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793A -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793A
KR19980066793A KR1019970002513A KR19970002513A KR19980066793A KR 19980066793 A KR19980066793 A KR 19980066793A KR 1019970002513 A KR1019970002513 A KR 1019970002513A KR 19970002513 A KR19970002513 A KR 19970002513A KR 19980066793 A KR19980066793 A KR 1998006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weight
parts
vegetables
mi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101997000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793A/ko
Publication of KR1998006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793A/ko

Link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를 주성분으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 곡류, 채소류, 된장, 향신료를 공지의 방법으로 가공처리한 후 기호성이 좋은 해조류와 곡류를 이용하여 해조쌀, 해조국수, 해조빵, 해조과자를, 해조류와 채소류를 이용하여 건강보조용, 숙취해소용, 다이어트용 건강식품을, 해조류, 된장, 향신료를 이용하여 해장국용, 된장국용 찌개용 건강식품을, 채소류, 된장, 향신료를 이용하여 국물용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육류섭취가 많은 현대인에게 결핍되기 쉬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물, 섬유질, 비타민 등을 골고루 함유한 건강식품을 제조하여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김, 미역, 파래, 톳 등의 해조류를 주원료로하여 곡류, 채소류, 장류, 마늘등과 혼합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해조류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해서는 한국특허공고 제 85-1028 호는 곡류나 해조류를 세척, 건조, 분쇄, 수화, 살균, 배양, 건조, 분쇄, 포장하는 방법이고, 한국특허공고 제 89-2011 호는 김, 미역, 파래, 톳을 증자, 세척, 건조, 분쇄, 혼합하는 방법이며, 한국특허공고 제 89-5252 호는 곡류, 채소류, 과실류, 해조류를 세척, 건조, 분쇄, 침적, 살균, 배양, 건조, 포장하는 방법이다.
또한, 한국특허공고 제 92-8715 호는 미역, 다시마를 세척, 건조, 여과수, 농축, 요드칼륨회수, 알긴산소다첨가, 분무건조, 정제하는 방법이고, 한국특허공고 제 94-6491 호는 다시마, 김, 파래를 분쇄, 고형물제거, 건조, 소금첨가, 분쇄, 포장하는 방법이며, 한국특허공개 제 95-28634 호는 현미, 다시마를 세척, 증자, 건조, 소금첨가, 분쇄, 포장하는 방법이다. 해조류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은 대부분 식품공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관용기술로써 해조류를 가공하여 곡류와 혼합하여 제품화 한 것이 일반적이다.
해조류(Seaweeds, marine algae)류는 바다에 살고 있는 식물의 총칭이며, 광합성 색소의 조성에 따라 녹조류, 갈조류 및 홍조류로 분류하여 영양성분은 다음과 같다.
[표 1] 해조류의 일반성분
해조류는 독특한 향미와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미역과 김, 그리고 다시마등은 가공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조식품이다. 그러나 파래, 톳 등은 건조상태로 유통되고 있어 우수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상품가치를 크게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김, 미역, 다시마의 경우에도 풍작이 되면 소비에 한계가 있어서 가공된 상태로 몇년씩 보관하므로써 색택과 맛, 그리고 영양분이 소실되어 상품가지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해조류의 풍부한 영양분과 기호성을 보존하는 방법을 연구한 끝에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해조류의 영양분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여 가공하고 곡류, 채소류, 장류, 향신료 등을 가공하여 이들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한다. 해조류가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 당질, 무기질과 곡류가 함유하고 있고, 탄수화물, 단백질, 채소류가 함유하고 있는 섬유질, 비타민, 장류가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 향신료가 함유하고 있는 독특한 맛을 상호 배합하여 각종 식품의 가공재료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1) 가공공정
○ 해조류의 가공
김, 미역, 파래, 톳을 각각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한 후 진공냉동건조기로 건조하여 각각 분쇄하여 분급기에 1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한 후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 곡류의 가공
쌀, 보리, 밀을 각각 물로 세척하여 수부 5% 이하로 건조하여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급기에서 1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한다.
○ 채소류의 가공
배추, 무잎, 시금치 등을 각각 물로 세척하여 수분 1% 이하로 건조하여 각각 또는 혼합하여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한 후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 장류의 가공
된장은 분무건조하여 수분 1% 이하로 건조하고 1mm 이하의 크기로 분쇄 및 선별한다.
○ 향신료의 가공
마늘, 양파를 각각 절편하여 열풍으로 수분 1% 이하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급기에서 1-2mm 크기로 선별한 후 필요에 따라 각각 또는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2) 배합공정
가공된 각각의 원료를 살균하고 해조류 4 종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가공된 곡류, 채소류, 장류, 향신료를 다음과 같이 배합했다.
[실시예 1]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조류의 김, 미역, 파래, 톳을 혼합하여 세척, 탈수, 건조, 분쇄 및 선별하고 곡류의 쌀, 보리, 밀을 각각 세척, 건조, 분쇄 및 선별하여 해조류와 쌀을 20:80, 30:70, 40:60 중량부로 혼합한 후 압축성형하여 해조쌀을 제조하여 밥을 지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 대조군은 이천쌀로서 해조류와 쌀의 혼합비에 따른 해조쌀을 각각 밥을 지어 4회의 관능검사를 실시함.
아주 좋음, ◎ 좋음, ○ 보통, △ 거부감
[실시예 2]
실시예 1 과 같이하고 쌀대신에 보리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이스트, 베이킹파우다를 사용하여 해조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과 같이하고 쌀대신에 밀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압축성형하고 해조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과 같이 하고 쌀대신에 보리와 밀을 혼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해조과자인 쿠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 과 같이하고 해조류와 채소류를 60:40, 70:30, 80:20 중량부로 혼합하여 3 종의 건강보조식품용, 숙취해소용, 다이어트용 차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 과 같이하고 해조류, 된장, 향신료류를 30:60:10, 40:50:10, 40:40:20 중량부로 혼합하여 3 종의 해장국용, 된장국용, 찌개용 스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 과 같이 하고 채소류, 된장, 향신료를 30:60:10, 40:50:10, 40:40:20 중량부로 혼합하여 3 종의 된장국용 스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같이 하고 해조류와 채소류를 50:50, 60:40, 70:30, 80:20 중량부를 혼합하여 4종의 어묵용, 튀김용, 쏘세지용, 보조식용 재료를 제조하였다.
해조류의 풍부한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질, 무기질과 곡류의 탄수화물, 단백질, 그리고 채소류의 비타민, 섬유질 및 장류와 향신료를 가공처리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없도록하여 현대인에게 결핍되기 쉬운 영양분을 골고루 함유한 천연 건강식품을 제공하고, 적절한 배합비율과 맛의 조화로 해조쌀, 해조국수, 해조빵, 해조과자와 식품 가공에 필요한 어묵용, 쏘세지용, 튀김용, 건강보조식용, 건강차, 즉석국 등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공지의 방법으로 해조류, 곡류, 채소류, 된장, 향신료를 가공하여 해조류 20-40 중량부와 곡류 60-8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해조쌀, 해조국수, 해조빵, 해조과자 등의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2. 해조류는 김, 미역, 파래, 톳을 사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해조류 58-80 중량부와 채소류 50-20 중량부를 포함하여 건강보조용, 숙취해소용, 다이어트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채소류는 배추, 무우잎, 시금치를 사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해조류 30-40 중량부, 된장 40-60 중량부, 향신료 10-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해장국용, 된장국용, 찌개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향신료는 마늘, 양파를 사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채소류 30-40 중량부, 된장 40-60 중량부, 향신료 10-20 중량부, 향신료 10-20 중량부를 사용하여 국물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9970002513A 1997-01-28 1997-01-28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9980066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513A KR19980066793A (ko) 1997-01-28 1997-01-28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513A KR19980066793A (ko) 1997-01-28 1997-01-28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793A true KR19980066793A (ko) 1998-10-15

Family

ID=6595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513A KR19980066793A (ko) 1997-01-28 1997-01-28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189B1 (ko) * 2020-03-25 2020-09-29 완도바다영어조합법인 톳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3163303A1 (ko) * 2022-02-22 2023-08-31 농업회사법인(주)아침미소 유청을 함유한 쿠키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189B1 (ko) * 2020-03-25 2020-09-29 완도바다영어조합법인 톳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3163303A1 (ko) * 2022-02-22 2023-08-31 농업회사법인(주)아침미소 유청을 함유한 쿠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5194A (zh) 一种粉状复合调味料
EP3487317B1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a food pasta made from durum wheat semolina and vegetables
CN101720886A (zh) 彩色果蔬鱼面条
CN101331925A (zh) 一种新型复合营养面
KR100220792B1 (ko) 민물고기를 주재로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amble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oking properties of instant noodles incorporated with drumstick leaf powder and defatted soybean flour
JP2013252061A (ja) 肉粒及び/又は肉粉を含む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1331B1 (ko)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190018842A (ko) 야채즙을 함유한 국수조리용 반죽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국수면
CN104431969A (zh) 一种阿胶杏脯黄豆酱及其制备方法
CN105077026A (zh) 一种保健雪花米片及其制备方法
RU228038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голубцы украинские"
KR19980066793A (ko)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50061428A (ko) 파프리카떡국떡 및 그 제조방법
JPH119199A (ja) 籾粉末含有加工品
KR102044657B1 (ko) 천연 무기질을 포함하는 매운 맛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0960A (ko) 굼벵이가 함유된 쌀국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 쌀국수
Hussein et al. 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moimoi and akara produced from blends of Cowpea (Vigna unguiculata) and Moringa oleifera seed flour
CA3154265A1 (en) Meat alternative compositions comprising cranberry seed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20200141551A (ko) 아로니아 국수 제조방법
KR20060013253A (ko) 청국장과 녹차가 함유된 밥빵
ABD EL-FATAH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instant noodles supplemented with natural sources of high lysine content
Ozdemir et al. Chem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karakilcik noodles substituted with sweet marjoram
KR20050096254A (ko) 멸치와 버섯류, 해조류, 야채류, 배추김치를 이용한쌀밥용 비빔소재 제조방법
KR20190085311A (ko) 대게 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