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180A - 펀치 - Google Patents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180A
KR19980033180A KR1019970055056A KR19970055056A KR19980033180A KR 19980033180 A KR19980033180 A KR 19980033180A KR 1019970055056 A KR1019970055056 A KR 1019970055056A KR 19970055056 A KR19970055056 A KR 19970055056A KR 19980033180 A KR19980033180 A KR 19980033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head
rack
cam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930B1 (ko
Inventor
모리쥬조
Original Assignee
모리쥬조
가루지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쥬조, 가루지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쥬조
Publication of KR1998003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 Y10T74/188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with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42Tool pair positionable as a unit
    • Y10T83/8743Straight line positio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44Gear actuated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두 개의 운동, 예를 들면, 레일(4)을 따른 브레이더(1)의 운동과 펀치(32)의 운동이 슬라이드 변속축(2)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는 펀치가 제공되어 브레이드의 관성의 나쁜 영향이 억압되고, 고속작동이 실현됨으로써 펀칭작동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펀치는 헤드(1)와 맞물리는 슬리이드 변속축(2), 외주면과 펀치구동기어에 헤리컬부분과 수직부분으로 구성된 헤리컬캠(281)을 원심적으로 지닌 구동부재(28), 랙크와 맞물리는 동안 슬라이드 변속축(2)과 평행하며 헤리컬캠(281)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의 이빨을 지닌 랙크(31)와, 펀치구동기어와 수직으로 맞물리는 동안 회전하고 펀치구동부재의 직각구멍과 맞물리는 핀을 지닌 펀치구동핀(361)을 구비하고, 헤리컬캠(281)의 헤리컬부분이 랙크(31)와 맞물리는 동안 헤드가 랙크(31)를 따라 변위하고 펀치의 첩단의 상하운동은 헤리컬캠(281)의 수직부분이 랙크(31)와 맞물리는 동안 펀치과정의 영역에서 수행되고 헤드변위 및 정지 및 펀치의 상하운동은 펀치될 구멍의 피치와 완전히 동기된다.

Description

펀치
본 발명은 문서를 파일할 때 이러한 문서를 펀칭하는 펀치 또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펀칭장치는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헤이6-554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펀칭장치에서 케이싱에 형성된 홈을 이동시키는 펀치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이 이동펀치 부분은 펀치부 이동홈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다음 펀치부분이 구동기어와 피구동기어사이에 위치한 이음새없는 벨트에 고정되어 있고 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펀칭부에 설치된 펀칭장치의 구동 메카니즘에서, 펀치가 핀에 의해 연결된 첩단을 지닌 크랭크축이 중간부분에서 흔들리게 지지되어 있고 경사구멍이 크랭크축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고, 기어가 크랭크와 맞물려 있고 기어가 모우터에 의해 회전되고(이 모우터는 펀칭부에 설치됨), 크랭크축이 스윙하게 되어 있어서, 펀치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펀치가 케이싱측에 형성된 커플링 구멍과 커플링 맞물림을 하고 이 펀칭은 펀치와 커플링 구멍사이의 전단응력에 의해 수행된다.
구멍의 수와 피치에 일치하게 앞에 형성된 펀치위치설정 가이드가 선택된다. 펀치위치설정 가이드는 이를 검출하기 위해 포치부에 제공된 가이드 검출센서 아래에 설정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크랭크축을 스윙하기 위해 기어를 구동하는 모우터와 위에서 언급한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기어의 모우터는 제어되어 소정의 피치간격으로 소정의 수의 구멍을 형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펀칭장치에서 펀치부분이 케이싱에 형성된 펀치부분 이동홈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멍이 펀치에 의해 종이에 형성될 때, 종이수가 적을 경우, 여러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이수가 많은 경우, 이들에 펀치를 할 때 많은 힘을 종이에 가해야 한다. 이러한 힘이 펀치부분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구멍을 펀칭할 때, 이러한 힘을 보장하기 위해 확고한 고정이 펀치부분에 필요하다. 다음, 커플링 구멍이 케이싱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펀치의 프레싱 힘이 반작용으로 펀치부분에 작용한다. 펀치부분이 고정력을 상실하면, 펀치가 커플링 구멍에 끼워질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펀치를 커플링 구멍에 끼울수 없다.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이 펀치와 커플링 구멍에서 발생하여 펀치의 절단효과가 감소하여 펀치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펀치부분을 펀치부 이동홈에 끼움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반작용 힘에 대해 펀치부분을 확고하게 고정시킬수 없다. 펀치부분을 확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로 된다.
또한, 펀치가 스위칭하는 크랭크축의 첨단에 제공되기 때문에, 펀치를 아래로 누르는 힘이 수직방향에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당히 큰 힘이 펀치 아래로 가해지는 경우에, 펀치축이 펀칭 저항과의 관계로 인해 변위되어 펀치와 커플링 구멍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력이 발생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펀치의 절단효과가 저하되어 펀치의 수명을 저하시킨다.
또한, 모우터에 대한 구동원으로의 모우터가 펀치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펀치부분의 무게가 증가하고 펀치부분이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의 관성이 증가한다. 특히, 펀치부분이 벨트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적절한 위치로 큰 관성을 지닌 이동 펀치부분을 정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관성이 크기 때문에, 펀치부분을 고속으로 이동할 수 없어서 펀치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모우터가 이동펀치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 모우터와 정지부에 위치한 전원사이에 전기도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펀치부분이 이동할 때마다 도선이 끌리게 된다. 따라서, 도선이 절단될 가능성이 크다.
위에서 언급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일본특허 공개공보 헤이8-206996호에서 펀칭장치를 제안했다. 이의 내용이 도 9 및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슬라이드 변속축(2)과 스크루 로드(3)가 비드(1)를 통해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다. 또한, 직사각형 필러가 슬라이드 변속축(2)으로 이용된다. 참조번호 4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비드(1)를 이동시키는 레일을 나타 낸다. 4개의 안내휠(5)이 레일(4)에 맞물리어 수직방향으로 레일(4)을 클램프한다. 다음 4개의 안내휠(5)이 헤드(1)에 설치된 지지부재(6)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헤드(1)는 측벽(7, 8)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재(9)는 측판(7)의 측면에 제공되어 안내부재(9) 아래에 제공된 펀치부분(10)의 펀치가 안내부재(9)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종이(P)의 기움량을 조절하는 동안 펀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펀치구멍 위치조절부분(11)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듯이 회전할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펀치구멍 위치조절부분(11)은 펀치구멍 위치조절기(12)에 의해 위치된다. 참조번호 14는 슬라이드 변속축(2)과 스크루 로드(3)를 회전하는 기어가 설치된 작동부분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15는 구멍의 수와 피치를 선택하는 도그 (16)를 작동하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7는 헤드(1)의 운동을 정지하는 제한 스위치를 나타내고, 이는 헤드(1)(도시하지 않음)의 양측에 제공되고 지지로드 (18)에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어, 종이(P)에 따라 헤드(1)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즉, 예를 들면, 종이(P)의 우단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펀칭을 완료하기 위해 펀칭하는 동안 헤드(1)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헤드(1)가 오른쪽에서 제한스위치(17)와 접촉하게 되어 정지한다. 다음, 새로운 종이(P)가 설정되고 스위치가 턴온될 때, 헤드(1)가 반대방향, 즉 종이(P)의 좌측 최종단에서 소정의 위치로 펀칭을 완료하기 위해 펀칭하는 동안 좌측에 이동하고 헤드(1)가 좌측에서 제한 스위치(17)와 접촉하고 정지한다. 따라서, 헤드(1)가 왕복운동하는 동안 펀칭이 수행되어 펀칭 효율이 증대되고 제한 스위치(17)를 구멍사이의 피치와 종이의 크기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측상의 최종단의 펀칭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동부분(14)의 내부에서, 캠(19)이 슬라이드 변속축(2)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이는 캠(9)과 함께 모우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회전된다. 제한 스위치(20)가 캠(19)의 캠면(191)에 의해 턴온 및 오프에 슬라이드 변속축(2)이 회전 및 정지한다. 즉, 스위치(20)의 가동편(201)이 요동할 수 없게 접촉하는 리세스된 캠면(192)이 캠(19)의 캠면(191)에 형성된다. 헤드(1)에 설치된 제한 스위치가 도그(6)의 리세스부에 위치하고 온상태일 때, 슬라이드 변속축(2)을 회전하는 모우터가 구동되고 스위치(20)의 가동편이 캠면(191)과 요동 접촉하여 모우터의 회전을 유지한다. 슬라이드 변속축(2)이 턴을 통해 회전할 때, 제한 스위치(20)의 가동편 (201)이 캠면(192)에 위치한다. 모우터의 회전이 정지되고 슬라이드 변속축(2)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피구동기어(25)가 회전할 때, 피구동기어(25)와 맞물린 핀구동기어 (24)가 슬라이더(26)에 형성된 경사구멍(27)과 맞물린다. 슬라이더(26)는 상하이동 한다. 슬라이더(26)에 설치된 펀칭핀(22)은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펀칭장치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양 피치방향)으로의 헤드(1)의 운동은 스크루축에 의해 수행된다. 펀칭핀의 상하운동은 슬라이드 변속축에 의해 수행된다. 이들 사이의 타이밍은 캠 및 제한 스위치에 의해 잡혀진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해 진다. 또한, 헤드의 중간운동은 헤드의 고속중간 운동으로 모우터의 회전 및 정지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헤드의 무게로 인해 관성이 작용한다. 헤드의 고속중간 운동에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펀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9 및 도10에 도시된 펀칭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펀치의 수면이 연장되고 헤드에 펀칭의 설치가 헤드의관성을 감소하는데 필요없고 두 개의 작동, 즉 슬라이드 변환축의 회전으로 인한 헤드의 운동과 펀칭핀의 수직운동을 수행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슬라이드 변환축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헤드의 관성의 나쁜 영향이 억압되고 펀칭 효율이 헤드의 간헐적인 운동의 속도를 증대함으로써 향상되는 펀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펀치는
헤드와 맞물리는 슬라이드 변속축,
외부주변과 펀칭구동기어상의 헬리컬부분과 수직부분으로 구성된 원심작인 헤리컬캠을 지닌 구동부재,
슬라이드 변속축에 평행하고 헤리컬캠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의 이빨을 지닌 랙크 및,
펀치구동기어와 수직으로 맞물리는 동안 회전하고 펀칭구동부재의 직각 구멍과 맞물리는 핀을 지닌 펀치구동기어를 구성한다.
헤리컬캠의 헬리컬부분이 랙크와 맞물리는 동안 헤드가 랙크를 따라 변위되고 헬리컬캠의 수직부분이 랙크와 맞물리는 동안 펀치의 첩단의 상하운동이 펀칭처리의 영역내에서 수행되고, 헤드변위 및 정지 및 펀치의 상하운동이 펀치될 구멍의 피치와 완전히 동기된다.
다음, 본 발명의 청구항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슬라이드 변속축이 헤드 및 스파이럴캠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펀칭구동기어가 슬라이드 변속축과 맞물리고 헤드에 제공된 구동부재에 들어오도록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의 회전에 의해 펀치구동기어와 구동부재를 구동 할 수 있다.
다음, 구동부재의 캠과 맞물리는 랙크가 슬라이드 변속축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펀칭구동기어와 맞물리게 펀치를 상하로 이동하는 펀치구동기어 및 구동부재 및 펀칭구동부재가 슬라이드 변속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펀칭구동기어가 상하로 이동되고 비드가 스파리럴캠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단일의 변속축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헤드를 간헐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펀칭핀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청구항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실시예는 헤드(1)가 이동수단에 의해 구멍의 피치와 일치하게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구멍이 헤드(1)에 제공된 펀치(32)에 의해 종이에 형성된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 변속축(2)이 상기 헤드(1)를 통과하도록 제공되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파이럴캠(281)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펀칭구동기어(29)가 상기 슬라이드 변속축 (2)과 맞물리는 부재(28)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헤드(1)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부재(28)의 스파이럴캠(281)과 맞물리는 랙크(31)가 상기 슬라이드 변속축(2)과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고 펀치 (32)를 상하이동시키고 상기 펀치구동 기어(29)를 맞물리는 펀치구동기어(30)가 제공되어 있고 구동부재(28)와 펀치구동기어(30)가 상기 슬라이드 변속축(2)의 전에 의해 회전되어 헤드(1)에 제공된 펀치(32)는 펀치구동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헤드(1)는 스파이럴캠(281)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를 따른 펀칭장치의 전체모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부분적인 횡단면으로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부분적인 횡단면으로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선 A-A을 택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캠팔로워와 펀치사이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스파리럴캠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파리럴캠과 도 1에 도시된 구동부재의 회전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의 펀칭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작동부분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변속축(2)이 헤드(1)를 통해 제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각필러가 슬라이드 변속축(2)으로 이용되어 스플라인 기계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렴한 슬라이드 변속축(2)이 제공된다. 그러나, 스플라인 기계가공으로 원통형 로드를 이용한다. 또한, 랙크(31)가 슬라이드 변속축(2)에 평행하게 슬라이드 변환축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레일(4)이 헤드(1)가 랙크(31)의 측면에 평행하게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헤드(1)는 측판(7, 8)으로 구성되어 있다. 펀칭구동부재(33)는 헤드(1)에 제공되어 있다. 펀치부분(10)의 펀치(32)는 펀치구동부재(33) 아래에 제공되어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참조번호 17은 헤드(1)의 운동을 정지하는 제한 스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헤드(1)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고, 종이(P)의 종류에 따라 헤드(1)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지지로드(18)에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종이(P)의 우단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펀칭을 완료하기 위해 펀칭하는 동안 헤드(1)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헤드(1)가 오른쪽에서 제한스위치(17)와 접촉하게 되어 정지한다. 다음, 새로운 종이(P)가 설정되고 스위치가 턴온될 때, 헤드(1)가 반대방향, 즉 종이(P)의 좌측 최종단에서 소정의 위치로 펀칭을 완료하기 위해 펀칭하는 동안 좌측에 이동하고 헤드(1)가 좌측에서 제한 스위치(17)와 접촉하고 정지한다. 따라서, 헤드(1)가 왕복운동하는 동안 펀칭이 수행되어 펀칭 효율이 증대되고 제한스위치(17)를 구멍사이의 피치와 종이의 크기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측상의 최종단의 펀칭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순서대로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분(1)의 평면도이다. 스파리럴캠(281)이 형성된 구동부재 (28)는 측판(7, 8)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특히, 이것에 대하여 도 5을 참조하면 베어링구멍(701, 801)이 측판(7, 8)에 형성되어 있고 부재(28)는 펀칭구동기어 (29)의 축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부재(28)는 베어링구멍(701)에 피벗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펀치구동기어(29)와 구동부재(29)가 하나의 단위로 유지된 상태에서, 이들 부품이 측판(7, 8)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 직각 로드로된 직각 변속축(2)은 펀치구동기어(29)에 형성된 직각구멍에 끼워져 있다. 도 5에서, 피구동기어(44)는 슬라이드 변속기(2)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변속축(2)이 중간기어를 통해 모우터(41)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 (42)에 의해 회전된다. 다음, 구동부재(28)는 슬라이드 변속축(2)의 회전에 의해 펀치구동기어(29)와 함께 회전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판(8)은 평면이 L자 모양을 하고 베이스부(802)가 제공되어 있다. 축(35)은 첨단(802)에 피벗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펀치구동기어(29)와 맞물린 펀치피구동기어(30) 축(35)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캠판(36)은 타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캠팔로워(361)는 캠판(36)의 축에 대해 원심위치의 캠판(36)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캠팔로워 (361)는 펀치구동부재(33)에 형성된 경사구멍(331)과 커플링 맞물림하고 있다. 다음,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펀치(32)가 스크루(37)에 의해 펀치구동부재 (3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변속축(2)이 회전할 때, 구동부재(28)와 펀치구동기어(29)가 회전할 때, 펀치구동기어(29)와 맞물리는 펀치구동기어(30)가 캠팔로워(361)의 원심량에 해당하게 상하이동하고 펀치(32)가 상하이동한다.
도 3 및 도 4에서, 펀치부분(10)이 펀치부분(10), 측판(8)의 첨담부(802) 아래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하단(803)에 형성되어 있다. 종이끼움틈(104)에는 펀치부분(10)이 제공되어 있고, 하부펀치 안내부(102)는 종이끼움틈(104) 상하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펀치(32)가 끼워지는 펀치구멍(103) 및 안내구멍(108)은 상하 펀치안내부(101, 102)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이가 종이끼움틈(104)에 끼워지고 펀치(32)가 구멍을 형성하도록 하강하는 경우, 펀치(32)의 펀칭력이 하부안내부 (102)에 작용하여 종이끼움틈(104)을 확대시킨다. 그러나, 하부펀치 안내부(102)의 기계적 강도는 충분하므로 하부펀치 안내부(102)의 변형을 제거하여 펀칭구멍 (103)과 펀치(32)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을 제거하여 펀치(32)의 수명을 연장 시킨다.
도 4에서, 종이위치 조절부재(38)(도 1)를 끼우는 중공부(107)는 종이끼움틈 (104)의 뒤부분에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종이끼움틈(104)을 통해 끼워진 종이의 모서리가 종이위치 조절부재(38)와 접촉하여 펀치(32)의 위치가 종이의 모서리로부터 결정되어 구멍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하게, 도 3에서 참조번호(105)는 헤드(1)가 화살표 b로 표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종이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에서, 참조번호 106은 종이를 종이끼움틈(104)에 끼우기 위한 종이끼움 안내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지지부재(34)는 측판(8)의 하단(803)의 뒷면에 고정되어 있고 레일(4)을 따라 고정된 안내홈(341)이 지지부재(34)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1)가 레일(4)에 지지된 상태에서, 헤드(1)는 도 1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계단식 패스닝핀(39)은 레일(4)에서 수행되고 랙크(31)는 측판 (7)의 절단로부분(702)에 위치하고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재(28)에 형성된 스파리럴캠(281)과 맞물려 있다. 도 3에 도시된 랙크(31)의 피치 P는 종이에 형성될 구멍의 피치에 해당한다.
도 6은 캠팔로워(361)의 운동과 펀치(22)의 수직운동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펀치(32)는 캠팔로워(361)의 일회전 동안 하나의 행정에 의해 상하이동 한다. 즉, 캠팔로워가 위치(361a)에 위치하면, 경사구멍이 위치(331a)에 위치하고 펀치(32)는 위치 a에 위치한다. 캠판(36)이 회전하여 캠팔로워가 위치(361b)에 이동하도 펀치구동부재(33)가 아래로 밀쳐지고 경사구멍이 위치(331b)에 위치할 때, 펀치(32)는 위치 b에 위치한다. 또한, 캠판(36)이 회전하여 캠팔로워가 위치 (361c)에 이동하고 펀치구동부재가 아래로 밀쳐져서 경사구멍이 위치(331c)에 위치할 때, 펀치(32)는 위치 c에 위치한다. 따라서, 캠판(36)이 회전하여 캠팔로워가 위치(361d)에 위치한다. 펀칭 구동부재(33)가 승강하여 경사구멍이 위치(331d)에 이동할 때, 펀치(32)는 위치 d에서 상승한다. 캠판(36)이 하나의 회전을 통해 회전하여 캠팔로워가 위치(361a)에 이동한다. 펀치구동부재(33)는 상승하고 경사구멍이 원래의 위치(331a)에 위치할 때, 펀치(32)가 위치 a까지 상승한다.
캠팔로워(361)의 전환운동에서, 361b(90°전환운동)로부터 361d(270°의 전환운동)동안, 펀치(32)는 위치 b로부터 위치 c로 낮아지고 위치 c로부터 위치 d로 승강운동을 하여 펀칭작동을 수행한다. 이 기간동안, 펀치(32)는 안내구멍(108)으로부터 돌출하여 헤드(1)가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캠팔로워(361)의 전환운동에서, 361d(270°의 전환운동)로부터 361a (360°전환운동)로의 회전동안, 펀치(32)가 위치 d로부터 위치 a로 상승한다. 또한, 361a로부터 361b로의 90°회전에 의해, 펀치(32)는 위치 a로부터 위치 b로의 하강운동을 한다. 이 기간 동안, 펀치(32)가 안내구멍(108)에 후퇴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헤드(1)가 이동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으로부터 분명히알 수 있듯이, 펀치(32)가 위치 a 또는 b에 위치할 때, 펀치(32)와 브레이드의 첩단이 안내구멍 (108)의 개방단의 위치와 같은 위치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다음,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부재(28)의 외주변에 형성된 헤리컬캠의 도면 이다. 헤리컬캠(281)은 a-b 및 d-a에 펀칭될 구멍피치 P의 반의 헬리컬 모양의 부재(28)의 원주에 형성되어 있다. (이의 이동을 후에 헤드 이동캠이라고 한다). 헤리컬캠(281)은 피치가 b, d(도 2)사이의 제로의 상태에서 부재(28)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 운동 a-b 및 d-a은 캠판(36)의 회전각 90°에 해당한다. 다음, 헤리컬캠(281)을 따른 a-b 및 d-a사이에 종이에 형성될 구멍의 피치가 피치 P에 유지된다. 또한, 헤리컬캠(281)은 캠판(36)의 회전범위 180°로 형성된다.
다음, 부재(28)가 b-c-d(도 7에서 헬리컬캠의 (b-d))를 통해 회전하는 동안, 펀치(32)는 구멍을 보호하기 위해 b-c-d를 통해 이동한다. 다음, 구동부재(28)가 d-a-a-b(도 7에서 헤리컬캠(281)의 d-a-a-b)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 펀치(32)는 안내구멍(108)에 후퇴한 도 6의 d-a-a-b를 통해 이동하여 헤드(1)가 하나의 피치 P를 통해 이동된다.
본 실시예의 위에서 설명한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슬라이드 변속축(2)이 헤드(1)를 투과하기 위해 제공되고 헤리컬캠(281)이 형성되고 펀치구동기어(29)가 슬라이드 변속축(2)과 맞물리는 외주면을 지닌 구동부재(28)는 헤드(1)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41)의 스위치가 턴온하고 슬라이드 변속축(2)이 회전할 때, 구동부재(28)와 펀치구동기어(29)를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베어링구멍(701, 801)이 측판 (7, 8)에 형성되고 펀치구동기어(29)가 베어링구멍(801)에 피벗할 수 있게 지지되고 구동부재(28)은 펀치구동기어(29)의 축부분과 맞물려서 이를 하나의 유닛으로 만들고 구동부재(28)가 베어링구멍(701)에 피벗할 수 있게 지지되고 직각로드가 형성된 슬라이드 변속축(2)이 펀치구동기어(29)에 만들어진 직각구멍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헤드(1)의 무게가 감소하고 헤드(1)가 도 1의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관성이 감소하여 고속수행 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 구동부재(28)의 캠(28)이 마줄리는 랙크(31)가 슬라이드 변속축(2) 평행하게 제공되고, 이외 동시에 펀치구동기어(29)와 맞물린 펀칭구동기어(30)가 펀치 (32)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고 펀치구동부재(28)와 펀치구동기어 (29)가 슬라이드 변속축(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헤드(1)에 형성된 펀치(32)가 펀치구동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되어 부재(28), 펀치구동기어(29), 펀치구동기어(30) 및 캠판(36)이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2)에 의해 회전되고 펀치구동부재(33)가 캠팔로워(361)의 원심량에 따라 상하이동되고 펀치(32)가 상하이동될 수 있다. 다음, 구동부재(28)의 헤리컬캠(281)이 맞물린 랙크(31)가 슬라이드 변속축(2)과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고, 헤드(1)가 헤리컬캠(281)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헤드(1)가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2)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펀치(32)가 상하이동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시예에서, a-b 및 d-a사이에는 헬리컬 캠(281)이 형성될 구멍피치 P의 피치의 반의 헤리컬 모양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b와 d사이에서는 헤리컬캠(281)이 피치가 b와 d사의 제로인상태하에서 구동부재(2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헤리컬캠(281)이 도 3에 도시 되어 있듯이 피치 P의 랙크(31)와 맞물려 있고 도 6에 도시된 펀치(32)가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2)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반면, 부재(28)는 도 8에 도시된 d-a-a-b(180°)에서 회전한다. 펀치(32)가 안내구멍(108)에 수축하고 헤드 (1)는 구멍피치와 같은 피치 P에 의해 이동하고 부재(29)가 b-c-d(180°)를 통해 회전하는 주기 동안(헤드정지 캠과 랙크(31)가 서로 맞물릴때의 주기 동안), 헤드(1)가 정지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펀치(32)는 구멍으로부터 b-c-d를 통해 상하이동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했듯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드 변속축이 헤드를 관통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고 헤리컬 캠이 외주면에 형성된 부재 및 펀치구동기어가 슬라이드 변속축과 맞물리고 펀치구동기어와 구동부재는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부재의 헤리컬캠이 맞물린 랙크가 슬라이드 변속축과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고, 펀치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펀치구동기어와 맞물린 펀치구동기어가 제공 되고 펀치구동기어를 회전하기 위해 헤드에 제공된 펀치가 상하이동하고 헤드가 헬리컬캠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헤드가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보어핀이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두 개의 작동, 즉 헤드의 운동과 보어핀의 수직운동이 단일의 슬라이드 변속축에 의해 수행되어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또한, 슬라이드 변속축은 랙크와의 맞물림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함으로써 헤드의 관성의 나쁜 영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헤드의 간헐적인 운동이 증가하여 보어링 작동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청구범이내에서 여러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헤드와 맞물리는 슬리이드 변속축,
    외주면과 펀치구동기어에 헤리컬부분과 수직부분으로 구성된 헤리컬캠을 원심적으로 지닌 구동부재,
    랙크와 맞물리는 동안 슬라이드 변속축과 평행하며 헤리컬캠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의 이빨을 지닌 랙크와,
    펀치구동기어와 수직으로 맞물리는 동안 회전하고 펀치구동부재의 직각구멍과 맞물리는 핀을 지닌 펀치구동핀을 구비하고,
    헬리컬캠의 헤리컬부분이 랙크와 맞물리는 동안 헤드가 랙크를 따라 변위하고 펀치의 첩단의 상하운동은 헤리컬캠의 수직부분이 랙크와 맞물리는 동안 펀치과정의 영역에서 수행되고 헤드변위 및 정지 및 펀치의 상하운동은 펀치될 구멍의 피치와 완전히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KR1019970055056A 1996-10-25 1997-10-25 펀치 KR100315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3789 1996-10-25
JP28378996A JP3196069B2 (ja) 1996-10-25 1996-10-25 孔明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80A true KR19980033180A (ko) 1998-07-25
KR100315930B1 KR100315930B1 (ko) 2002-03-21

Family

ID=1767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056A KR100315930B1 (ko) 1996-10-25 1997-10-25 펀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94778A (ko)
JP (1) JP3196069B2 (ko)
KR (1) KR100315930B1 (ko)
CN (1) CN1119249C (ko)
DE (1) DE19747121C2 (ko)
GB (1) GB2318539B (ko)
HK (1) HK1015741A1 (ko)
NL (1) NL1007361C2 (ko)
TW (1) TW383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7385B2 (ja) * 2000-01-19 2011-09-07 大同工業株式会社 孔明け装置
EP1561552A4 (en) * 2002-10-21 2010-11-24 Daido Kogyo Kk DEVICE FOR PERFORATING
IT1344097B1 (it) * 2003-06-04 2008-02-12 Tecnau Srl Equipaggiamento di punzonatura e/o di perforazione per moduli continui
US6877413B1 (en) * 2003-09-30 2005-04-12 Cheng Tien Int'l Corp. Slideable hole punch
JP4540328B2 (ja) * 2003-11-19 2010-09-08 カール事務器株式会社 多機能孔明け装置
WO2005115764A2 (en) * 2004-05-21 2005-12-08 Esselte Punching and binding system and elements thereof
TWI241946B (en) * 2004-06-17 2005-10-21 Primax Electronics Ltd Punching apparatus
US7610838B2 (en) * 2007-03-30 2009-11-03 Staples The Office Superstore, Llc Hole punch
JP5650912B2 (ja) * 2010-02-12 2015-01-07 大同工業株式会社 穿孔装置
USD669936S1 (en) 2011-05-25 2012-10-30 Staples The Office Superstore, Llc Hole punch
CN103029166B (zh) * 2011-09-29 2015-03-18 日立金属株式会社 穿孔装置
CN103598691A (zh) * 2013-11-30 2014-02-26 姜思逸 同步带驱动温控布料穿孔定位机
CN103622196A (zh) * 2013-11-30 2014-03-12 姜思逸 温控布料穿孔定位机
CN105252589B (zh) * 2015-10-21 2017-06-23 中山市生科试剂仪器有限公司 一种试剂板破孔器
CN113021434B (zh) * 2021-02-19 2022-04-26 青海省药品检验检测院 一种根茎类中药材一体加工装置
CN113102608A (zh) * 2021-04-15 2021-07-13 浙江师范大学行知学院 一种具有双面定位功能的薄板打孔装置
CN113798389B (zh) * 2021-09-24 2023-11-21 高能数造(西安)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精准定位功能的动力电池电芯冲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5929A (en) * 1948-11-29 1951-08-08 Engineering Compan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hearing, punching, and stamping presses
US3600998A (en) * 1969-12-29 1971-08-24 Gen Electric A ticket punching mechanism and stop assembly
DE2112808C3 (de) * 1971-03-17 1979-10-11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Tabulatorstanze
JPH0698598B2 (ja) * 1989-03-02 1994-12-07 丸善株式会社 電動パンチ
JP2623171B2 (ja) * 1990-12-12 1997-06-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印画紙の接合検出孔の穿孔方法および装置
JP3006168B2 (ja) * 1991-05-30 2000-02-07 ぺんてる株式会社 電動式パンチ装置
US5588344A (en) * 1994-06-13 1996-12-31 Murata Machinery, Ltd. Electric servo motor punch press ram drive
JPH08206996A (ja) * 1995-01-31 1996-08-13 Karl Jimuki Kk 多機能孔明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5741A1 (en) 1999-10-22
GB2318539B (en) 2000-02-09
JPH10118997A (ja) 1998-05-12
DE19747121C2 (de) 2001-05-10
TW383274B (en) 2000-03-01
US5894778A (en) 1999-04-20
KR100315930B1 (ko) 2002-03-21
CN1119249C (zh) 2003-08-27
CN1192966A (zh) 1998-09-16
DE19747121A1 (de) 1998-05-07
NL1007361A1 (nl) 1998-04-28
JP3196069B2 (ja) 2001-08-06
GB9722564D0 (en) 1997-12-24
GB2318539A (en) 1998-04-29
NL1007361C2 (nl) 199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180A (ko) 펀치
KR100597030B1 (ko) 파워 트랜스미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재료 공급장치
EP0452018A2 (en) Stitch control mechanism for a flat knitting machine
US4570436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conveyor chain
EP0052852B1 (en) Coil insertion apparatus
US20060151590A1 (en) Boring device
CN109706628B (zh) 轨迹可调的缝纫机
CA1176969A (en) Cutoff machine
GB2240115A (en) Actuating device for compound needles in crochet galloon machines.
JP2602734B2 (ja) 横編機におけるキャリッジのプレッサー制御装置
EP0276341A1 (en) Motion converting device
CN110481864A (zh) 一种带断电保护机构的往复推料机
JPH08206996A (ja) 多機能孔明け装置
KR0137050Y1 (ko) 천공장치
US4088034A (en) Chain drive for a workpiece transfer mechanism
CN221018739U (zh) 一种五金件加工打孔装置
CN220388438U (zh) 一种转盘机构
CN218080521U (zh) 一种机械加工用条板自动打孔装置
SU458893A1 (ru) Привод выключател
GB2177328A (en) An improved drill for pearl or the like
EP0144814A2 (en) Jumper wire inserting apparatus
SU16750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монтажного провода на мерные заготовки
KR920005087Y1 (ko) 변위량 조절장치
SU1315698A1 (ru) Кантователь
SU1587274A1 (ru) Кулисный механиз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