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336A - 반도체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336A
KR19980063336A KR1019970024997A KR19970024997A KR19980063336A KR 19980063336 A KR19980063336 A KR 19980063336A KR 1019970024997 A KR1019970024997 A KR 1019970024997A KR 19970024997 A KR19970024997 A KR 19970024997A KR 19980063336 A KR19980063336 A KR 1998006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supply
inverter
supply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568B1 (ko
Inventor
야마구치슈사쿠
하타케야마아츠시
다키타마사토
아이카와다다오
모치즈키히로히코
Original Assignee
세키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자와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8006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 H03K17/223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bstract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단자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단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전원 기동시에, 데이타 버스를 공유하는 동일한 반도체 집적 회로간에 관통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한다.
전원 전압 VDD가 상승했을 경우에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를 출력 제어 회로(15)에 공급하고, 인버터(16)의 출력을 L레벨로 하여 pMOS 트랜지스터(41) 및 nMOS 트랜지스터(44)를 OFF로 하며,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했을 경우에는,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를 출력 회로(38)에 공급하고, nMOS 트랜지스터(45,46)를 OFF로 하여 pMOS트랜지스터(41) 및 nMOS 트랜지스터(44)를 OFF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집적 회로
본 발명은 출력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원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원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고속화에 따라,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도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고, 예컨대, 동기·다이나믹·랜덤·액세스·메모리, 소위, 동기 DRAM에 있어서도, 그 예외는 아니다.
그래서, 동기 DRAM에 있어서는, 출력 회로용 전원과,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을 분리하고, 또, 2개 또는 4개의 적은 수의 출력 회로를 단위로서 독립의 전원 전압을 공급하도록 하여, 수십 pF라는 큰 용량에 대한 충방전을 고속으로 행함으로써 대전류를 소비하는 출력 회로의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와는 전압치를 달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통상, 동일한 전압치, 예컨대, 3.3[V]로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동기 DRAM을 사용하는 시스템 중에는 복수의 동기 DRAM을 탑재하여, 이들 복수의 동기 DRAM의 데이터 단자를 공통의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동작 상태시, 리드·명령이 입력된 동기 DRAM만이 외부 데이터 버스를 구동하고, 다른 동기 DRAM은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개방 상태)로 하는 것으로, 복수의 동기 DRAM이 서로 반대의 전압 방향으로 외부 데이터 버스를 구동하여 복수의 동기 DRAM 사이에 큰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기 DRAM의 일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에서, (1)은 데이터 단자, (2)는 데이터 단자(1)에 출력 데이터 DQ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 (3)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3.3[V])를 공급하는 VDDQ 전원선이다.
또한, (4)는 메모리 코어부로부터 출력된 리드 데이터 RD에 기초하여 출력 회로(2)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회로, (5)는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3.3[V])를 공급하는 VDD 전원선이다.
또한, (6)은 전원 기동시에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VDD를 감시하고,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를 출력 제어 회로(4)에 공급하여, 데이터 단자(1)가 하이·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출력 제어 회로(4)를 제어하는 VDD 상승 검출 회로이다.
이 동기 DRAM은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데이터 단자(1)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함으로써, 외부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고 있는 동기 DRAM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기 DRAM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의해서는,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동시에 상승한다고는 할 수 없고, 어느쪽인가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동기 DRAM에 의하면,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보다도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는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하기 전에 데이터 단자(1)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여, 외부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고 있는 동기 DRAM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보다도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는, 출력 회로(2)는 출력 제어 회로(4)에 제어되어 데이터 단자(1)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기 전에,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공급되어 버리고, 외부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고 있는 동기 DRAM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흘러 버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출력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원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원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 전원 기동시에, 외부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는 동일한 반도체 집적 회로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동기 DRAM의 일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동기 DRAM이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가 구비하는 VDD 상승 검출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가 구비하는 VDDQ 상승 검출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의 제 2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VDD 전원선36: VDDQ 전원선
39: 데이터 단자
본 발명중, 제 1 발명(제 1 항 기재의 반도체 집적 회로)은 제 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원 단자와, 제 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전원 단자와, 제 1 전원 전압을 감시하고, 제 1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펄스형의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와, 제 2 전원 전압을 감시하며, 제 2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펄스형의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가 제 1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로 제어되고,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며, 데이터 출력 동작시에는, 데이터 단자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와, 제 2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가 제 2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로 제어되어, 출력 회로가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도록 출력 회로를 제어하며, 데이터 출력 동작시에는, 내부 회로로부터 부여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회로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제 1 발명에 따르면,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이 상승했을 경우에는, 출력 회로는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로 제어되어,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고, 제 2 전원 전압이 상승했을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는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로 제어되어, 출력 회로가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도록 출력 회로를 제어한다.
따라서,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중 제 2 발명(제 2 항에 기재한 반도체 집적 회로)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출력 회로는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에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제 1 출력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제 1 인버터와, 소스를 제 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원선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제 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p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에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제 2 출력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제 2 인버터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제 2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제 3 인버터와,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게이트를 제 3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n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일단을 제 1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접지선에 접속하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1 스위치 소자와, 일단을 제 2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접지선에 접속하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2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본 제 2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과 같이,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출력 회로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중, 제 3 발명(제 3 항에 기재한 반도체 집적 회로)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출력 회로는, 일단을 접지선에 접속하고, 제 1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소자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며, 입력단을 제 1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접속한 제 1 인버터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제 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출력단을 제 1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 2 인버터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며, 입력단을 제 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제 3 인버터와, 일단을 제 3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접지선에 접속하며,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소자와, 소스를 제 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원선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제 3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p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일단을 접지선에 접속하고, 제 1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3 스위치 소자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며, 입력단을 제 3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접속한 제 4 인버터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제 4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하여, 출력단을 제 4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 5 인버터와,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제 5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제 6 인버터와, 일단을 제 6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접지선에 접속하며,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4 스위치 소자와,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제 6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n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일단을 제 3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접지선에 접속하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5 스위치 소자와, 일단을 제 6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접지선에 접속하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6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 제 3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과 동일하게,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지만, 제 1, 제 2 인버터로 래치 회로가 구성되고, 제 4, 제 5 인버터로 래치 회로가 구성되므로, 전원 기동시, 제 2 발명의 경우보다도 긴 기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3∼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에 대해서, 본 발명을 동기 DRAM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형태··도 3∼도 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중, (10)은 외부 클록 CLK가 입력되는 외부 클록 단자, (11)은 외부 클록 단자(10)에 인가되는 외부 클록 CLK을 반전 증폭하는 클록 버퍼이다.
또한, (12)는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3.3[V])를 공급하는 VDD 전원선이고, 이 VDD 전원선(12)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인가되는 전원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13)은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를 감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의 상승을 검출할 때에는 펄스형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를 출력하는 VDD 상승 검출 회로이다.
또한, (14)는 데이터의 출력 동작을 규제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출력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발생 회로이고, 이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는 VDD 상승 검출 회로(13)로부터 VDD 상승 검출 신호 STT가 출력된 경우에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고논리 레벨(이하, H레벨이라 함)으로 하고, 그 후, 리드 명령이 입력되며, CAS 대기로 결정되는 데이터 출력 사이클이 되면,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저논리 레벨(이하, L레벨이라 함)로 하는 것이다.
또한, (15)는 클록·버퍼(11)로부터 출력되는 클록/CLK과, VDD 상승 검출 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와, 출력 인에이블 신호 발생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와, 메모리 코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독출된 리드 데이터 RD가 입력되는 출력 제어 회로이다.
출력 제어 회로(15)에 있어서, (16)은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를 반전하는 인버터, (17)은 클록·버퍼(11)로부터 출력되는 클록/CLK과 인버터(16)의 출력을 NAND 처리하는 NAND 회로이다.
또한, (18)은 리드 데이터 RD를 반전하는 인버터, (19)는 인버터(18)의 출력과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NOR 처리하는 NOR 회로, (20)은 NOR 회로(19)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21)은 리드 데이터 RD와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NOR 처리하는 NOR 회로, (22)는 NOR 회로(21)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23)은 NAND 회로(17)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 (24)는 NAND 회로(17)의 출력에 의해서 도통(이하, ON이라 함), 비도통(이하, OFF라 함)이 제어되는 nMOS 트랜지스터(25)와, 인버터(23)의 출력에 의해서 ON, OFF가 제어되는 pMOS 트랜지스터(26)로 이루어지는 전송 게이트 회로이다.
또한, (27)은 NAND 회로(17)의 출력에 의해서 ON, OFF가 제어되는 nMOS 트랜지스터(28)와, 인버터(23)의 출력에 의해서 ON, OFF가 제어되는 pMOS 트랜지스터(29)로 이루어지는 전송 게이트 회로이다.
또한, (30)은 인버터(20)의 출력을 래치한다, 인버터(31,32)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 (33)은 인버터(22)의 출력을 래치하는, 인버터(34,35)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이다.
또, 인버터(16,18,20,22,23,31,32,34,35), NAND 회로(17) 및 NOR 회로(19,21)는 전원 전압으로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36)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3.3[V])를 공급하는 VDDQ 전원선이고, 이 VDDQ 전원선(36)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인가되는 전원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37)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를 감시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의 상승을 검출할 때에는 펄스형의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를 출력하는 VDD 상승 검출 회로이다.
또한, (38)은 래치 회로(30,33)의 출력 및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가 입력되는 출력 회로, (39)는 출력 회로(38)로부터 출력 데이터 DQ가 출력되는 데이터 단자이다.
출력 회로(38)에 있어서, (40)은 래치 회로(30)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 (41)은 소스를 VDDQ 전원선(36)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39)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인버터(40)의 출력단에 접속하여, 인버터(40)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p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42)는 래치 회로(33)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 (43)은 인버터(42)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 (44)는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39)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인버터(43)의 출력단에 접속하여, 인버터(43)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45)는 드레인을 인버터(40)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에 의해 ON으로 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46)은 드레인을 인버터(42)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에 의해 ON으로 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 인버터(40,42,43)는 전원 전압으로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VDDQ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에 있어서는,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상승한 경우에는 VDD 상승 검출 회로(13)로부터 VDD 상승 검출 신호 STT가 출력된다.
이 결과, 인버터(16)의 출력=L레벨, NAND 회로(17)의 출력=H레벨, 인버터(23)의 출력=L레벨이 되고, 전송 게이트 회로(24)=ON, 전송 게이트 회로(27)=ON이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H레벨이 되고, NOR 회로(19)의 출력=L레벨, 인버터(20)의 출력=H레벨, 인버터(31)의 출력=L레벨, 인버터(40)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41)=OFF가 된다.
또한, NOR 회로(21)의 출력=L레벨, 인버터(22)의 출력=H레벨, 인버터(34)의 출력=L레벨, 인버터(42)의 출력=H레벨, 인버터(43)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상승한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15)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로 제어되고, pMOS 트랜지스터(41)=OFF,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되도록 출력 회로(38)를 제어한다.
따라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보다도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39)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기동시에,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한 경우에는, VDDQ 상승 검출 회로(37)로부터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가 출력된다.
이 결과, nMOS 트랜지스터(45)=ON, 인버터(40)의 입력=L레벨, 인버터(40)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41)=OFF가 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46)=ON, 인버터(42)의 입력=L레벨, 인버터(42)의 출력=H레벨, 인버터(43)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한 경우에는, 출력 회로(38)는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로 제어되고, pMOS 트랜지스터(41)=OFF,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된다.
따라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보다도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39)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상승한 후에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는 하강하고, 인버터(16)의 출력=H레벨이 되며, NAND 회로(17)는 클록 버퍼(11)의 출력/CLK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한 후에는,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는 하강하고, nMOS 트랜지스터(45)=OFF, nMOS 트랜지스터(46)=OFF 가 된다.
여기서,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가 아닌 경우에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H레벨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NOR 회로(19)의 출력=L레벨, 인버터(20)의 출력=H레벨이 되는 동시에, NOR 회로(21)의 출력=L레벨, 인버터(22)의 출력=H레벨이 된다.
그리고, 외부 클록 CLK이 H레벨이 되면, 클록 버퍼(11)의 출력/CLK=L레벨, NAND 회로(17)의 출력=H레벨, 인버터(23)의 출력=L레벨, 전송 게이트 회로(24)=ON, 전송 게이트 회로(27)=ON이 된다.
이 결과, 인버터(20)의 출력인 H 레벨은, 래치 회로(30)에 래치되고, 인버터(31)의 출력=L레벨, 인버터(40)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41)=OFF가 된다.
또한, 인버터(22)의 출력인 H레벨은 래치 회로(33)에 래치되고, 인버터(34)의 출력=L레벨, 인버터(42)의 출력=H레벨, 인버터(43)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가 아닌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15)는 pMOS 트랜지스터(41)=OFF,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되도록 출력 회로(38)를 제어하므로, 데이터 단자(39)는 하이·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에 있어서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L레벨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NOR 회로(19)는, 인버터(18)의 출력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NOR 회로(21)는 리드 데이터 RD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래서, 리드 데이터 RD=H레벨의 경우에는, 인버터(18)의 출력=L레벨, NOR 회로(19)의 출력=H레벨, 인버터(20)의 출력=L레벨이 되는 동시에, NOR 회로(21)의 출력=L레벨, 인버터(22)의 출력=H레벨이 된다.
그리고, 외부 클록 CLK가 H레벨이 되면, 클록·버퍼(11)의 출력/CLK=L레벨, NAND 회로(17)의 출력=H레벨, 인버터(23)의 출력=L레벨, 전송 게이트 회로(24)=ON, 전송 게이트 회로(27)=ON 이 된다.
이 결과, 인버터(20)의 출력인 L레벨은 래치 회로(30)에 래치되고, 인버터(31)의 출력=H레벨, 인버터(40)의 출력=L레벨, pMOS 트랜지스터(41)=ON이 된다.
또한, 인버터(22)의 출력인 H레벨은 래치 회로(33)에 래치되고, 인버터(34)의 출력=L레벨, 인버터(42)의 출력=H레벨, 인버터(43)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에 있어서, 리드 데이터 RD=H레벨의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15)는 pMOS 트랜지스터(41)=ON, nMOS 트랜지스터(44)=OFF가 되도록 출력 회로(38)를 제어하므로, 데이터 단자(39)에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DQ는 H레벨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리드 데이터 RD=L 레벨의 경우에는, 인버터(18)의 출력=H레벨, NOR 회로(19)의 출력=L레벨, 인버터(20)의 출력=H레벨이 되는 동시에, NOR 회로(21)의 출력=H레벨, 인버터(22)의 출력=L레벨이 된다.
그리고, 외부 클록 CLK가 H레벨이 되면, 클록 버퍼(11)의 출력/CLK=L레벨, NAND 회로(17)의 출력=H레벨, 인버터(23)의 출력=L레벨, 전송 게이트 회로(24)=ON, 전송 게이트 회로(27)=ON이 된다.
이 결과, 인버터(20)의 출력인 H레벨은 래치 회로(30)에 래치되고, 인버터(31)의 출력=L레벨, 인버터(40)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41)=OFF가 된다.
또한, 인버터(22)의 출력인 L레벨은 래치 회로(33)에 래치되고, 인버터(34)의 출력=H레벨, 인버터(42)의 출력=L레벨, 인버터(43)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44)=ON이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에 있어서, 리드 데이터 RD=L레벨의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15)는 pMOS 트랜지스터(41)=OFF, nMOS 트랜지스터(44)=ON이 되도록 출력 회로(38)를 제어하므로, 데이터 단자(39)에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DQ는 L 레벨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 및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39)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동기 DRAM과의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여,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형태··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가 구비하는 출력 제어 회로(15) 및 출력 회로(38)대신에, 이들 출력 제어 회로(15) 및 출력 회로(38)와 회로 구성이 다른 출력 제어 회로(48) 및 출력 회로(49)를 설치하여, 기타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그래서, 출력 제어 회로(48)에 있어서, (50)은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를 반전하는 인버터, (51)은 클록·버퍼(11)로부터 출력되는 클록/CLK와 인버터(50)의 출력을 NAND 처리하는 NAND 회로이다.
또한, (52)는 리드 데이터 RD를 반전하는 인버터, (53)은 인버터(52)의 출력과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NOR 처리하는 NOR 회로, (54)는 NOR 회로(53)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55)는 리드 데이터 RD와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NOR 처리하는 NOR 회로, (56)는 NOR 회로(55)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57)은 NAND 회로(51)의 출력과 NOR 회로(53)의 출력을 NAND 처리하는 NAND 회로, (58)은 NAND 회로(57)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59)는 NAND 회로(51)의 출력과 인버터(54)의 출력을 NAND 처리하는 NAND 회로, (60)은 NAND 회로(59)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61)은 NAND 회로(51)의 출력과 인버터(56)의 출력을 NAND 처리하는 NAND회로, (62)는 NAND 회로(61)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한, (63)은 NAND 회로(51)의 출력과 NOR 회로(55)의 출력을 NAND 처리하는 NAND 회로, (64)는 NAND 회로(63)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이다.
또, 인버터(50,52,54,56,58,60,62,64), NAND 회로(51,57,59,61,63) 및 NOR 회로(53,55)는 전원 전압으로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출력 회로(49)에 있어서, (66)은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게이트를 인버터(58)의 출력단에 접속하며, 인버터(58)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67)은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게이트를 인버터(60)의 출력단에 접속하며, 인버터(60)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68)은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에 의해 ON이 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69)는 인버터(70,71)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이고, 이 래치 회로(69)는 인버터(71)의 출력단과 인버터(70)의 입력단과의 접속점을 nMOS 트랜지스터(66)의 드레인에 접속하며, 인버터(70)의 출력단과 인버터(71)의 입력단과의 접속점을 nMOS 트랜지스터(67,68)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72)은 인버터(70)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 (73)은 소스를 VDDQ 전원선(36)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39)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인버터(72)의 출력단에 접속하여, 인버터(72)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p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74)는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게이트를 인버터(62)의 출력단에 접속하며, 인버터(62)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75)는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에 의해 ON이 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76)은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고, 게이트를 인버터(64)의 출력단에 접속하며, 인버터(64)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스위치 소자를 이루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77)은 인버터(78,79)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이고, 이 래치 회로(77)는 인버터(79)의 출력단과 인버터(78)의 입력단과의 접속점을 nMOS 트랜지스터(74,75)의 드레인에 접속하고, 인버터(78)의 출력단과 인버터(79)의 입력단과의 접속점을 nMOS 트랜지스터(76)의 드레인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80)은 인버터(78)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 (81)은 드레인을 데이터 단자(39)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인버터(80)의 출력단에 접속하여, 인버터(80)의 출력에 의해 ON, OFF가 제어되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또, 인버터(70,71,72,78,79,80)는 전원 전압으로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전원 기동시, 전원 전압 VDD가 상승한 경우에는, VDD 상승 검출 회로(13)로부터 VDD 상승 검출 신호 STT가 출력된다.
이 결과, 인버터(50)의 출력=L레벨, NAND 회로(51)의 출력=H레벨이 되고, NAND 회로(57)는 NOR 회로(53)의 출력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며, NAND 회로(59)는 인버터(54)의 출력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고, NAND 회로(61)는 인버터(56)의 출력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며, NAND 회로(63)는 NOR 회로(55)의 출력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H 레벨이 되고, NOR 회로(53)의 출력=L레벨, NAND 회로(57)의 출력=H레벨, 인버터(58)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66)=OFF가 되는 동시에, 인버터(54)의 출력=H레벨, NAND 회로(59)의 출력=L레벨, 인버터(60)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67)=ON이 된다.
이 결과, 인버터(72)의 입력=L레벨, 인버터(72)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73)=OFF가 된다.
또한, NOR 회로(55)의 출력=L레벨, 인버터(56)의 출력=H레벨, NAND 회로(61)의 출력=L레벨, 인버터(62)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74)=ON이 되는 동시에, NAND 회로(63)의 출력=H레벨, 인버터(64)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76)=OFF가 된다.
이 결과, 인버터(78)의 입력=L레벨, 인버터(78)의 출력=H레벨, 인버터(80)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상승한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48)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로 제어되고, pMOS 트랜지스터(73)=OFF,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되도록 출력 회로(49)를 제어한다.
따라서,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보다도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39)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전원 기동시에,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이 상승한 경우에는, VDDQ 상승 검출 회로(37)로부터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가 출력된다.
이 결과, nMOS 트랜지스터(68)=ON이 되고, 인버터(72)의 입력=L레벨, 인버터(72)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73)=OFF가 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75)=ON이 되고, 인버터(78)의 입력=L레벨, 인버터(78)의 출력=H레벨, 인버터(80)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한 경우에는, 출력 회로(48)는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로 제어되며, pMOS 트랜지스터(73)=OFF, nMOS 트랜지스터(81)=OFF로 한다.
따라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보다도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39)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가 상승한 후에는, VDD 상승 검출 신호 STT는 하강하고, 인버터(50)의 출력=H 레벨이 되며, NAND 회로(51)는 클록·버퍼(11)의 출력/CLK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가 상승한 후에는 VDDQ 상승 검출 신호 STTQ는 하강하고, nMOS 트랜지스터(68,75)=OFF가 된다.
여기서,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가 아닌 경우에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H레벨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NOR 회로(53)의 출력=L레벨, 인버터(54)의 출력=H레벨이 되는 동시에, NOR 회로(55)의 출력=L레벨, 인버터(56)의 출력=H레벨이 된다.
여기서, 외부 클록 CLK=H레벨이 되면, 클록 버퍼(11)의 출력/CLK=L레벨, NAND 회로(51)의 출력=H레벨이 된다.
이 결과, NAND 회로(57)의 출력=H레벨, 인버터(58)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66)=OFF이 되는 동시에, NAND 회로(59)의 출력=L레벨, 인버터(60)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67)=ON이 된다.
이 결과, 인버터(72)의 입력=L레벨, 인버터(72)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73)=OFF가 된다.
또한, NAND 회로(61)의 출력=L레벨, 인버터(62)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74)=ON이 되는 동시에, NAND 회로(63)의 출력=H레벨, 인버터(64)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76)=OFF가 된다.
이 결과, 인버터(78)의 입력=L레벨, 인버터(78)의 출력=H레벨, 인버터(80)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가 아닌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48)는 pMOS 트랜지스터(73)=OFF,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되도록 출력 회로(49)를 제어하므로, 데이터 단자(39)는 하이·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에 있어서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L레벨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NOR 회로(53)는 인버터(52)의 출력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고, NOR 회로(55)는 리드 데이터 RD에 대하여 인버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래서, 리드 데이터 RD=H레벨의 경우에는, 인버터(52)의 출력=L레벨, NOR 회로(53)의 출력=H레벨, 인버터(54)의 출력=L레벨이 되는 동시에, NOR 회로(55)의 출력=L레벨, 인버터(56)의 출력=H레벨이 된다.
그래서, 외부 클록 CLK=H레벨이 되면, 클록 버퍼(11)의 출력/CLK=L레벨, NAND 회로(51)의 출력=H레벨이 된다.
이 결과, NAND 회로(57)의 출력=L레벨, 인버터(58)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66)=ON이 되는 동시에, NAND 회로(59)의 출력=H레벨, 인버터(60)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67)=OFF가 된다.
따라서, 인버터(70)의 입력=L레벨, 인버터(70)의 출력=H레벨, 인버터(72)의 출력=L레벨, pMOS 트랜지스터(73)=ON이 된다.
또한, NAND 회로(61)의 출력=L레벨, 인버터(62)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74)=ON이 되는 동시에, NAND 회로(63)의 출력=H레벨, 인버터(64)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76)=OFF가 된다.
이 결과, 인버터(78)의 입력=L레벨, 인버터(78)의 출력=H레벨, 인버터(80)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에 있어서, 리드 데이터 RD=H레벨의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48)는 pMOS 트랜지스터(73)=ON, nMOS 트랜지스터(81)=OFF가 되도록 출력 회로(49)를 제어하므로, 데이터 단자(39)에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DQ는 H레벨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리드 데이터 RD=L레벨의 경우에는, 인버터(52)의 출력=H레벨, NOR 회로(53)의 출력=L레벨, 인버터(54)의 출력=H레벨이 되는 동시에, NOR 회로(55)의 출력=H레벨, 인버터(56)의 출력=L레벨이 된다.
여기서, 외부 클록 CLK=H레벨이 되면, 클록 버퍼(11)의 출력/CLK=L레벨, NAND 회로(51)의 출력=H레벨이 된다.
이 결과, NAND 회로(57)의 출력=H레벨, 인버터(58)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66)=OFF가 되는 동시에, NAND 회로(59)의 출력=L레벨, 인버터(60)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67)=ON이 된다.
따라서, 인버터(72)의 입력=L레벨, 인버터(72)의 출력=H레벨, pMOS 트랜지스터(73)=OFF가 된다.
또한, NAND 회로(61)의 출력=H레벨, 인버터(62)의 출력=L레벨, nMOS 트랜지스터(74)=OFF가 되는 동시에, NAND 회로(63)의 출력=L레벨, 인버터(64)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76)=ON이 된다.
따라서, 인버터(80)의 입력=L레벨, 인버터(80)의 출력=H레벨, nMOS 트랜지스터(81)=ON이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사이클시에 있어서, 리드 데이터 RD=L 레벨의 경우에는, 출력 제어 회로(48)는 pMOS 트랜지스터(73)=OFF, nMOS 트랜지스터(81)=ON이 되도록 출력 회로(49)를 제어하므로, 데이터 단자(39)에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DQ는 L레벨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전원 기동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 및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39)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동기 DRAM과의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며,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래치 회로(69,7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출력 회로용 전원 전압 VDDQ의 상승과,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의 상승과의 사이의 시간차가 큰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동기 DRAM과의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용 전원 전압 VDD를 강압하는 전압 강압 회로를 내장하여, 출력 회로 및 출력 제어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를 전원 전압 VDD보다도 저전압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전원 전압 VDD가 전원 전압 VDDQ보다도 저전압으로 되어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중, 제 1 발명(제 1 항에 기재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따르면,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반도체 집적 회로와의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고,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중, 제 2 발명(제 2 항에 기재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따르면,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반도체 집적 회로와의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고,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출력 회로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중, 제 3 발명(제 3 항에 기재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따르면, 전원 기동시, 제 1 전원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중 어느 하나가 미리 상승해 버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외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반도체 집적 회로와의 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고,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제 1 발명의 경우보다도 긴 기간,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제 1 전원 전압의 상승과 제 2 전원 전압의 상승과의 사이의 시간차가 큰 경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출력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원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와, 출력 회로 이외의 내부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원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하여, 전원 기동시에 외부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는 동일한 반도체 집적 회로사이에 관통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므로써,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제 1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원 단자와,
    제 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을 감시하고, 상기 제 1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펄스형의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와,
    상기 제 2 전원 전압을 감시하고, 상기 제 2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펄스형의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로 제어되고,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며, 데이터 출력 동작시에는 상기 데이터 단자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와,
    상기 제 2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회로가 상기 제 2 전원 전압의 상승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로 제어되어, 상기 출력 회로가 상기 데이터 단자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도록 상기 출력 회로를 제어하며, 데이터 출력 동작시에는 내부 회로로부터 부여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회로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에 상기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제 1 출력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제 1 인버터와,
    소스를 상기 제 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원선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상기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된 p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에 상기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제 2 출력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제 3 인버터와,
    드레인을 상기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상기 제 3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n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일단을 상기 제 1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접지선에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1 스위치 소자와,
    일단을 상기 제 2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접지선에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2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일단을 접지선에 접속하고, 상기 제 1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접속한 제 1 인버터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하며, 출력단을 상기 제 1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제 3 인버터와,
    일단을 상기 제 3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접지선에 접속하며, 상기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소자와,
    소스를 상기 제 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원선에 접속하고, 드레인을 상기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상기 제 3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p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일단을 접지선에 접속하고, 상기 제 1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3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접속한 제 4 인버터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4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하며, 출력단을 상기 제 4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 5 인버터와,
    상기 제 1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입력단을 상기 제 5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제 6 인버터와,
    일단을 상기 제 6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접지선에 접속하며, 상기 출력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제 4 스위치 소자와,
    드레인을 상기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고, 소스를 접지선에 접속하며, 게이트를 상기 제 6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한 n 채널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일단을 상기 제 3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접지선에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5 스위치 소자와,
    일단을 상기 제 6 인버터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접지선에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 상승 검출 신호에 의해 도통으로 되는 제 6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KR1019970024997A 1996-12-20 1997-06-17 반도체 집적 회로 KR100269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1867 1996-12-20
JP34186796A JP3287248B2 (ja) 1996-12-20 1996-12-20 半導体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36A true KR19980063336A (ko) 1998-10-07
KR100269568B1 KR100269568B1 (ko) 2000-10-16

Family

ID=1834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997A KR100269568B1 (ko) 1996-12-20 1997-06-17 반도체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74853A (ko)
JP (1) JP3287248B2 (ko)
KR (1) KR100269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6554B2 (ja) 1999-01-13 2008-01-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試験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JP4040222B2 (ja) 1999-03-23 2008-0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の連結処理方法および放射線画像処理装置
US6600831B1 (en) 1999-03-23 2003-07-29 Fuji Photo Film Co., Ltd.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for radiation images
US6686770B1 (en) * 1999-07-16 2004-02-03 Thomson Licensing S.A. Tristate circuit for power up conditions
AU6214700A (en) * 1999-07-16 2001-02-05 Thomson Licensing S.A. Tristate circuit for power up conditions
KR100429871B1 (ko) * 2001-06-07 2004-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개의 출력 신호들을 갖는 반도체 장치
JP4392740B2 (ja) 2001-08-30 2010-01-0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回路
EP1442522A2 (de) * 2001-11-09 2004-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sgangs eines integrierten schaltkreises während des einschaltens und integrierter schaltkreis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TWI220174B (en) * 2003-07-08 2004-08-11 Winbond Electronics Corp Power source detector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US8675420B2 (en) 2011-05-26 2014-03-18 Micron Technology, Inc.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enabling circuits
US9800230B1 (en) 2016-06-29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Latch-based power-on check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162A (en) * 1993-02-23 1994-07-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High resolution time interval counter
US5710741A (en) * 1994-03-11 1998-01-20 Micron Technology, Inc. Power up intialization circuit responding to an input signal
JP3755911B2 (ja) * 1994-11-15 2006-03-1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回路
US5579356A (en) * 1995-07-28 1996-11-26 Micron Quantum Devices, Inc. Timer circuit with programmable decode circuitry
US5715198A (en) * 1997-02-03 1998-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utput latching circuit for static memor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9568B1 (ko) 2000-10-16
JPH10188560A (ja) 1998-07-21
US5874853A (en) 1999-02-23
JP3287248B2 (ja)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8063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requirements during standby mode operation
KR960009394B1 (ko) 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용 전원 회로
US6031778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0153603B1 (ko)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 리세트신호 발생회로
KR100269568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US6621306B2 (en) Random logic circuit
US5933388A (en) Sub row decoder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99816B1 (ko) 전압발생회로
KR10023037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변환기
GB2372841A (en) Voltage pump with turn-on control
KR016768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
US6084455A (en) High-speed CMOS latch
KR0125079Y1 (ko) 칩 내부소자에 안정된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
KR100265594B1 (ko) 파워-업회로
KR19980063343A (ko) 반도체 장치
JP3769310B2 (ja) 入力回路
US11726539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system-on-chip device,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KR10024555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내부 전원 전압 공급 회로
KR0172246B1 (ko) 전원 제어 및 전송 회로
KR100295065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출력장치
KR100308069B1 (ko) 부트스트랩핑 회로
KR100223672B1 (ko) 커플링현상에 의한 액티브 피크 전류를 방지하기위한 반도체 장치
KR100205003B1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전원승압회로
KR100444316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입력버퍼
US6225828B1 (en) Decoder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i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