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799A - 클램프 센서 - Google Patents

클램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799A
KR19980070799A KR1019980002136A KR19980002136A KR19980070799A KR 19980070799 A KR19980070799 A KR 19980070799A KR 1019980002136 A KR1019980002136 A KR 1019980002136A KR 19980002136 A KR19980002136 A KR 19980002136A KR 19980070799 A KR19980070799 A KR 1998007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re
sensor
open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505B1 (ko
Inventor
와따나베히데오
나가이아끼히로
Original Assignee
히오끼유우지
히오끼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오끼유우지, 히오끼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오끼유우지
Publication of KR1998007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2Tong testers acting as secondary windings of 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클램프센서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조를 강화해서 폐쇄시의 치합을 확실하게 한다. 가동측센서와 고정측센서를 축지지하여 토션코일스프링의 개방일단부를 가동측의 코어홀더에, 개방타단부를 괘지커버를 통해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각각 괘지시켜 개폐 자유롭게한 클램프센서에 있어서, 자기코어의 보빈부에는 돌기를 만들고, 코어홀더에는 보빈부의 돌기와 대면하는 구멍부를 만들어 그 맞물림을 자유롭게 하고, 또한, 베어링부 주변부위에 미끄럼접촉면을 형성하여 축지지한다.

Description

클램프센서
본 발명은, 코어홀더의 개폐동작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폐쇄시 코어부의 선단치합부 상호간의 치합을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조립 작업의 용이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클램프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예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자성강판을 적층시켜 반원 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코어부(2a, 3a) 각각에 보빈(2b, 3b)을 개재하여 권선(2c, 3c)을 감은 자기코어(2, 3)를 절연재료로 된 코어홀더(4, 5)내에 수납하여 클램프센서(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코어홀더(5)에는,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6)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레버(5a)가 부설되어 있고, 이 레버(5a)를 코일스프링(6)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누름으로써, 자기코어(2, 3)의 기단부 상호간에 개재배치된 링크기구(7)를 통하여 양측개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자기코어(2, 3)는, 이들이 수납되는 코어홀더(4), (5)와 함께 각각 지지용 스크루로드(8)에 너트(9)를 나사체결함으로써 양측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홀더본체부(10)의 쪽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개폐조작의 난이도 조정도 너트(9)를 강하게 조이거나, 느슨하게 함으로써 행하여지게 된다.
그래서, 클램프센서(1)의 개폐조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크루로드(8)에 대한 너트(9)의 체결 상태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루로드(8)에 대한 너트(9)의 조임 상태를 느슨하게 할 때는, 코어홀더(4), (5) 상호간에 유격이 발생해서 전체강도를 약화시키는 결과, 예를 들면 배전판등과 같이 배선이 들어있는 경우에 클램프센서(1)를 무리하게 밀어넣어 원하는 피측정전선을 둘러싸기 위해 폐지(閉止)시킨 때 등에, 자기코어(2), (3)의 선단부 상호가 잘 치합되지 않게 되어버릴 우려가 있어, 측정작업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폐쇄시에 자기코어의 선단측을 상호간 확실하게 치합시킬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클램프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센서의 내부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1a는 폐지상태를, 도 1b는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도 1a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고정측센서를 예로 보빈부의 돌기와 코어홀더의 구멍부의 대응관계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요부 설명도이다.
도 4는 가동측의 코어홀더와 고정측의 코어홀더 사이에서 형성되는 미끄럼접촉면의 상태를 각각 일측홀더부의 쪽을 예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과 대응관계의 것으로 나타낸 클램프센서의 정면도로서, 도 5a는 폐지상태를, 도 5b는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5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클램프식 전류계의 클램프센서부의 내부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램프센서 2, 3 : 자기코어
2a, 3a : 코어부 2b, 3c : 권선
4, 5 : 코어홀더 5a : 레버
6 : 코일스프링 7 : 링크기구
8 : 스크루로드 9 : 너트
10 : 홀더본체부 11 : 클램프센서
12 : 가동측센서 13 : 고정측센서
14, 21 : 자기코어 15, 22 : 코어부
15a, 22a : 선단치합부 15b, 22b : 기단치합부
16, 23 : 보빈부 16a, 23a : 시단부
16b, 23b : 종단부 17, 18, 24, 25 : 플랜지부
25a : 단차 19, 26 : 돌기
20, 27 : 권선 31, 34 : 코어홀더
34a : 측벽부 32, 35 : 일측홀더부
33, 36 : 타측홀더부 32a, 33a, 35a, 36a : 구멍부
32b, 33b : 레버부 32c, 33c : 보스부
37 : 베어링부 37a, 37b : 통부
38 : 지지축 38a : 나사공
39 : 관통공 40, 41 : 미끄럼접촉면
42 : 지지기둥 43 : 괘지용절결부
44 : 피봇스크루 45 : 토션코일스프링
45a : 코일스프링부 45b : 개방일단부
45c : 개방타단부 46 : 괘지커버
46a : 유지용 구멍 47 : 괘지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상의 특징은, 거의 원호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자기코어를 코어홀더내에 각각 수납하여 형성되는 가동측센서와 고정측센서를 베어링부에 관통삽입된 지지축을 개재하여 축지지하고, 상기 베어링부에 장착된 토션코일스프링의 개방일단부를 가동측의 코어홀더에, 개방타단부를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각각 괘지시켜 개폐 자유롭게 한 클램프센서에 있어서, 자기코어 각각은, 코어부와, 코어부의 선단치합부와 기단치합부를 제외한 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그 시단부와 종단부 각각의 양측면에 외향 돌출된 돌기를 갖는 보빈부와, 보빈부의 시단부와 종단부를 제외한 외주면에 권취되어 인출된 권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홀더는 각각,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면결합되는 일측홀더부와 타측홀더부로 이분할되고, 보빈부의 상기 돌기와 대면하는 각 부위에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구멍부가 마련되며, 코어홀더 상호는, 상기 베어링부의 주변부위에 미끄럼접촉면을 형성하여 축지지된 데에 있다.
이 경우, 토션코일스프링은,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괘지될 개방타단부를 진퇴 자유롭게 삽입시킨 괘지커버를 개재함으로써, 그 괘지단의 위치 조정을 자유롭게 하여 상기 개방타단부의 쪽을 괘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베어링부에 대해 2개를 병렬시켜 장착함과 동시에, 평행하게 인접하는 상기 개방타단부 각각을 상기 괘지커버에 각각 삽입하여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측의 코어홀더를 구성하는 일측홀더부와 타측홀더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토션코일스프링 장착시에 상기 개방타단부를 임시로 괘지하기 위한 보스부를, 그 최종 괘지시에 상기 보스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확보할 수 있는 베어링부 근방에 돌설해 두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센서의 내부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1a는 폐지상태를, 도 1b는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클램프센서(11)는 거의 원호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자기코어(14, 21)를 수지성형품인 코어홀더(31, 34)내에 각각 수납하여 형성되는 가동측센서(12)와, 고정측센서(13)를 베어링부(37)에 관통삽입된 지지축(38)을 개재하여 축지지하고, 또한, 코일스프링부(45a)에 의해 끼워 베어링부(37)에 장착된 토션코일스프링(45)의 개방일단부(45b)를 가동측의 코어홀더(31)에, 개방타단부(45c)를 고정측의 코어홀더(34)에 각각 괘지시킴으로써 개폐 자유롭게 되어 그 전체가 구성된다.
각 자기코어(14, 21)는, 예를 들면 자성박강판(磁性薄鋼板)을 필요한 매수만큼 적층하여 이루어진 코어부(15, 22)와, 이들 코어부(15, 22)를 각각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보빈부(16, 23)와, 이들 보빈부(16, 23)의 외주면에 각각 감겨 인출된 권선(20, 27)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코어부(15, 22)는 각각이 선단치합부(15a, 22a)와 기단치합부(15b, 22b)를 가지고 있고, 선단치합부(15a, 22a) 상호와 기단치합부(15b, 22b) 상호는 각각 빗살치형로 치합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빈부(16, 23)는 각각, 적어도 코어부(15, 22)의 선단치합부(15a, 22a)와 기단치합부(15b, 22b)를 제외한 부위에 둘러싸여 설치되며, 시단부(16a, 23a)의 경계부위에는 플랜지부(17, 24)가, 종단부(16b, 23b)의 경계부위에는 단차(18a, 25a)를 갖는 플랜지부(18, 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보빈부(16, 23)에는, 시단부(16a, 23a)와 종단부(16b, 23b)에서 각각의 개폐방향을 따른 양측면의 적절한 위치에 외향 돌출된 돌기(19, 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선(20, 27)은 보빈부(16, 23)의 시단부(16a, 23a)와 종단부(16b, 23b)를 제외한 외주면, 즉, 플랜지부(17)와 플랜지부(18)의 사이와, 플랜지부(24)와 플랜지부(25)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측 코어홀더(31)는,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면 합치하는 일측홀더부(32)와 타측홀더부(33)로, 고정측 코어홀더(34)는, 마찬가지로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면 합치하는 일측홀더부(35)와 타측홀더부(36)로 각각 이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홀더부(32)와 타측홀더부(33)에는 맞물림의 때에 베어링부(37)를 형성할 수 있는 통부(37a), (37b)가, 일측홀더부(35)와 타측홀더부(36)의 대면 부위에는 베어링부(37)에 지지축(38)을 관통삽입하기 위한 관통공(39), (3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홀더부(32)와 타측홀더부(33) 및 도 3에 나타난 일측홀더부(35)와 타측홀더부(36)의 각각에는, 자기코어(14), (21)를 각각 수납한 때에 보빈부(16, 23)에 형성된 돌기(19, 26)의 대면부위에 이들 돌기(19, 26)와 맞물리는 위치관계를 갖도록 구멍부(32a, 35a) 및 (33a, 3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홀더(31, 34) 상호는, 도 4와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8)이 관통삽입된 베어링부(37)의 주변부위에 미끄럼접촉면(40, 41)을 형성하며 축지지되고, 이들 미끄럼접촉면(40, 41)에 의하여,가동측 코어홀더(31)의 기단부에 있는 레버부(32b, 33b)를 조작한 때에 가동측 코어홀더(31)를 고정측 코어홀더(34)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면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부(45a)를 통해 베어링부(37)에 장착되는 토션코일스프링(45)에 대해서는, 개방일단부(45b)를 가동측 코어홀더(31)의 지지기둥(42)에, 개방타단부(45)를 고정측 코어홀더(34)의 괘지용절결부(43)에 각각 괘지시켜도 좋다.
그러나, 고정측 코어홀더(34)의 괘지용절결부(43)에 괘지된 개방타단부(45)에 대해서는, 그 괘지용절결부(43)와 측벽부(34a) 사이의 거리와의 관계에서 규정되는 길이에 융통성을 갖도록 하기위해,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괘지용절결부(43)와 측벽부(43a)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의 길이를 괘지용절결부(43)와 측벽부(34a)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게 형성하고, 그 개방타단부(45c)를 괘지커버(46)내에 마련되어 있는 유지용 구멍(46a)에 관통삽입하여 연결하여, 괘지커버(46)를 진퇴 자유롭게 함으로써 그 괘지단(47)의 위치를 자유롭게 진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토션코일스프링(45)은,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각 코일스프링부(45a, 45a)를 통해 베어링부(37)에 대해 2개를 병렬시켜 장착함과 동시에, 병렬로 인접시킨 개방타단부(45c, 45c) 각각을 괘지커버(46)에 나란히 마련된 유지용 구멍(46a, 46a)에 각각 삽입하여 일체적으로 연결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동측 코어홀더(31)를 구성하고 있는 일측홀더부(32)와 타측홀더부(33) 중 적어도 한쪽의 내측면, 바람직하게는 양쪽의 내측면에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코일스프링(45)의 장착시 개방타단부(45c)를 임시로 괘지하기 위한 보스부(32c, 33c)를, 그 최종 괘지시에 이들 보스부(32c, 33c)의 사이에 공극(t)이 확보될 수 있는 베어링부(37), 즉 각 통부(37a, 37b)의 근방에서 상호 대면 합치하는 위치관계를 갖도록 돌설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구성으로 된 클램프센서(11)는, 그 자체를 독립적인 단품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표시판넬등의 필수부재를 갖춘 도시 않은 홀더본체부와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클램프식 전류계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클램프센서(11) 전체를 조립할 때는, 먼저, 가동측센서(12)와 고정측센서(13)를 부분적으로 조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즉, 가동측 코어부(15)의 기단치합부(15b)와 고정측 코어부(22)의 기단치합부(22b)를 상호 치합시킨 후에 코어홀더(31)의 타측홀더부(33)내에 자기코어(14)를 배치한다.
그 후, 관통공(39)을 통해 지지축(38)을 관통삽입시킨 코어홀더(34)의 타측홀더부(36)에 대해, 지지축(38)을 베어링부(37)를 구성하는 통부(37b)내에 관통삽입시키고, 자기코어(21)를 배치하면서 가동측의 타측홀더부(33)를 조합함으로써, 통부(37b)의 주변부에 미끄럼접촉면(41)을 형성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 때에, 가동측의 자기코어(14)를 구성하고 있는 보빈부(16)의 돌기(19)는, 각각이 대응 합치하는 타측홀더부(33)의 구멍부(33a)와, 고정측의 자기코어(21)를 구성하고 있는 보빈부(23)의 돌기(26)는, 각각이 대응 합치하는 타측홀더부(36)의 구멍부(36a)와 상호 맞물림하기 때문에, 바르게 위치고정되어 조합되게 된다.
이어서, 토션코일스프링(45)의 코일스프링부(45a)를 통부(37b)에 장착시키고, 개방일단부(45b)를 지지기둥(42)의 내측에 괘지시킨 후, 일측홀더부(32)를 타측홀더부(33)에 끼워 고정하여 가동측 코어홀더(31)가 형성된다. 이 때에, 보빈부(16)의 돌기(19)는, 일측홀더부(32)의 구멍부(32a)와 끼워 맞추기때문에 코어홀더(31)내에 자기코어(14)가 바르게 위치 결정되어 수납되게 된다.
그 후, 토션코일스프링(45)의 개방타단부(45c)를 타측홀더부(36)의 괘지용절결부(43)에 괘지시킨 후, 일측홀더부(35)를 타측홀더부(36)에 감착 고정하여 고정측 코어홀더(34)가 통부(37a)의 주변부에 미끄럼접촉면(40)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이, 이 때에, 보빈부(23)의 돌기(26)는, 일측홀더부(35)의 구멍부(35a)와 끼워맞춤하기때문에 코어홀더(31)내에 자기코어(14)가 바르게 위치 결정되어 수납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자기코어(14)를 코어홀더(31)내에 수납한 가동측센서(12)와, 자기코어(21)를 코어홀더(34)내에 수납한 고정측센서(13)는, 지지축(38)의 나사공(38a)에 피봇스크루(44)를 나사결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클램프센서(11)가 조립되게 된다.
이 때문에, 클램프센서(11)는 코어홀더(31)와 자기코어(14)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킨 가동측센서(12)와, 코어홀더(34)와 자기코어(21)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킨 고정측센서(13)로 그 전체 강도를 높여서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가동측센서(12)와 고정측센서(13)는, 가동측센서(12) 쪽을 레버부(32b, 33b)를 통해 개폐 조작할 때, 코어홀더(31, 34) 상호간에 넓은 미끄럼접촉면 (40, 41)을 형성하면서 고정측 코어홀더(34)에 대해 가동측 코어홀더(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배전판등과 같이 배선이 들어있는 장소에, 무리하게 밀어 넣어 원하는 피측정전선을 둘러싸기 위해 폐지시킨 때에도, 클램프센서(11)는, 코어홀더(31, 34) 상호간에 넓은 미끄럼접촉면(40, 41)을 형성하면서 가동측센서(12)의 쪽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코어부(15, 22)의 선단치합부(15a, 22a) 상호를 확실하게 치합하여 측정작업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구나, 클램프센서(11) 자체는, 표시판넬등의 필수부재를 갖춘 홀더본체부와 일체화시키지 아니하고, 단독으로 독립된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전체를 같은 색으로 통일할 수 있는 등, 디자인적인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토션코일스프링(45)의 개방타단부(45c)에 괘지커버(46)가 진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괘지커버(46)의 괘지단(47)을 측벽부(34a)에 바로 접하게 하는 것만으로, 괘지용절결부(43)와 측벽부(34a) 간의 거리에 대응시키며 괘지용절결부(43)에 괘지커버(46)를 매우 쉽게 괘지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간이화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토션코일스프링(40, 40)을, 각각의 코일스프링부(40a, 40a)를 통해 베어링부(37)에 장착시키고, 개방타단부(40c, 40c)의 각각을 괘지커버(41)에 나란히 마련된 유지용 구멍(41a, 41a)에 각각 삽입하여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보다 좋은 탄발력을 얻으며 조립작업의 간이화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가동측 코어홀더(31)를 구성하고 있는 일측홀더부(32)와 타측홀더부(33)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내측면에 보스부(32c, 33c)가 돌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토션코일스프링(45)의 장착시에 이들 보스부(32c, 33c)에 개방타단부(45c)를 임시로 괘지한 뒤 필요한 조립을 하고, 최종적으로 괘지용절결부(43)에 개방타단부(45c)와 괘지커버(46)를 괘지시킬 수 있으므로, 토션코일스프링(45)의 장착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즉, 괘지용절결부(43)에 개방타단부(45c)와 괘지커버(46)를 최종적으로 괘지시킨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부(33c, 32c)와의 사이에 공극(t)이 확보되기 때문에, 토션코일스프링(45)에 대해 필요한 스프링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자기코어는, 돌기가 있는 보빈부를 구비하고, 각 코어홀더는, 이분할된 일측홀더부와 타측홀더부에 보빈부의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홀더와 자기코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클램프센서의 전체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디자인적인 다양성을 부여하여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클램프센서는, 코어홀더 상호간에 넓은 미끄럼접촉면을 형성하면서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가동측의 코어홀더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배전반과 같은 배선이 들어 있는 장소에서도 코어부의 선단치합부 상호를 확실하게 치합하면서 측정작업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토션코일스프링의 개방타단부에 괘지커버가 진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괘지커버의 괘지단을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바로 접하게하는 것만으로, 개방타단부 쪽을 매우 쉽게 괘지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간이화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토션코일스프링을 베어링부에 장착시키고, 각 개방타단부를 괘지커버에 별도로 삽입하여 일체적으로 연결시켜 둘 경우에는, 보다 좋은 탄발력을 얻으면서 조립작업의 간이화에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의 코어홀더를 구성하는 일측홀더부와 타측홀더부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보스부가 돌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토션코일스프링의 장착시에 보스부에 개방타단부를 임시로 괘지한 뒤 필요한 조립을 하고, 최종적으로 괘지용절결부에 괘지할 수 있으므로, 토션코일스프링의 장착작업의 원할화에 기여한다.

Claims (4)

  1. 거의 원호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자기코어를 코어홀더내에 각각 수납하여 형성되는 가동측센서와 고정측센서를 베어링부에 관통삽입시킨 지지축을 통해 축지지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부에 장착된 토션코일스프링의 개방일단부를 가동측의 코어홀더에, 개방타단부를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각각 괘지시켜 개폐 자유롭게 한 클램프센서에 있어서,
    자기코어의 각각은, 코어부와, 그 코어부의 선단치합부와 기단치합부를 제외한 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또한, 그 시단부와 종단부 각각의 양측면에 외향 돌출된 돌기를 갖는 보빈부와, 그 보빈부의 시단부와 종단부를 제외한 외주면에 권취되어 인출된 권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홀더는 각각,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면결합되는 일측홀더부와 타측홀더부로 이분할되고, 또한, 보빈부의 상기 돌기와 대면하는 각 부위에 그 돌기와 맞물리는 구멍부를 만들고, 코어홀더 상호는, 상기 베어링부의 주변부위에 미끄럼접촉면을 형성하여 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토션코일스프링은 고정측의 코어홀더에 괘지될 개방타단부를 진퇴 자유롭게 괘지커버를 개재함으로써, 그 괘지단의 위치 조정을 자유롭게하여 상기 개방타단부를 괘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토션코일스프링은, 상기 베어링부에 2개를 병렬로 장착함과 동시에, 평행하게 인접하는 상기 개방타단부의 각각을 상기 괘지커버에 각각 삽입하여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센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측의 코어홀더를 구성하는 일측홀더부와 타측홀더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토션코일스프링 장착시에 상기 개방타단부를 임시로 괘지할 보스부를, 그 최종 괘지시에 그 보스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확보할 수 있는 베어링부 근방에 돌설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센서.
KR1019980002136A 1997-01-30 1998-01-23 클램프 센서 KR100530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110697A JP3549354B2 (ja) 1997-01-30 1997-01-30 クランプセンサ
JP9-31106 1997-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99A true KR19980070799A (ko) 1998-10-26
KR100530505B1 KR100530505B1 (ko) 2006-02-28

Family

ID=1232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36A KR100530505B1 (ko) 1997-01-30 1998-01-23 클램프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9354B2 (ko)
KR (1) KR100530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0653A (zh) * 2018-10-10 2019-03-29 深圳市德瑞茵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设备及其自动调节闭合夹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435B2 (ja) * 2000-02-17 2005-09-14 日置電機株式会社 クランプ式電流計
JP2007017188A (ja) * 2005-07-05 2007-01-25 Hioki Ee Corp クランプセンサ
JP5388420B2 (ja) * 2007-04-19 2014-01-15 日置電機株式会社 クランプ式電流計
JP5285358B2 (ja) * 2008-08-29 2013-09-11 ミドリ安全株式会社 変流器
CN102156215B (zh) * 2011-03-24 2013-06-26 深圳市瑞雷特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闭环型电测试夹
KR101405269B1 (ko) * 2012-10-12 2014-06-13 현진소재주식회사 다수의 가변식 자화코일을 구비한 자분 탐상 검사 장치
KR101908048B1 (ko) 2017-06-08 2018-10-15 배종철 음료캔용 세정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8662A (en) * 1987-12-09 1989-02-08 Midori Denshi Kk Clamp type ammeter
JPH0239169A (ja) * 1988-07-29 1990-02-08 Canon Inc 接触帯電装置
JPH0295267A (ja) * 1988-09-28 1990-04-06 Shiojiri Kogyo Kk クランプ式電流計
JPH0296663A (ja) * 1988-10-04 1990-04-09 Shiojiri Kogyo Kk クランプ式電流計
JP3468313B2 (ja) * 1994-08-24 2003-11-17 日置電機株式会社 二重構造型筒状ボビン付きクランプ式電流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0653A (zh) * 2018-10-10 2019-03-29 深圳市德瑞茵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设备及其自动调节闭合夹子
CN109540653B (zh) * 2018-10-10 2022-07-12 深圳市德瑞茵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设备及其自动调节闭合夹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13598A (ja) 1998-08-11
JP3549354B2 (ja) 2004-08-04
KR100530505B1 (ko)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808B2 (en) Torque detector
KR19980070799A (ko) 클램프 센서
JP5171110B2 (ja) シリンダのための安全位置センサ、この種の位置センサを有するシリンダ
US11657995B2 (en) Electromagnetic relay with positional securement for fixed terminals
US6051897A (en) Solenoid actuator with positional feedback
US4922216A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WO2019187105A1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組付体
US4734669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3782850B2 (ja) ソレノイドのコイル組立体
JPS6312340B2 (ko)
KR101408467B1 (ko) 전기식 내연 기관 작동 장치
US3962633A (en) Long-scale meter movement having a one-piece outer pole and return ring, and a demountable subassembly therein comprising magnet, central core, moving coil and support frame
JP2562348Y2 (ja) スイッチ
JP2002106240A (ja) 蝶 番
JP3366102B2 (ja) 磁気式回転位置検出器
JPH0745017Y2 (ja) 計器取付装置
US4518939A (en) Solenoid with retainer stop
JP3129229B2 (ja) グロメットへの電線仮挿入装置
JPH11183962A (ja) 電動絞り装置
JP2002334646A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外し装置
JPH10332743A (ja) 指示計器
CN215266155U (zh) 一种结构稳定的电磁脱扣器
JP3344301B2 (ja) コネクタ保持具
JP2003111367A (ja) アクチュエータ
CN214956712U (zh) 一种结构稳定、低功耗的电磁脱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