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508U -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508U
KR19980054508U KR2019960067700U KR19960067700U KR19980054508U KR 19980054508 U KR19980054508 U KR 19980054508U KR 2019960067700 U KR2019960067700 U KR 2019960067700U KR 19960067700 U KR19960067700 U KR 19960067700U KR 19980054508 U KR19980054508 U KR 199800545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ball
improving
cylin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7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508U/ko
Publication of KR19980054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50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 G05G5/06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using a spring-loaded b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1Actuators providing feel or simulating a shift gate, i.e. with active force generation for providing counter forces for feed 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16H2063/32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characterised by catches or notches for moving the f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 조작 시 절도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 절도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변속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시프트 레일(57)에 형성된 홈(59)과, 상기한 홈(59)에 밀착되도록 스톱 보울트(62)에 지지된 볼(6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볼(60)이 내재됨과 아울러 스톱 보울트(62)의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1)와, 상기한 실린더(1)에 내지되어 볼(60)과 밀착됨과 아울러 오일(2)과 공기(3)가 혼합된 유체에 지지되어 있는 피스톤(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본 고안은 절도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 조작시 절도감 향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의 폭발력을 적절하게 변환시켜 차속에 적합한 구동력을 얻게 되는 바, 상기한 구동력의 변환은 변속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변속기는 수동, 자동으로 구분되는 바, 수동의 경우 기어 변속 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간헐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클러치 어셈블리가 변속기에 연결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다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구성된 변속기에서 운전자가 판단하여 적절한 기어비를 선택할 때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클러치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클러치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속 조작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변속 레버 어셈블리(50)와, 상기한 변속 레버 어셈블리(50)와 시프트, 셀렉트 케이블(51,52)로 연결됨과 아울러 변속 케이스(53)에 설치된 시프트, 셀렉트 레버(54,55)와, 상기한 시프트, 셀렉트 레버(54,55)에 연결된 콘트롤 아암(미 도시)과, 상기한 콘트롤 아암에 의해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슬리이브(미 도시)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시프트 포크(56) 및 시프트 레일(5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 클러치 페달(미 도시)을 밟으면 엔진과 변속기가 이격되고, 이때 변속 레버 어셈블리(50)를 동작시키면 케이블(51,52)을 통해 시프트, 셀렉트 레버(54,55)가 동작됨과 아울러 이와 연결된 콘트롤 아암이 시프트 포크(56)를 이동시켜 변속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변속 시 운전자가 1, 2, 3, 4, 5 및 후진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변속 절도감을 주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53)에 형성됨과 아울러 시프트 레일(57) 연통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58)과, 상기한 관통공(58)에 삽입되어 시프트 레일(57)의 홈(59)에 접촉되는 볼(60)과, 상기한 볼(6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삽입된 스프링(61)과, 상기한 스프링(61)을 지지하도록 관통공(58)에 나사 결합된 스톱 보울트(6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볼(60)이 스프링(11)의 탄성으로 시프트 레일(57)을 지지할 때 홈(59)에 삽입됨으로써 변속 감각을 보다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변속 절도감을 정확히 알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변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접촉시켜 싱크로나이저 링 및 콘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일에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를 볼과 스프링으로 제한함으로써 변속감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의 탄성 저하 시 정확한 변속 절도감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변속 절도감이 부정확하게 됨으로써 변속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클러치를 접촉시켜 싱크로나이저 링 및 콘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속 절도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변속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프트 레일에 형성된 홈과, 상기한 홈에 밀착되도록 스톱 보울에 지지된 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볼이 내재됨과 아울러 스톱 보울트의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한 실린더에 내재되어 볼과 밀착됨과 아울러 오일과 공기가 혼합된 유체에 지지되어 있는 피스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변속 조작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변속 레일에 설치된 절도감 향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실린더2:오일
3:공기4;피스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소, 볼(60)이 내재됨과 아울러 스톱 보울트(62)의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1)와, 상기한 실린더(1)에 내재되어 볼(60)과 밀착됨과 아울러 오일(2)과 공기(3)가 혼합된 유체에 지지되어 있는 피스톤(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기계적인 장치인 스프링(61)이 아니고 압축이 가능한 유체에 의해 볼(60)을 지지함으로써 스프링(61)과 같은 탄성 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주행중 변속을 하기 위하여 변속 레버 어셈블리(50)를 동작시키게 되는 바, 변속 레버 어셈블리(50)의 변속 레버를 좌우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셀렉터 레버(55)를 통해 1, 2, 3, 4, 5, 후진등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선택이 완료되면 변속 레버 어셈블리(50)의 변속 레버를 전후로 움직이게 되는 바, 상기한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이와 케이블(51)로 연결된 시프트 레일(57)이 이동하게 된다.
시프트 레일(57)이 이동할 때 상기한 시프트 레일(57)의 홈(59)을 압박하고 있는 볼(60)이 홈(59)을 타고 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볼(60)은 실린더(1) 내부의 피스톤(4)을 승강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피스톤(4)의 승강 시 오일(2)과 공기(3)가 압축되면서 볼(60)의 승강 운동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공기(3)는 오일(2)에 비해 압축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볼(60)의 승강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공기(3)와 오일(2)의 압축률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종래 스프링(61)의 탄성 변화에 따른 볼(60)과 시프트 레일(57)의 밀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오일(2)과 공기(3)의 실린더 충만 시 일정한 압축률을 가지도록 충만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볼을 압축 가능한 유체로 지지함으로써 변속 절도감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실수에 따른 변속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프트 레일에 형성된 홈과, 상기한 홈에 밀착되도록 스톱 보울트에 지지된 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볼이 내재됨과 아울러 스톱 보울트의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한 실린더에 내재되어 볼과 밀착됨과 아울러 오일과 공기가 혼합된 유체에 지지되어 있는 피스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2019960067700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199800545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700U KR19980054508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700U KR19980054508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508U true KR19980054508U (ko) 1998-10-07

Family

ID=5400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700U KR19980054508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50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653B1 (ko) * 2002-06-29 2004-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이중물림방지장치
KR100448656B1 (ko) * 2002-06-29 2004-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위치결정장치
KR100489399B1 (ko) * 2002-11-20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포핏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653B1 (ko) * 2002-06-29 2004-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이중물림방지장치
KR100448656B1 (ko) * 2002-06-29 2004-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위치결정장치
KR100489399B1 (ko) * 2002-11-20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포핏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1610B2 (ja) 車両用シフトバイワイヤーシステムの変速装置
KR940011243A (ko) 변속기의 조작장치
KR19980054508U (ko)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970008496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KR19980034009U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절도감 향상 구조
KR200158442Y1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0270051B1 (ko) 수동 변속기의 백업 램프 스위치 구조
KR19980053951A (ko)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19980053948A (ko)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19980053950A (ko)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0173994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KR19980053949A (ko)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100213167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 변속감 구조
KR100276916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KR100213166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 변속감 구조
JPH08303585A (ja) 変速誤操作防止装置
KR100270531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고정 구조
KR100283322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00552762B1 (ko) 상용차량의 공압 변속장치
KR19980014015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후진 변속구조
KR960007062B1 (ko) 자동차용 유압식 자동변속기의 변속모드 추가장치
KR100250532B1 (ko) 수동변속기 변속조작기구
KR19990010481U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후진 램프 스위치
KR19980061197A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셀렉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