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681U -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 Google Patents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681U
KR19980065681U KR2019970009933U KR19970009933U KR19980065681U KR 19980065681 U KR19980065681 U KR 19980065681U KR 2019970009933 U KR2019970009933 U KR 2019970009933U KR 19970009933 U KR19970009933 U KR 19970009933U KR 19980065681 U KR19980065681 U KR 199800656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illow ball
outer tube
ball bush
bea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2029Y1 (ko
Inventor
장명길
Original Assignee
장명길
동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길, 동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명길
Priority to KR2019970009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0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Special 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차의 현가장치
[고안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정성 및 안전성, 그리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필로우 볼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필로우 볼 부시는 현가장치의 상하부측 아암 및 각 링크류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싱 결합되고 차체 서브 프레임에 취부되어 주행시 바퀴의 상하좌우 위치변화에 의한 서스펜션 지오메트리(Suspension Geometry) 변화로 차체에 입력되는 외력과 진동 변위량을 흡수 및 지지함은 물론 차체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의 상하부측 아암 및 링크류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싱 결합되고, 차체 서브 프레임에 취부되는 외부튜브(20)와; 상기 외부튜브(20) 내측에 조인트(J)를 구성하는 소켓(30)과; 상기 소켓(30)과 외부튜브(20)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방진고무(40)와; 상기 방진고무(40)로 외부튜브(20)와 일체로 형성된 소켓(30) 내부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구면부(51)를 갖는 필로우 볼(50)과; 상기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가 접촉되어 회동 및 습동될 수 있도록 원주형의 내주면(61)을 갖는 베어링(60)(60A)과; 상기 베어링(60)(60A)에 프리-로드를 줄 수 있도록 소켓(30)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1)의 타측부에 위치 결정되고, 코킹으로 강제 결합되는 시이트(70)와; 상기 시이트(70) 및 소켓(30)의 플랜지부(31)와 베어링(60)(60A)의 단부 A,B(64)(64A) 사이에 단부측이 개재되어 이의 압축력으로 각각 고정되고,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토록 한 더스트 커버(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필로우 볼 부시

Description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도 1은 종래의 고무 부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반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부품도로서,
A는 케이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B는 베어링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C는 필로우 볼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D는 시이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E는 더스트 커버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의 A,B는 본 고안이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케이스 어셈블리 J:조인트
20:외부튜브 30:소켓
31:플랜지부 40:방진고무
50:필로우 볼 51:구면부
52:끼움홈 60,60A:베어링
61:내주면 62,62A:돌출부
63:오일 그루부 64,64A:단부A,B
70:시이트 80:더스트 커버
81:홈 82:타측단부
P:부시몸체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의 요철에 의해서 생기는 충격을 직접 프레임에 전달치 못하게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현가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아암 및 링크류의 끝단 또는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몸체(sub frame)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 및 습동형 필로우 볼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하부의 현가장치에서 아암 및 링크류와 차체의 연결은 금속부재 사이에 고무를 접착시킨 고무 부시(bush)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부튜브(11)(12) 사이에 방진고무(13)를 개재시켜 몸체(10A)를 구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고무 부시(10)는 주행시 노면의 요철변화, 즉 지오메트리(Geometry) 변화에 따른 위치 변화와 비틀림 변위, 그리고 충격흡수 및 지지를 위한 자체의 강성 및 내구성의 지속적인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시의 3축방향, 즉 축방향과 축 직각방향, 비틀림 방향의 힘에 대한 강성과, 노면 변화에 의한 차륜의 상하운동으로 발생되는 축직각방향의 입력하중에 대한 충격 흡수 및 지지, 축 방향에 대한 요동 및 회전에 대한 강성은 모두 고무 자체의 탄성 및 감쇄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진동과 비틀림, 순간적인 대변위 입력에 의한 고무 탄성체의 인장, 압축, 비틀림에 대한 피로 강성 문제가 대두되었던 것으로, 상기 피로 상성의 문제는 순간적인 큰 입력과 지속적인 변위 때문에 고무자체는 그 변형이 누적되고, 변형이 가장 큰 집중 변형 부분에서 피로 균형이 발생됨에 따라 조기 파손 및 노이즈 발생 등의 내구성 문제이다. 따라서 종래의 고무 부시는 자동차의 조정성 및 안전성은 물론 승차감의 저하를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정성 및 안전성, 그리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필로우 볼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필로우 볼 부시는 현가장치의 상하부측 아암 및 각 링크류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싱 결합되고 차체 서브 프레임에 취부되어 주행시 바퀴의 상하좌우 위치변화에 대한 서스펜션 지오메트리(Suspension Geometry) 변화로 차체에 입력되는 외력과 진동 변위량을 흡수 및 지지함은 물론 차체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도 1은 종래의 고무 부시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반단면도이며, 도 3은 A,B,C,D,E는 본 고안의 부품도, 도 4은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시몸체(P)는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링크, 즉 상하부측 아암(110)(110A)과 조정링크(20), 트레일(trail)링크(130), 레터럴(lateral)링크(140) 등의 링크류 일측 혹은 양측에 프레싱(pressing)결합하고, 차체 서브 프레임(sub frame)(150)에 취부되는 것으로, 이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튜브(20)과 내부소켓(30), 그리고 이의 사이에 원통형으로 고정되는 방진고무(80)로 케이스 어셈블리(A)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소켓(30) 내부에는 구면부(51)를 갖는 필로우 볼(pillow ball)(50)과; 상기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가 접촉되어 회동 및 습동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내주면(61)을 갖는 베어링(60)(60A)과; 사이 베어링(60)(60A)에 프리-로드(Pre-load)를 줄 수 있도록 소켓(30)의 플랜지부(31)의 타측부에 결정되고, 코킹(Caulking)으로 강제 결합된 시이트(70)와; 상기 시이트(70) 및 소켓(30)의 플랜지부(31) 상단과 필로우 볼(50)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토록 한 더스트 커버(80)가 조립되어 조인트(J) 기능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더스크 커버(80)는 도 3E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30)의 플랜지부(31)와 시이트(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외측에 홈(42)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필로우 볼(50)의 양단 외측에도 상기 더스트 커버(80)의 고정을 위해서 끼움홈(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30)의 우측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1)는 내부에 조립된 베어링(60)(60A)의 접촉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튜브(20)는 아암 또는 링크의 끝단 튜브와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튜브(20)에 가황 접착된 방진고무(80)는 외부튜브(20)와 내부 조인트(J)와의 축 직각 방향에 대한 진동흡수는 물론 내부 조인트의 위치 고정 및 베어링 축 방향의 변위에 대응하기 위한 충분한 자체 탄성 강도 및 감쇄효과를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내부의 소켓(30)은 냉간 단조로 가공되고, 상기 냉간 단조에 의한 표면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60)(60A)의 양단에는 소켓(30)의 플랜지부(31) 및 시이트(70)와 접촉되게 돌출부(32)(32A)가 형성된 것으로, 이 돌출부(32)(32A)에 의한 프리로드, 즉 예압(豫壓)에 의해서 상호 접촉된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와 베어링(60)(60A)의 내주면(61) 사이에서는 마찰이 발생되고, 이 마찰은 다시 습동 및 회전시 토크(Torque)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 토크는 차륜 상하 운동시 노면의 요철부 변화, 지오메트리 각도 변화에 따라 추종됨으로써 기존의 고무 부시와 같이 고무 탄성체 비틀림에 의한 변형 및 저항이 거의 없어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로드는 베어링의 강성(剛性)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틈새를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미리 전동체에 가하는 하중을 말하고, 상기 토크는 물체를 그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키려는 회전력을 말한다.
또한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와 베어링(60)(60A)의 내주면(61)간의 마찰계수를 최소화를 위하여 베어링(60)(60A)의 내주면(61)에는 원주 방향의 오일 그루브(Oil groove)(33)를 수개 균등하게 형성하고, 이 오일 그루브(63)에 그리스(Grease)를 투입시켜 필로우 볼(50)의 구면 습동 및 회전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조인트(J)에 내장된 필로우 볼(50)은 외부튜브(20)가 체결된 물체와 다른 물체에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는 자유로운 습도 및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필로우 볼 부시의 요동 및 회전중심을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필로우 볼(50)의 끼움홈(22)에 일측단부가 끼워진 더스트 커버(80)의 타측단부(43)는 베어링(60)(60A)의 단부A,B(34)(34A) 및 시이트(70) 사이에 개재되어 이의 압축력으로 각각 구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고안의 효과]
상기에서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 주행 및 코너링(Cornering)시의 차륜 상하 운동에 대한 지오메트릭 변화 및 전후, 좌우 외부 입력 하중에 대한 차량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고정 및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필로우 볼 부시의 축방향 및 축 직각방향 그리고 비틀림 방향에 대한 회전 및 습동을 원활히 하여 차량의 조정성 및 안정성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비틀림 방향에 대한 변형을 제거하여 부품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필로우 볼 부시는 기존의 고무 부시보다 가격면에서는 다소 고가이나 기능 및 성능면에서 기존의 사용중인 고무 부시보다 장착성 및 품질 내구성이 우수하여 승차감 향상에 따른 고객 만족으로 경쟁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상하부측 아암 및 링크류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싱 결합되고, 차체 서브 프레임에 취부되는 외부튜브(20)와;
    상기 외부튜브(20) 내측에 조인트(J)를 구성하는 소켓(30)과;
    상기 소켓(30)과 외부튜브(20) 사이에 가황접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방진고무(40)와;
    상기 방진고무(40)로 외부튜브(20)와 일체로 형성된 소켓(30) 내부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구면부(51)를 갖는 필로우 볼(50)과;
    상기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가 접촉되어 회동 및 습동될 수 있도록 원주형의 내주면(61)을 갖는 베어링(60)(60A)과;
    상기 베어링(60)(60A)에 프리-로드를 줄 수 있도록 소켓(30)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1)의 타측부에 위치 결정되고, 코킹으로 강제 결합되는 시이트(70)와;
    상기 시이트(70) 및 소켓(30)의 플랜지부(31)와 베어링(60)(60A)의 단부 A,B(64)(64A) 사이에 단부측이 개재되어 이의 압축력으로 각각 고정되고,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토록 한 더스트 커버(80)로 부시욤체(P)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필로우 볼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의 내측면은 냉간 단조에 의한 표면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가공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 볼 부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0)(60A)의 내주면에는 필로우 볼(50)의 구면부(51)와 마찰시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주방향의 오일 그루브(63)를 일정간격으로 수개 형성하고, 이 오일 그루브(63)에 그리스를 투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 볼 부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튜브(20)와 소켓(30) 사이에 방진고무를 취부하지 않고 내부 조인트(J)만의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 볼 부시.
KR2019970009933U 1997-05-06 1997-05-06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KR200162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33U KR200162029Y1 (ko) 1997-05-06 1997-05-06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33U KR200162029Y1 (ko) 1997-05-06 1997-05-06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81U true KR19980065681U (ko) 1998-12-05
KR200162029Y1 KR200162029Y1 (ko) 1999-12-01

Family

ID=1950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933U KR200162029Y1 (ko) 1997-05-06 1997-05-06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0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36B1 (ko) * 2001-09-04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751683B1 (ko) 2005-12-19 2007-08-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능동제어 현가장치의 횡 방향 유격 차단 구조를갖는 토우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2029Y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1241B1 (en) Single-shaft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vehicle chassis parts
US5467971A (en) Strut assembly with integral bearing and spring seat
US5141209A (en) Transverse leaf spring type suspension
CN102216096B (zh) 车辆悬架
RU2617243C2 (ru) Резинометаллический шарнир для подвески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трапециевидный рычаг подвески и подвеска колес
US6145858A (en) Vehicle axle equipped with torsional suspension elements
US4934729A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system
US4810002A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system
JPS6136006A (ja) 棒状サスペンシヨン部材の緩衝連結構造
KR200162029Y1 (ko)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KR101077632B1 (ko) 차량의 콘트롤암
KR100542899B1 (ko) 볼조인트형 자동차용 부시
JP3915078B2 (ja) スタビライザー
JP2015123952A (ja) トラニオンブラケット
US9726250B1 (en) Self-tightening and wear compensating suspension mounting system
CN220947405U (zh) 摆臂衬套结构及汽车
RU2509657C2 (ru) Подвес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0032109A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KR20030014434A (ko) 필로우 볼 부시
KR0183304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장착구조
JPH059925Y2 (ko)
CN112078688A (zh) 车辆底盘
JP2001041234A (ja) ピローボールブッシュ
JPH0630493Y2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の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JPH01250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