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732A -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732A
KR19980042732A KR1019970062832A KR19970062832A KR19980042732A KR 19980042732 A KR19980042732 A KR 19980042732A KR 1019970062832 A KR1019970062832 A KR 1019970062832A KR 19970062832 A KR19970062832 A KR 19970062832A KR 19980042732 A KR19980042732 A KR 1998004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put
area
information inpu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976B1 (ko
Inventor
우스다히로시
미야자끼미쯔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4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31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comprising a target pattern, e.g. for indicating the center of the bar code or for helping a bar code reader to properly orient the scanner or to retrieve the bar code inside of an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직접 의식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 및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표시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입력 시트를 촬상(撮象)부에서 촬상하여 얻어지는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영역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부에 의해 화상 인식된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를 판별하여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코드를 특정하고, 정보 입력 시트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부에서 인증한다.

Description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
본 발명은 화상 인식을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존의 AV(오디오 비쥬얼) 기기, 정보 기기나 통신 기기의 각 기능을 조합시킴으로써, 멀티 미디어 정보의 입출력을 가능하게 한 장치로서, 통신 기능 부가 휴대형 정보 단말이나 통신 기능 부가 카메라 일체형 VTR, 또는 통신 기능과 함께 AV 기능을 탑재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 멀티 미디어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이서네트(Ethernet)나 토큰 링(token ring), ATM 등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나 공중 전화 회선 등의 유선 통신망 혹은 적외선 통신이나 무선 전화 통신, 위성 통신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종 멀티 미디어 기기를 접속하도록 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멀티 미디어 기기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전용 콘트롤러, 마이크로폰 등이 그대로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 상품이나 물품의 식별에 1차원 혹은 2차원 방향으로 배치된 2치(値) 부호로 구성된 코드, 이른바 바코드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특정화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멀티 미디어 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전용 콘트롤러,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의 조작 방법은, 인간의 감각에 적합한 조작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고, 컴퓨터 등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있어서는 직감적으로 조작 방법을 이해하기 곤란하며, 조작 방법에 숙련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훈련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 상품이나 물품의 식별에 1차원 혹은 2차원의 2치 부호의 코드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특정화하고 있었으나, 식별 대상물의 종류의 증가에 따라, 대응되는 코드 그 자체가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코드 그 자체의 자릿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응하고 있으나, 단위 면적 당의 최소 정보량은 고작 2 비트 정도이며, 전체로서 코드의 전유 면적이 증가해 버린다. 코드의 전유 면적은 식별 대상물인 상품이나 물품의 표면적을 빼앗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코드의 인식 시간을 증가시키게 되고 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직접 의식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 정보 입력 방법 및 정보 입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대량의 데이터 중의 특정 정보와의 관련(關連)을 행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 정보 입력 방법 및 정보 입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품이나 물품의 식별에 처하여 단위 면적 당의 식별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 정보 입력 방법 및 정보 입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은,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을 물체 표면에 부가하고, 상기 인식 대상 패턴의 화상 인식에 의해 상기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에 따른 코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시트는,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과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과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상기 표시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입력 시트,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표시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영역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 대상 패턴을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 및 상기 화상 인식부에 의해 화상 인식된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코드를 특정하고, 상기 정보 입력 시트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정보 입력 장치의 기능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입력 장치를 적용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보 입력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정보 입력 장치에서의 입력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입력 시트에 기재된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코드 할당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입력 시트에 기재된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정보 입력 장치에서의 입력 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의 입력 시트를 사용한 정보 입력 장치의 출력부에 의한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정보 입력 장치의 화상 인식부에서의 인식 대상의 식별 처리의 수단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9는 정보 입력 장치의 화상 인식부에 의한 위치 보정으로 검출되는 위치 어긋남량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인식 대상의 식별 처리에서의 회전 그림 문자의 추출 처리에서 추출되는 각 그림 문자의 중심과 외접 직사각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인식 대상의 식별 처리에서의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결정 처리에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회전 그림 문자 코드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정보 입력 장치의 화상 인식부에서의 입력/선택 지시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13은 정보 입력 장치의 화상 인식부에 의한 입력/선택 지시의 추출 처리에서 추출되는 입력/선택 지시를 부여하는 액세스 지시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입력 시트에 기재된 회전 그림 문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촬상부
102 : 화상 인식부
103 : 제어부
104 : 기억부
105 : 출력부
106 : 정보 배신부(配信部)
107 : 외부 디바이스
202 : 콘트롤 박스
205A : 뷰어
205B : 비디오 스캔 컨버터
206 : 워크스테이션
207A : 콘트롤러
207B : VTR
207C : 모뎀
207D : 전화기
207E : 카메라
208 : 미디어 베이스
209 : 입력 시트
210 : CCD 카메라
301 : CPU
302 : 화상 처리부(Image Processing Unit)
303 : 카메라 인터페이스(Camera Interface)
304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Display Interface)
30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306 :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Home Network Interface)
307 : ROM
308 : RAM
309 : HD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정보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정보 입력 장치는, 촬상부(101), 화상 인식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 출력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다시, 제어부(103)는, 네트워크나 홈 버스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정보 배신부(106) 및 외부 디바이스(107)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 적용된다.
촬상부(10)는 종이 등의 물체 표면상에 부가된 인식 대상 패턴과 사용자에 의해 손가락 등으로 행해지는 액세스 지시 패턴을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뷰어(viewer)(205A)상에 설치된 CCD 비디오 카메라(201)로 이루어진다. CCD 비디오 카메라(201)는 뷰어(205A)가 설치된 미디어 베이스(208)상에 배치되는 입력 시트(209)를 촬상한다.
여기서, 입력 시트(209)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카테고리 영역(A, B, C, D, E)으로 구분된 종이 등으로 구성된 정보 선택 매체이다. 이 입력 시트(209)에서의 제1 카테고리 영역(A)에는,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이 시트가 도 1에 도시한 정보 입력 장치용 시트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그림 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제2 카테고리 영역(B)에는,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이 시트와 전자적인 정보를 대응짓기 위한 식별 그림 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제3 카테고리 영역(C)에는 위치 보정 마크가 기재된다. 제4 카테고리 영역(D)에는 사용자가 선택 지시를 행하기 위한 마크가 기재되어 있다. 제5 카테고리 영역(E)에는 정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 인식부(102)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화상 인식한다. 도 2에 도시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의 콘트롤 박스(202)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CCD 비디오 카메라(2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상 인식부(102)에서는, CCD 비디오 카메라(2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에 대해, 인식 대상의 식별과 인증 처리를 행하고, 그 식별 결과 및 인증 결과를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 인식부(102)는 후술할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에 대응한 정보와의 관련이 행해진 후에는, 수시로, 사용자에 의한 입력/선택 지시를 인식하여, 그 인식 결과를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제어부(103)는 도 2에 도시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의 콘트롤 박스(202)내에 설치되어 있고, 각 부분간에서의 정보의 송수신을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우선,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와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억부(104)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관련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한다. 즉, 자기의 장치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관련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와 관련을 행한다.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관련을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를 정보 배신부(106)에 송신하고, 정보 배신부(106)로부터 관련 결과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관련지어진 정보는 정보 배신부(106) 혹은 정보 배신부(106)에 접속된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내에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와 대응하는 정보와의 관련이 취해진 후, 제어부(103)는 제어부(103)내에 설치된 일시 기억부에 관련지어진 정보를 판독한다. 이 판독되는 정보에는, 출력부(105)에 출력하고 표시하는 표시 정보나 외부 디바이스(10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다른 정보로의 링크 정보, 입력 시트(209)의 구성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 후, 화상 인식부(102)로부터의 입력/선택 지시에 대해, 그때마다 인증을 행하고, 표시 화면의 갱신이나 외부 디바이스(107)에 대한 제어를 행하며, 그 조작 내용과 정보의 배신 결과를 출력부(105)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제어부(103)내의 일시 기억부에 판독되는 각종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정보는, 문자, 화상, 레이아웃 정보, 소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03)는 이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105)로의 화면 표시나 발음 제어를 행한다. 제어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지시되었을 때에 외부 디바이스(10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제어부(103)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외부 디바이스(107)가 VCR인 경우, VCR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재생 제어 정보, 정지 제어 정보, 빨리가기 제어 정보, 되감기 제어 정보, 일시 정지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링크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지시되었을 때에 기억부(104), 정보 배신부(106) 혹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된 다른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03)는 이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정보를 다시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이 링크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성 정보는, 정보 입력 시트(209)의 카테고리 영역(D, E)에 뭔가 기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가 입력/선택 지시를 하였을 때에, 사용자가 지시한 시트상의 물리적 위치와 그 위치에 대응하는 다음의 처리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좌표와 그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 상술한 제어 정보 혹은 링크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명령이 대응지어져 기술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04)는 도 2에 도시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의 콘트롤 박스(202)내에 설치되어 있고, 인식 대상 패턴과 관련지어지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107)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사전에 정보 배신부(106)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나 위성 통신 등을 사용하여 기억부(104)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콘트롤 박스(202) 내부에 기억부(104)를 구비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선택 지시에 대한 응답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105)는 화상 인식부(102)로부터의 입출력 지시에 의한 조작 내용과 정보의 배신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나 프린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출력부(10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할 각종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을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는, 출력부(105)는 뷰어(205A) 및 비디오 스캔 컨버터(205B)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배신부(106)는 이서네트나 토큰 링, ATM에 의한 네트워크 등의 유선 통신망 혹은 적외선 통신이나 PHS 통신, 위성 통신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어부(103)와 접속되어 있다. 정보 배신부(106)는, 제어부(103)가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와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할 수 없는 경우에,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와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된 정보와의 관련을 행한다. 도 2에 도시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는, 워크스테이션(206)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디바이스(107)는 입력/선택 지시에 따라 제어부(103)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이며,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AV 기기(207A), VCR(Video Cassette Recorder)(208B), 모뎀(207C), 전화기(207D), 카메라(207E)이다. 이외에, 컴퓨터나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이어도 상관없다. 이 외부 디바이스(107)는 유선 통신선 또는 무선 통신선에 의해 제어부(103)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콘트롤 박스(202)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콘트롤 박스(2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 화상 처리 장치(302), 카메라 인터페이스(303),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5),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6), ROM(Read Only Memory)(307), RAM(Random Access Memory)(308) 및 HDD(Hard Disk Drive)(309), BUS(310)로 구성되어 있다.
CPU(301)는 ROM(307)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RAM(308)에 전개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콘트롤 박스(202)의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CPU(301)는 도 1의 화상 인식부(102)의 기능의 일부 및 제어부(103)의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화상 처리 장치(302)는 CCD 비디오 카메라(20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카메라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입력하며, 화상 인식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도 1의 화상 인식부(102)의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카메라 인터페이스(303)는 CCD 비디오 카메라(20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입력하고, 화상 처리 장치(302)에 대응한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04)는 CPU(301) 및 화상 처리 장치(302)에서 처리된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고, 뷰어(205A)에 대응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5)는 워크스테이션(206)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이로써, 외부의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6)는, 외부 디바이스(107)[외부 기기(307A∼307E)]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이것을 통하여 CPU(301)는 외부 기기를 제어한다.
ROM(307)은 CPU(3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ROM(307)은 도 1의 제어부(103)의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RAM(308)은 CPU(3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전개하여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RAM(208)은 도 1의 제어부(103)의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HDD(309)는 입력 시트(209)에 관련지어지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HDD(309)는 도 1의 기억부(104)의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이다. 이들 각 구성 요소(301 내지 309)가 BUS(310)를 통해 각각 접속되며, 이로써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 정보 입력 장치의 각 기능이 실현된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입력 시트(209)에 대하여,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시트(209)는 5 개의 카테고리 영역(A, B, C, D, E)로 구분되어 있다.
제1 카테고리 영역(A)에는,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이 시트가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정보 입력 장치용의 시트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그림 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CCD 비디오 카메라(201)에 의해 촬상된 카테고리 영역(A)의 인증 그림 문자와 ROM(307)에 기억되어 있는 비교 그림 문자 정보가 CPU(301)로 비교되며, 일치되었을 때에는 카테고리 영역(B)의 인식으로 진행하고, 불일치인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뷰어(205A)에 표시한다.
제2 카테고리 영역(B)에는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이 시트와 전자적인 정보를 대응짓기 위한 식별 그림 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식별 그림 문자는 방향성을 갖는 그림 문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코드화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카테고리 영역(B)에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기재되어 있는 식별 그림 문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그림 문자가 8방향의 회전 모드를 가지며, 그 방향에 따라 8종류의 코드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식별 그림 문자로, 84= 4096 종류의 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한 식별 그림 문자는 2574의 코드를 나타낸다.
도 3의 카테고리 영역(C)에는 위치 보정 마크가 기재된다. 위치 보정 마크는 CCD 비디오 카메라(201)로 촬상되는 화상의 위치 보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제4 카테고리 영역(D)에는 사용자가 선택 지시를 행하기 위한 마크가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마크를 선택함으로써, 뷰어(205A)에는 표시되어 있으나 입력 시트의 카테고리 영역(E)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카테고리 영역(D)은 입력 시트(209)의 카테고리 영역(E)에 기재되어 있는 선택 정보와, 뷰어(205A)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정보가 다른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 지시를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영역(D)에 상하좌우의 화살표 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뷰어(205A)상에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커서의 이동 및 메뉴 결정 등을 사용자가 카테고리 영역(D)의 임의의 화살표를 지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상하좌우의 화살표가 기재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카테고리 영역(D)에 기재되는 마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입력 시트가 VCR 및 오디오 시스템을 콘트롤하기 위한 공유 매체인 경우에는, 재생 버튼, 정지 버튼, 기록 버튼 등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튼류를 할당하여도 좋다. 즉, 상술한 제어부(103)내의 일시 기억부에 판독되는 구성 정보에 카테고리 영역(D)에 할당하는 처리 명령(전술한 예에서는, 상하좌우의 커서 이동 명령이나, 재생·정지·기록 명령)과 위치 정보를 매립해 두면, 그 매립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5 카테고리 영역(E)에는 정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카테고리 영역(E)에 기술된 정보를 봄으로써, 이 입력 시트를 사용하여 어떠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해 입력 시트가 인식시킨 후에는, 사용자는, 이 카테고리 영역(E)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제어부(103)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입력 시트에서는, 사용자는 카테고리 영역(E)에 기술된 버튼의 그림을 지시함으로써, 제어부(103)에 대해 VCR을 콘트롤하기 위한 지시, 예를 들면 재생, 정지,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가기, 이젝트 등의 지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VCR의 제어 버튼이 기술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카테고리 영역(E)에 기재되는 정보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메뉴가 기술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테고리 영역(E)에 기술된 메뉴를 손가락으로 지시함으로써, 뷰어(205A)에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다음의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즉, 상술한 제어부(103)내의 일시 기억부에 판독되는 구성 정보에 카테고리 영역(E)에 할당하는 처리 명령(전술한 예에서는, VCR의 제어 정보나 다음에 표시될 표시 화면 정보로의 링크 정보)과 위치 정보를 매립해 두면, 그 매립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는, CCD 비디오 카메라(2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에 대해, 입력 시트(209)가 정규의 것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를 행하여 인증된 정규의 입력 시트(209)의 종별을 식별하는 식별 처리를 화상 인식부(102)에 의해 행한다.
인증 처리는, CCD 비디오 카메라(3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에 대해, 노이즈 제거, 농담(濃淡) 처리, 임계값 조정 등의 전처리를 하고나서 위치 보정을 행하고, 상기 입력 시트(209)의 상부 중앙의 제1 카테고리 영역(A)에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기재되어 있는 인증 그림 문자의 예를 들면 중심 좌표와 윤곽을 추출하여, 그 인증 그림 문자 패턴과의 매칭을 취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식별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8의 플로챠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 비디오 카메라(3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농담 처리, 임계값 조정 등의 전처리(S801)을 행하고나서, 입력 시트(209)의 네 모퉁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카테고리 영역(C)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 보정 마크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어긋남을 검출해서, 그 위치 어긋남량에 따른 좌표계의 변환 처리에 의해 위치 보정 처리(S802)를 행한다. 다음에, 입력 시트(209)의 제2 카테고리 영역(B)에 인식 대상 패턴으로서 기재되어 있는 식별 그림 문자의 추출 처리(S803)를 행하고, 다시,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결정 처리(S804)를 행한다.
위치 보정 처리(S802)에서는, CCD 비디오 카메라(3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제3 카테고리 영역(C)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로부터,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준 위치로부터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고, 그 위치 어긋남량에 따른 좌표계의 변환 처리에 의해 위치 보정을 행한다.
식별 그림 문자의 추출 처리(S803)에서는, CCD 비디오 카메라(3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제2 카테고리 영역(B)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로부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림 문자 마다 농담값의 중심 좌표와 바깥쪽에서 접하는(외접) 직사각형을 구한다. 또한, 도 10에는, 식별 그림 문자의 추출 처리(S803)에 의해 구해지는 각 그림 문자의 중심 좌표를 ○으로 도시하며, 외접 직사각형을 파선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결정 처리(S804)에서는, 식별 그림 문자의 추출 처리(S803)에서 구해진 중심 좌표와 외접 직사각형의 종횡비를 파라메터로 한 회전 그림 문자의 방향 특징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4개의 그림 문자의 방향을 구한다. 여기서, 방향 특징 테이블은, 표 1과 같으며, 예를 들면 『외접 직사각형의 종횡비가 2.5 이상이며 중심 위치가 직사각형의 상반부내에 있으면 회전 그림 문자는 하방향을 향하고 있음』과 같은 각 방향의 특징을 나타내는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한 회전 그림 문자와 코드와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회전 그림 문자를 코드로 변환한다. 그 후, 4개의 그림 문자의 방향으로부터 구해지는 회전 그림 문자 코드와 미리 정의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그림 문자 코드군을 비교하여, 가장 거리가 짧은 것을 입력 시트(209)의 회전 그림 문자 코드로서 특정한다. 여기서의 거리란,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각 요소의 차의 총합을 나타낸다. 그리고, 회전 그림 문자 코드군과의 거리가 어느 것도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식 대상은 어느 코드로서도 인식되지 않아 인식 불가능하게 된다.
그림 문자의 방향 특 징
상방향하방향우측 방향좌측 방향우측 상방향우측 하방향좌측 상방향좌측 하방향 종횡비 5 : 2, 중심 위치 : 4각형 하반부에 위치종횡비 5 : 2, 중심 위치 : 4각형 상반부에 위치종횡비 2 : 5, 중심 위치 : 4각형 좌반부에 위치종횡비 2 : 5, 중심 위치 : 4각형 우반부에 위치종횡비 1 : 1, 중심 위치 : 4각형 좌측 하부 영역에 위치종횡비 1 : 1, 중심 위치 : 4각형 좌측 상부 영역에 위치종횡비 1 : 1, 중심 위치 : 4각형 우측 하부 영역에 위치종횡비 1 : 1, 중심 위치 : 4각형 우측 상부 영역에 위치
그리고, 제어부(103)에서,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와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억부(104)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한다. 즉, 자기의 장치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관련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와 관련을 행한다.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관련을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를 정보 배신부(106)에 송신하고, 정보 배신부(106)로부터 관련 결과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관련지어진 정보는 정보 배신부(106) 혹은 정보 배신부(106)에 접속된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내에 기억되어 있다. 이로써, 화상 인식부(102)의 인식 대상의 인식 결과와 대응하는 정보와의 관련이 취해진 후, 제어부(103)는 제어부(103)내에 설치된 일시 기억부에 관련지어진 정보를 판독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정규의 입력 시트(209)의 종별의 식별을 완료하면, 그 후는, 화상 인식부(102)로부터의 입력/선택 지시에 따라, 제어부(103)내에 설치된 일시 기억부에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화상 인식부(102)에 의한 입력/선택 지시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12의 플로챠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 비디오 카메라(3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상에서의 입력/선택 지시의 촬상 결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에 대해, 노이즈 제거, 농담 처리, 임계값 조정 등의 전처리(S1201)를 행하고나서, 입력 시트(209)의 네 모퉁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카테고리 영역(C)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 보정 마크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고, 그 위치 어긋남량에 따른 좌표계의 변환 처리에 의해 위치 보정 처리(S1202)를 행함으로써, 위치 보정 완료의 2치 화상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입력/선택 지시의 추출 처리(S1203)을 행하고, 다시, 입력/선택 지시의 결정 처리(S1204)를 행한다.
위치 보정 처리(S1202)에서는, CCD 비디오 카메라(301)에 의한 입력 시트(209)의 제3 카테고리 영역(C)의 촬상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화상 정보로부터,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준 위치로부터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고, 그 위치 어긋남량에 따른 좌표계의 변환 처리에 의해 위치 보정을 행한다.
입력/선택 지시의 추출 처리(S1203)에서는, 상기 위치 보정 완료의 농담 화상 정보에 대해, 농담 화상 중에서 입력/선택 지시가 검출되는 영역내에 있어서, 미리 포착되어 있는 상기 입력 시트(209)의 원화상과의 차분 화상 즉 입력/선택 지시를 부여하는 액세스 지시 입력 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패턴을 추출하여, 외접하는 직사각형과 영역내의 화소 분포를 구한다.
다음에, 입력/선택 지시의 결정 처리(S1204)에서는, 상기 입력/선택 지시의 추출 처리(S1203)에서 구한 외접 직사각형의 각 변(邊) 위의 화소 분포로부터 손가작 진입 방향을 구하고, 진입 방향에 따른 직사각형내의 화상 주사를 행하며, 손가락 단점(端点)의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손가락의 진입 방향을 구하기 위해서는, 농도가 짙은 화소가 그 변 위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지를 봄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영역(E) 위는, 소정의 영역을 갖는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단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화상 주사는, 이들 블록내의 화소 픽셀을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진입 방향에 따른 화상 주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블록 분할된 영역을 화상 주사함으로써, 주사 영역을 한정한 고속의 단점 검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진행 방향 주 사
우측에서 진입좌측에서 진입상부에서 진입하부에서 진입우측 상부에서 진입우측 하부에서 진입좌측 상부에서 진입좌측 하부에서 진입 직사각형에서의 좌단의 블록을 상부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우단의 블록을 상부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하단의 블록을 좌측으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상단의 블록을 좌측으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좌측 하단의 블록내를 좌측으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좌측 상단의 블록내를 좌측으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우측 하단의 블록내를 좌측으로부터 주사직사각형에서의 우측 상단의 블록내를 좌측으로부터 주사
그리고, 검출된 단점 위치를 대응하는 명령/정보로 변환하여 제어부(103)에 전달한다.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손가락 단점 위치가 대응하는 영역 번호 6으로 변환된다. 또한, 도 13에서,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영역은, 영역 번호 6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영역(E)내에서의 블록이다.
그후 제어부(103)는 제어부(103)내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시트(209)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 번호 6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정보 입력 장치에서는, 정적 매체인 인식 대상 즉 입력 시트(209)에 기재된 인식 대상 패턴을 화상 인식함으로써 인증 처리를 행하여 인식 대상과 대응하는 정보와의 관련을 행하고, 관련지어진 정보에 대한 액세스 지시 입력을 액세스 지시 입력 패턴의 화상 인식에 의해 받아, 정적 매체인 인식 대상에 대하여 동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인식 대상 패턴은 이 실시예에서의 열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인식 가능한 패턴이면 좋으므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다른 인식 대상 패턴의 형상과 회전 방향을 조합시킴으로써, 입력 시트(209)의 종별을 무한하게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 시트(209)를 인식시킨 후는, 입력 시트(209)가 기재된 입력/선택 지시 내용을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지시함으로써, 입력/선택 지시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를 직접 의식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정보 입출력/선택 조작을 행할 수 있으며, 그 입력/선택 지시 내용에 대량의 데이터 중에서 특정한 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 그림 문자 코드의 인식에 농담값의 중심 좌표와 외접하는 직사각형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미리 준비된 탬플릿(template) 화상에 대한 회전량을 매칭 처리에 의해 구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입력 방법에서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특정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을 물체 표면에 부가하고, 인식 대상 패턴의 화상 인식에 의해 그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에 따른 코드 정보를 입력하므로, 1개의 인식 대상 패턴으로 회전 모드에 따른 복수의 코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코드의 종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입력 시트에서는,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과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1개의 인식 대상 패턴으로 회전 모드에 따른 복수의 식별 코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단위 면적 당의 식별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입력 시트에서는, 위치 보정 마크가 기재된 위치 보정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의 복수 개소에 가짐으로써, 인식 대상 패턴의 화상 인식시에 위치 보정을 행하므로 정보를 위치 보정 마크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입력 장치에서는,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과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상기 표시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입력 시트를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얻어지는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영역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부에 의해 화상 인식된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코드를 특정하고, 상기 정보 입력 시트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증 처리 수단으로 인증하므로, 정규의 정보 입력 시트에 의해 정보를 확실히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입력 시트상의 1개의 인식 대상 패턴으로 회전 모드에 따른 복수의 식별 코드를 입력할 수 있어, 식별 코드의 종류를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입력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위치 보정 마크가 기재된 위치 보정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의 복수 개소에 갖는 정보 입력 시트에 대해, 화상 인식부에서, 위치 보정 영역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 대상 패턴의 위치 보정을 행하여, 상기 인식 대상 패턴을 확실히 화상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직접 의식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이나 물품의 식별에 처하여 단위 면적 당의 식별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정보 입력 방법, 정보 입력 시트 및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을 물체 표면에 부가하고,
    상기 인식 대상 패턴의 화상 인식에 의해 상기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에 따른 코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2.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과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위치 보정 마크가 기재된 위치 보정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의 복수 개소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시트.
  4. 적어도, 입력 정보가 기재된 입력 정보 영역과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기재된 식별 영역이 설치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방향에 따라 코드가 정의된 회전 모드를 갖는 인식 대상 패턴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의 식별 코드가 상기 표시 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 입력 시트,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표시 영역을 촬상(撮象)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영역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 대상 패턴을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 및
    상기 화상 인식부에 의해 화상 인식된 인식 대상 패턴의 회전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 입력 시트의 식별 코드를 특정하고, 상기 정보 입력 시트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시트는 위치 보정 마크가 기재된 위치 보정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의 복수 개소에 가지며,
    상기 화상 인식부는 상기 위치 보정 영역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 대상 패턴의 위치 보정을 행하여, 상기 인식 대상 패턴을 화상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KR1019970062832A 1996-11-26 1997-11-25 정보입력 방법 및 정보 입력장치 KR100698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5289 1996-11-26
JP31528996 1996-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732A true KR19980042732A (ko) 1998-08-17
KR100698976B1 KR100698976B1 (ko) 2007-07-09

Family

ID=1806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832A KR100698976B1 (ko) 1996-11-26 1997-11-25 정보입력 방법 및 정보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88802B1 (ko)
EP (1) EP0844586B1 (ko)
KR (1) KR100698976B1 (ko)
CN (1) CN1134725C (ko)
CA (1) CA2221669C (ko)
DE (1) DE69732213T2 (ko)
ID (1) ID18991A (ko)
MY (1) MY119088A (ko)
SG (1) SG54595A1 (ko)
TW (1) TW3565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78A (ko) * 1998-12-09 2000-07-05 윤종용 사용자를 인식하는 화면 보호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화면 보호기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9737398A (en) * 1997-10-30 1999-05-24 Novo Nordisk A/S Alpha-amylase mutants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AU2002952259A0 (en) 2002-10-25 2002-11-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and apparatus
US7128270B2 (en) 1999-09-17 2006-10-3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canning device for coded data
JP4018855B2 (ja) * 1999-11-22 2007-12-05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座標変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入力座標変換方法
FR2803411B1 (fr) * 2000-01-04 2002-03-15 David Ruby Procede de codage optique d'une adresse internet imprimee sur un support visible
JP2001222375A (ja) * 2000-02-08 2001-08-17 Seiko Epson Corp 指示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情報記憶媒体
JP4048836B2 (ja) * 2002-05-24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サーバ
JP4294025B2 (ja) 2002-10-25 2009-07-08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ピーティワイ リミテッド インターフェース表面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符号化データを読み取る方法
AU2003266852B2 (en) * 2002-10-25 2007-06-1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Orientation-indicating cyclic position codes
JP2006127025A (ja) * 2004-10-27 2006-05-18 Design Barcode Kk デザインバーコード
JP4244919B2 (ja) * 2004-12-14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781680B1 (ko) * 2004-12-31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폰의 사진 파일 저장 및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7652A (ja) * 1981-11-19 1983-05-2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US4776464A (en) 1985-06-17 1988-10-11 Bae Automated Systems, Inc. Automated article handling system and process
JPH01220075A (ja) * 1988-02-29 1989-09-01 Nippon Taisanbin Kogyo Kk 表示部読取方法
US4958064A (en) 1989-01-30 1990-09-18 Image Recognition Equipment Corporation Bar code locator for video scanner/reader system
JP2873338B2 (ja) * 1991-09-17 1999-03-24 富士通株式会社 動物体認識装置
US5221833A (en) * 1991-12-27 1993-06-22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means for reducing bit error rates in reading self-clocking glyph codes
JPH05334470A (ja) * 1991-12-27 1993-12-17 Xerox Corp 自己クロッキング図形記号コード
US5245165A (en) * 1991-12-27 1993-09-14 Xerox Corporation Self-clocking glyph code for encoding dual bit digital values robustly
JP3074214B2 (ja) * 1992-03-04 2000-08-07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物体認識装置
US5288986A (en) * 1992-09-17 1994-02-22 Motorola, Inc. Binary code matrix having data and parity bits
CN1104791A (zh) * 1993-12-30 1995-07-05 富冈信 一种数据处理用的二维代码纸
JP3230371B2 (ja) * 1994-05-30 2001-1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JP2788604B2 (ja) * 1994-06-20 1998-08-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2次元情報パターンを有する情報表示タグ、それを用いた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5718457A (en) * 1994-07-29 1998-02-17 Elpatronic Ag Method of marking objects with code symbols
US5887140A (en) 1995-03-27 1999-03-23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network system and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adapted for use in the same
WO1996030217A1 (en) * 1995-03-31 1996-10-03 Kiwisoft Programs Limited Machine-readable label
JPH09185695A (ja) * 1995-12-27 1997-07-15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認識システム、文書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及び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78A (ko) * 1998-12-09 2000-07-05 윤종용 사용자를 인식하는 화면 보호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화면 보호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1669C (en) 2007-09-18
DE69732213T2 (de) 2005-12-15
ID18991A (id) 1998-05-28
CN1190756A (zh) 1998-08-19
CA2221669A1 (en) 1998-05-26
MY119088A (en) 2005-03-31
KR100698976B1 (ko) 2007-07-09
TW356545B (en) 1999-04-21
US6188802B1 (en) 2001-02-13
CN1134725C (zh) 2004-01-14
SG54595A1 (en) 1998-11-16
EP0844586A1 (en) 1998-05-27
EP0844586B1 (en) 2005-01-12
DE69732213D1 (de)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4729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装置
KR100698976B1 (ko) 정보입력 방법 및 정보 입력장치
US813108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calculate a resolution suitable for the size of a region to be process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072564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操作受付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55406A (ja) 多機能入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多機能入出力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736880B2 (ja) 画像形成装置、設定方法および設定プログラム
JPH1195895A (ja) 情報入力装置
KR101248081B1 (ko) 리듬액션 게임장치
JP3879208B2 (ja) 情報入力方法、情報入力媒体及び情報入力装置
JP2004102320A (ja) 帳票処理装置、帳票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行わせるプログラム
KR19980042731A (ko)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JP3903540B2 (ja) 画像抽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抽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情報入出力/選択方法及び装置並びに情報入出力/選択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57487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dwritten alphanumeric characters and for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s
CN107609452A (zh) 处理方法及装置
US202203435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JP2004038403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957251B1 (ko) 패턴 인식장치
JP2734628B2 (ja) 文字認識装置
JP3870806B2 (ja) 電子情報読み取り装置
JPH10285389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11120169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面設定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JP4447486B2 (ja) 画像入力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573972B2 (ja) パターン整合装置
KR20040072079A (ko) 영상의 사각형 영역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JPH07296108A (ja) 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8

Effective date: 2006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