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301A -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301A
KR19980033301A KR1019970056147A KR19970056147A KR19980033301A KR 19980033301 A KR19980033301 A KR 19980033301A KR 1019970056147 A KR1019970056147 A KR 1019970056147A KR 19970056147 A KR19970056147 A KR 19970056147A KR 19980033301 A KR19980033301 A KR 1998003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lide
switch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175B1 (ko
Inventor
라인하르트 랑에
클라우스 뮐러
랄프 엘팅
볼프강 후버
Original Assignee
베.크바스트
테에르베파르초이크엘렉트릭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크바스트, 테에르베파르초이크엘렉트릭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filed Critical 베.크바스트
Publication of KR1998003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6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6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 H01H2003/167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with locking of the adjusted parts in the adjusted position by a separat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등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7, 107) 내에서 안내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점(150)을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9, 109), 및 슬라이드(9, 109)에 대해 그것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19, 119)를 포함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드(9, 109)는 제 1 맞물림 수단(23, 123)을 포함하고 플런저(19, 119)는 제 2 맞물림 수단(21, 121)을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및 플런저가 잠금 결합되거나 및/또는 록킹될 수 있고, 플런저(19, 119) 또는 슬라이드(9, 109)의 횡단면은 두 부품 중 하나가 조립 개구(3, 103) 내로 삽입시 조립 부품(5) 내에 회전 불가능하며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다른 부품은 하우징(7, 107) 내에 회전 불가능하며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맞물림 수단(23, 123) 및 제 2 맞물림 수단(21, 121)은 플런저(19, 119) 및 슬라이드(9, 109)가 하우징(7, 107)의 회전에 의해 플런저와 슬라이드가 서로 이동가능한 조정 및 조립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바뀔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점을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에 대해 그것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등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는 특히 브레이크등 스위치로서 사용되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페달의 관련 측면과, 브레이크등 스위치 하우징의 수용 및 고정을 위한 개구가 제공되는 자동차의 램프 어셈블리 사이의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출원인에 의해 제조된 공지된 스위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의 둘레에는 슬라이드에 제공된 제 2 맞물림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제 1 맞물림 수단이 제공된다. 슬라이드는 스위치 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플런저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에 고정된다. 자동차의 램프 어셈블리에 스위치를 조립할 때, 스위치 하우징은 램프 어셈블리의 상부면(브레이크 페달에 관련해서 볼때)으로부터 이것에 제공된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되고, 플런저의 헤드는 브레이크 페달의 상부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러한 조정 및 조립 위치에서, 플런저는 스위치 하우징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한 위치에서 슬라이드와 맞물린다. 플런저 헤드가 브레이크 페달의 상부면에 접함으로 인해 스위치 하우징의 상부면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예정된 스위칭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이 스위치 하우징 내로 이동된다. 예정된 스위칭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에 있는 슬라이드용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다. 스위치의 플런저는 적어도 램프 어셈블리의 개구 내로 스위치를 삽입할 때 상기 스위칭 위치에 확실히 도달할 정도로 길게 형성된다. 램프 어셈블리와 브레이크 페달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스위칭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이동 거리 보다 작으면, 스위치 하우징을 수용 개구 내로 삽입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상부면에 플런저 헤드가 접함으로 인해 부가의 압력이 플런저에 가해짐으로써, 슬라이드에 대한 플런저의 잠금 이동을 위한 한계 힘이 초과되어 플런저의 자체 조정이 이루어진다.
스위치 하우징의 상부면이 램프 어셈블리의 하부면에 접하는 위치에서 수용 개구 내로 스위치를 완전히 삽입한 후에, 플런저 스위치가 예정된 각만큼 회전됨으로써 수용 개구 내에 고정된다. 이것을 위해 스위치 하우징이 하나 또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는 스위치를 수용 개구내로 삽입할 때 대응 리세스 내로 돌출하며 스위치의 종축을 중심으로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으로 인해 램프 어셈블리 뒤로 맞물린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에서는 특정한 경우에 플런저와 슬라이드 사이의 소정 잠금 위치의 의도치 않은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예컨대 스위치 부품의 열 팽창에 의해 또는 잠금 영역의 마모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스위치 영역에서의 조종도 소정 잠금 위치의 의도치 않은 변위(자체 조정이 이루어진 후에)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위칭 점의 이동이 일어나므로, 이미 현저한 브레이크 작용이 일어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를 벗어날 때야 비로소 브레이크등이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점 전에는 상기 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이 이미 시작된 브레이크 과정에 대한 어떤 지시도 받지 못한다.
따라서, 출원인은 미공개 독일 특허 출원 제 196 03 135.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자체 조정되며 록킹 가능한 플런저 스위치를 개발했다. 이 스위치에서는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이 그것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플런저의 회전에 의해 조정 위치로 부터 록킹된 위치로 바뀐다. 상기 록킹된 위치에서는 슬라이드에 대한 플런저의 잠금 이동이 불가능하다.
상기 스위치에서는 예컨대 스위치의 삽입 및 자체 조정 후에 플런저가 더 이상 조립측으로부터 접근될 수 없기 때문에, 조립 개구 내로 스위치를 삽입할 때 관련자가 동시에 플런저의 회전을 야기시킬 수 없는 경우에, 슬라이드에 대한 플런저의 회전에 의한 스위치의 조립 또는 록킹이 부가의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났다. 모든 경우에, 플런저의 회전은 부가의 부식 또는 부가의 작동을 요구하고 그에 따라 조립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의도치 않은 오조정이 확실히 방지되고 동시에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 2의 평면도의 선 Ⅰ-Ⅰ을 따른 본 발명의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립 부품 내에 삽입된 스위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Ⅱ-Ⅱ에 따른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스위치용 조립개구의 평면도.
도 5는 플런저 슬라이드 시스템의 조정 및 조립 위치에서 도 4a에 따른 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6은 조립된 위치에서 도 4 및 5에 따른 스위치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플런저 스위치 3, 103: 개구
5: 조립 부품 7, 107: 하우징
9, 109: 슬라이드 19, 119: 플런저
21, 121, 23, 123: 맞물림 수단
27a, 27b, 127a, 127b: 고정 수단
140: 스페이서 150: 접점
158: 리세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스위치 및 플런저 또는 슬라이드의 횡단면을 수용하기 위한 조립 개구가 그것 내로 스위치 하우징을 완전히 삽입한 후에 플런저 또는 슬라이드가 수용 개구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부품(슬라이드 또는 플런저)가 하우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계되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예정된 각 만큼 스위치 하우징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에 제공된 제 1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수단은 회전에 의해 조립 부품에 제공된 제 2 고정 수단과 맞물릴 수 있는 경우, 적은 조립 비용면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이 경우에,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록킹 및 동시에 조립 부품의 수용 개구 내에 스위치 하우징의 고정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 또는 슬라이드가 제 1 및 제 2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조립 및 조정 위치를 규정하는 각 위치로 두 부재 중 하나를 다른 부재에 대해 잠금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에 의해 힘을 받아 휴지위치로부터 벗어날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슬라이드가 예정된 스위칭 위치에 도달할 때야 비로소 변위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예정된 스위칭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된 슬라이드용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런저의 조립 및 자체 조정 후에 슬라이드가 스토퍼에 대해 이동된 스위칭 위치에 놓이므로, 플런저 및 그에 따라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이 상기 스위칭 위치로부터 예정된 스위칭 거리 만큼 이동된 경우에 스위치에 제공된 관련 접점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브레이크등 스위치로서 사용할 때, 이것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 스위치와 브레이크 페달의 레버의 관련 상부면 또는 하부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브레이크 페달의 레버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 스위치의 플런저가 탄성 부재에 의해 스위치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부품(슬라이드 또는 플런저)은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휴지 위치에서 조립 개구 또는 조립 부품의 별도 개구 내에서 조립 부품과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부품과 조립 부품의 회전 불가능한 결합이 중지될 때까지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이 스위치 내로 이동될 때만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하우징과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부품(슬라이드 또는 플런저)은 바람직하게는 스위치의 조립 후에 취해야 하는 스위칭 위치에 슬라이드가 놓일 때야 비로소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을 위해 예컨대 슬라이드는 그것의 둘레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노우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우즈는 조립 개구 내의 대응 리세스 내로 삽입된다. 노우즈의 상부 에지는 슬라이드가 적어도 대략 소정 스위칭 위치에 놓일 때야 비로소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 및 그에 따라 스위치 하우징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슬라이드가 탄성 부재에 의해 힘을 받으며 예정된 스위칭 위치에 고정된다. 적어도 시스템에 작용하는 힘이 일정 값 이상일 때 그것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플런저와 슬라이드 사이의 결합은 탄성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매칭되므로, 슬라이드가 스위칭 위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슬라이드에 대한 플런저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것을 위해 플런저 및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플런저 및 슬라이드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슬라이드의 소정 스위칭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스토퍼는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만 작용하며,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 후에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록킹에 의해 슬라이드가 스위칭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접점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스토퍼가 반대 방향으로, 즉 플런저가 스위치로부터 이동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식의 스토퍼는 조립 부품 내의 리세스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스페이서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내에서 플런저는 동축으로 안내된다.
스페이서 및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 및 리세스는 (플런저의 이동 방향으로) 조정 및 조립 위치에서 슬라이드가 스위칭 위치에 고정되고 록킹된 위치에서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가 서로 삽입되며 스위칭 위치로부터 슬라이드의 이동이 접점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일으키도록 상호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런저가 탄성 부재에 의해 힘을 받으므로, 스위치 하우징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플런저가 상기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갖는다.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조정 동안 슬라이드가 예정된 스위칭 위치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는 플런저 및 그에 따라 슬라이드가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록킹 후에 오작동에 의해 재차 스위치 하우징 내로 이동되는 경우 스위치의 파괴 또는 손상이 간단히 방지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을 위해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드에 대한 충분한 이동 거리만이 제공되면 된다. 달리 표현하면, 슬라이드의 스위칭 위치가 부가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하우징 내로의 슬라이드의 운동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청구의 범위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플런저 스위치(1)를 나타낸다. 플런저 스위치(1)는 조립 부품(5)의 조립 개구(3), 예컨대 자동차의 램프 어셈블리에 조립된다. 플런저 스위치(1)는 하우징(7)을 포함한다. 하우징(7)의 상부면에 있는 연장부(7a)는 조립 개구(3) 내로 삽입된다. 연장부(7a) 및 조립 개구(3)는 플런저 스위치(1) 또는 하우징(7)이 조립 개구(3) 내로 삽입된 후 플런저 스위치(1)의 종축을 중심으로 스위치 하우징(7)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7)의 내부에는 슬라이드(9)가 제공된다. 슬라이드(9)는 플런저 스위치(1)의 종축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슬라이드(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의 내벽을 통해 안내되는 하부(9a)를 갖는다. 하부(9a)는 부가로 스위치의 종축 방향으로 뻗은 핀(11)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핀(11)은 슬라이드(9)의 부가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하부(9a)는 바닥측에 나사 스프링(15)의 상부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3)를 갖는다. 나사 스프링(15)의 상단부는 리세스(13)의 상부 내벽에 지지되고 그것의 하단부는 하우징(7)의 바닥에 대해 지지된다. 나사 스프링(15)의 고정 및 안내를 위해, 하우징(7)의 바닥에는 예컨대 원통형 연장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7)는 나사 스프링(15)의 와인딩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된다.
상기 방식으로 나사 스프링(15)이 슬라이드(9)에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드(9)의 상단부에 제공된, 예컨대 링형 돌출부(19)가 하우징(7)의 덮개 영역의 내벽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링형 돌출부(19)는 슬라이드(9)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 사용된다.
슬라이드(9)에, 특히 슬라이드의 하부 영역(9b)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접점의 하나 또는 다수의 도시되지 않은 접점 부재가 배치된다.
슬라이드(9)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런저(19)는 상부로부터 슬라이드(9) 내로 삽입된다. 플런저(19)는 슬라이드(9) 내로 삽입되는 영역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맞물림 수단(21)을 포함한다.
맞물림 수단(21)은 슬라이드(9)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맞물림 수단(23)과 상호작용한다. 상기 맞물림 수단(23)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 암(23a)을 가진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맞물림 수단(21)의 영역에서 플런저의 횡단면도는 맞물림 수단(23)의 탄성 암(23a)이 제 1 각 위치로 맞물림 수단(21)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맞물림 수단(21)의 외부면과 슬라이드의 내벽 사이에는 충분한 링형 공간이 주어짐으로써, 슬라이드(9)에 대한 플런저(9)의 잠금 이동이 가능하다. 달리 표현하면, 링형 공간은 외부로 탄성 암(23a)의 방사방향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커서, 탄성 암(23a)이 맞물림 수단(21)의 톱니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각 위치는 스위치(1) 또는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조정 및 조립 위치를 규정하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19)를 그것의 종축을 중심으로 예정된 각만큼 회전시킬때, 탄성 암(23a)은 상기 각 위치에서 보다 큰 횡단면 직경으로 인해, 맞물림 수단(21)의 영역에서 플런저(19)의 외벽과 슬라이드(9)의 내벽 사이에 작은 링형 공간이 여전히 남아있을 정도로 방사방향 외부로 이동된다. 상기 링형 공간이 작으므로, 탄성 암(23a)의 방사방향 외부로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거나, 적어도 탄성 암(23a)이 톱니의 첨두 위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각 위치에서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슬라이드(9)에 대한 플런저(19)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플런저(19)의 외벽에 플런저의 작동 방향 또는 스위치의 종축으로 뻗은 노우즈(25)가 제공된다(도 1). 상기 노우즈(25)는 조립 부품(5) 내의 조립 개구(3)의 대응 리세스(3a)(도 2)와 상호작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런저 스위치(1)가 조립 개구(3) 내로 삽입되면, 대응 리세스(3a)의 측벽에 있는 노우즈(25)의 스토퍼에 의해 플런저(19)가 조립 개구(3)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것은 적어도 도 2에 따른 화살표 방향으로의 회전에 적용된다.
스위치가 단 하나의 정해진 위치에서만 조립 개구(3)내로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7)의 연장부(7a)에 고정 수단(27a), (27b)이 제공된다. 고정 수단(27a), (27b)은 조립 개구(3)내로 스위치(1)를 삽입한다는 의미로 조립 개구(3) 내의 대응 리세스(3b) 및 (3c)와 상호작용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 수단(27a), (27b)은 연장부(7a)로부터 방사방향 외부로 연장된 노우즈로서 형성되며, 상기 노우즈는 고정 수단(27a), (27b)의 하부면과 하우징(7)의 쇼울더(7b)의 상부면 사이에 조립 부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쇼울더(7b)는 동시에 조립 개구(3) 내로 하우징(7)을 삽입하는데 대한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고정 수단(27a), (27b)에 의해 플런저 스위치(1)는 정해진 각 위치로 조립 개구 내로 삽입된다. 고정 수단(27a), (27b)은 대응 리세스(3b) 및 (3c)를 통해 하부로부터 이동된다. 제 2도에 따른 화살표 방향으로 스위치 하우징(7)을 회전할 때, 고정 수단(27a), (27b)이 조립 부품 뒤로 맞물림으로써, 스위치가 조립 부품(5)에 결합된다.
동시에, 하우징(7)의 이러한 회전시 플런저(19)가 노우즈(25)와 대응 리세스(3a)의 상호 작용에 의해 조립 개구(3)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전술한 방식으로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조립 개구(3) 내로 플런저 스위치(1)의 삽입시, 플런저 스위치(1)는 플런저의 헤드(19a)에 의해 작동 부재,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의 관련 측면에 대해 가압된다.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플런저(19)가 그것의 최상 잠금 위치에 놓인, 즉 하우징(7)으로부터 최대로 돌출한 상태에서 스위치(1)가 조립 개구(3) 내로 삽입된다. 조립 부품과 (도시되지 않은)작동 부재의 관련 측면 사이의 간격은 스위치의 자체 조정을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7)의 쇼울더(7b)와 플런저(19)의 헤드(19a)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 보다 작아야 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스위치를 조립 개구 내로 삽입할 때, 하우징(7)의 쇼울더(7b)가 조립 부품(5)의 하부면에 접하기 전에, 헤드(19a)가 작동 부재의 하부면에 접촉한다. 하우징(7)을 조립 개구(5) 내로 더욱 삽입하면, 결과적으로 슬라이드가 정해진 스위칭 위치에 이를 때까지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이 먼저 쇼울더 내로 이동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9)의 하부(9a)가 스토퍼, 예컨대 하우징(7)의 바닥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정해진다. 상기 스위칭 위치에 도달한 후에 하우징이 작동 부재의 방향으로 더욱 더 이동되면, 하우징(7)의 쇼울더(7b)가 조립 부품(5)의 하부면에 접할 때까지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조정 및 조립 위치가 잠금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위치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플런저(19)에서 하우징(7)이 회전됨으로써, 한편으로는 조립 개구(3) 내에 하우징(7)의 고정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는 슬라이드(9)가 그것의 상부 영역에 조립 개구(3)의 대응 리세스와 상호작용하는 노우즈(29)를 포함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 리세스는 스위치 하우징의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27b)을 수용하기 위해 이미 사용된 대응 리세스(3c)이다. 따라서, 노우즈(29)의 상부 에지가 조립 부품(5)의 하부면 아래 놓여질 정도로 슬라이드(9)가 하우징(7) 내로 삽입될 때까지, 노우즈(29)가 스위치 하우징(7)의 회전을 차단한다. 상기 거리(및 그에 따라 노우즈 상부 에지의 길이 및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내부로의 노우즈(29) 이동에 의한 하우징(7)의 회전운동의 개시가 슬라이드(9)의 소정 스위칭 위치에 도달할 때에야 비로소 또는 상기 소정 스위칭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하우징(7)의 회전 후 작동 부재가 작동할 때(이 경우, 작동 부재는 조립 부품(5)으로부터 이동된다) 슬라이드(9)의 스위칭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된 위치에서, 즉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록킹된 위치에서 노우즈(29)가 재차 대응 리세스와 상호작용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치 않으면 슬라이드의 스위칭 이동이 조립 부품(5)의 하부면에 의해 제한되고 그에 따라 경우에 따라 상기 스위칭 이동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위치의 조립 및 록킹은 하우징 및 그것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노우즈(29)를 가진 슬라이드의 약 90°정도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회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의 스위칭 운동은 대응 리세스(3a)에 의해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대응 리세스(3a)은 플런저(19)의 노우즈(25)에 부가해서 슬라이드(9)의 노우즈(29)가 그 안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도록 설계된다.
물론, 상기 목적을 위해 별도의 대응 리세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정상의 스위칭 운동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 부재의 초과 행정시, 즉 조립 부품(5)의 방향으로 이동시 스위치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런저(19)에 후속 동작 기능이 통합된다. 이것을 위해, 헤드(19a)가 이동가능하게 플런저 내에 고정되고 나사 스프링(31)에 의해 힘을 받는다. 물론, 헤드(19a)의 이동 거리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나사 스프링(31)은 슬라이드(9)가 이미 소정 스위칭 위치(작동 부재가 작동하지 않을 때 슬라이드의 정상 위치)에 도달하고 (스위치의 조립시) 자체 조정이 이루어질 때야 비로소 후속 동작, 즉 플런저(19) 내에서 헤드(19a)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브레이크 페달에서 록킹된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이러한 이동은 예컨대 안전 장치 또는 도난 방지 차단장치로서 작용하며 조향 휠을 브레이크 페달에 접속시키기 위한 클로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의 전방 레버가 조향 휠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나타난다. 이 경우, 플런저 스위치와 상호 작용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후방 레버 부분은 플런저(19)의 헤드(19a)에 힘을 가한다.
이하,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a에 따른 사시도는 조립 부품(5)의 조립 개구(103)(도 4b) 내로 하우징(7)을 삽입하는데 대한 스토퍼로서 재차 쇼울더(7b)를 사용하는 하우징(107)을 가진 플런저 스위치(100)를 나타낸다.
플런저 스위치(100)는 재차 조립 부품(5)에 쇼울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127a), (127b)을 포함한다. 조립 개구(103)는 재차 상응하게 형성된 대응 리세스(103a), (103b)를 가지므로, 쇼울더(107b)가 조립 부품(5)의 하부면에 접할 때까지, 스위치의 고정 수단(127a), (127b)이 하부로부터 조립 개구(103)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스위치는 스위치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조립 부품(5)에 접속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및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7)의 상부 영역에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한 스페이서(140)가 제공되고, 상기 스페이서(140)는 대응 리세스(103a)의 형태에 알맞는 노우즈(140a)를 포함한다.
조립 부품(5)의 조립 개구(103) 내로 스위치(100)를 삽입하기 위해, 스페이서(140)가 하우징(107)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노우즈(140a)가 고정 수단(127a)과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따라서, 하우징(107)의 쇼울더(107b)가 조립 부품(5)의 하부면에 접하면, 노우즈(140a)가 대응 리세스(103a) 내로 삽입된다.
플런저(119)는 스페이서(140)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하우징(107)에 대해 스페이서(140) 내의 리세스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플런저 및 스페이서(140) 내의 리세스의 횡단면은 플런저(119)가 스페이서(140)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스페이서(140)가 노우즈(140a)에 의해 대응 리세스(103a)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면, 플런저(119)가 회전불가능하지만 스위치 종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페이서(140) 내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위치(100)의 하우징(107)이 회전되면,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회전 및 이로 인해 야기되는 록킹이 이루어진다.
록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맞은편 종측면에 있는 플런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맞물림 수단(121)을 포함한다. 맞물림 수단(121)은 링형으로 형성된 슬라이드(109)의 내벽에 제공된 대응 맞물림 수단(123)과 상호작용한다. 록킹되지 않은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에서, 맞물림 수단(121)이 대응 맞물림 수단(123)과 맞물리지 않음으로써, 슬라이드에 대한 플런저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해진다.
조립 개구(103) 내에 플런저 스위치(100)를 조립하기 위해, 플런저(119) 및 스페이서(140)가 도 4a 및 5에 도시된 조정 및 조립 위치로 된다. 이 위치에서 슬라이드(109)에 대한 플런저(119)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에서 슬라이드는 이미 도 5 및 6에 도시된 소정 스위칭 위치에 놓인다. 상기 스위칭 위치는 스페이서(140)의 하부면에 있는 2개의 연장부(140b)에 의해 정해지고, 슬라이드(109)의 상부면이 스프링(142)에 의한 힘에 의해 연장부(140b)의 정지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것을 위해 스프링(142)은 한편으로는 슬라이드(109)의 하부면에 힘을 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107)의 하부 영역에 있는 쇼울더(144)에 힘을 가한다.
또한, 부가의 스프링(146)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는 플런저(119)의 하부면에 있는 리세스 내에 수용되고, 그것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107)의 바닥에 힘을 가한다. 스프링(146)은 핀(148)에 의해 하우징(107)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109)의 스위칭 위치는 연장부(140b)의 정지 작용이 없어진 후에 (후술됨) 접점(150)의 작동을 위한 충분한 스위칭 거리가 생기도록 선택된다. 접점(150)은 2개의 접점 부재(152), (15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점 부재는 전도성 부재(156)에 의해 슬라이드(109)의 하부면에서 접속될 수 있다.
조립 개구(103) 내로 스위치(100)를 삽입할 때, 먼저 플런저의 헤드가 작동 부재의 관련 측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나서, 쇼울더(107b)가 조립 부품(5)의 하부면에 접할 때까지 스위치가 작동 부재의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음)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플런저(5)는 슬라이드(109)에 대해 미끄럼 이동되며, 슬라이드(109)는 스프링(142)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스위칭 위치에 고정된다.
그 다음에, 전술한 방식으로 스위치의 하우징(107)이 예정된 각, 예컨대 90°만큼 회전됨으로써,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이 록킹된다. 상기 록킹된 위치는 도 6에 도시된다. 스페이서(140)에 대한 하우징(107) 및 그에 따라 슬라이드(109)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연장부(140b)가 스토퍼로서의 그 작용을 잃어버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40b)가 슬라이드(109)의 상부면에 있는 리세스(158)에 마주 놓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작동 부재가 조립 부품(5)으로부터 이동할 때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109)의 스위칭 거리가 가능해진다. 슬라이드(109) 또는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이동시 연장부(140b)가 리세스(158) 내로 삽입된다. 일정한 이동 거리 만큼 이동되면, 접점 부재(152), (154)가 전도성 부재(156)를 통해 전도 접속됨으로써 접점이 폐쇄된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스위치 타입에서는 작동부재가 작동 방향과는 반대로 이동할 때(참고: 도난 방지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페달 작동의 전술한 실시예) 스위치가 손상되거나 또는 파괴되는 것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된다: 이것을 위해 슬라이드 또는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스위칭 위치로부터 관련 작동방향으로(도 5 및 6에서 하부로) 충분한 이동 거리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스위치 타입에서는 도 1 내지 3의 타입에서와는 달리, 플런저 등에 있는 적합한 메커니즘에 의한 후속 동작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부가의 스프링도 필요없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맞물림 수단(121)은 각각의 톱니가 수평으로 뻗은 상부면 및 경사지게 뻗은 하부면을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슬라이드(109)의 대응 맞물림 수단(123)이 상응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드(109)의 회전 동안 처음 차례로 만날 때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을 록킹하기 위한 하우징(107)과 상호작용하는 2개의 맞물림 수단(121) 및/또는 맞물림 수단(123) 각각의 시작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앞면이 둔각으로 서로 만나지 않고 회전 또는 록킹이 차단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시작 부분은 방위각의 방향으로 뻗은 경사면을 가지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생기는 방사방향으로 뻗은 시작 부분의 앞면이 시작 에지쪽으로 줄어든다. 방위각의 방향으로 뻗은 경사면이 구현되므로, 맞물림 수단(121) 및 약간 변위된 치형부를 가진 맞물림 수단(123)의 시작부분이 차례로 만나면, 치형부가 정확하게 대응하는 맞물림 위치에 놓일 때까지 고정된 슬라이드에서 플런저가 스위치 하우징(107) 내로 이동된다.
예컨대, 도 6에 따라 수평으로 뻗은 맞물림 수단(123)의 각각의 톱니의 하부면은 그것의 시작 부분에 방위각의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중첩된 경사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뻗은 하부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뻗는다.
동시에 매우 작은 앞면 또는 톱니의 시작부분의 앞면 에지가 더 이상 방사방향으로 뻗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와 플런저의 치형부의 시작부분이 맞물릴때, 먼저 방사방향 외부 영역이 그리고 치형부의 일정 중첩 후부터 개별 톱니가 완전한 맞물림이라는 면에서 상호작용하도록 경사지게 뻗는다.
물론, 슬라이드 톱니의 하부면 대신에, 플런저 톱니의 상부면에 대응 경사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플런저 스위치 시스템의 의도치 않은 오조정이 확실히 방지되고 동시에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가 제공된다.

Claims (12)

  1. a) 하우징(7, 107) 내에서 안내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점(150)을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9, 109), 및
    b) 슬라이드(9, 109)에 대해 그것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19, 119)를 포함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등 스위치에 있어서,
    c) 슬라이드(9, 109)는 제 1 맞물림 수단(23, 123)을 포함하고 플런저(19, 119)는 제 2 맞물림 수단(21, 121)을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및 플런저가 잠금 결합되거나 및/또는 록킹될 수 있고,
    d) 플런저(19, 119) 또는 슬라이드(9, 109)의 횡단면이 두 부품 중 하나가 조립 개구(3, 103) 내로 삽입시 조립 부품(5) 내에 회전 불가능하며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다른 부품은 하우징(7, 107) 내에 회전 불가능하며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e) 제 1 맞물림 수단(23, 123) 및 제 2 맞물림 수단(21, 121)은 플런저(19, 119) 및 슬라이드(9, 109)가 하우징(7, 107)의 회전에 의해, 플런저와 슬라이드가 서로 이동가능한 조정 및 조립 위치로부터 록킹된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바뀔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제 1 고정 수단(27a, 27b; 127a, 127b)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고정 수단은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조립 부품(5)에 제공된 제 2 고정 수단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 1 맞물림 수단(23) 및 제 2 맞물림 수단(21)은 슬라이드(9) 및 플런저(19)가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서로 잠기도록 이동가능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은 탄성 부재(15)에 의해 그것이 휴지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힘을 받으며, 탄성 부재(15)는 슬라이드(9)가 예정된 스위칭 위치에 이를 때야 비로소 변위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예정된 스위칭 위치가 슬라이드(9)용 스토퍼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하우징(7)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부품(슬라이드(9) 또는 플런저(19))은 그것이 플런저-스위치 시스템의 휴지 위치에서 조립 개구(3) 또는 조립 부품의 별도의 개구 내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조립 부품(5)에 결합되고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이동시 조립 부품(5)과의 맞물림이 풀려지며 이것에 의해 플런저-스위치 시스템이 록킹된 위치로 바뀔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7.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109)는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탄성 부재(142)에 의해 힘을 받아 예정된 스위칭 위치에 고정되고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슬라이드(109)에 대한 플런저(119)의 이동은 슬라이드의 이동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플런저(119)가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 슬라이드(109)에 대해 탄성 부재(146)의 힘에 대항해서 미끄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9. 제 6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칭 위치가 조립 및 조정 위치에서만 작용하는 스토퍼에 의해 정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플런저(119)가 조립 개구(103)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하우징(107)의 스페이서(140) 내에 회전 불가능하며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토퍼(140a)가 상기 스페이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스페이서(140) 및 슬라이드(10)가 돌출부(140a) 및/또는 리세스(158)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는 조정 및 조립 위치에서 슬라이드(109)용 스토퍼가 형성되도록 상호 작용하고, 록킹된 위치에서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가 서로 맞물리고 스위칭 위치로부터의 슬라이드의 이동은 접점(150)의 활성화 /비활성화를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12. 제 6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7)은 록킹 후 플런저-슬라이드 시스템의 이동이 플런저의 자유 단부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플런저 스위치.
KR1019970056147A 1996-10-31 1997-10-30 자체조정플런저스위치 KR100301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5058A DE19645058C1 (de) 1996-10-31 1996-10-31 Selbstjustierender Stößelschalter, insbesondere KFZ-Bremslichtschalter
DE19645058.6 1996-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01A true KR19980033301A (ko) 1998-07-25
KR100301175B1 KR100301175B1 (ko) 2001-09-03

Family

ID=781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147A KR100301175B1 (ko) 1996-10-31 1997-10-30 자체조정플런저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47268A (ko)
EP (1) EP0840336B1 (ko)
JP (1) JP3165669B2 (ko)
KR (1) KR100301175B1 (ko)
BR (1) BR9705177B1 (ko)
DE (2) DE19645058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032B1 (ko) 2004-11-16 2006-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스위치 구조
WO2013039466A1 (en) * 2011-09-08 2013-03-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lunger swi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4750A1 (de) * 1998-04-02 1999-10-07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Schalter
DE19906036C1 (de) 1999-02-12 2000-03-16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Schalter, insbesondere Kfz-Bremslichtschalter
US6118090A (en) * 1999-12-20 2000-09-12 U.S. Controls Corporation Self-aligning lid switch for laundry machines
US6204463B1 (en) * 1999-12-21 2001-03-20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Self-adjusting switch mechanism with anti-adjustment protection
GB0020983D0 (en) * 2000-08-26 2000-10-11 Honeywell Control Syst Limit switch
DE10055661A1 (de) * 2000-11-10 2002-05-16 Volkswagen Ag Kraftfahrzeug mit einer Schiebetür
KR101047631B1 (ko) 2008-09-09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톱 램프 스위치 장착구조
IT1398690B1 (it) * 2009-07-07 2013-03-08 Eltek Spa Interruttore per veicoli
US9053877B2 (en) * 2012-02-03 2015-06-09 Delta Systems, Inc. Plunger switch and method of using same
US9679712B2 (en) * 2012-10-16 2017-06-13 Delta Systems, Inc.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DE102014005012B4 (de) * 2014-04-05 2015-12-10 Audi Ag System für ein Pedal
CN108305794A (zh) * 2018-04-04 2018-07-20 广州市双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基站
CN108447709A (zh) * 2018-05-23 2018-08-24 天津九幻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节能减排装置
CN108987181A (zh) * 2018-07-27 2018-1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磁性接近开关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98096A (en) * 1970-09-24 1972-11-29 Borg Warner Ltd Switch unit
DE2848875C2 (de) * 1978-11-10 1982-11-18 Werner Messmer Gmbh & Co Kg, 7760 Radolfzell Stößelschalter, insbesondere Bremslichtschalter
DE3230414A1 (de) * 1982-08-16 1984-02-16 Franz Kirsten Elektrotechnische Spezialfabrik, 6530 Bingen Stoesselschalter
US4604506A (en) * 1985-07-10 1986-08-05 Switches, Inc. Self-adjusting switch mechanism
DE3527874A1 (de) * 1985-08-02 1987-02-05 Gefra Licence Ag Heerbrugg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alteinrichtung
US4684769A (en) * 1986-09-08 1987-08-04 Joseph Pollak Corporation Manual clutch switching system
US4698466A (en) * 1986-09-08 1987-10-06 Joseph Pollak Corporation Automotive switch
US4739133A (en) * 1987-04-06 1988-04-19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SE458486B (sv) * 1988-04-26 1989-04-03 Volvo Ab Laengdjusteringsanordning vid omkopplare
US5162625A (en) * 1991-01-22 1992-11-10 Eaton Corporation Switch assembly
DE4215515C1 (ko) * 1992-05-12 1993-08-05 Merit-Elektrik Gmbh, 5270 Gummersbach, De
JP3109635B2 (ja) * 1993-09-17 2000-1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ランジャスイッチ
US5534672A (en) * 1995-02-06 1996-07-09 Emerson Electric Co. Multiple plunger pedal switch assembly
DE19603135C1 (de) * 1996-01-29 1997-03-20 Trw Fahrzeugelektrik Selbstjustierender Stößelschalter
GB9608282D0 (en) * 1996-04-22 1996-06-26 Delta Schoeller Ltd Plunger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032B1 (ko) 2004-11-16 2006-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스위치 구조
WO2013039466A1 (en) * 2011-09-08 2013-03-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lunger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5177B1 (pt) 2009-05-05
KR100301175B1 (ko) 2001-09-03
DE59703099D1 (de) 2001-04-12
JPH10188723A (ja) 1998-07-21
EP0840336A2 (de) 1998-05-06
US5947268A (en) 1999-09-07
JP3165669B2 (ja) 2001-05-14
BR9705177A (pt) 1999-02-23
DE19645058C1 (de) 1997-10-23
EP0840336B1 (de) 2001-03-07
EP0840336A3 (de)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175B1 (ko) 자체조정플런저스위치
KR950013359B1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WO1993024947A1 (en) Safety switch assemblies
KR100301176B1 (ko) 자체조정플런저스위치
US8689593B2 (en) Anti-theft security device for vehicles
US5959267A (en) Rotary electrical component with push switch
US4400954A (en) Steering lock assembly
US20040000553A1 (en) Cap device for fuel tank
FI79168C (fi) Doerrlaos.
JP3145328B2 (ja) 自己調節式タペットスイッチ
US6861597B2 (en) Safety switch with unlatching disc
KR20010082185A (ko) 가스 코크를 위한 전기 스위치
EP0729165B1 (en) Interlock mechanism for a key operated door switch
US4018069A (en) Key-actuated barrel-type locks
US4647734A (en) Binary switch lock
JPH0619239U (ja) キースイッチ装置
EP0821829B1 (en) Switch assemblies
GB2410526A (en) Thermostatic valve top part housing
EP0871188B1 (en) Key-controlled safety switch
GB2351764A (en) Steering lock device
CN115966936B (zh) 用于电气连接单元的安装元件
JPH10106376A (ja) 安全スイッチ
EP0933794B1 (en) Electric safety switch
US20080156628A1 (en) Switch apparatus
RU2022390C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ограничитель перемещения подвижной части механизма относительно неподвиж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