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692A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692A
KR19980059692A KR1019960079035A KR19960079035A KR19980059692A KR 19980059692 A KR19980059692 A KR 19980059692A KR 1019960079035 A KR1019960079035 A KR 1019960079035A KR 19960079035 A KR19960079035 A KR 19960079035A KR 19980059692 A KR19980059692 A KR 1998005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upport
retractor
spr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692A/ko
Publication of KR1998005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692A/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벨트의 착용시 승객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권입력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벨트 웨빙을 권회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릴 케이스(1)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지지구(7), 일측은 상기 지지구(7)의 일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는 롤러(8)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권입력 조절기(6), 상기 지지구(8)에 인접한 릴 케이스(1)의 내면에 설치되고 권입력 조절기(6)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결합 및 분리돠는 것에 따라 지지구(8)의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권입력 조절기(6)를 회전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9) 및 상기 권입력 조절기(6)의 일측과 릴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권입력 조절기의(6) 롤러(8)가 벨트 웨빙(4)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2의 스프링(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벨트의 착용시 승객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권입력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는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차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론트 및 리어 시트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시트 벨트는 벨트 웨빙을 권회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고 있는 리트랙터와, 상기 리트랙터로부터 풀려지는 벨트 웨빙의 인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앵커리지(Anchorage : 이하, 앵커로 약칭함) 및 텅과, 상기 텅과 결합되어 시트 벨트의 장착 및 탈거를 제한하는 버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트랙터는 차체의 B-필라(pillar)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며, 리트랙터의 수직 상방에 가이드 앵커가 고정된다. 상기 텅은 벨트 웨빙의 중간 일측에 고정되고, 버클은 시트의 하부 타측에 고정된다.
또한, 벨트 웨빙의 타측 끝단은 시트의 버클 반대쪽에 고정되어, 탑승자가 벨트를 당겨 텅을 버클에 삽입하여 장착하게 되면, 가이드 앵커를 거쳐 나온 상부 벨트 웨빙이 탑승자의 어께에 걸치게 되고 하부의 벨트 웨빙은 탑승자의 배부분에 걸치게 되어 벨트 착용 상태가 된다.
이중에서 벨트 웨빙을 권회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고 있는 상기 리트랙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의 외부는 릴 케이스(1)와 릴 케이스(1)의 일측 연통된 스프링 케이스(2)로 이루어진다. 상기 릴 케이스(1)의 내부에는 권봉(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권봉(3)은 스프링 케이스(2)까지 연상되어 있다. 권봉(3)의 일측에는 벨트 웨빙(4)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일 방향으로 감겨 있으며, 상기 벨트 웨빙(4)은 릴 케이스(1)의 일면에 형성된 슬릿홈(을 통하여 릴 케이스(1) 외부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권봉(3)의 스프링 케이스(2) 측에는 스프링(5)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5)에 의해 권봉(3)은 벨트 웨빙(4)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돠어, 탑승자가 벨트 웨빙(4)을 잡아당기면, 슬릿홈올 통해 벨트 웨빙(4)이 관봉(3)으로부터 풀려나오게 되고, 탐승자가 텅 플레이트를 버클로부터 분리하여 벨트 웨빙(4)을 당기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 권봉(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벨트 웨빙(4)이 권봉(3)에 다시 감겨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스프링의 탄성이 강하면 벨트 웨빙을 다시 권봉으로 감아들이는 권입력은 좋아지나, 시트 벨트의 착용시 승객의 신체를 압박하여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요인이된다.
따라서, 상기와 감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우수한 권입력을 가지면서도 승객의 신체를 압박하지 않아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 케이스 2 : 스프링 케이스
3 : 권봉 4 : 벨트 웨빙
5 : 스프링 6 : 권입력 조절기
7 : 지지구 8 : 롤러
9 : 솔레노이드 9a : 이동축
10 : 제 2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연통된 릴 케이스와 스프링 케이스, 상기 릴 케이스와 스프링 케이스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봉, 상기 권봉의 릴 케이스측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감기지며 타측은 릴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슬리홈을 퉁해 외부로 인출되는 벨트 웨빙 및 상기 권봉의 스프링 케이스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봉을 상기 벨트 웨빙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릴 케이스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지지구, 일측은 상기 지지구의 일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권입력 조절기, 상기 지지구에 인접한 릴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고 권입력 조절기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에 따라 지지구의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권입력 조절기를 회전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권입력 조절기의 일측과 릴 케이스의 내면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권입력 조절기의 롤러가 벨트 웨빙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2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의 리트랙터와 같으며 권봉의 권입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부분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첨조부호를 사용하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트랙터에서, 권봉의 횡방향을 따라서 자른 릴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첨조 부호 3은 권봉이며, 4는 상기 권봉에 감겨져 있는 벨트 웨빙이다. 벨트 웨빙(4)은 릴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리트랙터의 일측에는 권입력 조절기(6)가 리트랙터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구(7)에 힌지연결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권입력 조절기(6)의 일측단에는 롤러(8)가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은 지지구(7)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솔레노이드(9)의 이동축(9a)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솔레노이드(9)는 텅 플레이트와 버클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텅 플레이트가 버클에 삽입되면 작동되어 이동축(9a)이 솔레노이드(9) 내부로 당겨지고, 텅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분리되면 이동축(9a)이 솔레노이드(9) 외부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입력 조절기(6)의 일측은 제 2의 스프링(10)에 의해 릴 케이스(1)의 타축에 연결되어, 제 2 스프링(10)에 의해 롤러(8)가 벨트 웨빙(4)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 벨트를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의 이동축(9a)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권입력 조걸기(6)의 롤러(8)는 벨트 웨빙(4)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서 벨트 웨빙(4)을 잡아당기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삽입하여 시트 벨트를 착용하면, 솔레노이드(9)가 작동되어 솔레노이드의 이동축(9a)이 솔레노이드 내부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권입력 조절기(6)는 회전이동되어 롤러(8)가 벨트 웨빙(4)에 접촉된다. 롤러(8)가 벨트 웨빙(4)에 접촉됨에 따라 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스프링(미도시)에 의한 권봉(3)의 권입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벨트 웨빙이 승객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되며, 벨트 웨빙(4)이 더 많이 인출되어도 제 2스프링(10)에 의해 롤러(8)와 벨트 웨빙(4)의 접촉 상태는 계속해서 유지된다.
반대로 텅 플레이트를 버클로부터 분리하여 시트 벨트의 착용을 해제하면 솔레노이드(9)의 작동이 멈추어져 솔레노이드의 이동축(9a)이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고, 권입력 조절기(6)가 원래 위치로 회전이동되어 롤러(8)와 벨트 웨빙(4)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롤러(8)와 벨트 웨빙(4) 사이의 마찰력이 없어지게 되므로, 스프링에 의한 권봉(3)의 권입력이 강해져서 벨트 웨빙(4)이 원활하게 권입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텅 플레이트와 버클의 삽입 및 분리되는 것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롤러가 벨트 웨빙에 접촉 및 분리되어 그 마찰력으로 권봉의 권입력이 조절될 수 있어, 시트 벨트의 작용시에는 권입력이 약화되어 승객의 신체를 압박하지 않으므로 승차감이 향상되고, 시트 벨트의 착용을 해제할 경우에는 권입력이 강화되어 벨트가 리트랙트 내로 원활하게 권입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서로 연통된 릴 케이스와 스프링 케이스, 상기 릴 케이스와 스프링 케이스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봉, 상기 권봉의 릴 케이스측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감겨지며 타측은 릴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슬리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벨트 웨빙 및 상기 권봉의 스프링 케이스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봉을 상기 벨트 웨빙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릴 케이스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지지구, 일측은 상기 지지구의 일측단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권입력 조절기, 상기 지지구에 인접한 릴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고 권입력 조절기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텅 플레이트와 버클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에 따라 지지구의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권입력 조절기를 회전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권입력 조절기의 일측파 릴 케이스의 내면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권입력 조절기의 롤러가 벨트 웨빙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
KR1019960079035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KR19980059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035A KR19980059692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035A KR19980059692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692A true KR19980059692A (ko) 1998-10-07

Family

ID=6642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035A KR19980059692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57195A (en) Restraining belt clamping device
US5257820A (en) Slip anchor for seat belt
US6290259B1 (en) Anti-roping turning loop
KR19980059692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JPH0194053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9980034048U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
KR0114527Y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가 내설된 자동차의 리트랙터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JPH0213260Y2 (ko)
KR100265963B1 (ko) 자동 시트 벨트
KR10038784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앵커리지
KR200143797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장치
JPS63222957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
KR0131019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감김방지구
JPS6335869Y2 (ko)
KR10035621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 장치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0138888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잠금장치
KR0177419B1 (ko) 시트 벨트 리트렉터의 에너지 흡수 장치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100366591B1 (ko) 자동차용 이동식 시트 벨트 구조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KR200205957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