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901U -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901U
KR19980050901U KR2019960064077U KR19960064077U KR19980050901U KR 19980050901 U KR19980050901 U KR 19980050901U KR 2019960064077 U KR2019960064077 U KR 2019960064077U KR 19960064077 U KR19960064077 U KR 19960064077U KR 19980050901 U KR19980050901 U KR 199800509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rain
side panel
body structure
pil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은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4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901U/ko
Publication of KR19980050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90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드레인 패널과 인너 사이드 패널의 용접 연결 시에 상하 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정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안팎으로 대향 배치되는 인너 사이드 패널과 아우터 사이드 패널 사이로 드레인 패널을 개재시켜 상호 스포트 용접되게 한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에 있어서, 인너 사이드 패널의 소정 부위에 오목부가 일체로 프레스 성형되고, 대향하는 드레인 패널의 대응 부위로는 상기 오목부에 일치하는 볼록부를 일체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들을 일치시킴에 따라 용접 연결 시에 상하 방향의 유동이 억제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다목적 차량은 비포장 도로 등을 주행할 수 있도록 차체가 높게 설계되면서도 승차감과 내부 인테리어는 승용차의 감각을 느끼게 되어 있는 차량으로서, 그 차체 구성부에 있어서 루프패널은 프론트 필라와, 리어 필라, 그리고 센터 필라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리어 필라는 후방측으로 장착되는 백 도어를 지지하면서 그 백도어의 주변과 접촉하여 기밀성을 유지하여 주는 한편, 루프 필라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의 낙류 통로도 마련하여 주는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시일 문제에 세심한 주의가 요해지고 있는 부분이다.
종래의 리어 필라 부분 구조는 인너 사이드 패널과 아우터 사이드 패널 사이로 드레인 패널을 개재시켜 일체로 용접 연결한 다음, 상기 인너 사이드 패널과 드레인 패널의 최외단변에 시일부재를 끼워 붙여 기밀성이 보전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빗물의 침투를 막는 데에 하등의 문제가 없는 구조이지만, 용접 연결 작업에서 드레인 패널이 인너 사이드 패널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 되어 위치 이동함에 따라 정밀한 용접이 되지 않고, 그것이 시일부재의 설치에 영향을 주어 누수가 생기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아하여 안팎으로 대향 배치되는 인너 사이드 패널과 아우터 사이드 패널 사이로 드레인 패널을 개재시켜 상호 스포트 용접되게 한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에 있어서, 인너 사이드 패널의 소정 부위에 오목부가 일체로 프레스 성형되고, 대향하는 드레인 패널의 대응 부위로는 상기 오목부에 일치하는 볼록부를 일체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들을 일치시킴에 따라 용접 연결 시에 상하 방향의 유동이 억제되게 한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드레인 패널이 인너 사이드 패널과 정확한 위치로 용접 연결됨에 따라 그 최외단변에 삽입 설치되는 시일부재도 정확한 위치로 보전되어 기밀성이 보장된다.
그리고 인너 사이드 패널과 드레인 패널간의 조립 연결을 위한 개선된 구조는 본래의 틀을 크게 벗어나 있지 않는 것이므로 새로운 용접 설비를 갖추어야 할 필요도 없어 간단하게 기존의 용접 라인으로 도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다목적 차량의 외관 형태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련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X-X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드레인 패널의 주요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리어 필라10 : 인너 사이드 패널
12 : 아우터 사이드 패널14 : 드레인 패널
16 : 블록부18 : 오목부
20 : 시일부재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다목적 차량의 외관 형태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센터 루프(2)는 네모서리에 배치되는 프론트 필라(4) 및 리어 필라(6), 그리고 중간의 센터 필라(8)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차량의 구조에서 본 고안에 관련된 리어 필라(6)는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차량의 실내로 면하는 인너 사이드 패널(10)과 외측방으로 면하는 아우터 사이드 패널(12) 사이로 드레인 패널(14)이 개재되어 일체로 용접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패널(14)은 소정 위치마다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볼록부(16)를 가지고 있고, 이것과 대응하는 인너 사이드 패널(10)은 상기 볼록부(16)와 맞접촉되는 오목부(18)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볼록부(16)는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인 패널(14)에서 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오목부(18)도 동일하게 프레스 성형에 의해 오목한 원형부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 오목부(18)와 볼록부(16)를 보유하는 인너 사이드 패널(10)과 드레인 패널(14)은 용접 공정에서 상호 일치됨에 따라 상기 드레인 패널(14)은 인너 사이드 패널(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 패널(14)이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된 채로 용접됨에 따라 조립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인너 사이드 패널(10)과 드레인 패널(14)의 최외측 변은 바른 형태로 되어 시일부재(20)를 삽입 부착시켜 두어도 변형을 유발하지 않아 기밀성이 보전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너 사이드 패널과 드레인 패널 사이에 상호간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일체로 부가 성형시킨 것이므로 용접 조립 공정에서 정밀하게 세팅될 수 있어 그 최외측 단에 배치되는 시일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다목적 차량에 구비되는 백 도어의 기밀성이 장기간에 걸쳐 항구적으로 유지 보전되므로 차량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레인 필라 부위의 용접 연결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백 도어의 시일면에서 변형이 생기지 않게 하는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Claims (1)

  1. 안팎으로 대향 배치되는 인너 사이드 패널과 아우터 사이드 패널 사이로 드레인 패널을 개재시켜 상호 스포트 용접되게 한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에 있어서, 인너 사이드 패널의 소정 부위에 오목부가 일체로 프레스 성형되고, 대향하는 드레인 패널의 대응 부위로는 상기 오목부에 일치하는 볼록부를 일체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들을 일치시킴에 따라 용접 연결 시에 상하 방향의 유동이 억제되게 한 구성으로 된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KR2019960064077U 1996-12-30 1996-12-30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KR199800509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077U KR19980050901U (ko) 1996-12-30 1996-12-30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077U KR19980050901U (ko) 1996-12-30 1996-12-30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901U true KR19980050901U (ko) 1998-10-07

Family

ID=5400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077U KR19980050901U (ko) 1996-12-30 1996-12-30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90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067B2 (en) Door seal interface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space frame
JPS6238854Y2 (ko)
CN100358767C (zh) 带滑动门车辆的车身构造
CA1315323C (en) Cowl structure for use in an automobile body
KR950004303B1 (ko) 차량의 개폐체 밀폐구조
KR19980050901U (ko) 다목적 차량용 드레인 필라 차체 구조
JPH0245053Y2 (ko)
JPH0217924Y2 (ko)
JP2555711Y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200155890Y1 (ko) 차량의 센터 필러 결합구조
KR200158658Y1 (ko) 센터 필러의 보강 구조
KR19980043169U (ko) 휠 하우스 패널 결합구조
KR960005407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러 차체의 결합구조
KR200147949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JP2579293Y2 (ja) 車両の嵌め殺し窓構造
KR970005400Y1 (ko) 차량의 필라부와 도어의 시일구조
KR200158374Y1 (ko) 자동차의 트림 마운팅 브라켓트 위치고정용 홈
CN114275049A (zh) 一种前后车门对开汽车后侧围结构及汽车
KR0136892Y1 (ko) 버스의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는 중간 도어의 어퍼 아웃터 패널 구조
JPH1191625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JP2000025649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4303076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391284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 보강구조
JPH0826137A (ja) 車体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S6029374A (ja) ストラットタワ−取付部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