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943U -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943U
KR19980044943U KR2019960058082U KR19960058082U KR19980044943U KR 19980044943 U KR19980044943 U KR 19980044943U KR 2019960058082 U KR2019960058082 U KR 2019960058082U KR 19960058082 U KR19960058082 U KR 19960058082U KR 19980044943 U KR19980044943 U KR 19980044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racket
shock absorber
washer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8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943U/ko
Publication of KR19980044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94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관한 것으로, 점탄성재질의 고무(41), 이 고무(4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단와셔(42) 및 하단와셔(43), 상기 고무의 중간부위에 내재되어 차체프레임(700)과 결합된 브라켓트(800)의 일측단부와 접촉됨과 더불어 결합수단(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800)와 결합되도록 된 중간와셔(44,44')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있어서, 상기 중간와셔(44,44')가 결합수단(600)에 의한 결합시 고무(41)와 접촉되는 브라켓트(800)의 양측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 2개가 배설되어져, 쇽업소버(200)의 작동시 상기 고무(41)와 브라켓트(800)와의 마찰력발생을 방지됨으로써 상기 고무(41)의 마모성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조립시간을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본 고안은 전방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단부시의 중앙부위에 2개의 중간와셔가 장착됨으로써 고부와 브라켓트와의 마찰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조립공정상에서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써, 전방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코일스프링(100)과, 이 코일스프링(100)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된 쇽업소버(200)와, 언더바디의 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크로스멤버(300)와,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된 위암과 아래암(400)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50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현가장치중 상기 쇽업소버(200)는 자동차의 주행중 받는 스프링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하운동의 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작용을 하며, 그 방법에 따라 고체마찰식과 유압식이 있고, 작동상으로는 신장시에 감쇠력을 발생하는 단동식과 압축시와 신장시의 두가지 경우에 모두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이 있는 바, 일반적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와, 이 실린더(10)의 일부분을 덮고 있는 먼지덮개(2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된 피스톤(30) 및, 차체의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상단부시(40)와 하단부시(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시(40)의 종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탄성 재질인 고무(41)와, 이 고무(4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단와셔(42) 및,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 내재되어 차체프레임(700)과 결합된 브라켓트(800)의 일측 끝단부와 접촉됨과 더불어 결합수단(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800)의 일측면과 단단히 결합되도록 된 중간와셔(4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면 코일스프링(100)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하중이 1차 흡수됨과 더불어 쇽업소버(200)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이때 상기 쇽업소버(200)의 피스톤(30)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또한 충격하중은 상단부시(40)에 의해 흡수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상단부시(40)에 의하면, 고무(41)의 중간부위에 1개의 중간와셔가 내재되어 브라켓트(800)의 일측면만을 커버링함으로 인해, 상기 중간와셔(44)가 커버링되지 않은 브라켓트(800)의 타측면은 결합수단(600)에 의해 상기 고무(41)와 집적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쇽업소버(200)의 작동시 상기 고부(41)와 브라켓트(800)의 일측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상기 고무(41)의 마모현상이 빠르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상에도 조립시간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브라켓트의 양측면을 모두 커버링할 수 있도록 2개의 중간와셔를 고무의 중간부위에 내재시켜 쇽업소버의 작동시 상기 고무와 브라켓트와의 마찰력발생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고무의 마모성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방현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전방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쇽업소버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구조에 따른 상단부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단부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실린더20 - 먼지덮개
30 - 피스톤40 - 상단부시
41 - 고무42 - 상단와셔
43 - 하단와셔44,44' - 중간와셔
50 - 하단부시100 - 코일스프링
200 - 쇽업소버300 - 크로스멤버
400 - 로어암500 - 스테빌라이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점탄성재질의 고무, 이 고무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단와셔 및 하단와셔, 상기 고무의 중간부위에 내재되어 차체프레임과 결합된 브라켓트의 일측단부와 접촉됨과 더불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와 결합되도록 된 중간와셔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있어서, 상기 중간와셔가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시 고무와 접촉되는 브라켓트의 양측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의 중간부위에 2개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단부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점탄성재질의 고무(41), 이 고무(4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단와셔(42) 및,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 내재되어 차체프레임(700)과 결합된 브라켓트(800)의 일측 끝단부와 접촉됨과 더불어 결합수단(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800)의 일측면과 단단히 결합되도록 된 중간와셔(44,44')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있어서, 상기 중간와셔(44,44')가 결합수단(600)에 의한 상단부시(40)의 결합시 고무(41)와 접촉되는 브라켓트(800)의 양측면을 모두 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 2개가 배설된다.
따라서, 고무(41)의 상·하단에 상단와셔(42)와 하단와셔(43)를 배설함과 더불어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는 2개의 중간와셔(44,44')를 배설하고, 이 중간와셔(44,44') 사이에 차체프레임(700)과 결합된 브라켓트(800)의 일측 끝단부를 배설한 다음 결합수단(600)을 매개로 단단히 조여주게 되면, 상기 브라켓트(800)의 양측면이 중간와셔(44,44')에 의해 고무(41)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써 쇽업소버(200)의 피스톤(30) 작동시 상기 고무(41)와 브라켓트(800)의 마찰력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점탄성재질의 고무, 이 고무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단와셔 및 하단와셔, 상기 고무의 중간부위에 내재되어 차체프레임과 결합된 브라켓트의 일측단부와 접촉됨과 더불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와 결합되도록 된 중간와셔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있어서, 상기 중간와셔가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시 고무와 접촉되는 브라켓트의 양측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의 중간부위에 2개가 배설되어져, 쇽업소버의 작동시 상기 고무와 브라켓트와의 마찰력발생을 방지됨으로써 상기 고무의 마모성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조립시간을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점탄성재질의 고무(41), 이 고무(4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단와셔(42) 및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 내재되어 차체프레임(700)과 결합된 브라켓트(800)의 일측단부와 접촉됨과 더불어 결합수단(600)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800)와 결합되도록 된 중간와셔(44,44')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에 있어서,
    상기 중간와셔(44,44')가 결합수단(600)에 의한 상단부시(40)의 결합시 고무(41)와 접촉되는 브라켓트(800)의 양측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41)의 중간부위에 2개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KR2019960058082U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KR199800449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082U KR19980044943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082U KR19980044943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943U true KR19980044943U (ko) 1998-09-25

Family

ID=5399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082U KR19980044943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94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9980044943U (ko)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상단부시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192332B1 (ko) 어퍼암 부쉬
KR19980054472U (ko) 쇽 업소버의 아이부 장착구조
KR200230044Y1 (ko) 쇽업소버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100192406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259701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KR10042255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상부체결구조
KR20000013586U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040042384A (ko) 차량의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댐퍼의 결합구조
KR19980056278A (ko) 차량의 운전실용 서스펜션 구조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998002912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19990035378A (ko) 현가장치의 쇽업소오바와 상 콘트롤 아암의 결합부 완충 부쉬구조
KR0116863Y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20050076859A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어셈블리
KR19980061252A (ko) 쇽 업소버 일체형 리프스프링구조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19990059800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90027830U (ko)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