼로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주머니의 입구측 끝단부는 조임끈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멜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멜빵을 나타낸 것이고,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멜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기 멜빵 (10)은 양어깨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끈(11)(12)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고 아기의 허리를 포함하는 등을 받쳐지지할 수 있는 시트 형태의 등받이(1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1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중구조로 하여 상부에 입구가 형성된 주머니(1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주머니(14)의 입구는 개폐가능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지퍼(15)를 설치하여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주머니(14) 내에는 아기 멜빵(10)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휴대주머니(16)를 구비하고, 이 휴대주머니(16)의 입구 반대측 일단을 주머니(14)내의 상부에 연결부(17)를 개재시켜 고정한다. 이 때 상기 휴대주머니(16)는 구조적 변형이 자유로운 직물로 제조하는 것이 좋고, 입구부에는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입구 끝단부에 조임끈(18)을 넣어 휴대주머니(16)의 입구가 조여져 닫힐 수 있도록 하며, 다시 조임상태를 풀면 입구가 다시 열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임끈(18)에는 휴대주머니(16)의 입구가 조여져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19)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19)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조임끈(18)에 끼워 조임끈(18)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시않은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된 버튼(20)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버튼(20)을 누르면 고정부재(19)가 조임끈(1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고, 누르던 버튼(20)을 놓게 되면, 고정부재(19)가 조임끈(19)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아기를 안고 외출할 경우, 아기 멜빵(10)의 어깨끈(11)(12)을 어때에 걸어 착용한 후 아기를 안게 되면, 등받이(13)가 아기의 허리를 포함하는 등부분을 받쳐 지지해 주므로 간편하게 아기를 안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출중 아기 멜빵(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등받이(13)의 주머니(14) 내에 구비된 휴대주머니(16)를 이용하여 아기 멜빵(10)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즉, 등받이(13)에 구비된 지퍼(15)를 열어 주머니(14)의 입구를 개방한 후 주머니(14) 내부에 마련된 휴대주머니(16)를 꺼내고(제4도 참조), 휴대주머니(16)를 뒤집으면서 연결부(17)로 연결된 등받이(13) 부분 부터 휴대주머니(16) 내에 넣으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주머니(16)내에 아기 멜빵(10)을 넣을 수 있는 것이고, 그 후에 조임끈(18)으로 조여 휴대주머니(16)의 입구를 닫음과 동시에 고정부재(19)의 버튼(20)을 눌러 고정부재(19)를 닫힌 휴대주머니(16)의 입구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입구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임끈(18)만을 파지한 상태로 휴대하게 되면,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행중에도 행동이 자유로워 휴대가 편리하게 된다.
상기 상태로 휴대하다가 다시 아기 멜빵(1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부재(19)의 버튼(20)을 누르게 되면 고정부재(19)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조임끈(18)의 끝단쪽으로 이동시킨 후 휴대주머니(16)의 입구를 열면 되는 것이고, 휴대주머니(16) 내에서 아기 멜빵(10)을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휴대주머니(16)는 다시 등받이(13)에 구비된 주머니(14) 내에 넣고, 지퍼(15)로 주머니(14)의 입구를 닫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의하면, 외출시 착용함으로써 아기를 간편하게 안을 수 있고, 아기 멜빵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주머니에 넣어 휴대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아기 멜빵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어깨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어깨끈(11)(12)과, 상기 어깨끈에 고정되어 아기의 허리를 포함하는 등을 받쳐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13)로 구성된 아기 멜빵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3)에 주머니(14)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14)내에 아기 멜빵을 담을 수 있는 휴대주머니(16)를 구비하되, 상기 휴대주머니(16)의 일단을 주머니(14)내에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멜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14)의 입구는 지퍼(15)로 개폐가능 하도록 된 아기 멜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주머니(16)의 입구측 끝단부에는 조임끈(18)을 삽입하고, 상기 조임끈(18)에는 버튼(20)의 누름조작에 의해 조임끈(18)을 따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된 고정부재(19)를 설치하여 휴대주머니(16) 입구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 아기 멜빵.
KR2019940021678U 1994-08-26 1994-08-26 아기 멜빵 KR970002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78U KR970002163Y1 (ko) 1994-08-26 1994-08-26 아기 멜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78U KR970002163Y1 (ko) 1994-08-26 1994-08-26 아기 멜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55U KR960006955U (ko) 1996-03-13
KR970002163Y1 true KR970002163Y1 (ko) 1997-03-20

Family

ID=1939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678U KR970002163Y1 (ko) 1994-08-26 1994-08-26 아기 멜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55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042A (en) Waist bag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4537339A (en) Umbrella support
JPH0714733B2 (ja) 物品用包装具
EP1707082A1 (en) Nursing band
ATE239403T1 (de) Rucksack
US11278105B2 (en) Combination backpack and baby carrier
GB2429635A (en) Strap for carrying bags and the like on the shoulder
KR970002163Y1 (ko) 아기 멜빵
KR200392083Y1 (ko) 하중 분산용 가방
KR0121870Y1 (ko)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JPH0737531Y2 (ja) 抱き具の機能を併有するリュックサック
KR950003176Y1 (ko) 아기띠
KR960001676Y1 (ko)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KR900011032Y1 (ko) 주머니가 달린 아기 띠
KR20110011295A (ko) 우산 고정 기구
JPH0737532Y2 (ja) 抱き具の機能を具えたリュックサック
KR200218790Y1 (ko) 다용도 아기받침
KR200310434Y1 (ko) 시트가 구비된 배낭
JPH0717127U (ja) 乳幼児支持機能付き背負い袋
KR200314775Y1 (ko) 여행 가방
KR0139458Y1 (ko) 등산용 배낭 구조
KR200237701Y1 (ko) 앞치마 겸용 휴대용 장바구니
JP2527154Y2 (ja) 抱き具を併用できるリュックサック
JPH0326253A (ja) 背中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