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194A - 가변용량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194A
KR19980071194A KR1019980003659A KR19980003659A KR19980071194A KR 19980071194 A KR19980071194 A KR 19980071194A KR 1019980003659 A KR1019980003659 A KR 1019980003659A KR 19980003659 A KR19980003659 A KR 19980003659A KR 19980071194 A KR19980071194 A KR 1998007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hoe
cam plate
circumferential edg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4693B1 (ko
Inventor
마사키 오타
요오코 무라카미
마사루 하마사키
마사요시 호리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1998007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6Piston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2Pistons piston shoe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2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5Membranes,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2Light metals
    • F05B2280/1021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19)와 피스톤(21)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갈 우려가 저감되어서 슈(22)와 피스톤(21)간의 슬라이드접촉부의 윤활을 확보가능하고 값싼 가변용량압축기를 제공한다.
피스톤(21)을 한쌍의 거의 반구형상의 슈(22)를 거쳐서 캠플레이트(19)의 외부원주에 계류시킨다.
구동축(16)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19)를 거쳐서 피스톤(21)을 왕복운동시켜서 캠플레이트(19)의 경사각에 따른 토출용량으로 냉매가스의 압축운전을 행하도록 한다.
각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는 절제부(22c)를 형성한다.
이 절제부(22c)는 적어도 캠플레이트(19)가 최대경사각상태로 변이되었을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가변용량 압축기
본 발명은 예를들면, 차량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가변용량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공기조화장치등에 사용되는 가변용량압축기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171886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cylinder block)에는 복수의 실린더보어(cylinder bore)가 형성되고 각 실린더보어내에는 피스톤이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크랭크실내에 있어서 구동축에는 캠플레이트(cam plate)가 일체회전가능 및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피스톤이 한쌍의 거의 반구상의 슈(shoe)를 거쳐서 그 캠플레이트의 외부원주에 계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되어서 캠플레이트의 경사각에 따른 토출용량으로 냉매가스의 압축운전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의 외면에 구면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면에 평면부가 형성되고 이 구면부와 평면부의 경계외부원주가장자리가 예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슈의 평면부가 캠플레이트의 양측외면에 접합된 상태에서 양슈의 구면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체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의 예각형상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의 예각형상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갈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술한 종래의 가변용량압축기에서는 토출용량을 제어하기 위해 크랭크실내의 압력을 정확히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크랭크실이 흡입통로의 일부로 되어 있지 않다.
결국, 오일을 충분히 포함한 냉매가스는 후면하우징내의 흡입실로부터 각 실린더보어내로 직접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립시에 주입되는 오일외에 크랭크실내에 공급되는 오일은 다음의 2가지에 한정된다.
즉, 하나는 각 실린더보어와 피스톤의 간격을 통해서 공급되는 브로바이가스에 동반되는 것이며, 또 하나는 용량제어밸브의 개방시에 있어서 급기통로를 거쳐서 공급되는 냉매가스에 동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인가의 요인으로 크랭크실내에 체류하는 오일량이 감소하면 슈와 피스톤간 및 슈와 캠플레이트의 사이 등의 슬라이드접촉부의 윤활이 불량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윤활조건이 엄격한 슈와 캠플레이트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의 슬라이드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면에 동등의 별도금속을 용융사출하는 등의 고가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철계의 금속으로 된 캠플레이트가 종래의 구성에서는 채용되고 있었다.
여기서, 캠플레이트를 알루미늄계의 금속으로 형성해서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캠플레이트의 두께를 크게 설정할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캠플레이트의 판의 두께가 크게 되면 캠플레이트를 끼워서 한쌍의 슈에 의해 구체를 형성하기 위해 각 슈의 판의 두께는 얇게 된다.
그 결과, 각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일층 예각형상으로 되어서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가기 쉬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주된 목적은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갈 우려를 저감가능하고 값싼 가변용량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랭크실내에 체류되는 오일을 슈와 피스톤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 등에 유효하게 끌어넣을 수가 있어서 그 슬라이드접촉부 등의 윤활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는 가변용량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가변용량압축기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피스톤의 경사판과의 계류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절단 정면도
도3은 도2의 일부를 다시 또 확대해서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실린더블록
12a. 실린더보어
15. 크랭크실
16. 구동축
19. 캠플레이트
21. 피스톤
21c. 구면상수용대
22. 슈
22a. 구면부
22b. 평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에는 실린더보어를 형성하고 실린더보어내에는 피스톤을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크랭크실내에 있어서 구동축에는 캠플레이트를 일체회전가능 및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피스톤을 한쌍의 거의 반구형상의 슈를 거쳐서 캠플레이트의 외부원주에 계류시키고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켜서 캠플레이트의 경사각에 따른 토출용량으로 냉매가스의 압축운전을 행하도록 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 각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는 절제부를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1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 상기한 슈의 절제부는 적어도 캠플레이트가 최대경사각상태로 변이되었을 때에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의 구면상수용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또는 2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 상기한 슈는 피스톤의 구면상수용대에 슬라이드접촉되는 구면부와 캠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슬라이드접촉되는 평면부와 구면부와 평면부의 경계원주가장자리에 따라서 형성된 절제부로서의 원통부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3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캠플레이트를 알루미늄계의 금속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런데, 청구항 1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 절제부가 형성되고, 종래 구성의 가변용량압축기의 슈에 비해서 그 외부원주가장자리의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갈 우려가 저감된다.
또 절제부에 의해 피스톤의 구면상수용대와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의 사이에 쐐기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을 거쳐서 크랭크실내에 체류하는 오일이 슈와 피스톤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에 효과적으로 끌어 넣어진다.
이 때문에 그 슬라이드접촉부의 윤활을 확보하기 쉬운 것이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적어도 캠플레이트가 최대경사각 상태로 변이되었을 때에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의 구면상수용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 절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최대토출량이 압축운전시에 있어서 큰 압축하중이 작용해도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가기 어려운 것이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의 구면부와 평면부의 경계원주가장자리에 따라서 절제부로서의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슈의 구면부와 평면부의 경계원주가장자리를 절제해서 소정폭의 원통부를 형성하므로서 절제부를 용이하게 가공성형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캠플레이트가 알루미늄계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플레이트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해 캠플레이트의 두께를 크게 설정해서 각 슈의 판의 두께가 얇게 되었다고 해도 이들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로 물려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면하우징(11)은 동일하게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12)의 전면부에 접합고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면하우징(13)은 밸브플레이트(valve plate)(14)를 거쳐서 실린더블록(12)의 후면부에 접합고정되어 있다.
후면하우징(13)내에는 흡입실(13a)및 토출실(13b)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밸브플레이트(14)에는 흡입밸브(14a)및 토출밸브(14b)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하우징(11)과 실린더블록(12)에 의해 형성된 폐색공간은 크랭크실(15)을 이루고 있다.
이 크랭크실(15)내를 관통하도록 전면하우징(11)및 실린더블록(12)에는 구동축(16)이 한쌍의 래디얼베어링(radial bearing)(17)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가설지지되어 있다.
회전지지체(18)는 상기한 구동축(16)에 장착되어 있다.
또 캠플레이트로서 경사판(19)은 크랭크실(15)내에 있어서, 구동축(16)에 그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고 또한 경사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알루미늄계의 금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판(19)은 힌지기구(20)를 거쳐서 회전지지체(18)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판(19)은 그 힌지기구(20)에 의해 축선방향에의 슬라이드이동 및 경사이동이 안내됨과 동시에 구동축(16)과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한 경사판의 최대경사각은 그 경사판에 설치된 스토퍼(19a)와 회전지지체(18)의 맞닿음에 의해 규정된다.
또 경사판(19)의 최소경사각은 구동축(16)에 장착된 서크립(16b)과 경사판(19)의 맞닿음에 의해 규정된다.
복수의 실린더보어(12a)는 실린더블록(12)에 형성되어 있다.
편두형의 피스톤(21)은 그 헤드부(21a)에 있어서 각 실린더보어(12a)내에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21)의 목부(21b)의 내측에는 구면상을 이루는 한쌍의 수용대(21c)가 대향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대(21c)와 경사판(19)의 외부원주 양측면의 사이에는 한쌍의 거의 반구상의 슈(22)가 개재되어서 피스톤(21)의 목부(21b)가 경사판(19)의 외부원주에 계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21)의 압축동작에 수반하는 압축반력은 슈(22), 경사판(19), 힌지기구(20), 회전지지체(18)및 쓰러스트베어링(thrust bearing)(23)을 거쳐서 전면하우징(11)에 수용하게 되어 있다.
급기통로(24)는 토출실(13b)과 크랭크실(15)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량제어밸브(25)는 급기통로(24)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이 용량제어밸브(25)는 제어밸브체(26)와 그 제어밸브체(26)의 제어밸브구멍(27)에 대한 개방도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어프램(diaphragm)(2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감압통로(29)를 거쳐서 다이어프램(28)에 작용하는 흡입실(13a)내의 흡입압력(Ps)에 따라서 제어밸브체(26)에 의한 제어밸브구멍(27)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이 용량제어밸브(25)의 개방도조정에 의해 급기통로(24)를 거쳐서 토출실(13b)로부터 크랭크실(15)에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냉매가스의 공급량이 변경된다.
그리고 피스톤(21)의 전후로 작용하는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과 실린더보어(12a)내의 압력과의 차이압력이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경사판(19)의 경사각도가 변경되어서 피스톤(21)의 스트로크가 변경되고 토출용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추기통로(30)는 크랭크실(15)과 흡입실(13a)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추기통로(30)는 구동축(16)의 중심에 형성된 축심통로(16a) 및 실린더블록(12)의 후단측중앙에 형성된 수용오목한곳(12b)의 내부, 실린더블록(12)의 후단면에 형성된 방압홈(12c), 및 밸브플레이트(14)에 형성된 방압구멍(14c)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축심통로(16a)는 그 전단이 전면측의 래디얼베어링(17)의 근방에 있어서 크랭크실(15)에 개방되어 있다.
이 추기통로(30)를 통해서 항상 소정량의 냉매가스가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13a)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쓰러스트베어링(31)및 축지지용수철(32)은 실린더블록(12)의 수용오목한곳(12b)내에 있어서 구동축(16)의 후단과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슈(22)의 형상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슈(22)는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에 슬라이드접촉가능한 구면부(22a)와 경사판(19)의 외부원주양측면에 슬라이드가능한 평면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슈(22)의 구면부 (22a)와 평면부(22b)의 경계외부원주 가장자리에는 절제부로서의 원통부(22c)가 전체원주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슈(22)의 평면부(22b)의 외부원주에는 테이퍼면(22d)이 전체원주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부(22c)는 적어도 경사판(19)이 최대경사각상태로 변이되었을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를 절제하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22c)에 의해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와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제1의 쐐기상공간(C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테이퍼면(22d)에 의해 경사판(19)의 외측면과 슈(22)의 평면부(21b)와의사이에 제2의 쐐기상공간(C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변용량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압축기에 있어서 차량엔진등의 외부구동원에 의해 구동축(16)이 회전되면 회전지지체(18) 및 힌지기구(20)를 거쳐서 경사판(19)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 경사판(19)의 회전운동이 슈(22)를 거쳐서 피스톤(21)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그 피스톤(21)의 헤드부(21a)가 실린더보어(12a)내에서 왕복운동된다.
피스톤(21)의 상사점위치로부터 하사점위치로의 복귀운동동작에 의해 냉매가스흡입실(13a)로부터 흡입밸브(14a)를 밀어붙여서 실린더보어(12a)내로 흡입된다.
그리고 피스톤(21)의 하사점위치로부터 상사점위치로의 진행운동동작에 의해 실린더보어(12a)내의 냉매가스가 소정의 압력에 달하기까지 압축된 후, 토출밸브(14b)를 밀어붙여서 토출실(13b)로 토출된다.
이어서 이 가변용량압축기의 용량제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냉방부하가 큰 상태에서는 흡입실(13a)내의 높은 흡입압력(Ps)이 용량제어밸브(25)의 다이어프램(28)에 작용하고있고 제어밸브체(26)는 제어밸브구멍(27)을 폐쇄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급기통로(24)가 차단되어서 토출실(13b)로부터 크랭크실(15)에의 고압의 압축냉매가스의 공급은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크랭크실(15)내의 냉매가스는 스스로 추기통로(30)를 통해서 흡입실(13a)로 추출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의 압력(Pc)와 실린더보어(12a)내의 압력과의 피스톤(21)을 거친 차이는 적고 경사판(19)은 도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최대경사각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피스톤(21)의 스트로크가 증대되고 압축기는 최대토출용량으로 운전된다.
한편 냉방부하가 낮은 상태에서는 흡입실(13a)내의 낮은 흡입압력(Ps)가 용량제어밸브(25)의 다이어프램(28)에 작용하고 있고, 그 다이어프램(28)이 흡입압력(Ps)에 따라 변위된다.
이 다이어프램(28)의 변위에 수반해서 제어밸브체(26)가 제어밸브구멍(27)을 개방하고 그 제어밸브구멍(27)의 개방도에 따라서 토출실(13b)로부터 고압의 압축냉매가스가 급기통로(24)를 통해서 크랭크실(15)에 공급된다.
이 결과, 크랭크실(15)의 압력(Pc)가 상승해서 크랭크실(15)의 압력(Pc)과 실린더보어(12a)내의 압력과의 각 피스톤(21)을 거친 차이가 커지게 된다.
이 차이에 따라 경사판(19)이 도1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소경사각측으로 이동되고 피스톤(21)의 스트로크가 감소되어서 토출용량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이 가변용량압축기에서는 냉방부하, 결국 흡입압력(Ps)의 변동에 따라 용량제어밸브(25)의 개방도조정에 의해 크랭크실(15)의 압력(Pc)가 승강되어서 경사판(19)의 경사각이 변경된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 절제부로서의 원통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원통부(22c)의 절제형성에 의해 도1∼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경사판(19)이 최대경사각상태로 변이되었을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16)의 회전에 의해 경사판(19)을 거쳐서 피스톤(21)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경사판(19)과 피스톤(21)의 간격(S1)내에 물려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 원통부(22c)에 의해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와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제1의 쐐기상공간(C1)을 거쳐서 크랭크실(15)내에 체류하는 오일이 슈(22)의 구면부(22a)와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와의 사이에 슬라이드접촉부에 끌려 들어가기 쉽게 된다.
다시 또, 평면부(22b)의 외부원주의 테이퍼면(22d)에 의해 경사판(19)의 외측면과 슈(22)의 평면부(22b)와의 사이에 제2의 쐐기상공간(C2)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 제2의 쐐기상공간(C2)을 거쳐서 오일이 슈(22)의 평면부(22b)와 경사판(19)의 외측면과의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로 끌려들어가기 쉬운 것이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대되는 효과에 대해 다음에 기재한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 원통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16)의 회전에 의해 경사판(19)을 거쳐서 피스톤(21)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경사판(19)과 피스톤(21)과의 간격(S1)내로 물려들어갈 우려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의 원통부(22c)에 의해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와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제1의 쐐기상공간(C1)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이 제1의 쐐기상공간(C1)을 거쳐서 크랭크실내에 체류하는 오일이 슈(22)와 피스톤(21)과의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에 효과적으로 끌려들어가서 그 슬라이드접촉부의 윤활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적어도 경사판(19)이 최대경사각상태로 변위되었을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 절제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최대토출용량의 압축운전시에 있어서 큰 압축하중이 작용해도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경사판(19)과 피스톤(21)의 간격(S1)내로 물려들어갈 우려를 확실히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22)의 구면부(22a)와 평면부(22b)의 경계원주가장자리에 따라서 원통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슈(22)의 구면부(22a)와 평면부(22b)의 경계원주가장자리를 절제해서 소정폭의 원통부(22c)를 형성하므로서 절제부를 용이하게 가공성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경사판(19)가 알루미늄계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경사판(19)을 철계의 금속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에 동등의 별도금속을 용융분사한 종래 구성에 비해 경사판(19)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이 구성으로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경사판(19)의 판의 두께를 크게 설정해서 각 슈(22)의 판의 두께가 얇게 되었다고 해도 그들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경사판(19)과 피스톤(21)의 간격(S1)으로 물려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는 각 슈(22)의 평면부(22b)의 외부원주에 테이퍼면(22d)이 형성되고, 이 테이퍼면(22d)에 의해 경사판(19)의 외측면과 슈(22)의 평면부(22b)와의사이에 제2의 쐐기상공간(C2)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 제2의 쐐기상공간(C2)을 거쳐서 크랭크실(15)내에 체류하는 오일이 슈(22)와 경사판(19)와의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에 효과적으로 끌려들어가서 그 슬라이드접촉부의 윤활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 경사판(19)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되기 때문에 고온하에 있어서의 내열성의 저하의 경향이 큰 알루미늄계의 금속에 의해 경사판(19)을 형성한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슈(22)상의 테이퍼면(22d)을 생략하는 것.
경사판(19)을 철계의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
이와 같이 구성해도 이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모양의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적사상에 대해 기술한다.
상기한 평면부의 외부원주에 테이퍼면이 형성된 청구항4에 기재된 가변용량압축기.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테이퍼면에 의해 캠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슈의 평면부와의 사이에 쐐기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 쐐기상의 공간을 거쳐서 크랭크실내에 체류하는 오일이 슈와 캠플레이트간의 슬라이드접촉부에 효과적으로 끌어넣어진다.
따라서, 캠플레이트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되어서 고온하에 있어서의 내열성의 저하의 경향이 큰 알루미늄계의 금속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형성한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를 거쳐서 피스톤이 왕복운동될 때에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갈 우려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오일을 슈와 피스톤과의 사이의 슬라이드접촉부에 유효하게 끌어넣을 수가 있어서 슬라이드접촉부의 윤활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특히 최대토출량의 압축운전시에 있어서 큰 압축하중이 작용해도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의 간격내에 물려들어가는 것을 화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슈의 구면부와 평면부와의 경계원주가장자리를 절제해서 소정폭의 원통부를 형성하므로서 절제부를 용이하게 가공성형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캠플레이트를 알루미늄계의 금속으로 형성해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해 캠플레이트의 판의 두께를 크게 설정해서 각 슈의 판의 두께가 얇게 되었다고 해도 이들 슈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캠플레이트와 피스톤과의 간격내로 물려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15)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동축(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12)에는 실린더보어(12a)를 형성하고 실린더보어(12a)내에는 피스톤(21)을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크랭크실(15)내에 있어서 구동축(16)에는 캠플레이트(19)를 일체회전가능 및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피스톤(21)을 한쌍의 거의 반구형상의 슈(22)를 거쳐서 캠플레이트(19)의 외부원주에 계류시키고, 구동축(16)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19)를 거쳐서 피스톤(21)을 왕복운동시켜서 캠플레이트(19)의 경사각에 따른 토출용량으로 냉매가스의 압축운전을 행하도록 한 가변용량압축기에 있어서, 각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에는 절제부(22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슈(22)의 절제부(22c)는 적어도 캠플레이트(19)가 최대경사각상태로 변이되었을 때에 슈(22)의 외부원주가장자리가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슈(22)는 피스톤(21)의 구면상수용대(21c)에 슬라이드접촉되는 구면부(22a)와 캠플레이트(19)의 외측면에 슬라이드접촉되는 평면부(22b)와 구면부(22a)와 평면부(22b)와의 경계원주가장자리에 따라서 형성된 절제부(22c)로서의 원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압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플레이트(19)를 알루미늄계의 금속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압축기.
KR1019980003659A 1997-02-10 1998-02-09 가변용량압축기 KR100274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6564A JPH10220347A (ja) 1997-02-10 1997-02-10 可変容量圧縮機
JP26564 1997-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194A true KR19980071194A (ko) 1998-10-26
KR100274693B1 KR100274693B1 (ko) 2001-01-15

Family

ID=1219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659A KR100274693B1 (ko) 1997-02-10 1998-02-09 가변용량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0220347A (ko)
KR (1) KR100274693B1 (ko)
CN (1) CN1090290C (ko)
DE (1) DE19803863A1 (ko)
FR (1) FR275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5225B2 (ja) * 1997-06-25 2004-02-09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用シューの製造方法
JPH1122640A (ja) * 1997-07-08 1999-01-26 Riken Corp 斜板式圧縮機用シュー
JP2000170654A (ja) 1998-10-02 2000-06-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2001032768A (ja) * 1999-07-19 2001-02-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01153043A (ja) 1999-12-01 2001-06-05 Sanden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1259914A (ja) * 2000-03-17 2001-09-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コンプレッサ用ピストンの受座の加工方法
JP2002332959A (ja) * 2001-05-10 2002-11-22 Toyota Industries Corp 球冠状シューおよびそれが配設された斜板式圧縮機
JP5495622B2 (ja) 2009-05-28 2014-05-21 大豊工業株式会社 シュ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5990A (ja) * 1984-12-04 1986-06-23 Taiho Kogyo Co Ltd シユ−
JPS61171886A (ja) 1985-01-25 1986-08-02 Sanden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H075259Y2 (ja) * 1986-07-01 1995-02-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ピストンとシューの係合構造
JPH0697033B2 (ja) * 1988-11-11 1994-1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US5364232A (en) * 1992-03-03 1994-11-1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5288147A (ja) * 1992-04-10 1993-11-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KR960700411A (ko) * 1994-03-09 1996-01-20 이소가이 찌세이 가변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8296554A (ja) * 1995-04-24 1996-11-12 Zexel Corp 斜板式圧縮機
JPH08326655A (ja) * 1995-06-05 1996-12-10 Calsonic Corp 斜板式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20347A (ja) 1998-08-18
CN1090290C (zh) 2002-09-04
DE19803863A1 (de) 1998-09-03
KR100274693B1 (ko) 2001-01-15
FR2759425B1 (fr) 2002-03-01
FR2759425A1 (fr) 1998-08-14
CN1191936A (zh) 199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497B1 (ko) 압축기
KR100249951B1 (ko) 압축기
KR100235514B1 (ko) 압축기의 피스톤
KR100274693B1 (ko) 가변용량압축기
KR100255529B1 (ko) 압축기용 피스톤의 가공방법
KR960034726A (ko) 가변용량 압축기
US6393964B1 (en) Compressor having piston rotation restricting structure with lubricating inclined guide surface
JPH09242667A (ja) 往復動型圧縮機
KR100235513B1 (ko) 압축기의 피스톤
KR10027496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230725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회전 규제 구조물
JP3320587B2 (ja) 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H09105376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3082466B2 (ja) 片頭ピストン型可変容量圧縮機
KR101348854B1 (ko) 압축기
KR101379562B1 (ko) 압축기의 피스톤
KR200170968Y1 (ko) 사판식 압축기의 피스톤
KR100699940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사판 지지구조
EP1092873A2 (en) Cylinder bore of swash plate compressor with grooves
JP2990832B2 (ja) 斜板式圧縮機
US20040202553A1 (en) Swash plate compressor
JPH0121356B2 (ko)
JPH09209919A (ja) ピストン型流体機械
JPH08334085A (ja) 往復動型圧縮機
JP2001234855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