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251A - 슬링식 아기띠 - Google Patents

슬링식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251A
KR20070033251A KR1020060077080A KR20060077080A KR20070033251A KR 20070033251 A KR20070033251 A KR 20070033251A KR 1020060077080 A KR1020060077080 A KR 1020060077080A KR 20060077080 A KR20060077080 A KR 20060077080A KR 20070033251 A KR20070033251 A KR 20070033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backrest
infant
pa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미유키 니시쿠라
에미코 카야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78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11482A/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슬링식 아기띠(1)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10)와, 휨 강성을 가지며, 유아의 등부분에 닿도록 상기 슬링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등받침부(33)를 구비한다.
슬링, 아기띠

Description

슬링식 아기띠{SLING-TYPED INFANT CARRYING BAN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슬링식 아기띠를 전개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배받침부를 되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 1 벨트를 제 2 벨트를 향한 방향으로 되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제 1 벨트와 제 2 벨트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장식 링에 슬링 본체의 일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등받침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의 사용 상태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1 벨트와 제 2 벨트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등받침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아기 구속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13은 등받침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14는 도 13의 선 14-14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5는 등받침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16은 등받침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17은 하중 지탱 보강대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도해도.
도 18은 하중 지탱 보강대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19는 하중 지탱 보강대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20은 하중 지탱 보강대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21은 차양을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도해도.
도 22는 차양을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23은 차양의 도해적 단면도로서, (a)는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접어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손 수납부재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5는 결합부재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26은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7은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방음부재를 갖는 슬링식 아기띠의 도해도.
도 29는 방음부재를 갖는 두부 패드를 구비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0은 방음부재를 갖는 두부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떼어냄이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한 슬링식 아기띠의 부분 사시도.
도 32는 스카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장식부재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3은 다른 형태의 장식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장식부재가 레인 커버로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장식부재가 모기장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슬링식 아기띠의 어깨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슬릿을 구비한 슬링식 아기띠의 도해도.
도 38은 슬릿을 둘러싸는 통형상 부재를 도시한 도해적 사시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아를 안기 위한 슬링식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슬링식 아기띠는, 예를 들면, 특개2005-52584호 공보, 특개2004-222828호 공보, 특개2003-47542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슬링식 아기띠는, 1장의 포제(布製)의 어깨띠식 걸기로 유아를 안기 위한 것이다. 포제의 슬링에 의해 외관적으로 유아를 편안하게 둘러싸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근래, 모친이나 부친이 좋아하며 사용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슬링식 아기띠는, 외관적으로는 편안한 이미지를 줄 수 있지만, 안겨진 유아에 있어서는 반드시 쾌적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제 1의 문제로서, 유아의 둥부분을 부드러운 옷감에 의해 싸서 바치하는 것이 때문에, 유아의 등이 갑갑하게 구부러저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생후 얼마 안된 유아는 복식 호흡을 하는데, 등이 크게 구부러지면 복식 호흡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제 2의 문제로서, 유아의 신체를 포제의 슬링으로 아래로부터 싸서 바칠 뿐이기 때문에, 안겨저 있는 유아가 활발하게 움직일 때에, 유아의 신체가 불의에 슬링으로부터 미끄러저 떨어질 우려도 있다.
제 3의 문제로서, 슬링식 아기띠는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띠를 걸어서 지지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슬링에 싸여진 유아를 적정한 자세로 지지하는 것이 어렵다.
제 4의 문제로서, 종래의 슬링식 아기띠는, 포제의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을 사용자의 어깨 위에서 서로 얽어서 열결할 뿐이기 때문에, 불의에 그 연결이 풀려저 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슬링식 아기띠가 요망된다. 그에 더하여, 사용자가 안심감을 갖고서 유아를 안을 수 있는 슬링식 아기띠가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슬링식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링식 아기띠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와, 휨 강성을 가지며, 유아의 등부분에 닿도록 상기 슬링 본체의 내면에 배치된 등받침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슬링식 아기띠에 의하면, 유아의 등부분에 닿는 등받침부를 구비함에 의해, 유아의 등이 갑갑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슬링 본체를 옆으로 안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유아는 등받침부에 의해 거의 수평 자세로 유지되기 때문에, 적당한 간격으로 유아의 얼굴과 부모의 얼굴을 마주 볼 수 있다. 이로써, 부모와 자식 사이에서의 애정을 키우기 쉽게 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침부에는, 등받침 패드가 수납되어 있다. 등받침 패드는, 등받침부에 고정하여 부착되는 것이라도 좋고, 등받침부에 떼어냄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이라도 좋다. 등받침 패드를 떼어냄이 가능하게 하여 두면, 슬링 본체를 작게 접어개는(折疊)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침 패드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굴곡선을 가지며, 이 굴곡선을 경계로 하여 절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등받침 패드를 굴곡선을 경계로 하여 절곡 가능하게 하여 두면, 등받침 패드를 부착한 상태 그대로라도 슬링식 아기띠를 작게 접어개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슬링 본체의 내면에, 등받침부에 교차하여 늘어나 는 보강대가 꿰매여저 있다. 이 경우, 등받침 패드의 굴곡선은, 상기한 보강대상에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유아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는, 등받침 패드의 굴곡선이 보강대에 의해 아래로부터 떠받쳐저 있기 때문에, 등받침 패드가 크게 구부러지지 않고, 유아의 등을 적정한 자세로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 및 타방단 부분에는, 양자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 및 타방단 부분에는, 각각, 버클 부재를 지지하는 벨트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보강대는, 일방단 부분의 벨트와, 타방단 부분의 벨트를 연결하도록 늘어나 있다.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을 버클 부재를 통하여 확실하게 연결하도록 하면, 불의에 연결이 풀릴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일방단 부분의 벨트와 타방단 부분의 벨트를 연결하는 보강대를 마련함에 의해, 슬링 본체가 찢어질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침부의 측연부를 사용자의 신체의 선에 따르도록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한다. 이로써, 등받침 패드의 위치를 안정시켜서, 등받침 패드상에 위치한 유아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침 패드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심재와, 등받침 심재상에 배치되는 쿠션재를 포함한다. 쿠션재는,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등받침 심재의 측연부를 넘어서 등받침 심재의 이면까지 돌아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부드러운 쿠션재의 감촉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침 패드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방 영역과,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하방 영역을 갖고 있다. 이로써, 이 등받침 패드 상에 위치하는 유아는, 수족을 비교적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침 패드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심재와, 등받침 심재상에 배치된 쿠션재를 포함한다. 쿠션재는, 사용자의 신체측에 위치하는 등받침 심재의 측연부를 넘어서 등받침 심재의 이면까지 돌아 들어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부드러운 쿠션재의 감촉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의 등받침 패드는, 휨 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 부분과, 이 심재 부분을 덮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체가 작은 유아를 옆으로 안은 상태로 지지할 때에는, 커버 부분의 폭이 넓은 부분은 심재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도록 절곡된다. 유아가 성장하여 커진 때, 또는 신체가 큰 유아를 옆으로 안은 상태로 지지할 때에는, 유아의 등이 커버 부분의 폭이 넓은 띠부(帶部)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침 패드는 유아의 신체의 크기에 맞추도록 형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유아의 지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를 옆으로 안아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사한 바와 같이, 슬링식 아기띠(1)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10)를 구비한다. 슬링 본체(10)의 일방단 부 분과 타방단 부분을 사용자의 어깨의 위 또는 그 부근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되는데, 그 연결 부분 부근에 장식 링(21)이 부착되어 있고, 슬링 본체(10)의 일부가 장식 링(21)을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옆으로 안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슬링 본체(10)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과의 연결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에 의해, 세워서 안은 상태로 유아를 안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슬링식 아기띠(1)를 전개(展開)하여 그 내면측을 보이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사한 바와 같이, 슬링 본체(10)의 내면에는, 유아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한 아기 구속부재(30)가 부착되어 있다. 아기 구속부재(30)는, 유아의 가랑이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슬링 본체(10)의 내면에 고정하여 부착된 가랭이 받침부(31)와, 유아의 복부에 닿도록 가랭이 받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늘어나 있는 배받침부(32)와, 유아의 등부분에 닿도록 슬링 본체의 내면에 고정하고 부착된 등받침부(33)와, 사용 상태에서 유아의 정수리부를 보호하도록 등받침부(33)로부터 굴곡하여 절곡되는 헤드 가드부(34)를 구비한다.
도 3은, 배받침부(32)를 되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사한 바와 같이, 슬링식 아기띠(1)는, 슬링 본체(10)과, 배받침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재는, 등받침부(33)의 양 측연(側緣)으로부터 늘어나온 한 쌍의 연결 벨트(35)와, 각 연결 벨트(35)에 부착된 한 쌍의 연결 후크(36)와, 배받침부(32)에 부착된 한 쌍의 연결고리(39)를 구비한다. 유아를 안을 때에는, 한 쌍의 연결 후크(36)와 한 쌍의 연결고리(39)를 연결함에 의해, 유아의 신체를 구속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고리(39)로부터 떨어진 곳에 한 쌍의 연결고리(40)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유아의 신체의 크기에 응하여, 연결 후크(36)에 연결되어야 할 연결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유아의 신체가 작은 때에는 연결 후크(36)을 한쪽의 연결고리(39)에 연결하고, 유아의 신체가 큰 때에는 연결 후크(36)를 다른쪽의 연결고리(40)에 연결한다.
가랭이 받침부(31) 및 배받침부(32)가, 탄력이 있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가랭이 받침부(31) 및 배받침부(32)는, 예를 들면, 평면적인 형상으로 되아오려는 복원력을 발휘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탕력이 있는 가랭이 받침부(31) 및 배받침부(32)라면, 연결부재(35, 36, 39)에 의해 배받침부(32)와 슬링 본체(10)를 연결한 때, 가랭이 받침부(31) 및 배받침부(32)는 크게 만곡한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유아의 배를 압박한 일이 없다.
헤드 가드부(34)의 형상을 단단히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헤드 가드부(34)에는 헤드 가드 패드가 수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유아의 등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받침부(33)에는, 등받침 패드(41)(도 7 참조)가 수납되어 있다. 슬링식 아기띠(1)를 작게 접어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등받침 패드(41)는, 등받침부(33)에 떼어냄이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슬링식 아기띠(1)를 옆으로 안은 상태로 사용할 때, 즉 등받침부(33)를 거의 수평 상태로 하여 사용할 때에는, 유아의 정수리부를 보호하도록 헤드 가드부(34)를 등받침부(33)의 상단으로부터 굴곡하여 세운다. 슬링식 아기띠를 세워서 안은 상태로 사용할 때, 즉 등받침부(33)를 상하 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사용할 때에는, 유아의 두부를 개방하기 위해, 헤드 가드부(34)를 등받침부(33)의 배면으로 되접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등받침 패드(41)는, 다수의 통기 구멍(42)을 갖는다. 또한, 등받침 패드(41)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 굴곡선(37) 및 제 2 굴곡선(38)을 갖고 있고, 이들의 굴곡선(37, 38)을 경계로 하여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받침 패드(41)에 굴곡선을 마련하여 굴곡 가능하게 하여 두면, 등받침 패드(41)를 장착한 상태 그대로라도 슬링식 아기띠(1)를 작게 접어개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띠를 걸 때에 연결되어야 할 슬링 본체(10)의 일방단 부분(11) 및 타방단 부분(12)에는, 각각, 제 1 벨트(13) 및 제 2 벨트(14)가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제 1 벨트(13)를 제 2 벨트(14)를 향하는 방향ㅇ,러 되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벨트(13)에는, 버클 부재의 한쪽 요소인 받이구(受具)(15)가 마련되고, 제 2 벨트(14)에는, 버클 부재의 다른쪽 요소인 삽입구(揷入具)(16)가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16)가 받이구(15)에 끼워 넣어짐에 의해, 슬링 본체(10)의 일방단 부분(11)과 타방단 부분(12)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벨트(13)에는, 후크(19), 링(20) 및 장식 링(21)이 마련되어 있다. 후크(19)를 링(20)에 연결하면, 제 1 벨트(13)의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유아의 신체의 크기에 응하여, 또는 안는 방식의 변경에 응하여, 후크(19)와 링(20)을 연결하거나, 떼거나 한다.
장식 링(21)은, 장식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링 본체(10)의 일방단 부분으로부터 가늘고 길게 늘어나 있는 부분을 장식 링(21)에 통과하도록 하면, 제 1 벨트(13), 제 2 벨트(14), 받이구(15) 및 삽입구(16)을 그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의 미감이 향상한다. 이것은, 도 1을 참조하면 분명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링 본체(10)의 내면에는, 제 1 벨트(13)와 제 2 벨트(14)를 연결하도록 늘어나는 제 1 보강대(17) 및 제 2 보강대(18)가 꿰매어 붙여서 있다. 제 1 보강대(17)와 제 2 보강대(18)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고, 그들의 보강대(17, 18)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링 본체 부분은, 메시상태 소재(22)로 만들어저 있다. 따라서 슬링식 아기띠(1)는, 통풍성에 우수한 것으로 된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등받침 패드(41)(도 7)의 제 1 및 제 2 굴곡선(37, 38)은, 각각, 제 1 및 제 2 보강대(17, 18)상에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유아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보강대(17, 18)에 의해 아래로부터 떠받처저 있는 등받침 패드(41)는 굴곡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의 등을 적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시한 것이였지만, 여러가지의 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정 사항의 몇가지를 도 8 내지 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100)는,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 위에서 어깨띠로 거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 상태에 보다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측의 슬링 본체의 측연(101)을 내측으로 약간 패여지도록 만곡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측의 슬링 본체 부분의 부피가 커짐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풍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강도면을 고려하면서 슬링 본체의 복수 개소에 통기창(102, 103)을 마련하고 있다. 통기창(102, 103)에는, 예를 들면 메시상태 소재를 펴 둔다. 통기창(102)은 유아의 두부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고, 통기창(103)은 유아의 신체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다.
도 8에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100)는,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과, 이 부분에 가까운 측의 등받침부 또는 가랭이 받침부의 측방 부분을 연결하는 보조 벨트(104)를 또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벨트(104)의 일방단(104a)은,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벨트(13)에 부착된 고리형상띠(105)에 떼어냄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방단(104b)은, 등받침부(33) 또는 가랭이 받침부(31)의 배면에 위치하는 슬링 본체의 외면상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형상띠(106)에 떼어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벨트(104)를 구비함에 의해, 슬링식 아기띠(100)를 옆으로 안은 상태로 사용할 때에 등받침부(33)를 안정되게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벨트(13)에 부착된 받이구(15)와, 제 2 벨트(14)에 부착된 삽입구(16)와의 연결 상태가 불의에 풀려진 경우의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 제 1 벨트(13)에 고리형상 부재(107)를 부착하고 있다. 이 고리형상 부재(107)를, 삽입구(16)에 계합(係合)시키도록 위치시켜고 두면, 받이구(15)와 삽입구(16)의 연결이 불의에 벗겨저도, 제 1 벨트(13)와 제 2 벨트(14)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안전상 바람직하다.
도 11은, 등받침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등받침 패드(110)는, 비교적 강성이 있는 심재 부분(111)과, 이 심재 부분(111)을 덮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분(112)을 구비한다. 심재 부분(111)은,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 굴곡선(113)과 제 2 굴곡선(114)을 구비한다. 도사한 바와 같이, 심재 부분(111)은,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상부 영역과, 이 상부 영역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부 영역의 폭 치수보다 작은 폭 치수를 갖는 하부 영역을 포함한다. 심재 부분(111)의 하부 영역의 양 측연(111a)는, 폭 치수가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고, 그 때문에 이 부분에 위치한 커버 부분(112a)은 약간 폭이 넓은 띠부(帶部)를 형성한다. 신체가 작은 유아를 옆으로 안은 상태로 지지할 때에는, 커버 부분(112)의 폭이 넓음 띠부(112a)는 심재 부분(111)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하도록 절곡된다. 유아가 성장하여 신체가 커진 때에는, 유아의 등이 커버 부분(112)의 폭이 넓은 띠부(112a)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한 등받침 패드(110)에 의하면, 유아의 신체의 크기에 맞추도록 형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유아의 지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2는, 슬링 본체의 내면에 부착되는 아기 구속부재의 다른 예이다. 도시 한 아기 구속부재(130)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부(133)와, 등받침부(133)로부터 연속적으로 늘어나는 가랭이 받침부(131)과, 가랭이 받침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늘어나는 배받침부(132)를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특징은, 배받침부(132)의 형상에 있다. 즉, 배받침부(132)는, 가랭이 받침부(131)와의 경계로부터 양 측방으로 크게 뻗어나온 형상을 갖고 있다. 도시를 생략한 연결부재의 후크(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후크(36))가 걸리는 연결고리(134)는 배받침부(132)의 크게 뻗어나온 양 측방 부분에 위치하여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에 이용되는 금구 등이, 유아의 넙적다리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슬링 본체의 내면의 등받침부 내에 수납된 등받침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패드(140)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심재(141)과, 그 위에 배치된 부드러운 쿠션재(142)와, 그것들을 덮는 커버 부재(143)를 구비한다. 도사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측에 위치하는 등받침 패드(140)의 측연부(140a)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르도록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침 심재(141), 쿠션재(142) 및 커버 부재(143)의 전부가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등받침 심재(141)만이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측연부를 갖도록 하고, 부드러운 쿠션재(142) 및 커버 부재(143)가 그러한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측연부를 갖지 않고, 직선적인 것이라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등받침 패드(140)는, 슬링식 아기띠를 작게 접어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굴곡선(144, 145)을 가 지며, 이 굴곡선을 경계로 하여 절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링 본체의 내면에는, 등받침부에 교차하고 늘어나는 보강대가 꿰매여저 있고, 등받침 패드(140)의 굴곡선(144, 145)은 이 보강대상에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쿠션재(142)는,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등받침 심재(141)의 측연부를 넘어서 등받침 심재의 이면까지 돌려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부드러운 쿠션재(142)의 감촉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다른 형태의 등받침 패드를 도시하고 있다. 생후 얼마 안된 유아는, 팔을 W자 모양으로 구부리고, 다리를 M자 모양으로 구부린다. 이와 같은 자세를 측방으로부터 압박하면 유아는 갑갑하게 느끼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고관절(股關節) 탈구(脫臼)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슬링 본체 내에 싸여진 유아가, 수족을 비교적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받침 패드(150 및 153)는, 각각,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방 영역과,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하방 영역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한 등받침 패드(150)는, 휨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중앙 영역의 양 측방이 안쪽으로 파여진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방 영역은 폭이 넓고 매끈한 곡선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하방 영역도, 마찬가지로, 폭이 넓고 매끈한 곡선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또한, 등받침 패드(150)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굴곡선(151, 152)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링 본체에 꿰매어 붙여지는 보강대가, 굴곡선(151, 152)에 겹쳐지도록 늘어난다. 도 16에 도시한 등받침 패 드(153)는, 휨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방 영역과,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중앙 영역과,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하방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등받침 패드(153)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굴곡선(154, 155)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링 본체에 꿰매어 붙여지는 보강대가, 굴곡선(154, 155)에 겹쳐지도록 늘어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등받침 패드(140)와 마찬가지로, 등받침 패드(150, 153)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심재와, 그 위에 배치된 부드러운 쿠션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의 특징의 하나는, 슬링식 아기띠가 하중 지탱 보강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도 17에 도해적으로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160)와, 이 슬링 본체에 싸여진 유아를 아래로부터 떠받치는 영역으로 늘어나도록 슬링 본체(160)에 장착된 하중 지탱 보강대(161)을 구비한다. 하중 지탱 보강대(161)는,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160)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을 연결하여 루프형상으로 늘어나는 루프 띠의 형태로 되어 있다. 하중 지탱 보강대(161)의 도중 위치에는, 보강대(161)의 양단을 떼어냄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162)이 부착되어 있다. 유아의 하중을 아래로부터 떠받치는 하중 지탱 보강대(161)를 구비함에 의해, 슬링 본체(160)에 싸여지는 유아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보강대(17)와 제 1 벨트(13)와 제 2 벨트(14)로 루프 띠의 형태가 되는 하중 지탱 보강대를 형성하고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슬링 본체(165)와, 슬링 본체(165)의 테두리부(緣部)를 보강하는 보강 테두리부(166)와, 양단이 보강 테두리부(166)에 접속된 하중 지탱 보강대(167)을 구비하고 있다.
도 19는, 또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도 18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링 본체(170)와, 보강 테두리부(171)와, 하중 지탱 보강대(1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테두리부(171)는, 슬링 본체(170)의 주요한 테두리부를 보강함과 함께, 유아를 받아들이는 영역의 상방을 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늘어나 있다. 하중 지탱 보강대(172)의 양단은, 고리형상으로 늘어나는 보강 테두리부(171)에 접속되어 있다. 도 20은, 또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슬링 본체(175)와,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175)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을 연결하여 루프형상으로 늘어나는 루프띠부(176)와, 루프띠부(176)로부터 분기되어 유아를 아래로부터 떠받치는 영역으로 늘어나는 분기띠부(177)을 구비한다. 루프띠부(176) 및 분기띠부(177)가, 하중 지탱 보강대로서 기능한다.
도 21은, 차양을 구비한 슬링식 아기띠를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 설명한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180)와, 슬링 본체(180)에 싸여진 유아의 두부의 상방 영역을 덮도록 슬링 본 체(180)에 마련된 차양(183)을 구비한다. 슬링 본체(180)에는, 하중 지탱 보강대로서 기능하는 루프띠부(181) 및 분기띠부(182)가 꿰매어 붙여저 있다. 루프띠부(181)는,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180)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을 연결하여 루프형상으로 늘어나고, 분기띠부(182)는 루프띠부(181)로부터 분기되어 유아를 아래로부터 떠받치는 영역으로 늘어나 있다.
차양(183)은, 바람직하게는 아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양단은 하중 지탱 보강대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양(183)의 양단이 분기띠부(182)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양(183)의 양단을 하중 지탱 보강대에 접속함에 의해, 차양(183)의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아치 형상의 차양(183)은, 창(184)과, 이 창(184)을 개폐하는 커버(185)를 구비한다. 창(184)에는 메시천을 펴 두어도 좋다. 차양(183)은, 차양으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유아 수납 공간의 밝기를 조절한 기능도 겸비한다. 유아 수납 공간을 밝게 하는데는 차양을 개여서 유아 수납 공간의 상방을 크게 개방한다. 유아 수납 공간을 어둡게 하는데는 차양을 아치 형상에 전개하여 유아 수납 공간의 상방 영역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차양(183)이 창(184) 및 커버(185)를 구비함에 의해, 유아 수납 공간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2에 도해적으로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슬링 본체(180)와, 루프띠부(181)와, 분기띠부(182)와, 차양(190)을 구비한다. 차양(190)은, 아치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은 하중 지탱 보강대로서 기능하는 분기띠부(182)에 접속되어 있다.
차양(190)의 상세를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양(190)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아치형상으로 되어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 차양포(幌布)(191)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 1 차양포(191)에 인접하고 아치형상으로 되어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2 차양포(192)와,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 2 차양포(192)에 인접하여 아치형상으로 되어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3 차양포(193)를 구비한다. 제 2 차양포(192)의 두께는, 제 1 차양포(191) 및 제 3 차양포(193)보다 작다.
도 23(a)는 차양(190)의 전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3(b)는 차양(190)의 접어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차양(190)의 접어갠 상태에서는, 제 1 차양포(191)와 제 3 차양포(193)가 겹처진다. 유연성이 있는 제 2 차양포(192)는, 겹처진 제 1 차양포(191)와 제 3 차양포(193) 사이에 끼여진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차양포(191, 193) 사이에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양포(192)를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차양(190)를 작게 접어갤 수 있음과 함께, 접어갠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차양(190)은, 슬링식 아기띠의 차양으로서 이용될 수 있지만, 그 밖의 육아 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모차, 자동차용 아기 안전 시트, 실내용 육아 의자, 베드 등과 같이 유아 수납 공간을 갖는 육아 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생후 6개월경의 유아의 눈의 초점은 25㎝ 내지 30㎝ 정도라고 말하여지고 있다. 따라서, 부모의 얼굴과 유아의 얼굴이 25㎝ 내지 30㎝ 정도의 간격이 되면, 유 아는 부모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부모와 자식 사이의 애정을 키우는데는, 부모의 눈과 유아의 눈과의 간격을 25㎝ 내지 30㎝ 정도로 근접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차양을 구비한 슬링식 아기띠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차양의 정점(頂点)의 위치와 유아의 얼굴과의 거리가 25㎝ 내지 30㎝ 정도가 되도록 하여 둔다. 이와 같은 치수의 아기띠의 경우, 부모는, 유아의 얼굴을 볼 때에 차양의 정점 부근까지 얼굴을 갖고 가도록 하면, 유아도 부모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부모와 유아 사이의 아이(eye)-투(to)-아이(eye)의 관계를 실현할 수 있다. 아기띠 및 차양의 외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아이-투-아이의 선(線) 또는 디자인을 시행하여 두면, 사용자는 아이-투-아이의 관계를 실현하는 적절한 거리를 인식할 수 있어서, 적극적으로 그 거리가 되는 위치(차양의 정점의 위치)까지 얼굴을 갖고 가게 되기 때문에, 부모자식의 애정을 보다 키울 수 있게 된다.
도 24는, 슬링식 아기띠를 사용하는 모친이나 부친이 편안하게 유아를 떠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궁리를 시행한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띠로 걸어진 상태에서 유아의 신체를 싸서 지지하는 포제의 슬링 본체(200)와, 사용자의 손을 받아들이는 수납부를 가지며, 슬링 본체(200)의 외면상에 마련되는 손(手) 수납부재(201, 203)를 구비한다. 한쪽의 손 수납부재(201)는, 유아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떠받치는 위치에 있다. 다른쪽의 손 수납부재(203)는, 유아의 등을 떠받치는 위치에 있다.
손 수납부재는, 사용자의 손을 받아들이는 수납부를 갖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아의 엉덩이를 떠받치는 위치에 있는 한쪽의 손 수납부재(201)는 장갑의 형태를 갖고 있다. 도사한 바와 같이 손 수납부재(201)를 벙어리장갑의 형태로 하면, 손을 간단하게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된다. 유아의 등을 떠받치는 위치에 있는 다른쪽의 손 수납부재(203)는, 옆에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 띠의 형태를 갖고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오른손을 벙어리 장갑의 형태의 손 수납부재(201)에 집어넣어서 유아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떠받치고, 왼손을 띠의 형태의 손 수납부재(203)에 집어넣어서 유아의 등을 떠받칠 수 있다. 벙어리 장갑의 형태의 손 수납부재(201)는, 외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불쾌감을 줄지도 모르다. 그래서, 벙어리 장갑의 형태의 손 수납부재(201)의 위에 겹쳐지도록, 띠의 형태의 손 수납부재(202)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더운 계절에는, 손을 벙어리 장갑(201)과 띠(202)의 사이에 집어넣을 수 있다.
슬링식 아기띠는,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띠식 걸기로 사용된다. 그 때에, 슬링식 아기띠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고 두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슬링 본체와 사용자의 허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띠로 걸어진 상태에서 유아의 신체를 싸서 지지하는 포제의 슬링 본체(210)와, 슬링 본체(210)과 사용자의 허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211)을 구비한다. 결합부재(211)는, 사용자의 허리에 감겨지는 허리 벨트 또는 허리끈으로서, 사용자의 허리에 근접하는 영역에 있는 슬링 본체(210)의 외면상에 부착되어 있다.
도 26에 도해적으로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사용자의 허리에 근접하는 영역에 있는 슬링 본체(215)의 외면상에 마련된 결합부재로서의 루프형상 부재(216)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바지의 벨트(217)을 루프형상 부재(216)에 통과함에 의해, 슬링 본체(215)를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6은, 옆으로 안은 상태의 슬링식 아기띠를 도시하고 있다. 세워 안은 상태에서도 루프형상 부재(21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루프형상 부재(216)을 슬링 본체(2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결합부재의 방향을 바꾸어서, 옆으로 안음 및 세워서 안음에 대응하여도 좋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슬링식 아기띠는, 옆으로 안을 때에 사용되는 옆으로 안는용 결합부와, 세워서 안을 때에 사용되는 세워 안는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27은,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세워 안는용 결합부(218)을 부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세워 안는용 결합부(218)는, 바지의 벨트(219)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루프형상 부재 또는 띠형상 부재이고, 가랭이 받침부(31)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슬링 본체에 싸여진 유아를 소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슬링 본체에 방음재를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8에 도해적으로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220)와, 슬링 본체(220)에 싸여진 유아의 양쪽 귀에 근접하고 위치하도록 슬링 본체(220)의 내면에 배치된 방음부재(221)을 구비한다. 방음부재(221)는, 슬링 본체(220)에 고정하여 부착되어도 좋고, 착탈 가능 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도 29는, 방음부재를 구비한 슬링식 아기띠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슬링식 아기띠는, 슬링 본체(230)와, 슬링 본체(230)의 내면상에 배치되고 유아의 두부를 보호한 두부 패드(232)와, 휨 강성을 가지며, 유아의 등부분에 닿도록 슬링 본체(230)의 내면에 배치된 등받침부(231)을 구비한다. 두부 패드(232)는, 유아의 양측 두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입벽(立壁)(232a)를 갖고 있고, 이 입벽(232a) 내에 방음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두부 패드(232)는, 유아의 후두부(後頭部)를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갖는 베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유아의 목을 배후로부터 지탱하는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30은, 방음부재를 구비한 두부 패드(235)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두부 패드(235)는, 양 측부에 단면 반원 형상의 산부(山部)(237)을 갖는 베개(236)과, 유아의 양 측두부(側頭部)에 근접하는 한 쌍의 입벽(239)을 구비한다. 각 입벽(239)은, 방음부재를 포함한다. 각 입벽(239)의 저면은, 단면(斷面) 반원 형상의 오목부을 갖고 있고, 각 산부(237)상에 위치한다. 각 입벽(239)과 각 산부와의 연결은, 연결 벨트(240)에 의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벨트(240)의 일방단(240a)은 입벽(239)의 내측 측면에 고정되고, 타방단(240b)은 베개(236)의 구멍(238)을 통과하고 산부(237)의 아래를 돌아 입벽(239)의 외측 측면에 면파스너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두부 패드(235)에서는, 도 30에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벽(239)의 상승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응하여, 유아의 양 측방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는,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의 슬링 본체와,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과 타방단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 31은, 도 10의 실시 형태에 대해 약간의 변형을 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링식 아기띠는, 버클 부재를 덮도록 연재되고,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에 예를 들면 슬라이드 파스너(250)을 통하여 떼어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식부재(251)을 구비한다. 형태가 다른 장식부재(251)을 복수종류 준비하여 두면, 그것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함에 의해 디자인적인 변화를 즐길 수 있다. 도 32는, 슬링 본체로부터 떼어내진 장식부재(251)을 도시하고 있고, 스카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부재(251)을 슬링 본체로부터 떼어냄이 가능하게 마련하여 두면, 유아가 성장하여 슬링식 아기띠가 불필요하게 된 단계에서도, 유아기의 기억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억 전승품으로서 보존하여 둘 할 수 있다.
도 33은, 떼어냄이 가능한 장식부재의 지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 및 타방단 부분에는, 각각, 버클(15, 16)을 지지하는 벨트(13, 14)가 부착되어 있다. 한쪽의 벨트(13)에는, 장식부재(260)를 통과하기 위한 장식 링(21)이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부재(260)는, 장식 링(21)에 의해 슬링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장식부재(260)의 상방 부분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한쪽의 벨트(13)에 장식부재(260)을 통과하기 위한 링(261)을 부착하어 둔다.
도 34 및 도 35는, 떼어냄이 가능한 장식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장식부재(270, 280)는, 슬링 본체에 싸여진 유아의 상방 공간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있다. 도 34에 도시한 장식부재(270)는 레인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도 35에 도시한 장식부재(280)는 모기장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있다.
도 36은, 도 10의 실시 형태에 대해 약간의 변형을 가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슬링식 아기띠는, 버클 부재의 아래에 위치한 부드러운 어깨 패드(30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어깨 패드(300)는, 제 1 벨트(13)의 폭보다도 넓은 폭 치수를 갖고 있고, 제 1 벨트(13)의 이면에 마련되어 있다. 어깨 패드(300)을 제 1 벨트에 고정하여 부착하여도 좋고, 면파스너 등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도 좋다.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이 부드러운 어깨 패드(300)을 구비함에 의해, 버클 부재나 벨트(13, 14)가 직접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닿는 것을 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사용 기분이 좋고. 신체에 편안한 아기띠가 된다.
도 37은, 도 17의 실시 형태에 대해 약간의 변형을 가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슬링식 아기띠는, 사용자의 어깨에 어깨띠로 걸어진 상태로 유아의 신체를 싸서 지지하는 포제의 슬링 본체(160)를 구비한다. 이 슬링 본체(160)에는, 사용자의 손을 내부에 집어넣기 위한 슬릿(301)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릿(301)을 마련함에 의해, 사용자는, 손을 슬릿(301)으로부터 슬링 본체(160)의 내부에 집어넣어, 직접, 유아의 신체를 만저서 유아의 온기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유아를 안을 수 있다. 유아에 있어서도, 모친 등의 손이 직접 신체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안심감을 갖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릿(301)은, 부모와 자식 사이의 스킨쉽을 도모하는데도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슬링 본체(160)는, 슬링 본체에 싸여진 유아를 아래로부터 떠받치는 영역으로 늘어나도록 슬링 본체에 장착된 하중 지탱 보강대(161)을 구비한다. 슬릿(301)을 설치`함에 의해 슬링 본체(16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슬릿(301)은, 보강대(161)에 따라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슬릿(301)으로부터 슬링 본체(160)의 내부에 틈새바람(隙間風)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 38에 도시한 바와같은 포제의 통형상 부재(302)를 슬링 본체(160)의 내면에 부착한다. 통형상 부재(302)는, 슬릿(301)의 개구연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사용자의 손은, 이 통형상 부재(302)를 통과하고 슬릿 본체(160)의 내부에 들어가진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의 특징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슬링식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어깨띠식 걸기가 가능한 포제(布製)의 슬링 본체와,
    휨 강성을 가지며, 유아의 등부분에 닿도록 상기 슬링 본체의 내면에 배치된 등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에는, 등받침 패드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패드는, 상기 등받침부에 떼어냄이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패드는,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굴곡선을 가지며, 이 굴곡선을 경계로 하여 절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 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등받침부에 교차하여 늘어나는 보강대가 꿰매여저 있고,
    상기 등받침 패드의 굴곡선은, 상기 보강대상에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6. 제 5항에 있어서,
    어깨띠로 거는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 및 타방단 부분에는, 양자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슬링 본체의 일방단 부분 및 타방단 부분에는, 각각, 상기 버클 부재를 지지하는 벨트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보강대는, 상기 일방단 부분의 벨트와, 상기 타방단 부분의 벨트를 연결하도록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패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체측에 위치하는 상기 등받침 패드의 측연부는, 사용자의 신체의 선에 따르도록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패드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심재와, 상기 등받침 심재상에 배치된 쿠션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재는, 오목형상으로 만곡한 상기 등받침 심재의 측연부를 넘어서 등받침 심재의 이면까지 돌아 들어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침 패드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방 영역과,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하방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패드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심재와, 상기 등받침 심재상에 배치되는 쿠션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재는, 사용자의 신체측에 위치한 등받침 심재의 측연부를 넘어서 이 등받침 심재의 이면까지 돌아 들어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는, 휨 강성을 갖는 등받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침 패드는, 휨 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 부분과, 이 심재 부분을 덮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분을 가지며,
    상기 심재 부분은,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상부 영역과, 이 상부 영역의 하 방에 위치하고 상기 위부 영역의 폭 치수보다도 작은폭 치수를 갖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분은, 상기 하부 영역의 양 측방으로 폭이 넓은 띠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식 아기띠.
KR1020060077080A 2005-09-21 2006-08-16 슬링식 아기띠 KR20070033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4392 2005-09-21
JPJP-P-2005-00274392 2005-09-21
JPJP-P-2005-00378341 2005-12-28
JP2005378341A JP2007111482A (ja) 2005-09-21 2005-12-28 スリング式子守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251A true KR20070033251A (ko) 2007-03-26

Family

ID=4929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080A KR20070033251A (ko) 2005-09-21 2006-08-16 슬링식 아기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33251A (ko)
TW (1) TW2007183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8379A (en)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US6978479B2 (en) Garment for preventing a baby from rolling over
JP2007503879A (ja) 外囲システムを備えたベビーキャリア
US20090199337A1 (en) Cover for a Person that Attaches with Clips Apparatus and Method
JP2017202139A (ja) 子守帯
US20200121007A1 (en) Multi-use cover
US20190246811A1 (en) Infant carrier
JP5902265B1 (ja) 子守帯
JP4772499B2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20070033251A (ko) 슬링식 아기띠
KR20150004498U (ko)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KR20070033250A (ko) 슬링식 아기띠
JP2022175636A (ja) ベビーキャリア
WO2017203259A1 (en) Garment
JP2005288107A (ja) 子守帯
JP2007111491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95937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95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3115561U (ja) 乳幼児の抱っこ用又はおんぶ用覆い
JP2007111490A (ja) 育児器具
JP2007111510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85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93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94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84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