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122U -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122U
KR19980037122U KR2019960050140U KR19960050140U KR19980037122U KR 19980037122 U KR19980037122 U KR 19980037122U KR 2019960050140 U KR2019960050140 U KR 2019960050140U KR 19960050140 U KR19960050140 U KR 19960050140U KR 19980037122 U KR19980037122 U KR 199800371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assembly
integrated
front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122U/ko
Publication of KR19980037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12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어퍼 패널과, 프론트 로워 패널과, 프론트 엔드 패널을 구비하는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어퍼 패널 및 상기 프론트 로워 패널과 상기 프론트 엔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본 고안은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어퍼 패널및 프론트 로워 패널과 프론트 엔드 패널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정도 관리 및 용접 자동화가 유리한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보디(BODY)는 자동차의 외면을 형성하며 승객, 엔진, 화물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일체의 유니트(UNIT)를 말하는 것으로, 앞측의 프론트 보디(FRONT BODY)와 뒷측의 리어 보디(REAR BODY)로 나뉘어진다.
자동차의 프론트 보디에는 엔진이나 전륜 서스펜션, 라디에이터, 스티어링 기어박스등이 부착되므로 강성을 지녀야만 하며, 차량이 충돌했을 때, 그 충격의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실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것이 설계상 중요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프론트 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이것의 프론트측은 프론트 로워 패널(2) 및 프론트 어퍼 패널(4)과, 프론트 엔드 패널(6)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론트 로워 패널(2) 및 프론트 어퍼 패널(4)과 프론트 엔드 패널(6)은 각각 별도로 성형시킨 후, 각 패널들(2)(4)(6)을 소정의 결합수단(미도시)으로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프론트 패널 조립체는 프론트 로워 패널 및 프론트 어퍼 패널과 프론트 엔드 패널을 별도로 제작한 후, 각 패널들을 소정부위에 점용접시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정도관리가 불리하며 작업이 복잡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론트 어퍼 패널 및 프론트 로워 패널과 프론트 엔드 패널을 일체로 제작하므로써 정도관리가 유리할 뿐만 아니라 용접자동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론트 어퍼 패널과, 프론트 로워 패널과, 프론트 엔드 패널을 구비하는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어퍼 패널 및 상기 프론트 로워 패널과 상기 프론트 엔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프론트 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론트 패널 조립체, 12:프론트 어퍼 패널,
14:프론트 로워 패널, 16:프론트 엔드 패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10)는, 보디 전방 엔드측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프론트 어퍼 패널(12)과 상기 프론트 어퍼 패널(12)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프론트 로워 패널(14)과 상기 프론트 어퍼 패널(12)과 프론트 로워 패널(14) 사이에 형성되는 프론트 엔드 패널(16)로 구성되는 바, 상기 프론트 어퍼 패널(12) 및 프론트 로워 패널(14)과 프론트 엔드 패널(16)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10)는, 프론트 어퍼 패널(12)과 프론트 로워 패널(14) 및 프론트 엔드 패널(16)이 일체로 형성되므로써 정도관리가 용이하게 되며, 또한 용접자동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는 정도관리가 유리할 뿐만 아니라 용접 자동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프론트 어퍼 패널과, 프론트 로워 패널과, 프론트 엔드 패널을 구비하는 프론트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어퍼 패널(12) 및 상기 프론트 로워 패널(14)과 상기 프론트 엔드 패널(16)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KR2019960050140U 1996-12-17 1996-12-17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KR199800371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140U KR19980037122U (ko) 1996-12-17 1996-12-17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140U KR19980037122U (ko) 1996-12-17 1996-12-17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122U true KR19980037122U (ko) 1998-09-15

Family

ID=539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140U KR19980037122U (ko) 1996-12-17 1996-12-17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12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52B1 (ko) * 2000-11-24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화 구조
KR100383990B1 (ko) * 2000-12-26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앤드 모듈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52B1 (ko) * 2000-11-24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화 구조
KR100383990B1 (ko) * 2000-12-26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앤드 모듈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KR19980037122U (ko)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KR200234180Y1 (ko) 자동차의차체보강구조
KR100353738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JP2000016334A (ja) コンバーチブル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347724B1 (ko) 차체용 케이지 구조
KR19980046928A (ko) 자동차의 프런트 에이프런 레인포스먼트
KR200262967Y1 (ko) 자동차의카울벌크헤드설치구조
KR1998006105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0216714Y1 (ko) 자동차의프론트에어프런보강구조
KR200142241Y1 (ko) 자동차의 쿼터인너패널 구조
KR19980032416U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0134447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와 냉각수 보조탱크겸용 장착브라켓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20018747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19980027197U (ko) 차량용 플로어패널
KR19980032787U (ko) 자동차용 크로스멤버
KR19980038286U (ko) 차량의 프론트 시트 크로스 멤버 보강구조
KR19980041534U (ko) 자동차의 프런트 에이프런 프레임
KR19980036362U (ko) 자동차의 카울패널구조
KR19990016738U (ko) 고강성을 가지는 자동차의 휠 에이프런부
KR19980055363A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62677A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KR19990018812U (ko) 자동차의 프론트 스트러트 하우징 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