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614A -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614A
KR19980041614A KR1019960060918A KR19960060918A KR19980041614A KR 19980041614 A KR19980041614 A KR 19980041614A KR 1019960060918 A KR1019960060918 A KR 1019960060918A KR 19960060918 A KR19960060918 A KR 19960060918A KR 19980041614 A KR19980041614 A KR 1998004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옥
윤종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614A/ko
Publication of KR1998004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614A/ko

Links

Landscapes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기판으로 부터 수직 방향으로 그 높이가 서로 다른 콘택홀 매입층(전원접속단자)을 형성하여 디자인 룰의 최소 선폭을 가지는 축소된 면적의 반도체 장치 및 전류구동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최소선폭을 증가시킨 전원접속단자를 가질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유기하기 위한 전원접속단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 선폭의 축소된 면적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반도체 제조 기술의 발달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집적화가 가속화되고 전류구동능력 또한 크게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고집적화 및 전류구동능력의 향상은 주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을 축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공정능력의 향상으로 게이트 폭 및 전원접속을 위한 접속창(또는 콘택홀)의 크기가 약 0.5㎛이하로 작아지면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접적도는 게이트 폭보다 전원배선의 선폭과 배선간의 간격에 의해 재한을 받게 되었다. 또한, 게이트 폭이 작아져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전류구동 능력이 크게 향상될 수록 전자의 이동, 또는 스트레스의 이동도와 같은 전원배선의 전기적 신뢰성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때문에 전원배선의 폭 감소에 큰 재한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층구조의 전원배선을 사용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전원배선의 선폭 및 배선간격의 한계에 대응하여 집적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각 전원단자를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접속창을 각기 다른 공정에서 형성하고 각각의 전원접속도전층 또한 각기 다른 공정에서 형성함으로서 전원배선과 선폭 및 배선간격의 제한 요소를 줄이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도 1의 인용부호 101은 하단면의 인용부호 201에 대응되는 평면 레이아웃을 제시한 도면이다.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 201을 간략히 설명하면, 반도체 단결정 실리콘 기판 1 상에 소자분리절연막 5, 게이트 9, 소오스 드레인 활성 영역들 2, 절연막 7, 전원접속단자들 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b를 제외한 a, c, d, e, f는 어떤 특정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이다. b는 d, e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최소 크기로 형성할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d및 e의 재한 때문에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최소화하기가 어렵다. 특히, 도전층 3의 전자 이동, 스트레스 이동과 같은 전기적 신뢰성을 고려할때 전원배선층의 폭 d를 최소 크기로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우기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인 a가 작을 수록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전류구동능력이 더 향상되므로 전원배선층의 폭 d를 더 크게 형성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선폭의 한계를 극복하여 축소된 면적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 선폭을 유지하면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전류구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원배선층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한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원접속단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소자와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될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 가능함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원접속단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자면, 반도체 기판 1상에 통상의 제조 방법으로소자분리 절연막 5, 채널영역에 이격된 소오스 드레인 활성영역 2, 채널영역 상의 게이트절연막, 게이트 9를 가지는 모오스 트랜지터들을 형성한다. 인용부호 201은 이의 단면을 제시하고 있고 인용부호 201은 그 단면에 대응되는 평면 레이아웃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에 비해 도 2의 B의 최소선폭을 유지하기 위한 전원접속단자 3, 13의 형성방법을 이하에서 기술한다. 먼저, 전술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결과물에 제 1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 활성 영역의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 1콘택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콘택홀에 제 1도전체를 매입하여 제 1전원접속단자 3를 형성하고, 결과물 전면에 상기 드레인 활성 영역 표면을 노출시킨 제 2콘택홀을 가지는 제 2절연막형성하고, 상기 제 2콘택홀에 제 2도전체를 매입하여 제 2전원접속단자 13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드레인 활성영역의 전원접속단자들을 종래와 같이 동시에 형성하지 않고 각기 다른 공정에서 서로 다른 접속창(또는 콘택홀)과 서로 다른 도전층으로 형성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서 게이트 9와 소오스 및 드레인의 전원접속창 3, 13과의 거리인 B를 공정능력이 허용하는 한 최소의 크기로 형성하 수 있으며, 제 1도전층 3 및 제 2도전층 13의 선폭을 최소 선폭보다 휠씬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형성한 것보다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전원접속단자의 도전층의 전기적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제조 기술에서는 여러개의 도전층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어서 도 2의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도 다수의 도전층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있어서 추가 공정에 따라 공정이 더 복잡해지는 것에 대한 부담은 별로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하여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단결정 실리콘 기판상에 소오스 드레인 활성 영역과, 게이트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결과물 전면에 제 1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 활성 영역의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 1콘택홀들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콘택홀에 제 1도전체를 매입하여 제 1전원접속단자를 형성하는 과정과,
    결과물 전면에 상기 드레인 활성 영역 표면을 노출시킨 제 2콘택홀을 가지는 제 2절연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2콘택홀에 제 2도전체를 매입하여 제 2전원접속단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전체는 상기 제 2도전체와 동일 물질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2전원접속단자는 그 형성된 높이가 상기 기판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KR1019960060918A 1996-11-30 1996-11-30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KR19980041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918A KR19980041614A (ko) 1996-11-30 1996-11-30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918A KR19980041614A (ko) 1996-11-30 1996-11-30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614A true KR19980041614A (ko) 1998-08-17

Family

ID=6647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918A KR19980041614A (ko) 1996-11-30 1996-11-30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5821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ilicon on insulator structure
KR100278273B1 (ko) 반도체장치의콘택홀형성방법
KR940022866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8225240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2158350A5 (ko)
KR970003831A (ko) 필드 산화물에 의해 절연된 다른 전도형 반도체 영역을 가진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67013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950004532A (ko) 고집적 반도체 배선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013797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20003550A (ko) 반도체 장치
US5508564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mproved packing density and high reliability
KR19980041614A (ko) 반도체 장치의 전원접속단자 제조 방법
JPH0817213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840150B2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層間接続方法
KR100326807B1 (ko) 반도체소자
JPS60142567A (ja) 半導体装置
JPH11312735A (ja) 半導体装置
JP3071773B1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302765A (en) Geometry for fabricating enhancement and depletion-type, pull-up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JPH06120496A (ja) Mos型高耐圧トランジスタ
JPH0461347A (ja) Mis型半導体装置
KR100576466B1 (ko) 반도체소자
JP2993041B2 (ja) 相補型mos半導体装置
KR1002907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정전기 방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930004300B1 (ko) 접지용 확산영역이 다수개 형성된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