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727A - 호 차(戶車) - Google Patents

호 차(戶車)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727A
KR19980067727A KR1019970003978A KR19970003978A KR19980067727A KR 19980067727 A KR19980067727 A KR 19980067727A KR 1019970003978 A KR1019970003978 A KR 1019970003978A KR 19970003978 A KR19970003978 A KR 19970003978A KR 19980067727 A KR19980067727 A KR 1998006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edge
frame
cas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흡
Original Assignee
안태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흡 filed Critical 안태흡
Priority to KR101997000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727A/ko
Publication of KR1998006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727A/ko

Link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미닫이도어의 프레임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차(戶車)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승강조절이 용이하고 그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호차를 제공하는 것임.
3 .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 상의 케이싱과(1), 대략 이등변삼각형상으로 되어 그 하측의 한쪽 꼭지부측이 케이싱(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승강프레임(2)과, 승강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3)와, 대략 직삼각형 상으로 되어 그 경사면이 승강프레임(2)의 고정단측과 대응되는 측의 면에 접한체로 케이싱(1)내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지(4)와, 웨지(4)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 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4)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5)로 구성하여, 상기 조절나사(5)를 회동시켜 웨지(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프레임(2)의 자유단측을 로러(3)와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미닫이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그 하부에 설치하는 것임.

Description

호차(戶車)
본 발명은 미닫이도어의 프레임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차(戶車)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도어는 도어프레임의 도어틀의 상, 하부 사이에 결합하여 도어틀을 따라서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미닫이도어는 도어틀과의 결합 및 분리를 고려하여 그 상, 하 길이를 도어틀에 결합 및 분리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길이 만큼 짧게 제작하며, 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어프레임의 하부에는 롤러를 구비한 호차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미닫이도어는 도어가 도어틀에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유동할 우려가 있는 것이고 심할 경우에는 도어틀에서 이탈할 우려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가 도어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하는 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으나, 종래의 호차는 그 결합구성이 견고하지 못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조절이 용이하고 그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호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도어의 하부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의 내부 정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를 높인 상태의 내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2 : 승강프레임
3 : 롤러4 : 웨지
5 : 조절나사6 : 스프링
B : 고정구D ; 도어
DH : 결합구멍H : 호차
본 발명의 호차는,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상의 케이싱과, 대략 이등변삼각형으로 되어 그 하측의 한쪽 꼭지부측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와, 대략 직삼각형상으로 되어 그 경사면이 승강프레임의 고정단축과 대응되는 측의 면에 접한체로 케이스 내에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지와, 웨지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있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로 구성하여, 상기 조절나사를 회동시켜 웨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프레임의 자유단측을 롤러와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지의 이동은, 상, 하 경사방향이 되도록 함과 함께 조절나사는 케이싱의 하측을 향하도록 하고, 케이싱과 승강프레임 사이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승강프레임이 웨지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호차가 설치된 도어를 도어틀에 결합한 후 호차의 높이를 상승시키면, 도어틀과 도어프레임과의 틈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도어틀에서 도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호차(H)는, 그 내부에 각 구성부를 설치하고 지지시키기 위한 케이싱(1)을 포함한다. 케이싱(1)은, 몸체(11)와 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1)는 내부로부터정면과 하측으로 개방된 블록형상의 탑부(13)와, 탑부(13)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연하여 각각 형성된 고정판부(14,15)로 되어 있다. 상기 탑부(13)와 일측 고정판부(14) 사이의 코너부에는 스프링홈(16)이 형성되어 있고, 탑부(13)와 타측 고정판부(15) 사이의 코너부에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홈(16)의 하부에는 중심축(18)이 형성되어 있고 탑부(13)의 내측 상부에는 상하로 경사지게 가이드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판부(15)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9)와 평행한 조절나사홈(T)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롤러를 고정한 체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프레임(2)을 포함한다. 승강프레임(2)은, 대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꼭지부와 하측의 일측 꼭지부 사이에는 스프링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 꼭지부와 하측의 타측 꼭지부 사이는 외측으로 배하여진 슬라이딩면(23)이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승강 프레임(2)의 하부 일측 꼭지부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18)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승강프레임(2)의 내부에는 롤러(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직선운동에 의해 승강프레임(2)을 승강시키기 위한 웨지(4, Wedge)를 포함한다. 웨지(4)는, 대략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내부에는 롤러(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측의 면은 상기 승강프레임(2)의 슬라이딩면(23)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면(42)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웨지(4)는, 상기 가이드돌기(19)와 승강프레임(2)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23)은, 승강프레임(2)의 슬라이딩면(23)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웨지(4)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나사(5)를 포함한다. 이 조절나사(5)는,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조절나사홈(T)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과 함께 그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4)의 측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지시부호 6은, 승강프레임(2)을 웨지(4)쪽으로 밀착하기 위하여 몸체(11)에 형성된 스프링홈(16)과 승강프레임(2)에 형성된 스프링홈(22) 사이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이고, 지시부호14'는, 몸체(11)의 고정판부(14)에 형성된 고정구 구멍이며, 지시부호 P는, 몸체(11)의 정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핀들이다.
지시부호 12는, 상기 몸체(11)의 정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커버이다. 이 커버(12)에는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결합핀(P)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12)는, 핀구멍(12')을 몸체(11)의 결합핀(P)에 삽입하여 상기 핀구멍(12')으로부터 돌출된 결합핀(P)의 선단측을 타격하여 그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몸체(11)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조절나사(50를 회동시켜 웨지(4)를 가이드돌기(19)를 따라 경사 상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웨지(4)의 슬라이딩면(42)이 승강프레임(2)의 가이드면(23)을 하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승강프레임(2)의 자유단측은 롤러(3)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고, 조절나사(5)를 회동시켜 웨지(4)를 가이드돌기(19)를 따라 경사 하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승강프레임(2)의 자유단측은 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 롤러(3)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차(H)는, 조절나사(5)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 높이를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차(H)를 도어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2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호차(H)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하부프레임(D')에 형성된 결합구멍(DH)에 케이싱(1)의 탑부(13)를 삽입하여 결합홈(17)을 결합구멍(DH)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에 삽입하고 일측 고정판부(1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 구멍(14')를 통하여 고정구(B)를 체결함으로서 도어(D)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호차(H)가 설치된 도어(D)를 도어틀(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H)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에서 행한다. 호차(H)의 높이를 낮게 하는 방법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5)를 회동시켜 웨지(4)를 경사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호차(H)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에서 도어(D)를 도어틀에 결합하는 것은, 도어(D)의 상단에서 호차(H)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작게 함으로서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D)를 도어틀에 결합한 상태에서 호차(H)의 조절나사(5)를 앞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웨지(4)를 경사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H)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이에 의해 도어(D)의 상단과 도어틀과의 간격을 도어(D)가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최소의 간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R은, 도어틀에 형성된 레일임)
본 발명의 호차는,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호차가 결합된 도어는 도어틀과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를 도어틀에 결합한 후 호차의 높이를 높이는 것에 의해 도어의 상단과 도어틀과의 간격을 도어가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최소의 간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의해 도어틀에서 도어가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호차는 조절나사르 도어의 하부프레임 밑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도어프레임에 조절나사 회전용의 공구삽입구멍을 천공할 필요가 없어 그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그 높이 조절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구성이 극히 간단하고 견고한 것이어서, 생산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상의 케이싱과, 대략 이등변삼각형으로 되어 그 하측의 한쪽 꼭지부측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와, 대략 직삼각형상으로 되어 그 경사면이 승강프레임의 고정단축과 대응되는 측의 면에 접한체로 케이싱(1) 내에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지(4)와, 웨지(4)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 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4)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5)로 되어, 상기 조절나사(5)를 회동시켜 웨지(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프레임(2)의 자유단측을 롤러(3)와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호차.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웨지(4)의 이동은, 상, 하 경사방향이 되도록 함과 함께 조절나사(5)는 케이싱(1)의 하측을 향하도록 된 호차.
  3.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케이싱(1)과 승강프레임(2) 사이에는 스프링(6)을 설치하여 승강프레임(2)이 웨지(4)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된 호차.
KR1019970003978A 1997-02-11 1997-02-11 호 차(戶車) KR19980067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978A KR19980067727A (ko) 1997-02-11 1997-02-11 호 차(戶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978A KR19980067727A (ko) 1997-02-11 1997-02-11 호 차(戶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27A true KR19980067727A (ko) 1998-10-15

Family

ID=6598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978A KR19980067727A (ko) 1997-02-11 1997-02-11 호 차(戶車)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35B1 (ko) * 2007-09-19 2010-03-17 여길봉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35B1 (ko) * 2007-09-19 2010-03-17 여길봉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189A (en) Door wheel
JPH10331513A (ja) 調節機構
GB2334999A (en) Friction window hinge
KR20110138807A (ko)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호차
TWI275560B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JP2000204820A (ja) ドアストップ装置
KR100676551B1 (ko) 양방향 도어용 개선된 잠금 장치
KR19980067727A (ko) 호 차(戶車)
JP5215110B2 (ja) 開閉体装置用下部ガイドレール装置及び開閉体装置
JP3041316U (ja) 戸 車
KR20017474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KR960001564B1 (ko) 호차
KR101202504B1 (ko) 창호용 롤러
KR200332006Y1 (ko) 미닫이문의 롤러장치
KR200362929Y1 (ko) 높낮이조절 호차
JP4020852B2 (ja) 吊り引き戸の制動装置
JP4686034B2 (ja) レール高さ調整ユニット
JP2004036381A (ja) ドア又は窓の障子装置
KR200238549Y1 (ko) 호차
KR200371515Y1 (ko) 호차
JP4477462B2 (ja) 扉の密閉装置
JP3452260B2 (ja) 戸の振れ止め装置
KR200166864Y1 (ko) 도어핸들 겸 로크장치
KR960004196Y1 (ko) 건구용 호차
JPS63406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