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918A -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918A
KR19980046918A KR1019960065346A KR19960065346A KR19980046918A KR 19980046918 A KR19980046918 A KR 19980046918A KR 1019960065346 A KR1019960065346 A KR 1019960065346A KR 19960065346 A KR19960065346 A KR 19960065346A KR 19980046918 A KR19980046918 A KR 19980046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ollision
value
moto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918A/ko
Publication of KR1998004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6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reaction to emergency situations, e.g.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자동차는 시트의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가 시트에 고정되어 있어 전/후방에서 갑자기 충돌되었을 때 목이 뒤로 젖혀지면서 헤드레스트에 목이 부딪혀 큰 부상을 당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4 와 같이 자동차가 전/후방으로 충돌되어 전자제어장치(10)에 입력된 충돌설정치보다 큰 충돌인 경우에는 헤드레스트(20)가 시트(38) 본체에서 전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시트(38)의 등받이(22) 내부에 헤드레스트모터(18)가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모터(18)에 축과 결합된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피동기어가 설치되고, 피동기어에는 피동축이 결합되어 헤드레스트(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충돌센서에 의해 감지된 입력신호를 전자제어장치(10)가 판단하여 충돌값이 기 저장된 충돌설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모터(18)가 작동되어 헤드레스트(20)가 뒤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가 갑자기 전/후방에서 충돌되었을 때 전/후방 충돌센서로 부터 신호를 전자제어장치가 입력받아 충돌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충돌값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작동되어 운전자의 목을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전, 후방에서 충돌 되었을 때 충돌값을 계산하여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작동하여 운전자의 목을 보호하도록 한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운전석에 시트(1)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트(1)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2)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시트(1)에 착석한 상태에서 목을 뒤로 젖혀 머리를 헤드레스트(2)의 측면에 기댈 때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2)는 시트(1)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고, 헤드레스트(2)의 내부에는 운전자의 머리가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해 주기 위해서 쿠션재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시트(1)의 헤드레스트(2)는 시트(1)에 고정되어 있어 후방에서 갑자기 충돌되었을 때 목이 뒤로 젖혀지면서 헤드레스트(2)에 목이 부딪혀 큰 부상을 당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시트에 헤드레스트가 고정되어 결합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량이 전, 후방에서 충돌 되었을 때 충돌값을 계산하여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작동하여 운전자의 목을 보호하도록 한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가 전/후방으로 충돌되어 전자제어장치에 입력된 충돌설정치보다 큰 충돌인 경우에는 헤드레스트가 시트 본체에서 전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내부에 헤드레스트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에 축과 결합된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피동기어가 설치되고, 피동기어에는 피동축이 결합되어 헤드레스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충돌센서에 의해 감지된 입력신호를 전자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충돌값이 기 저장된 충돌설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모터가 작동되어 헤드레스트가 뒤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가 갑자기 전/후방에서 충돌되었을 때 전/후방 충돌센서로 부터 신호를 전자제어장치가 입력받아 충돌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충돌값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작동되어 운전자의 목을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의 작동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자제어장치, 12 - 점화스위치,
14 - 전방충돌감지센서, 16 - 후방충돌감지센서,
18 - 헤드레스트모터, 20 - 헤드레스트,
22 - 등받이, 24 - 구동축,
26 - 구동기어, 28 - 피동기어,
30 - 피동축,32 - 지지축,
34 - 보조피동축,36 - 원형브라켓,
38 - 시트.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10)의 데이타입력단에 자동차의 시동을 켜는 점화스위치(12), 전방충돌시 충돌신호를 검출하는 전방충돌감지센서(14), 후방충돌시 충돌신호를 검출하는 후방충돌감지센서(16)가 연결되는 한편 그 출력단에는 헤드레스트모터(18)가 연결되어 전/후방충돌감지센서(14)(16)가 작동되면 전자제어장치(10)에서 충돌값을 계산하여 헤드레스트모터(18)의 속도 조정을 계산하고, 운전자의 목이 헤드레스트(20)에 충돌되어 헤드레스트(20)에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이미 설정된 헤드레스트(20)의 속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모터(18)를 작동시켜 운전자의 목을 보호해주도록 이루어지되, 헤드레스트모터(18)는 시트(38)의 등받이(22)의 내부에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모터(18)에는 구동기어(26)와 결합된 구동축(24)이 결합되고, 구동기어(26)와 맞물려 피동기어(28)가 설치되고, 피동기어(28)에는 피동축(30)이 결합되어 헤드레스트(20)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2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의 구성도로서, 점화스위치(12)는 자동차의 시동을 켜는 장치로서 시동이 켜지게 되면 전자제어장치(10)에 그 신호가 송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전방충돌감지센서(14)는 자동차가 주행중 전방에 있는 차량이나 기타 건물등에 충돌되었을 때 그 충돌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장치(10)에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후방충돌감지센서(16)는 자동차가 주행하거나 정차 및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 후미에 자동차 등이 충돌되었을 때 그 충돌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장치(10)에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전자제어장치(10)는 전/후방충돌감지센서(14)(16)에 충돌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 충돌값을 계산하며, 후술되는 헤드레스트모터(18)를 작동시키거나 멈추게 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제어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거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10)는 점화스위치(12)의 작동으로 시동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동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전/후방충돌감지센서(14)(16)가 작동한다.
상기 전/후방충돌감지센서(14)(16)가 작동되면 전방충돌인가 후방충돌인가를 판단하여 차량충돌값을 계산한다.
상기 측정된 충돌값(h)이 충돌시 운전자가 헤드레스트(20)에 충돌되었을 때 헤드레스트(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정한 충돌값설정치(H)보다 큰 경우에는 머리가 헤드레스트(20)에 부딪히는 것을 확인하고 헤드레스트모터(18)를 작동시킨다.
자동차가 전방에 충돌되었을 때는 운전자의 신체가 앞으로 기울어진 다음 뒤로 젖혀지므로 헤드레스트모터(18)도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20)가 뒤로 회전되고, 후방에서 충돌되었을 때도 운전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헤드레스트모터(18)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20)도 뒤로 회전되어 운전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20)에 갑자기 충돌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충돌측정값(h)이 전자제어장치(10)에 설정한 충돌값설정치(H)보다 작은 경우에는 즉, 미세한 충돌인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모터(18)는 작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가 갑자기 전/후방에서 충돌되었을 때 전/후방 충돌센서로 부터 신호를 전자제어장치가 입력받아 충돌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충돌값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작동되어 운전자의 목을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자제어장치(10)의 데이타입력단에 자동차의 시동을 켜는 점화스위치(12), 전방충돌시 충돌신호를 검출하는 전방충돌감지센서(14), 후방충돌시 충돌신호를 검출하는 후방충돌감지센서(16)가 연결되는 한편 그 출력단에는 헤드레스트모터(18)가 연결되어 전/후방충돌감지센서(14)(16)가 작동되면 전자제어장치(10)에서 충돌값을 계산하여 헤드레스트모터(18)의 속도 조정을 계산하고, 운전자의 목이 헤드레스트(20)에 충돌되어 헤드레스트(20)에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이미 설정된 헤드레스트(20)의 속도 조정값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모터(18)를 작동시켜 운전자의 목을 보호해주도록 이루어지되, 헤드레스트모터(18)는 시트(38)의 등받이(22)의 내부에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모터(18)에는 구동기어(26)와 결합된 구동축(24)이 결합되고, 구동기어(26)와 맞물려 피동기어(28)가 설치되고, 피동기어(28)에는 피동축(30)이 결합되어 헤드레스트(20)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2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KR1019960065346A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KR19980046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46A KR19980046918A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46A KR19980046918A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18A true KR19980046918A (ko) 1998-09-15

Family

ID=6652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346A KR19980046918A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9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99B1 (ko) * 2004-06-17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99B1 (ko) * 2004-06-17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1750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WO2006126450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3297441B2 (ja) 自動車の補助拘束手段のための制御装置
KR19980046918A (ko) 자동차의 충돌시 헤드레스트 작동장치
JP4296422B2 (ja) 車両用オットマン装置
JP2573451B2 (ja) 車両用シートの安全装置
KR100193769B1 (ko) 자동차 탑승자의 경추 보호 장치
KR200151151Y1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JPH09309403A (ja) 車両のヘッドレスト
KR10034974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JP200702245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0173273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제어장치
KR20040095385A (ko) 헤드레스트 장착 뒷좌석용 에어백 장치 및 방법
KR100210927B1 (ko) 좌석 위치에 따른 동작 제어기능을 구비한 에어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265428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00203412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크기 및 분사각도 조절장치
KR20060130953A (ko) 차량의 정면 충돌시 승객 보호를 위한 시트백 구동제어장치
KR200152245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100448129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조
KR19990059439A (ko)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KR19980014133U (ko)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KR19980029207A (ko) 충돌 사전 간비 및 시트 자동 후진 장치
KR19980053299U (ko) 자동차의 승객 경추보호장치
KR19990026183U (ko) 차량의 안전장치
JPH10226291A (ja) 衝突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