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412U -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412U
KR19980044412U KR2019960057547U KR19960057547U KR19980044412U KR 19980044412 U KR19980044412 U KR 19980044412U KR 2019960057547 U KR2019960057547 U KR 2019960057547U KR 19960057547 U KR19960057547 U KR 19960057547U KR 19980044412 U KR19980044412 U KR 19980044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oom mirror
damping rubber
mounting structu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갑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7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412U/ko
Publication of KR19980044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41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룸 미러를 지지하고 있는 미러 지지대와 프론트 윈드실드 사이에 댐핑고무를 끼워,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룸미러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루프 내측패널(3)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8)과, 미러 지지대(10)를 통해 고정 브라켓(8)에 설치되는 하우징(14)과, 방진재(18)를 개재하여 하우징(14)내에 장착되는 룸미러(16)와, 미러 지지대(10)에 형성된 돌출부(10a)가 삽입되는 수납홈(20a)을 지니며 흡착판(22)에 의해 프론트 윈드실드(6)에 부착되는 댐핑고무(20)와, 댐핑고무(20)의 수납홈(20a)내에 삽입되는 스프링(24)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룸 미러를 지지하고 있는 미러 지지대와 프론트 윈드실드 사이에 댐핑고무를 끼워,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룸미러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측면 및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룸 미러(room mirror)와 사이드 미러(side mirror)가 장착되어 있다. 승용차의 경우에 룸 미러는 통상, 운전자가 손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후방영역을 관찰할 때에 주로 이용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차선을 변경할 때에 차량의 측면 및 후방영역을 관찰하기 위해 주로 이용한다.
통상, 룸 미러는 미러 지지대를 이용하여 루프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 1을 참고로, 종래의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에는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프론트 윈드실드(6)가 실러(4)를 개재하여 루프 외측패널(2) 및 루프 내측패널(3)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영역을 관측할 때에 사용하는 룸 미러(16)는 미러 지지대(10)를 개재하여 루프 내측패널(3)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맞게 후방 관측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룸미러(16)는 하우징(14)에 끼워진 회동볼(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우징(14)의 내부에는 방진재(18)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에서는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룸미러가 흔들림으로써, 후방영역을 정확히 관측할 수 없게 되며, 그로 인해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룸 미러를 지지하고 있는 미러 지지대와 프론트 윈드실드 사이에 댐핑고무를 끼워,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룸미러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댐핑고무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3: 루프패널4: 실러
6: 프론트 윈드실드8: 고정 브라켓
10: 미러 지지대12: 회동볼
14: 하우징16: 룸 미러
20: 댐핑고무20a: 수납홈
22: 흡착판24: 스프링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루프 내측패널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과, 미러 지지대를 통해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방진재를 개재하여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룸미러와, 미러 지지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수납홈을 지니며 흡착판에 의해 프론트 윈드실드에 부착되는 댐핑고무와, 댐핑고무의 수납홈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노면으로부터 미러 지지대로 전달된 진동을 댐핑고무와 스프링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미러의 떨림현상을 방지하여 후방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댐핑고무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로,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프 내측패널(3)에는 고정 브라켓(8)이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 브라켓(8)에는 미러 지지대(10)를 통해 하우징(14)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4)은 회동볼(12)을 중심으로 미러 지지대(1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14)내에는 방진재(18)를 개재하여 룸 미러(16)가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룸 미러 장착구조에 있어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룸 미러(16)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프론트 윈드실드(6)와 미러 지지대(10)사이에 댐핑고무(20)를 삽입하였다. 댐핑고무(20)내에는 수납홈(20a)을 형성하여, 미러 지지대(10)에 형성된 돌출부(10a)를 삽입하였으며, 수납홈(20a)내에는 스프링(24)이 끼워져 있다. 스프링(24)은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댐핑고무(20)의 상단에는 흡착판(22)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흡착판(22)을 프론트 윈드실드(6)의 내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댐핑고무(20)를 고정하게 된다. 도 3에는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댐핑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하였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핑고무(20)의 상단은 프론트 윈드실드(6)에 밀착되도록 흡착판(22)을 부착하였으며, 내부에는 스프링(24)이 삽입되는 수납홈(20a)을 형성하였다. 또한, 수납홈(20a)의 하부에는 미러 지지대(10)에 형성된 돌출부(10a)가 끼워진다. 따라서,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스프링(24)이 내장된 본 고안의 댐핑고무(20)를 통해 충분히 흡수됨으로써, 미러의 떨림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는 노면으로부터 미러 지지대로 전달된 진동을 댐핑고무와 스프링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미러의 떨림현상을 방지하여 후방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루프 내측패널(3)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8)과, 미러 지지대(10)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8)에 설치되는 하우징(14)과, 방진재(18)를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4)내에 장착되는 룸미러(16)와, 상기 미러 지지대(10)에 형성된 돌출부(10a)가 삽입되는 수납홈(20a)을 지니며 흡착판(22)에 의해 프론트 윈드실드(6)에 부착되는 댐핑고무(20)와, 상기 댐핑고무(20)의 수납홈(20a)내에 삽입되는 스프링(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KR2019960057547U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KR199800444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547U KR19980044412U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547U KR19980044412U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412U true KR19980044412U (ko) 1998-09-25

Family

ID=5399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547U KR19980044412U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41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54613A (en) Sun visor
KR100591975B1 (ko) 보조미러가 달린 뿔 형상 백미러
US6840641B2 (en) Carrier plate for mirror assembly
KR19980044412U (ko) 자동차용 룸 미러의 장착구조
KR100223561B1 (ko) 사이드 미러 장착구조
JP2005001400A (ja) 車両用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け具
KR200143822Y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장착구조
JP2605379Y2 (ja) 車載機器の支持装置
KR200149445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글라스의 고정구조
KR0125674Y1 (ko)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KR19980036531U (ko) 승용차의 후방 주시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글래스 떨림 방지 구조
KR200151622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지지용 패널구조
FR2828666A1 (fr) Pare-choc-hydraulique (securite-antichoc-vehicules automobiles)
KR0136534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보강재
JPH057082Y2 (ko)
KR960003457Y1 (ko) 자동차 백미러의 미러떨림 방지장치
KR200174835Y1 (ko) 윈드 쉴드 글라스 고정장치
JPH057081Y2 (ko)
US20050134985A1 (en)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particularly passenger cars
KR19980037161U (ko) 거울 이탈 방지를 위한 자동차 인사이드 미러 구조
JP2006340817A (ja) アームレスト構造
KR19980034970U (ko) 자동차의 선글래스 및 티켓 꽂이 겸용 룸 미러
KR19980042531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충격흡수장치
KR19980059589A (ko) 자동차의 선글래스 및 티켓 꽂이 겸용 룸 미러
KR19980042626U (ko) 자동차용 안경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