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709A -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709A
KR19980044709A KR1019960062829A KR19960062829A KR19980044709A KR 19980044709 A KR19980044709 A KR 19980044709A KR 1019960062829 A KR1019960062829 A KR 1019960062829A KR 19960062829 A KR19960062829 A KR 19960062829A KR 19980044709 A KR19980044709 A KR 1998004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ce
steering
reaction
power steer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5238B1 (ko
Inventor
변종식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6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2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로서 조향력을 어시스터하는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축에 반력 플레이트와 반력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반력 피스톤의 둘레에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결합 설치하여 반력실을 구성하게 하고, 상기 하나의 반력 피스톤에 4개의 V홈을 구성하여 하나의 반력 피스톤을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리프런스를 증가시켜 조종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부품수와 가공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고 장치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고속과 저속 주행시 안정적인 조향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유압작동기를 조향보조력의 발생원으로 하는 유압식 동력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조향차륜에 연결된 출력축과 핸들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축을 토션바를 통하여 동축상에 연결하고 핸들에 조향토오크가 가해진 경우, 이에 수반된 토션바의 비틀림에 따라서 입력축과 출력축간에 상대각 변위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상의 동력조향장치는 입력축 및 출력축의 어느 한쪽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의 케이싱과 이것의 내부에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나머지 하나의 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밸브제로 이루어진 유압제어밸브를 갖추고 있다. 이 유압제어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유압작동기의 송급유압을 조향토오크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서 제어하여 조향보조력을 얻는다.
그런데 핸들의 조작에 필요한 힘의 크기는 노면으로부터 핸들에 대하여 작용하는 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며, 이 반력의 크기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의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는 핸들에 가해지는 조향토오크와 유압작동기가 발생하는 조향 보조력간의 대응관계는 토션바의 비틀림 특성만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토션바가 정지시 또는 저속 주행시에 작용하는 큰 반력을 기준으로 선정되어 있는 경우, 고속 주행시 핸들에 약한 반력이 작용하게 되어 직진 안정성의 악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난점이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토션바가 고속 주행시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시 및 저속 주행시에 충분한 조향보조력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과의 연결부분에 유압제어밸브와는 별도로 유압반력장치를 설치한 동력조향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 유압반력장치를 이용해서 차량속도에 비례하는 유압반력을 동력조향장치에 작용시켜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각변위에 따른 유압제어밸브의 제어동작을 고속주행시에는 강한 힘으로, 저속 주행시에는 약한 힘으로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유압반력장치가 입력축(2) 하단부와 출력축(3) 상단부와 수개의 플런져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3)과 하우징(1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원환상 공간으로된 반력실(33)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3) 내부에는 입력축(2)의 일부가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고, 그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3)에는 상기 각 오목부(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31)이 원주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31)의 각각에는 그에 대응하는 플런저(32)가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각각의 플런저(32)는 그 내측단부에 반구형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볼록부는 입력축(2)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22)와 제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압반력장치에 의하면, 상기 반력실(33)에 차량속도에 대응하는 크기의 유압을 도입함으로써, 고속주행시 핸들에 적정한 강성을 부여하여 차량의 직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지시 및 저속 주행시 충분한 조향보조력을 얻어서 핸들의 조작에 요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는 조향핸들에 반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압반력장치와는 별도로 토션바의 파손시 수동조향을 가능케 하기 위한 스톱퍼 장치를 유압제어밸브와 유압반력장치 사이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동력조향장치의 전체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공 및 제작상 어려움이 있는 결점과 출력축의 플런저와 입력축의 오목부간에 다수의 접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자간에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반력실내에 유압이 형성될 때 토션바가 미세하게 흔들리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입력축에 반력 플레이트와 반력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반력 피스톤의 둘레에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결합 설치하여 반력실을 구성하게 하고, 상기 하나의 반력 피스톤에 4개의 V홈을 구성하여 하나의 반력 피스톤을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유압반력를 증가시켜 조종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부품수와 가공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고 장치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려는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시스템 개략도.
도 2는 제 1 도의 A - A선 단면도(반력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시스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입력축, 2: 반력 플레이트, 3: 반력 피스톤, 4: 가이드 핀, 5: 몸체, 6: 가이드홈, 7: 반력실, 8: V홈, 9: 밸브 바디(VALVE BODY), 10: 압력제어밸브, 11: 솔레노이드, 12: E.C.U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도 3과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축(1)에 고정핀 반력 플레이트(2)와 반력실(7)을 형성하는 밸브 바디(9)에 반력 피스톤(3)을 설치하고, 상기 반력 피스톤(3)의 둘레에 가이드핀(4)을 형성하여 몸체(5)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에 결합 설치하여 반력실(7)을 구성하게 하고, 상기 하나의 반력 피스톤(3)에 4개의 V홈(8)을 형성하여 하나의 반력 피스톤(3)을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유압반력를 증가시켜 조종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속에 따라 E.C.U(12)는 솔레노이드(11)를 비례적으로 움직여 압력제어밸브(10)를 제어해서 반력실(7)로 반력압을 공급하면 반력 피스톤(3)이 상기 반력압을 받아 반력 플레이트(2)에 밀착되어 입력축(1)의 회전 동작시 반력을 발생시켜 차속의 가감에 따른 조종 안정성을 도모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4개의 V홈이 형성되는 하나의 반력 피스톤(3)을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리프런스를 증가시켜 조정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와 가공수를 줄여 제작 가공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수와 가공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치수 공차에 따른 가공정밀성 유지가 용이하여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의 기능과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축에 반력 플레이트와 반력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반력 피스톤의 둘레에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결합 설치하여 반력실을 구성하게 하고, 상기 하나의 반력 피스톤에 4개의 V홈을 구성하여 하나의 반력 피스톤을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반력를 증가시켜 조종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부품수와 가공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고 장치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한 것이다.

Claims (1)

  1. 입력축(1)에 고정된 반력 플레이트(2)와 반력실(7)을 형성하는 밸브바디(9)에 반력 피스톤(3)을 설치하고, 상기 반력 피스톤(3)의 둘레에 가이드핀(4)을 형성하여 몸체(5)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에 결합 설치하여 반력실(7)을 구성하게 하고, 상기 하나의 반력 피스톤(3)에 4개의 V홈(8)을 형성하여 하나의 반력 피스톤(3)을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반력을 증가시켜 조정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KR1019960062829A 1996-12-07 1996-12-07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KR10021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829A KR100215238B1 (ko) 1996-12-07 1996-12-07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829A KR100215238B1 (ko) 1996-12-07 1996-12-07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709A true KR19980044709A (ko) 1998-09-05
KR100215238B1 KR100215238B1 (ko) 1999-08-16

Family

ID=1948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829A KR100215238B1 (ko) 1996-12-07 1996-12-07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21B1 (ko) 2004-10-27 2010-10-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반력제어장치
KR100723730B1 (ko) 2005-10-21 2007-05-30 주식회사 만도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KR100738393B1 (ko) 2005-10-24 2007-07-12 주식회사 만도 반력식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5238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177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ITRM950426A1 (it)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parametrico della forza di reazione, in particolare di un volante di sterzo servoassistito.
KR100215238B1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US5788340A (en)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braking device using thereof
KR0135019B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장치
US4844118A (en) Rotary hydraulic distributor for a servo mechanism
JP2547856Y2 (ja) 動力舵取装置
JPH0224699Y2 (ko)
JPH03114976A (ja) 四輪操舵車の後輪舵角制御装置
KR100393109B1 (ko) 자동차용조향장치의직진주행성보상장치
KR20010014280A (ko) 차량 클러치용 서보 액츄에이터
KR950013090B1 (ko)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
KR100217249B1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KR0133301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264910B1 (ko) 자동차용 유압제어 밸브구조
KR200206514Y1 (ko) 전자석을이용한속도감응형동력조향장치
KR0170615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
KR940002083B1 (ko) 동력조향장치
JPS60226369A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JP3455310B2 (ja) パワーケース
JPH05330441A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JP3147713B2 (ja) 車両用操舵装置
SU1521651A1 (ru) Гидроусилитель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0128079A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JP2504669Y2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