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662U -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662U
KR19980052662U KR2019960065841U KR19960065841U KR19980052662U KR 19980052662 U KR19980052662 U KR 19980052662U KR 2019960065841 U KR2019960065841 U KR 2019960065841U KR 19960065841 U KR19960065841 U KR 19960065841U KR 19980052662 U KR19980052662 U KR 199800526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collision
seat bel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5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662U/ko
Publication of KR19980052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66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고, 에어백이 팽창되는 시점을 승차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한 경우와 안전밸트를 미착용한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 실질적인 작동구간에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에어백의 관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차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한 경우와 안전밸트를 미착용한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 실질적인 작동구간에서 작동되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Air Back Control System of Vehicle)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으로 대표되는 충돌안전장치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탑승자 앞에서 에어백이 부풀어 2차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에어백이 장착된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충돌센서(11), 가스발생기(12), 에어백(13)을 주요부재로하여 구성되어 있다.
충돌센서(11)에서 차량충돌을 검출하여 차량의 ECU(14)를 매개로 하여 가스 발생기(12)에 신호를 발송하며, 가스 발생기(12) 내부에는 질소와 아르곤을 고압용기에 봉입한 후 전기뇌관이 부착되어 충돌센서(11)의 신호에 의해 폭발한다.
에어백(13)은 가스 발생기(12)의 폭발에 의해 단시간 내에 팽창하여 내압에 의한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는 저속주행중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서도 쉽게 팽창되며, 특히 안전밸트를 착용한 경우 안전밸트에 의해서 충분히 탑승객이 보호할 수 있는 정도에서도 에어백이 팽창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에어백 장치는 한 번 팽창하게 되면, 전문적인 정비소에서 다시 팽창가능한 상태로 해야하는 1회적인 장치이므로 불필요하게 팽창되는 경우 에어백의 관리효율에 매우 불편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백이 팽창되는 시점을 승차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한 경우와 안전밸트를 미착용한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 실질적인 작동구간에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에어백의 관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에어백 장착 차량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버클4 : 스위치
7 : 탄성수단11 : 충돌 센서
12 : 가스 발생기13 : 에어 백
14 : ECU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충돌센서, 가스발생기, 에어백을 주요부재로 하여 구성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안전밸트의 버클 내부에 걸림쇠의 삽입여부에 따라 접점이 이동되는 1접점과 2접점을 구비하여 1접점과 2접점중 어느 한 접점은 소정 차량속도 이상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팽창되도록 차량의 ECU와 연결되며, 다른 한 접점은 상기 소정 차량속도보다 높은 어느 차량속도 이상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팽창되도록 차량의 ECU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은, 1접점은 안전밸트의 버틀 내부에 걸림쇠가 미삽입되는 경우 연결되는 접점이며, 2접점은 버클 내부에 걸림쇠가 삽입되어 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연결되는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밸트의 버클 내부는 걸림쇠의 삽입여부에 따라 회동하는 힌지 스위치와, 걸림쇠 미삽입시 힌지 스위치와 연결되는 1접점과, 걸림쇠 삽입시 힌지스위치와 연결되는 2접점과, 걸림쇠 이탈시 힌지스위치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힌지스위치 일단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는, 안전밸트의 버클(2) 내부에 걸림쇠(3)의 삽입여부에 따라 회동하는 힌지 스위치(4)와, 걸림쇠(3) 미삽입시 힌지 스위치(4)와 연결되는 1접점(5)과, 걸림쇠(3) 삽입시 힌지 스위치(4)와 연결되는 2접점(6)과, 걸림쇠(3) 이탈시 힌지스위치(4)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힌지스위치(4) 일단에 설치되는 탄성수단(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1접점과 2접점중 어느 한 접점은 소정 차량속도 이상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팽창되도록 차량의 ECU와 연결되며, 다른 한 접점은 상기 소정 차량속도보다 높은 어느 차량속도 이상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팽창되도록 차량의 ECU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 차량속도는 실험결과가 차량의 ECU에 약 40㎞/h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 차량속도보다 높은 어느 차량속도는 실험결과 차량의 ECU에 약 70㎞/h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적인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안전밸트의 버클에 걸림쇠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힌지 스위치는 회동되어 2접점에 연결되며, 2접점의 연결에 의해 차량의 ECU에서는 차량의 소정속도 이상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70㎞/h 이상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하도록 설정된 모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반면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안전밸트의 버클에 걸림쇠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힌지 스위치는 1접점에 연결되며, 1접점의 연결에 의해 차량의 ECU에서는 차량이 소정속도 이상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40㎞/h 이상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하도록 설정된 모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주행중 예기치 않은 차량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만약 운전자나 탑승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라면 차량 속도가 40㎞/h 이상인 경우에는 ECU에 설정된 모드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므로 에어백의 팽창은 억제된다.
상기 속도에서 일어난 충돌에 의해 운전자가 받는 충격은 안전밸트에 의해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정도임은 실험결과 주지된 바와 같다.
한편, 안전밸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만약 차량 속도가 40㎞/h 이상인 경우에는 ECU에 설정된 모드의 조건이 만족되어 충돌센서 및 가스발생기의 작용에 의해 에어백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상기 속도에서 일어난 충돌에 의해 운전자가 받는 충격은 안전밸트 미착용시 별도의 보호장치가 없는 한 운전자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정도임은 실험결과 주지된 바와 같다.
한편, 탑승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차량 속도가 40㎞/h 미만인 경우에는 발생되는 충돌은 ECU에 설정된 모드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므로 에어백의 팽창은 억제되며, 상기 속도에서 일어난 충돌에 의해 운전자가 받는 충격은 안전밸트 미착용시에도 운전자에게 상해를 가할 가능성이 적은 정도이다.
한편, 안전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만약 차량속도가 70㎞/h 이상인 경우에는 ECU에 설정된 모드의 조건이 만족되어 충돌센서 및 가스발생기의 작용에 의해 에어백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속도에서 일어난 충돌에 의해 운전자가 받는 충격은 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운전자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안전밸트와 함께 에어백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Claims (1)

  1. 안전밸트의 버클(2) 내부에 걸림쇠(3)의 삽입여부에 따라 회동하는 힌지 스위치(4)와, 걸림쇠(3) 미삽입시 힌지 스위치(4)와 연결되는 1접점(5)과, 걸림쇠(3) 삽입시 힌지 스위치(4)와 연결되는 2접점(6)과, 걸림쇠(3) 이탈시 힌지스위치(4)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힌지스위치(4) 일단에 설치되는 탄성수단(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2019960065841U 1996-12-31 1996-12-31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526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841U KR19980052662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841U KR19980052662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62U true KR19980052662U (ko) 1998-10-07

Family

ID=5400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841U KR19980052662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66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3201A (ko) 목 보호용 에어백 장치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KR19980052662U (ko)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200140889Y1 (ko) 프리텐셔너로 보강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19990007196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940000524Y1 (ko) 차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휴대용 안전장치
KR100254995B1 (ko) 에어백 장착 차량의 안전조향칼럼
KR100204999B1 (ko) 서브마린 방지 시트
KR19980048893U (ko) 자동차 에어백의 쿠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0185963B1 (ko) 차량용 에어백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KR19990038172U (ko) 에어백이 내장된 어린이용 자동차 보조좌석
KR19990021804A (ko) 자동차용 에어 백의 초기 폭발압력 완화장치
KR20020047407A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49064A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의 가스배출조절장치
KR19990042972A (ko) 에어백 장착 차량의 안전조향칼럼
KR19990005034A (ko) 에어백의 백 구조
KR19980038156A (ko)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
KR1999001049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9980021626A (ko) 다단계 발출식 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