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446U -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446U
KR19980037446U KR2019960050468U KR19960050468U KR19980037446U KR 19980037446 U KR19980037446 U KR 19980037446U KR 2019960050468 U KR2019960050468 U KR 2019960050468U KR 19960050468 U KR19960050468 U KR 19960050468U KR 19980037446 U KR19980037446 U KR 199800374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ane
boom
roller
impac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50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446U/ko
Publication of KR19980037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44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에 부움(10)을 탑재 지지하는 크레인의 부움레스트(20)에 있어서, 상기 부움(10)이 걸쳐지는 탑재대(30)와, 상기 탑재대(30)를 수직으로 지지고정하는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 하측에 조립되어 상기 부움(10)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충격하중 흡수수단(5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은 양단에 스프링롤러(52)가 결합된 겹판스프링(53)과, 상기 스프링롤러(52)가 안내이동되도록 롤러조립홈(62)이 요홈형성된 롤러받침대(60)와, 상기 롤러받침대(60)와 지지대(40) 사이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바(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이는 크레인 주행시에 탑재되는 부움(10)이 부움고정브래킷(34)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되는 한편, 부움(10)의 충격 하중이 충격하중 흡수수단(50)에 의해 자체 흡수되어 상쇄되어짐으로써 부움(10)의 하중에 의해 샤시가 피로 가중되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본 고안은 중장비의 일종인 크레인에 설치된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 주행시에 부움의 하중에 의해 크레인의 샤시가 피로 가중되어 크랙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붐레스트 하중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건설현장에서 무겁고 큰 부피의 부재를 들어올려 이송하는 기중작업 및 토사의 굴토나 굴삭작업 그밖에 항타작업 등의 특수 기중작업을 하는 중장비로써, 부움이 여러개의 단으로 나누어져 각 단의 부움을 신축시켜, 작업반경에 따라 부움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작업반경을 넓혀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작업운전시가 아닌 주행시에는 정격총하중의 절대량을 차지하는 부움을 크레인의 상부선회체 상측에 설치된 부움레스트 위에 탑재시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부움레스트(80)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선회체(90)의 상측에 별도의 하중감쇄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고정구조로 설치되어 관계로, 부움(10)의 하중이 부움레스트(80)에 전달되고 전달된 상기 부움레스트(80)의 하중은 상부선회체(90) 상측을 통해 크레인의 전체 샤시로 전달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부움(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기 부움레스트(80)에 의해 크레인의 샤시가 점차 피로 하중이 진행되면서 크랙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 주행시에 탑재되는 부움의 하중이 흡수되어 그대로 크레인 샤시로 전달되지 않고 자체 흡수되어 상쇄되도록 하여 부움의 하중에 의해 크레인의 샤시가 피로 가중되면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행중에 부움을 탑재 지지하는 크레인의 부움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부움이 탑재되는 탑재대와, 상기 탑재대 양측에 돌설되어 탑재되는 상기 부움을 이탈방지시키는 부움고정브래킷과, 상기 탑재대를 지지고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하측에 조립되어 상기 부움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충격하중 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은 상기 부움의 충격 하중에 대해 탄성을 가지는 겹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겹판스프링의 양단에는 스프링롤러를 구비하여 롤러받침대에 요홈형성된 롤러조립홈을 따라 이동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러받침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는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바가 결합고정되는 구성으로 하중감쇄장치를 갖는 부움레스트를 이루게된다.
이와 같이 부움이 탑재되어 지지되는 부움레스트를 외부의 충격 하중을 흡수 상쇄시킬 수 있는 하중감쇄장치가 구비된 구조로 개선한 본 발명은, 크레인 주행시에 탑재되는 부움이 부움고정브래킷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되는 한편, 부움의 충격 하중이 충격하중 흡수수단에 의해 자체 흡수되어 상쇄되어짐으로써 부움의 하중에 의해 샤시가 피로 가중되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중감쇄장치가 설치된 부움레스트를 장착한 크레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움레스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붐레스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움20 - 부움레스트
30 - 탑재대32 - 완충패드
34 - 부움고정브래킷40 - 지지대
42 - 고정장공44 - 보강비드
50 - 충격하중 흡수수단52 - 스프링롤러
53 - 겹판스프링54 - 스프링지지바
60 - 롤러받침대62 - 롤러조립홈
64 - 안내요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하중감쇄장치가 구비된 부움레스트의 구성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인 하중감쇄장치가 설치된 부움레스트(20)를 장착한 크레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움레스트(20)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중감쇄장치가 구비된 본 고안의 부움레스트(20)는, 작업조건에 따라 작업반경을 가변시키는 지주인 부움(10)이 탑재되는 탑재대(30)와, 상기 탑재대(30)를 지지고정하는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 하측에 조립되어 상기 부움(10)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은 상기 부움(10)의 충격 하중에 대해 탄성을 가지는 겹판스프링(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겹판스프링(53)의 양단에는 스프링롤러(52)가 결합고정되는 한편, 상기 겹판스프링(53) 저부에는 롤러받침대(60)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받침대(60)에는 상기 스프링롤러(52)가 이동안내되도록 롤러조립홈(62)이 요홈형성되며, 상기 롤러받침대(60)와 상기 지지대(40) 사이에는 상기 겹판스프링(5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탄성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프링지지바(54)가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탑재대(30)는 양측이 각각 일정 각도로 상향 절곡된 형상으로 부움(10)이 탑재 지지되는 그 중간 상측 양쪽에는 탑재되는 상기 부움(10)의 완충수단으로 완충패드(32)가 설치고정되어 있으며, 아울러 탑재되는 상기 부움(10)의 이탈방지수단으로 일정 각도로 상향 절곡된 상기 탑재대(30)의 양측에 지그구조의 부움고정브래킷(34)이 설치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스프링지지바(54)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단측에 장방형 또는 원형의 고정장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탑재대(30)의 중간 저면측이 일체로 결합고정되는데, 이때 상측 결합부위에는 돌출된 보강비드(44)에 의해 상기 탑재대(30)와의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하측은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의 상측 중앙에 조립되어 상기 고정장공(42)을 통해 스프링지지바(54)가 체결되며, 이때 상기 스프링지지바(54)에 의해 아래쪽의 롤러받침대(60)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은 상기와 바와 같이 판모양의 스프링을 여러장 겹친 겹판스프링(53)이 사용되는데, 말려진 양쪽 단부로는 스프링롤러(52)가 조립되는 한편, 양쪽의 상기 스프링롤러(52)가 롤러받침대(60)의 롤러조립홈(62) 내에 조립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조립홈(62)은 상기 롤러받침대(60) 상측 양쪽에 각각 사각홈으로 요홈형성되며, 각 롤러조립홈(62)의 길이방향 중간 양측으로는 각각 안내요홈(64)이 절결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롤러(52)가 조립되어 안내이동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롤러받침대(60)는 크레인의 상부선회체(90) 상측에 일체로 결합고정되며, 이는 하중감쇄기능을 갖는 부움레스트(20)가 상기 상부선회체(90)에 결합고정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충격상쇄장치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 주행시에 부움레스트(20)에 탑재되는 부움(90)은 상측의 완충패드(32)에 의해 부드럽게 탑재 지지되는 한편 부움고정브래킷(34)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크레인 주행중에 발생되는 부움(10)의 충격 하중은 지지대(40)를 타고 충격하중 흡수수단(50)으로 전달되며, 이때 순간적으로 엄청난 부움(10)의 충격 하중은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을 이루는 상기 겹판스프링(53)으로 흡수되는 동시에, 상기 겹판스프링(53)은 일시적으로 상기 부움(10)의 충격 하중에 의해 눌러지면서 좌우 양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소정 폭으로 늘어나는 상기 겹판스프링(53) 양쪽 단부는 스프링롤러(52)에 의해 롤러받침대(60)의 롤러조립홈(62) 내를 안내 이동되면서 순간적인 부움(10)의 충격 하중에 의해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이 손상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
따라서 부움(10)의 충격 하중이 충격하중 흡수수단(50)에 의해 자체 흡수되어 상쇄되어짐으로써, 상기 부움(10)의 하중에 의해 샤시가 피로 가중되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충격상쇄장치에 의하면, 크레인 주행시에 탑재되는 부움이 부움고정브래킷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부움의 충격 하중이 충격하중 흡수수단에 의해 자체 흡수되어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부움의 하중에 의해 크레인의 샤시가 피로 가중되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주행중에 부움(10)을 탑재 지지하는 크레인의 부움레스트(20)에 있어서,
    상기 부움(10)이 걸쳐지는 탑재대(30)와,
    상기 탑재대(30)를 수직으로 지지고정하는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 하측에 조립되어 상기 부움(10)의 충격 하중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충격하중 흡수수단(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은 양단에 스프링롤러(52)가 결합된 겹판스프링(53)과,
    상기 스프링롤러(52)가 안내 이동되도록 롤러조립홈(62)이 요홈형성된 롤러받침대(60)와,
    상기 롤러받침대(60)와 지지대(40) 사이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충격하중 흡수수단(50)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바(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대(30)는 탑재되는 상기 부움(10)의 이탈방지수단으로 상향 절곡된 양측에 지그구조의 부움고정브래킷(34)이 설치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조립홈(62)은 상기 롤러받침대(60) 상측 양쪽에 사각홈으로 요홈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중간 양측으로 각각 안내요홈(64)이 절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KR2019960050468U 1996-12-17 1996-12-17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KR199800374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468U KR19980037446U (ko) 1996-12-17 1996-12-17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468U KR19980037446U (ko) 1996-12-17 1996-12-17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46U true KR19980037446U (ko) 1998-09-15

Family

ID=5399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468U KR19980037446U (ko) 1996-12-17 1996-12-17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4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52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레인 지브 레스트를 지닌 투광조명등 포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52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레인 지브 레스트를 지닌 투광조명등 포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52B1 (ko) 와이어로프 마운트 및 유압댐퍼를 이용한 진동저감 장치
JP4287426B2 (ja) 衝撃吸収機能を有するアンダーキャリッジ
JPH02243831A (ja) バランス装置を備えた車両
KR19980037446U (ko) 크레인의 부움레스트 하중감쇄장치
JPH0868006A (ja) 道路仕上げ機
JPH08324967A (ja) クレーンの制振構造
JP6669419B2 (ja) 荷役車両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FR2718700A1 (fr) Dispositif pour fixer les paliers de basculement de cabine de camions.
CN220673281U (zh) 一种船舶电缆托架缓震结构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CN216919978U (zh) 一种装配式桥梁避震装置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KR200199428Y1 (ko)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KR19990022587U (ko) 엘리베이터의가이드슈
KR100360166B1 (ko) 선박의 선루익 진동방지 구조
CN213088714U (zh) 一种设有安全防护装置的减速机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200156242Y1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CN214331315U (zh) 一种减震弹簧胶垫
KR200267341Y1 (ko) 굴삭기 암의 완충장치
KR20130052838A (ko)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KR100206543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200153096Y1 (ko)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