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612U -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612U
KR19980040612U KR2019960053693U KR19960053693U KR19980040612U KR 19980040612 U KR19980040612 U KR 19980040612U KR 2019960053693 U KR2019960053693 U KR 2019960053693U KR 19960053693 U KR19960053693 U KR 19960053693U KR 19980040612 U KR19980040612 U KR 19980040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ollision
controller
passeng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운성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3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612U/ko
Publication of KR19980040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61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중에 발생되는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과 동시에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므로써, 주행하는 차량에서의 승객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이다.
본 고안의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타물체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1)와, 상기 센서(1)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기(2)와, 상기 제어기(2)의 제어에 의하여 안전벨트(5)를 록킹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록 제어장치(3) 및 록 해제장치(4)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 감지센서(1)의 충격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기(2) 및 록 제어장치(3)가 충돌과 동시에 안전벨트(5)를 록킹시킨다.

Description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본 고안은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행중에 발생되는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과 동시에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므로써 승객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이다.
통상,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과, 등받이인 시트 백 그리고, 머리부분을 받치는 헤드 레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시트에는, 충돌시 승객의 보호하도록 승객의 몸을 시트에 붙잡아 고정하는 안전벨트가 시트 백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된다.
한편, 자동차 주행중 충돌시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주행방향의 관성력에 의하여 앞으로 튕겨져 나가는 힘을 받게 된다. 안전벨트는 이와 같은 경우에 승객이 앞쪽으로 튕겨 나가지 않도록 시트에 고정하여 승객이 입게되는 부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기 위해서 안전 벨트는 승객이 맬 수 있도록 풀려질 수 있어야 하고, 또 충돌시에는 승객을 시트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안전 벨트는 승객이 맬 수 있게 긴 띠와 짧은 띠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띠에는 서로 착탈되어 긴 띠 및 짧은 띠를 묶거나 풀러주는 텅 플레이트 및 버클이 각각 설치된다.
최근에는 자동차 실내의 깔끔한 정리를 위하여, 긴 띠를 차체의 필라에 고정시키면서, 안전벨트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긴 띠를 감아 묶어두는 리트랙터(Retractor)가 설치되고 있다.
이 리트랙터는 안전벨트, 즉 긴 띠를 감아두는 릴(Reel)의 역할 외에, 사고발생시, 승객을 두른 상태에서 더 이상 풀리지 않게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므로써, 승객이 관성에 의하여 튀어나가지 못하게 시트상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승객이 맬 수 있도록 안전벨트를 자연스럽게 풀어 줄 수 있어야하며, 또, 사고발생시에는 반대로 승객을 시트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객을 맨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풀리지 않게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리트랙터는 약한 힘에서는 안전벨트가 자연스럽게 풀려지게 하면서, 강한 충격에서는 관성으로 록킹되어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못하게 안전벨트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 고정장치 즉, 리트랙터는 차량이 외부물체에 충돌된 직 후 승객의 관성력이 발생된 후에야 안전벨트를 록킹시키므로, 사고발생시, 승객은 앞쪽을 어느 정도 이동된 후에 안전벨트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사고발생시에 승객은 안전벨트에 의하여 고정되긴 하지만, 충돌시각과 안전벨트의 고정시각 사이의 시차로 이한 안전벨트의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사고시 승객에게 2차 충돌의 위험에 빠뜨릴 수 있으며, 승객의 과다한 자세의 변화로 인하여 중대한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안전벨트 고정장치는 충돌시각과 안전벨트 고정시각의 시차로 인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유발시켜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 고정장치가 가진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사고발생시, 충돌과 동시에 승객을 최초의 시트에 착석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충격 감지센서2 : 제어기
3 : 록 제어장치4 : 록 해제장치
5 : 안전벨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타물체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안전벨트를 록킹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록 제어장치 및 록 해제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 감지센서의 충격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기 및 록 제어장치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1)와, 이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기(Controller)(2)와, 상기 제어기(2)에 의하여 제어되어 안전벨트(5)를 록킹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록 제어장치(3) 및 록 해제장치(4)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차량 주행중 타물체와 충돌되는 사고의 발생시, 먼저 충격 감지센서(1)가 충격략을 통하여 타물체와의 충돌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기(2)에 보낸다. 평상시, 록 해제장치(4)를 제어하여 안전벨트(5)를 느슨하게 풀어주고 있던 제어기(2)는 충격 감지센서(1)의 신호를 받은 후, 즉시 제어장치(3)를 작동시켜 안전벨트(5)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따라서, 안전벨트(5)는 사고시 충격의 발생과 거의 동시에 고정되어 승객을 안전하게 시트상에 묶어두므로써, 2차 충돌에 의한 상해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중 타물체와 충돌되는 사고발생시, 충돌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승객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사고 발생시점과 안전벨트의 고정시점 사이의 시차로 인한 승객의 2차 상해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승객에 대한 안전도가 종래에 배하여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주행중 타물체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안전벨트를 록킹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록 제어장치 및 록 해제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 감지센서의 충격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기 및 록 제어장치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KR2019960053693U 1996-12-23 1996-12-23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KR199800406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693U KR19980040612U (ko) 1996-12-23 1996-12-23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693U KR19980040612U (ko) 1996-12-23 1996-12-23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612U true KR19980040612U (ko) 1998-09-15

Family

ID=5399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693U KR19980040612U (ko) 1996-12-23 1996-12-23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61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0867B2 (ja) 二輪車用の安全装置
EP0764097B1 (en) Vehicle safety restraints
US4688849A (en) Child passenger secur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US4400013A (en) Safety seat belt system
US20020149191A1 (en) Seat belt apparatus
JPH1059122A (ja) 動力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US5131683A (en) Torso restraining assembly for automobile seat
JP2001287622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作動方法
GB1601104A (en) Safety restraint apparatus
JPH06156185A (ja) 乗物用乗員拘束装置
KR19980040612U (ko)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KR19980059553A (ko) 충돌 감응형 안전벨트 룩킹장치
GB2277494A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KR0177424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200272597Y1 (ko) 자동차 안전벨트
KR10027190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용 어저스터의 충격력 흡수구조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228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0145068Y1 (ko) 승객보호용 안전띠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