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265A - 디스크형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265A
KR19980063265A KR1019970007175A KR19970007175A KR19980063265A KR 19980063265 A KR19980063265 A KR 19980063265A KR 1019970007175 A KR1019970007175 A KR 1019970007175A KR 19970007175 A KR19970007175 A KR 19970007175A KR 19980063265 A KR19980063265 A KR 1998006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eek
feed
seek
speed
convergenc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시마유이치로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ublication of KR1998006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3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 G11B20/1038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control of the read or write heads, e.g. tracking errors, defocus or til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취할 때의 독취액세스의 고속화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액세스동작시에 이루어지는 피드시크에 있어서의 수속속도를 실제의 사용조건하에서 최적화함으로써 액세스 타임의 향상이나 액세스동작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트랙상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픽업을 통하여 데이터의 독취나 서입을 행할 때에, 픽업의 이동에 따른 피드시크를 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피드시크를 피드시크용의 구동원에 대한 전압인가조건에 의거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있어서, 피드시크동작의 수속속도에 대하여 기준수속속도를 설정하고, 실제의 피드시크시의 수속속도가 상기 기준수속속도와 다른 경우에, 상기 전압인가조건을 변경하여 수속속도의 조정을 행하고, 그 이후의 피드시크를 상기 조정후의 전압인가조건으로 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타임의 향상이나 액세스동작의 안정성을 도모한다.

Description

디스크형 기억장치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취할 때의 독취액세스의 고속화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형 기억장치의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인 광디스크장치는, 기록매체 즉 광디스크에 대한 데이터의 독취(read)나 서입(write)을 위한 광학계가 설치된 픽업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픽업의 일반적인 원리구성을 도 2∼도 4에 도시하였다. 이들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1은, 트랙을 따라서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광디스크 2에 독취나 서입을 위하여 레이저광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광디스크 2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학계를 가지는 광학계 유니트 3을 구비한다. 상기 광학계 유니트 3은, 베이스 4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해, 광축 A와 평행한 방향으로 화살표 X와 같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그리고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화살표 Y와 같이 좌우이동, 구체적으로는 지지축 3p를 지지점으로 한 도 3에 나타낸 화살표 Y'와 같이 요동(rocking)을 행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학계 유니트 3에 있어서의 화살표 X와 같은 상하이동은, 광디스크 2에 대한 포커스 제어의 기능을 하고, 한편 화살표 Y와 같은 좌우이동은 광디스크 2에 있어서의 액세스 대상트랙으로의 광축 A의 위치결정을 위한 트랙점프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들 동작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4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구 5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픽업 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arm) 6을 통하여 가이드바아(guide bar) 7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계에 의해 광디스크 2를 따라 화살표 Z과 같이 양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픽업 1을 액세스대상 트랙 근방의 트랙에 개략적으로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피드시크(feed seek)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픽업에 의한 광디스크로의 액세스동작은, 우선 피드시크에 의해 액세스 대상트랙 근방의 트랙에 픽업을 개략적으로 위치 결정시키고, 이것에 이어서 트랙점프를 행하는 것으로써 액세스대상 트랙에 광축을 최종적으로 위치 결정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트랙점프를 위한 좌우이동으로 가능한 최대 가동범위가 200트랙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면, 피드시크는 액세스대상 트랙으로부터 200트랙 이내 근방의 트랙에 픽업을 위치결정시키고, 그로부터 피드시크로 위치결정한 트랙의 위치데이타를 독취하고, 상기 트랙의 위치와 액세스대상 트랙의 위치와의 차에 따른 트랙수의 트랙점프를 행한다. 그 때문에 피드시크의 구동제어는, 액세스대상 트랙으로부터 200트랙 이내의 편차인 근방의 트랙에 픽업을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피드시크용의 구동모터에 대한 전압인가 조건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구동모터에 대한 인가전압은, 가속(accelerator)전압과 브레이크전압이 조합되어 있고, 가속전압의 인가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피드시크하는 트랙수에 대응하는 피드시크가 행해진다.
그런데,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서는, 피드시크의 제어조건이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즉, 예를 들면 제품완성시의 조정 등에 의거하여, 상기의 피드시크 거리에 따른 인가시간의 비율이나 각 전압의 크기의 기준이 미리 설정되고, 이 피드시크 제어조건이 고정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런데, 광디스크장치를 실제로 사용하는 조건하에서는, 내부전원전압의 변동이나 피드시크계의 기계요소의 변동,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의 가이드바아 7에 의한 슬라이드 지지조건의 변동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조건에서 예정된 피드시크동작과는 다른 동작이 되어 버리는 일이 적지 않게 발생된다.
예를 들면, 피드시크동작의 종료시 직전의 속도 즉 수속(convergence)속도를 4mm/초 이하로 하는 것이 안정적인 인입(구동모터에 대한 전압인가를 정지하는 것과 동시에 픽업의 동작도 정지하는 상태)을 위하여 필요하다. 따라서, 수속속도가 4mm/초보다 너무 빨라진 경우에는, 구동모터에 대한 전압인가를 정지한 후에도 관성에 의해 픽업은 정지되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을 하게 된다. 그 결과, 트랙점프가 불안정하게 되고, 목표트랙에 광축을 위치결정시키는데 트랙점프의 반복회수가 증가되어 버린다. 또한, 액세스대상의 트랙이 광디스크의 최외주 주변에 있는 경우에는 픽업이 광디스크의 최외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현상 즉 폭주가 발생될 수도 있다.
반대로, 수속속도가 4mm/초에 비하여 너무 느려지면, 피드시크에 여분의 시간이 걸리게 되고, 또한 트랙점프의 가동범위가 되는 목표위치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목표위치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시 피드시크를 반복할 필요가 있고, 대폭적인 액세스 타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광디스크장치로 대표되는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픽업에 있어서의 피드시크의 제어, 특히 수속속도의 제어가 액세스 타임이나 액세스동작의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타임의 향상이나 액세스동작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피드시크의 수속속도를 실제의 사용조건하에 대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스동작시에 이루어지는 피드시크에 있어서의 수속속도를 실제의 사용조건하에서 최적화함으로써 액세스 타임의 향상이나 액세스동작의 안정성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랙상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픽업을 통하여 데이터의 독취나 서입을 행할 때, 픽업의 이동에 따른 피드시크를 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시크를 피드시크용의 구동원에 대한 전압인가조건에 의거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대하여, 피드시크동작의 수속속도에 대하여 기준수속속도를 설정하고, 실제의 피드시크시의 수속속도가 기준수속속도와 다른 경우에, 상기 전압인가 조건을 변경하여 수속속도의 조정을 행하고, 그 이후의 피드시크를 상기 조정후의 전압인가조건에서 달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제어를 위한 제어계는, 통상의 독취나 서입의 제어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CPU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제의 피드시크시의 수속속도를 기준수속속도와의 비교를 위하여 계측하는데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즉, 트랙킹에러신호는 광축의 목표트랙으로의 위치결정 즉 트랙킹의 상태를 판별하는데 이용하는 신호이며, 트랙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반사광의 세기를 반영하고, 픽업의 광축이 트랙의 중심에 위치대응하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이로부터 광축이 좌우로 벗어나는 것에 따른 진폭을 가진다. 그 때문에 신호의 1주기가 하나의 트랙에 대응되어 있고, 따라서 트랙킹에러신호를 카운트하여 그 단위시간당의 카운트수를 구하는 것에 의해, 피드시크동작의 수속속도를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실제의 피드시크시의 수속속도를 항상 계측하고, 이것을 기준수속속도 즉 안정된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수속속도의 기준으로 한 속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수속속도를 조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실제의 사용조건하에서 수속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속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에 의한 트랙점프의 불안정화나, 수속속도가 너무 느려지는 것에 의한 피드시크의 에러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인 액세스동작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액세스 타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피드시크동작, 피드시크 제어전압, 피드시크의 동작속도, 및 트랙킹 에러신호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도 2는 광디스크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는 픽업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3 중의 SA-SA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디스크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드시크동작, 피드시크 제어전압, 피드시크의 동작속도, 및 트랙킹 에러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면, 도 1과 같다.
도 2에 있어서의 픽업 1을 현재 위치 X에서 목표위치 M까지 피드시크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속(accelerator)전압 Va를 시간 Ta만큼 피드시크용의 구동모터에 인가한다. 그러면, 픽업은 도면 중의 속도곡선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서히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Z 방향의 어느 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픽업이 목표위치 M에 근접하면 전압을 반전시키고, 브레이크전압 Vb를 시간 Tb만큼 구동모터에 인가한다. 상기 브레이크전압의 인가에 의해 피드시크가 수속동작을 행하게 되고, 픽업이 정지한다.
전압인가 조건이 정확하고 피드시크 종료시 직전의 속도인 수속속도(도면에 나타낸 속도곡선에 있어서의 우측의 하강부분에 있어서의 속도)가 최적의 속도인 4mm/초 정도인 경우, 픽업의 정지위치는 목표위치 M이 된다. 그러나, 전압인가조건이 부적당하기 때문에 수속속도가 4mm/초 보다도 빠르면, 픽업의 정지위치가 목표위치 M을 초과해 버리며, 반대로 느리면 목표위치 M에 도달하기 이전에 픽업이 정지하게 된다.
이 사이에 트랙킹 에러신호가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그 주기가 변화하고, 픽업의 이동속도가 느린 만큼 그 주기가 길어진다. 이와 같은 트랙킹 에러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픽업의 피드시크동작의 속도를 연속적으로 모니터한다. 그리고, 피드시크동작의 수속속도를 계측하고, 이것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수속속도, 여기서는 상기의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4mm/초와 비교한다. 그 결과, 계측한 수속속도가 기준수속속도와 다른 경우는, 전압인가조건 즉 가속전압과 브레이크전압 각각의 전압값이나 이들 양전압의 인가시간의 비율을 조정하여 기준수속속도가 되게 한다. 그리고, 이후의 피드시크에서는 상기의 조정후의 전압인가조건에서 피드시크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각 피드시크마다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그후에 내부전원전압의 변동이나 피드시크계의 기계요소의 변동이 있더라도 최초의 피드시크를 제외하고 항상 최적의 수속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들 수속속도의 조정에 관한 일련의 처리 즉 트랙킹에러신호의 카운트에 의한 피드시크동작의 수속속도의 계측, 그 결과의 기준수속속도와의 비교, 및 상기 비교결과에 의거한 구동모터에 대한 전압인가조건의 변경의 각 처리는, 광디스크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독취제어용의 CPU에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세스동작시에 이루어지는 피드시크에 있어서의 수속속도를 실제의 사용조건하에서 최적화할 수 있고, 액세스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액세스 타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트랙상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픽업을 통하여 데이터의 독취나 서입을 행할 때에, 픽업의 이동에 따른 피드시크를 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피드시크를 피드시크용의 구동원에 대한 전압인가조건에 의거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억장치에 있어서,
    피드시크동작의 수속속도에 대하여 기준수속속도를 설정하고, 실제의 피드시크시의 수속속도가 상기 기준수속속도와 다른 경우에, 상기 전압인가조건을 변경하여 수속속도의 조정을 행하고, 그 이후의 피드시크를 상기 조정후의 전압인가조건으로 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억장치.
  2. 제 2항에 있어서, 트랙에 대한 픽업의 위치결정상태에 대응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이용하여 피드시크의 수속속도를 계측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억장치.
KR1019970007175A 1996-12-12 1997-03-05 디스크형 기억장치 KR19980063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1975A JPH10188449A (ja) 1996-12-12 1996-12-12 ディスク形記憶装置
JP331975/1996 1996-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65A true KR19980063265A (ko) 1998-10-07

Family

ID=1824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175A KR19980063265A (ko) 1996-12-12 1997-03-05 디스크형 기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88449A (ko)
KR (1) KR199800632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2749B2 (ja) * 2005-08-29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88449A (ja) 199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3115B2 (ja) 光ディスク読出し信号の振幅変化を低減する方法及び装置
US4837757A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P0463959B1 (en) Optical disk apparatus
EP0367094B1 (en) Optical disk apparatus
JPH0612572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305984A (ja) 光学的記憶装置
KR19980063265A (ko) 디스크형 기억장치
US5481517A (en) Track jump control means for a disk apparatus
JP3145973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光ヘッド移動制御装置
US5272688A (en) Apparatus for writing and/or reading information on and/or from optical card
US4951272A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tracks for optical disc apparatus
US5926447A (en) Method for enhancing the data access time in an optical disc apparatus
JPS58169370A (ja) 光デイスク装置
JPS61280080A (ja) 情報検索方式
JPS6122479A (ja) デイスク状記録担体のトラツクアクセス装置
JPH03116544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クアクセス制御回路
JPH0562218A (ja) 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
JPH01165075A (ja) 光デイスク駆動装置の制御方法
JPH09180204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ドライブ回路
JP2003091840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H0498622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のトラックサーボ装置
JPH04146532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12681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01118259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198665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ドライ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