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264A -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264A
KR19980050264A KR1019960069064A KR19960069064A KR19980050264A KR 19980050264 A KR19980050264 A KR 19980050264A KR 1019960069064 A KR1019960069064 A KR 1019960069064A KR 19960069064 A KR19960069064 A KR 19960069064A KR 19980050264 A KR19980050264 A KR 1998005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means
power tool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완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264A/ko
Publication of KR1998005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264A/ko

Link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조립라인에서 바디에 도아를 조립하는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아우터판넬과 인너판넬이 해밍되어서 성형된 도아의 측벽부에 고정부재로서 힌지수단을 고착시키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 의해서 상기 도아에 고착된 상기 힌지수단의 타단에 전동공구가 간섭 받음이 없이 상기 도아를 바디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제3벤딩부에 상기 힌지수단의 타단을 고정부재로서 고착시키는 제2스텝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아에 힌지수단을 고착시킨 후 힌지수단의 타단을 바디에 고착시키므로써 전동공구가 바디 혹은 도아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조립라인에서 바디에 도아를 조립하는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도아를 바디에 조립할 경우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바디와 도아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용이하게 도아를 바디에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아를 바디에 조립시키기 위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판넬(23)과 보강판넬(22)과 인너판넬(23)로 성형된 바디(2)에 힌지수단(4)을 볼트등과 같은 고정부재(5)로 조립하는 스텝과, 상기 스텝에 의해 상기 바디(2)에 조립된 상기 힌지수단(4)의 타단에 인너도아판넬(12)과 아우터도아판넬(13)로 이루어진 도아(1)를 위치시킨 후 전동공구(3)로써 상기 도아(1)를 상기 힌지수단(4)에 조립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의하면, 제1벤딩부(211)와 제2벤딩부(212)와 제3벤딩부(213)로 이루어진 상기 아우터판넬(21)의 제2벤딩부(212)에 전동공구(3)를 사용하여서 상기 힌지수단(4)을 고착시킨다.
또, 상기 힌지수단(4)을 상기 바디(2)의 고착시킨 후에는 상기 도아(1)를 상기 힌지수단(4)의 타단에 위치시킨 후 상기 도아(1)의 인너도아판넬(12)의 측벽부(121)가 상기 힌지수단(4)의 타단에 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아(1)의 측벽부(121)가 상기 힌지수단(4)에 접하도록 한 후에는 상기 전동공구(3)를 사용하여 고정부재(5)로서 상기 힌지수단(4)과 상기 도아(1)를 조립시킨다.
이때, 상기 전동공구(3)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와 상기 도아(1)의 사이로 집어넣어 상기 도아(1)와 상기 힌지수단(4)을 조립해야하므로써 상기 전동공구(3)가 상기 바디(2)와 상기 도아(1)에 간섭되어 작업을 하기가 곤란했다.
즉, 종래에는 상기 힌지수단(4)의 일단을 상기 아우터판넬(21)의 제2벤딩부(212)에 고착시킨 후 상기 힌지수단(4)의 타단에 상기 도아(1)의 측벽부(141)를 조립하므로써 상기 전동공구(3)가 상기 바디(2)와 상기 도아(1)에 간섭되므로써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제조코스트가 상승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에 도아를 장착할 경우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도아 및 바디에 간섭받음이 없이 용이하게 전동공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은, 아우터판넬과 인너판넬이 해밍되어서 성형된 도아의 측벽부에 고정부재로서 힌지수단을 고착시키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 의해서 상기 도아에 고착된 상기 힌지수단의 타단에 전동공구가 간섭 받음이 없이 상기 도아를 바디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제3벤딩부에 상기 힌지수단의 타단을 고정부재로서 고착시키는 제2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의하면, 도아에 힌지수단을 고착시킨 후 힌지수단의 타단을 바디에 고착시키므로써 전동공구가 바디 혹은 도아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방법에 의해 도아가 바디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법에 의해 도아가 바디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힌지수단 5 : 고정부재
6 : 바디 61 : 아우터판넬
611 : 제1벤딩부 612 : 제2벤딩부
613 : 제3벤딩부 7 : 도아
71 : 인너도아판넬 711 : 측벽부
72 : 아우터도아판넬 8 : 전동공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법에 의해 도아가 바디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6)은 자동차의 바디로써, 외관을 형성시키는 아우터판넬(61)과, 상기 아우터판넬(61)의 내측에 배설되어서 상기 바디(6)를 보강시키는 보강판넬(62)과, 상기 보강판넬(62)의 내측에 배설되어서 내벽을 형성시키는 인너판넬(6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바디(6)의 아우터판넬(61)은, 제1벤딩부(611)와, 상기 제1벤딩부(611)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절곡된 제2벤딩부(612)와, 상기 제2벤딩부(612)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후술하는 힌지수단이 고착되는 제3벤딩부(613)로 이루어진다.
또한, (7)은 상기 바디(6)에 지지되어서 차내를 개폐시키는 도아로써, 외관을 형성시키는 아우터도아판넬(72)과, 상기 아우터도아판넬(72)과 헤밍작업되어서 결합되며 후술하는 힌지수단이 고착되는 측벽부(711)가 형성된 인너도아판넬(71)로 이루어진다.
또, (4)는 상기 도아(7)가 차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아(7)와 상기 바디(6)를 조립시키는 힌지수단으로써, 일단은 상기 도아(7)의 측벽부(711)에 볼트등과 같은 고정부재(5)에 의해 고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6)의 제3벤딩부(613)에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힌지수단(4)은 작업자가 전동공구(8)를 사용하여서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아(7)의 측벽부(711)에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5)에 의해 고착된 후, 상기 힌지수단(4)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5)에 의해 상기 바디(6)의 제3벤딩부(613)에 고착되므로써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6)와 상기 도아(7)에 의해 간섭됨이 없이 상기 전동공구(8)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아우터도아판넬(72)과 상기 인너도아판넬(71)이 헤밍작업되어서 성형된 상기 도아(7)의 측벽부(711)에 상기 전동공구(8)를 사용하여서 상기 고정부재(5)를 매개로 상기 힌지수단(4)을 고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도아(7)의 측벽부(711)에 상기 전동공구(8)를 사용하여 상기 힌지수단(4)을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도아(7)의 측벽부(711)에 상기 힌지수단(4)을 고착시킨 후에는 상기 힌지수단(4)이 고착된 상기 도아(7)를 상기 바디(6)에 위치시킨다.
즉, 상기 힌지수단(4)의 타단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6)의 제3벤딩부(613)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아(7)를 위치시키고 상기 전동공구(8)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5)를 매개로 상기 힌지수다(4)의 타단을 상기 바디(6)의 제3벤딩부(613)에 고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전동공구(8)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상기 힌지수단(4)을 상기 바디(6)에 고착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공구(8)가 상기 바디(6)와 상기 도아(7)에 간섭됨이 없으므로써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도아(7)를 상기 바디(6)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도아(7)를 상기 바디(6)에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써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는 것은 물론이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에 의하면, 도아에 힌지수단을 고착시킨 후 힌지수단의 타단을 바디에 고착시키므로써 전동공구가 바디 혹은 도아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아우터판넬과 인너판넬이 해밍되어서 성형된 도아의 측벽부에 고정부재로서 힌지수단을 고착시키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 의해서 상기 도아에 고착된 상기 힌지수단의 타단에 전동공구가 간섭 받음이 없이 상기 도아를 바디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제3벤딩부에 상기 힌지수단의 타단을 고정부재로서 고착시키는 제2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KR1019960069064A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KR19980050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64A KR19980050264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64A KR19980050264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264A true KR19980050264A (ko) 1998-09-15

Family

ID=6638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064A KR19980050264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40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40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0264A (ko)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JP2001171352A (ja) 自動車用ドア
KR100482601B1 (ko) 프레임리스 도어 글라스 조정장치
KR0181605B1 (ko)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JPH0530527Y2 (ko)
JP2743246B2 (ja)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の組付方法
KR200141685Y1 (ko) 차량용 도어윈도우 글래스 채널의 장착구조
KR100461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힌지 브라켓의 구조
JPH1126314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S6357324A (ja) 自動車のドア及びその組立方法
JP3186856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0210648B1 (ko) 차체에 부설되는 내, 외측 패널의 헤밍 작업 방법
JPH0781419A (ja) 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固定用ブラケット
KR19980062990A (ko) 해치-백 차량의 외측 도어 패널구조
KR100462684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립구조
KR0123441Y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브래킷의 고정구조
JPH08127241A (ja) 自動車のドアウエストモール端末の取付構造
KR200321794Y1 (ko) 차량용 에어콘 케이스
KR0124351Y1 (ko) 자동차용 프론트 필러 용접 지그
JPH0858381A (ja) 自動車用ドアの溶接部品の位置決め構造
KR200151743Y1 (ko) 리어도어용 글래스 가이드의 결합구조
KR100334285B1 (ko) 아웃터밀러 인너가니쉬
KR19980039604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200142233Y1 (ko)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고정 구조
KR20010065893A (ko) 자동차의 필러 샤시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