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891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891A
KR19980032891A KR1019970053056A KR19970053056A KR19980032891A KR 19980032891 A KR19980032891 A KR 19980032891A KR 1019970053056 A KR1019970053056 A KR 1019970053056A KR 19970053056 A KR19970053056 A KR 19970053056A KR 19980032891 A KR19980032891 A KR 1998003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spect ratio
image data
resolu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295B1 (ko
Inventor
쿠니히토 사와이
요시주미 쿠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3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종횡비 16:9와 4:3의 각각에 대응하는 설정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해상도 확대의 이점을 유효하게 활용함과 동시에, 해상도 절환에 따라서도 동일한 종류의 UI 호상의 이미지가 크게 변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UI 화상 데이타로서, 와이드 모드시에만 이용하는 와이드용 파트, 노멀 모드시에만 이용하는 노멀용 파트, 양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파트로 분할하여 유지하도록 하고, 와이드 모드시이면 소요의 와이드용 파트와 공통 파트를 선택하며, 노멀 모드시이면 소요의 노멀용 파트와 공통 파트를 선택하여, 유효 표시 화면(화상 처리 영역)상의 소요 위치에 매핑함으로써 UI 화상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표시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세트 탑 박스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종횡비 절환 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VGA, SVGA 및 본 실시 형태로서의 2종류의 와이드 모드의 사양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와이드 모드로서의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와이드 모드로서의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UI 화상 데이터 형성을 위한 처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노멀 모드시에 있어서의 UI 화상 표시예를 도시한 도.
도 9는 와이드 모드시에 있어서의 UI 화상 표시예를 도시한 도.
도 10은 노멀 모드시에 있어서의 UI 화상 표시 예를 도시한 도.
도 11은 와이드 모드시에 있어서의 UI 화상 표시 예를 도시한 도.
도 12는 UI 화상 형성을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스크 재생 장치11 : 비디오 프로세서
12 : 제어부13 : ROM
14 : RAM17 : 모뎀
18 : 패널 아이콘19 : 조작부
20 : 종횡비 절환 스위치
본 발명은 해상도의 절환 설정에 대응하여 소요의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 등에 있어서는 이미 종전부터 있는 종횡비 4 : 3의 표시 화면을 구비하는 것에 추가하여, 이른바 와이드 화면이라고 일컫는 종횡비 16:9의 표시 화면을 구비한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대응하도록 하여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영상의 방송이나 영상 소프트도 많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 와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보급을 배경으로하여,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의 하나의 일형태로서, 컴퓨터의 OS(Operating System)를 기초로서, 각종 디스크 미디어에 대응하는 디스크 플레이어나 인터넷 등의 통신 단말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 등도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상 출력을 표시 가능한 모니터장치로서, 예를 들면, 적어도, 영상으로서 컴퓨터 등의 RGB 신호와, 통상의 텔레비젼 방식에 대응하는 컴포지트 신호(및 S 영상 신호) 등의 영상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를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NTSC 방식 등의 텔레비젼 방식에 의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RGB 신호를 입력하여 화상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텔레비젼 방식의 영상 신호에 의한 방송 미디어나 영상 미디어와, RGB 신호로서 공급되는 퍼스널 컴퓨터나 멀티미디어 기기등의 양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대응의 모니터 장치로서 구축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멀티미디어 대응의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술된 바와같은 와이드 화면의 보급에 대응하여, 그 표시 화면으로서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채용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현상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있어서는 그래픽 표시 규격으로서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수평 화소수×수직 화소수에 상당한다)만이 존재하며, 종횡비 16:9 에 대응하는 그래픽 표시 규격은 정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술된 컴퓨터 장치나 컴퓨터용 OS를 베이스로 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있어서는 종횡비 4:3의 유효 표시 화면에 의한 화상 출력만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 장치나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종횡비 16:9의 표시화면을 구비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대응 모니터 장치에 의해 시스템을 짠 경우, 멀티미디어 대응 모니터장치에 있어서는 종횡비 16:9의 사이즈의 표시 영역중,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표시 영역외엔 이용되지 않게 되어, 종횡비 16:9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
즉, 미래에는 예를 들면 컴퓨터 분야에 있어서도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근거하여 표시가 행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예를 들면 그래픽 표시로서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의 설정 절환등이 실현된 것으로서, 상기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상(이하 단지 「UI(User Interface) 화상」이라고도 한다)으로서, 종횡비 4:3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UI 화상 데이터를,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근거한 표시시에 있어서도 그대로 이용하였다면, 종횡비 4:3의 해상도에 근거한 표시시인 경우보다도, 유효 표시 영역 전체를 차지하는 UI 화상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되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게 된다.
그리하여, UI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종횡비 16:9용 해상도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옆폭을 확장하도록 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표시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상기의 경우에는 UI 화상이 예를 들면 가로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왜곡되므로써 UI 화상의 눈에 보임이 변하는 동시에, UI 화상 자체의 해상감이 거칠어 보이게도 되어, 예를 들면 UI 화상으로서의 디자인상의 미관을 손상하게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와,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서, 각각 적합한 UI 화상을 표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이 때, 화상 처리의 부담도 경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상의 해상도로서,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설정가능한 해상도 설정 수단과, 적어도,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3용 화상 데이터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16:9용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과,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시 4:3용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고,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16:9용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4:3용 화상 데이터 및 16:9용 화상 데이터는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로 되는 제1종의 화상 데이터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로 되는 제2종의 화상 데이터와,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 및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로,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트로 되는 제3종의 화상 데이터로 분류하여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소요의 상기 제1종의 화상 데이터 및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근거한 화상 처리 영역상에 매핑함으로써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며,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소요의 상기 제2종의 화상 데이터 및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근거한 화상 처리 영역상에 매핑함으로써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처리방법은 디스플레이 화상의 해상도로서,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설정 가능하게 한 후에 적어도,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3용 화상 데이터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16:9용 화상 데이터를 소요의 격납영역에 격납하고,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격납 영역에서 판독된 4:3용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며,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16:9용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여 화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상의 해상도로서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설정 가능한 해상도 설정 수단과, 적어도,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3용 화상 데이터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16:9용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과,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4:3용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고,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16:9용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얻게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화상 신호 출력 장치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표시 화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 신호 출력 장치에서 공급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처리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화상의 표시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여 표시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상에 대하여,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의 절환을 가능하게 한 후에,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이 해상도에 적합한 전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상을 표시하며, 한편,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이 해상도에 적합한 전용의 UI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UI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1종류의 UI 화상을 여러 파트로 분할하여, 이들의 파트 데이터에 대하여, 종횡비 16:9에 대응의 해상도 설정시에 사용하여야할 제1종의 화상 데이터와, 종횡비 4:3에 대응의 해상도 설정시에 사용하여야할 제2종의 화상 데이터와, 양자의 해상도 설정시에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3종의 화상 데이터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각 해상도 설정시에 있어서 완전히 독립된 UI 화상 데이터를 설치하지 않고, 공통 이용가능한 UI 화상 데이터(제3종의 화상 데이터)가 설치된 후에, 각 해상도 설정시에 있어서 각각 전용의 UI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은 다음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본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시스템의 구성예
2. 세트 탑 박스의 구성예
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드 모드 설정예
4.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I 화상 표시
5. UI 화상 표시를 위한 처리 동작
1. 본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시스템의 일례를 사시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세트 탑 박스(1)는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컴퓨터 장치로서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 된다. 즉, 미리 프로그래밍된 소정의 OS상에서,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CD-ROM, Video CD, Photo CD, CD-DA(Digital Audio) 등의 이미 알려져 있는 각종 디스크 미디어를 비롯하여, CD-plus 등 미래에 보급이 기대되는 디스크미디어 등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디스크 플레이어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이들 디스크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세트 탑 박스(1)에 설치된 디스크 트레이(1a)상에 재생하여야 할 디스크를 장전하여, 이 디스크 트레이(1a)를 본체에 수납시킨 상태로 재생 조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세트 탑 박스(1)는 전화선(1d)을 통해 전화 회선과 접속함으로써, 예를들면 인터넷 등을 이용한 컴퓨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세트 탑 박스(1)는 적어도 각종 디스크 미디어 및 통신 기능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트 탑 박스(1)로 부터 출력되는 화상/음성은 예를 들면 모니터장치(2)나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 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상하거나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세트 탑 박스(1)로서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채용되며, 상기 디스크 미디어의 재생등을 위한 조작이나 인터넷 이용시에는 그래픽이나 아이콘(즉, UI 화상이다) 등을 모니터장치(2)에 표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모니터 장치(2)의 화면을 보면서, 본체에 설치된 조작 패널이나 리모트 컨트롤러 RC를 조작함으로써, 세트 탑 박스(1)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조작 패널은 도면에 도시된 조작 패널 커버(1c)를 개방함으로써, 본체의 프런트 패널에 표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 RC는 적외선에 의해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모니터 장치(2)는 예를 들면 적어도 통상의 AV 기기의 영상 및 퍼스널 컴퓨터의 영상에 대해서 표시가능한 멀티미디어에 대응하게 되어 있다. 즉, 적어도 AV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텔레비젼 방식에 의한 영상 신호(예를 들면 컴포지트 신호 또는 S 영상 신호로 된다)와 컴퓨터등의 영상 출력인 RGB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세트 탑 박스(1)의 영상 출력은 RGB 신호로서 이 모니터 장치(2)로 공급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 모니터 장치(2)로서 하이비젼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면, 예를 들면, 하이비젼용 영상 입력 단자로서는 (Y, PB, PR) 신호에 대응하는 것이 설치된다.
또한, 이 모니터 장치(2)에는 16:9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표시 화면(2a)이 채용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그래픽 표시 규격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그래픽 표시 규격에 의해 설정되는 해상도에 따른 편향계등의 동작의 절환이 가능한 멀티스캔 기능이 채용되어 있다.
2. 세트 탑 박스의 구성예
도 2는 세트 박스(1) 내부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이 도면에 도시한 세트 탑 박스(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디스크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재생 장치(10)가 설치된다. 이 디스크 재생 장치(10)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는 버스 라인을 통해 소요의 기능 회로부로 공급된다.
비디오 프로세서(11)는 예를 들면 VRAM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공급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요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여, RGB 신호(상기의 경우에는 넌인터레이스로 된다) 또는 비디오 신호(상기의 경우에는 RGB 신호에 대한 것으로서, 통상의 텔레비젼 방식에 대응하는 컴포지트 신호 또는 S 영상 신호를 칭한다.)로서 출력한다. 상기의 경우, 비디오 프로세서(11)에서 출력된 RGB 신호는 RGB 출력단자 T4를 통해 모니터 장치(2)로 공급된다. 또한, 비디오 신호는 영상 출력 단자 T3으로 공급된다.
이 비디오 프로세서(11)의 영상 처리 동작은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그 영상 처리의 형태도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그때마다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미디어 재생장치(10)에 의해서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하는 것이면, 이 재생된 화상 데이터가 버스 라인을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1)에 전송된다. 비디오 프로세서(11)에서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요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RGB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1)에 있어서는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서 UI(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도 행해지게 된다.
UI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ROM(13)에 격납되어 있는 UI 화상 데이터 중에서, 조작 명령에 따라서 필요하게 되는 UI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비디오 프로세서(11)로 공급한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11)에 의해, 표시 화상 영역의 소요의 위치에 대하여 UI 화상이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를 행하게 된다. UI 화상의 표시 형태로서는 표시 영역상에 UI 화상만을 표시하는 형태도 있으며 어떠한 미디어의 화상과 동시에 UI 화상을 표시하는 형태도 있게 된다.
또한, 이 세트 탑 박스(1)에는 영상 입력 단자 T1가 설치됨으로써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영상 입력 단자 T1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A/D 컨버터(16)에 의해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프로세서(11)로 공급된다. 따라서, 비디오 프로세서(11)에 있어서는 외부 영상 신호에 대하여도 영상 처리를 실행하여 영상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12)는 각 기능 회로부에 대한 소요의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상기의 경우, 제어부(12)는 멀티미디어에 대응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음성 신호 처리 및 통신 기능에 관한 제어 처리에 적합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디오 프로세서(11)를 제어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의 설정 절환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ROM(13)은 해당 세트 탑 박스(1)에 적용되는 OS 및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이나 UI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는 영역으로 된다. 또한, RAM(메모리)(14)에는 기동시켜야 할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데이터나 연산처리 데이터등이 격납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등의 프로그램은 ROM(13)으로 부터 호출하는 이외에도, CD-ROM 등의 미디어등으로 부터 기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디스크 재생 장치(10)에 의해 CD-ROM에서 판독된 애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가 RAM(14)에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세트 탑 박스(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기능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과 같이, 제어부(12)와 전화용 모듈러 잭 T5를 거치도록 하여 모뎀(17)이 내장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12)에 있어서도 통신 기능에 대응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ROM(13)에도 통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패널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단지 패널 마이크로 컴퓨터라 한다)(18)에는 수광부(1b)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 신호와, 프런트 패널에 설치된 조작부(19)의 조작정보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종횡비 절환 스위치(20)에 있어서의 스위치의 절환 상태도 조작정보로서 입력되어 있다.
패널 마이크로 컴퓨터(18)는 예를 들면, 입력된 조작신호를 해석하여 그 명령 내용에 따른 명령 신호를 제어부(12)에 송신한다. 제어부(12)로서는 입력된 명령 신호에 근거하여 소요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횡비 절환 스위치(20)는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본체의 배면 패널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MONITOR RATIO」로서, 종횡비 절환 스위치(20)를 「NORMAL 4:3」의 측으로 절환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4:3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노멀보드)에 의해 RGB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와이드 16:9」의 측으로 절환된 경우에는 16:9(와이드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의해 RGB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세트 탑 박스(1)의 본체에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 T2가 설치되어 있고, 인터페이스(15)를 통해 버스라인과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데이터 입출력단자 T2를 통해 세트 탑 박스(1)와, 다른 미디어 재생장치, 프린터, 디지털 영상 기기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등을 비롯한 데이터 스트레이지 장치 등을 접속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드 모드 설정예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와이드 모드 설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세트 탑 박스(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횡비 절환 스위치(20)에 의해서, 4:3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수평 화소수×수직 화소수)에 근거한 RGB 신호 출력을 행하는 노멀모드와, 16:9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수평 화소수×수직 화소수)에 근거한 RGB 신호출력을 행하는 와이드 모드의 절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후의 설명에 관계되는 세트 탑 박스(1)의 그래픽표시 규격이지만, 노멀모드(종횡비 4:3에 대응)에 관하여는 종전부터 잘 알려져 있는 VGA(Video Graphic Array) 및 SVGA(Super-VGA)를 채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이 되는 와이드 모드(종횡비 16:9에 대응)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VGA 보다도 고해상도를 갖는 것으로서 규정된 SVGA에 근거하여,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을 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노멀 모드와 와이드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노멀 모드로서, VGA : 640×480(=수평 화소수×수직 화소수)과, SVGA : 800×600을 들 수 있다.
그리고, VGA : 640×480의 규정으로서는 화소 주파수 : 25,125MHz, 수평 주사 주파수 : 31,4688KHz, 수직 주사 주파수 : 59,4905Hz로 되어 있다.
또한, SVGA : 800×600의 규정으로서는 화소 주파수 : 49,500MHz, 수평 주사 주파수 : 46,875KHz, 수직 주사 주파수 : 75.000Hz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와이드 모드로서는 도면과 같이, 해상도가 다른 2개의 모드를 구비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한쪽의 와이드 모드에 관해서는 「WIDE-1」라고 하고, 다른 쪽의 보다 고해상도의 와이드 모드에 관하여는 「WIDE-2」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WIDE-1은 848×480의 해상도(수평 화소수×수직 화소수)로 되며, 화소 주파수는 33.357MHz로 되어 있다. 또한, 수평 주사 주파수 : 31.4688KHz, 수직 주사 주파수 : 59.4905Hz로 되어 있다. 또한, WIDE-2는 1060×600의 해상도로 되고, 화소 주파수는 65.588MHz로 되어 있다. 또한, 수평 주사주파수 : 31.4688KHz, 수직 주사 주파수 : 59.9405Hz로 되어 있다.
상기의 규정에 의하면, WIDE-1 : 848×480과 VGA : 640×480의 조와, WIDE-2 : 1060×600과 SVGA : 800×600의 조로, 각각 수직 해상도(수직 화소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결국, WIDE-1 : 848×480은 VGA : 640×480과 동레벨의 해상도를 갖은 후에 16:9에 대응하여 수평 화소수를 확장하고, WIDE-2 : 1060×600은 SVGA : 800×600과 동레벨의 해상도를 갖은 후에, 16:9에 대응하여 수평 화소수를 확장하게 된다.
또한, 화소 주파수, 수평 주사 주파수 및 수직 주사 주파수에 대하여 본 경우, WIDE-1 : 848×480이면, 수평 주사 주파수 및 수직 주사 주파수는 VGA : 640×480과 동규정이며, 수평방향의 화소수에 대응하여 화소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WIDE-2 : 1060×600이면, SVGA : 800×600과 동규정의 수평 주사 주파수 및 수직 주사 주파수로 되며, 화소 주파수가 다른 것으로서 설정된다.
결국,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와이드 모드 표시를 위한 스캔을 행하는 경우에는 수평/수직 주사 주파수는 노멀모드(VGA 또는 SVGA)와 동일로 양호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WIDE-1 및 WIDE-2로서의 화소수(해상도) 설정 방법예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VGA로서는 도 3에 도시된 SVGA : 800×600의 그 외에, 더욱 고해상도의 SVGA : 1024×768, SVGA : 1280×1024 등이 규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고해상도의 SV GA : 1024×768, SVGA : 1280×1024를 이용하여, WIDE-1 및 WIDE-2의 화소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SVGA : 1024×768, SVGA : 1280×1024도 4:3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수평/수직 화소수가 설정되는 것이다.
도 5는 WIDE-1의 화소수(해상도) 설정예로서, SVGA : 1024×768에 의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SVGA : 1024×768로서의 화소 데이터의 맵핑상에서, 수평방향으로 848화소를 취하여, 수직방향으로 480화소를 취함으로써, WIDE-1 : 848×480로서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WIDE-2인 경우이면, SVGA : 1280×1024로서의 화소 데이터의 맵핑상에서, 수평방향으로 1060화소를 취하고, 수직방향으로 600화소를 취함으로써, WIDE-2 : 1060×600으로서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와이드 모드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WIDE-1인 경우이면, 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세서(11)내의 VRAM에 있어서 SVGA : 1024×768에 대응하는 화상 처리 영역을 형성한 뒤에, 도 5에 도시된 WIDE-1 : 848×480의 영역에 대해서만 메모리의 기록/판독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WIDE-1 : 848×480에 근거한 화상 데이터를 얻게 된다.
WIDE-2인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VRAM에 대하여 SVGA : 1024×768에 대응하는 화상 처리 영역을 형성하여, 도 5에 도시된 WIDE-2 : 1060×600의 영역만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타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하여 형성된 WIDE-1 : 848×480, 또는 WIDE-2 : 1060×600로서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비디오 프로세서(11)가 소요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수치에 의한 수평/수직 주사 주파수 신호와 함께 RGB 신호로서 출력함으로써, 모니터장치(2)로서는 16:9의 종횡비에 의한 화상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종횡비 변환(해상도 변경 설정) 방법에 의하면, WIDE-1 : 848×480 및 WIDE-2 : 1060×600은 공통으로 SVGA에 근거하여 설정되기 때문에, 기존의 VGA, SVGA를 위한 표시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드웨어로서 기존의 VGA 및 SVGA에 대응하는 표시 제어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I 화상 표시
다음에,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로서의 UI 화상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노멀모드와 와이드 모드의 절환에 의해 설정 변경하게 되는 해상도는 VGA : 640×480과 WIDE-1 : 848×480인 것으로 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UI 화상 표시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 도 7A에는 ROM(13)에 격납되는 UI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으로서, 「와이드용 파트」, 「공통 파트」 및 「노멀용 파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1개의 UI 화상은 원칙적으로, 이 UI 화상을 다수로 분할한 화상부분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한다. 또, 이후는 상기 UI 화상을 분할하여 얻을 수 있는 각 화상부분에 대하여 「파트」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용 파트」란, 와이드 모드시에 있어서 UI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파트 데이터이며, 「노멀용 파트」는 노멀 모드시에 있어서 UI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파트의 데이터를 말하게 된다. 그리고, 「공통파트」란, 와이드 모드와 노멀 모드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UI 화상을 표시하는데 공통으로 이용하기 위한 파트의 데이터를 말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ROM(13)에 있어서는 이들 「와이드용 파트」, 「공통 파트」 및 「노멀용 파트」의 각각을 격납하기 위한 영역이 설치된다.
도 7(B)에는 와이드 모드시에 있어서의 종횡비 16:9의 유효 표시 영역 DA에 대하여, UI 화상 UIP가 표시된 상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유효표시 영역이란, 설정된 해상도에 의해 표시 가능하게 되는 화상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드 모드시에 있어서 표시되기 위한 UI 화상 UIP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ROM(13)의 「와이드용 파트」 및 「공통 파트」로부터 소요의 파트를 선택하여, 이들 선택한 각 파트를 각각 소요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조합하도록 하여 배치함으로써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UI 화상 UIP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7C에는 노멀 모드시에 있어서의 종횡비 16:9의 유효 표시 영역 DA에 대하여 UI 화상 UIP가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노멀 모드시에 있어서 표시되기 위한 UI 화상 UIP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ROM(13)의 「노멀용 파트」 및 「공통 파트」로부터 소요의 파트를 선택하여, 이들 선택한 각 파트를 각각 소요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조합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 처리는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면, 와이드 모드시이면, 제어부(12)는 이것에 의해 표시하기 위해 UI 화상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화상 데이터로서, ROM(13)로부터 소요의 와이드용 파트 데이터 및 공통 파트데이터를 판독하여 비디오·프로세서(11)로 전송한다.
또한, UI 화상의 종류마다, 소요의 파트를 화상 처리 영역상의 어느 비트 위치에 맵핑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내용의 데이터도 ROM(13)에 격납되어 있고, 파트데이터의 판독과 동시에 소요의 타이밍으로 판독이 행해지며, 제어부(12)에 집어넣게 된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11)내의 VRAM상에 있어서는 와이드 모드로서 설정된 WIDE-1 : 848×480의 수평/수직 화소수에 대응하는 화상 처리영역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어부(12)에서는 전송되어온 와이드용 파트 데이터 및 공통 파트 데이터를, 상기 화상 처리 영역상의 소요의 비트 위치에 배치하도록 맵핑해 감으로, 예를 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한다.
또한, 노멀모드시의 UI 화상 표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의 경우에는 ROM(13)으로부터 소요의 노멀용 파트 데이터 및 공통 파트 데이터를 판독하여 비디오 프로세서(11)로 전송하며, 노멀모드로서 설정된 VGA : 640×480의 수평/수직 화소수에 대응하는 화상 처리 영역 상에, 노멀용 파트 데이터 및 공통파트 데이터를 소요의 위치에 맵핑해감으로써,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UI 화상 데이터(와이드용 파트 데이터, 공통 파트 데이터 및 노멀용 파트 데이터)는 비트맵 데이터로 된다.
도 8 및 도 9는 노멀모드와 와이드 모드 각각에 있어서, 동일 종류의 UI 화면을 표시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노멀 모드시에 표시되는 UI 화상을 도시하고, 도 9는 와이드 모드시에 표시되는 UI 화상을 도시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UI 화면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디스크 재생장치(10)의 재생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적인 기능을 갖는다.
도 8의 경우에 있어서는 유효 표시 영역 DA는 노멀 모드로서의 VGA : 640×480의 해상도에 근거하고 있고, 그 종횡비는 4:3에 대응한다. 그리고 UI 화상 UIP은 이 유효 표시 영역 DA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써 표시된다.
UI 화상 UIP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요의 파트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한 UI 화상 UIP도 복수의 소요 파트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 파트에 첨부되는 부호는 『P(*)-n』의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 안에 표기되는 문자로서, P(CM)-n인 경우에는 그 파트가 공통 파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P(N)-n인 경우에는 그 파트가 노멀용 파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9에 있어서는 P(W)-n에 의해 표기되는 부호가 있고, 이것은 그 파트가 와이드용 파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점선은 UI 화상을 형성하는 파트의 단락(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노멀 모드시로서의 UI 화상은 우선 3개의 터브파트 P(CM)-1, P(CM)-1, P(CM)-1이 배치(맵핑)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들 터브 파트 상에는 각 터브명이 표시되는 버튼 파트 P(CM)-2, 버튼파트 P(CM)-2, 버튼파트 P(CM)-2가 붙여지도록 맵핑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버튼 파트 P(CM)-상에, 도면과 같이 「PLAYER」, 「PROGRAM」, 「SETUP」 등의 네임 파트 P(CM)-2a 내지 2c가 맵핑된다.
터브 파트 P(CM)-1, P(CM)-1, P(CM)-1의 바로 하측에는 시트 파트 P(N)-1이 맵핑되어 있고, 이 시트 파트 P(N)-1상에, 트랙 재생 상태를 도시한 윈도우 파트 P(CM)-3과, 각종 재생기능을 설정 가능한 패널 파트 P(CM)-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상태에 의해서 배치된다.
또한, 시트 파트 P(N)-1의 양테두리 하측에는 좌우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파트 P(CM)-6, P(CM)-6이 맵핑되고, 또한 계속해서 하측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2개의 프레임파트 P(N)-2, P(N)-2가 좌우양측에 맵핑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프레임 파트 P(N)-2, P(N)-2 사이에 재생 조작용 키를 나타내는 패널 파트 P(CM)-5가 맵핑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UI 화상 UIP은 적어도 이상 파트가 도면과 같이 맵핑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와이드 모드시의 UI 화상(도 8과 동일 종류이다)은 종횡비 16:9로서의 유효표시 영역 DA상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어느 영역을 차지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이 유효표시 영역 DA의 사이즈는 WIDE-1 : 848×480의 해상도에 근거하여 얻게 된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의 도 8과 동일부분, 즉, 노멀 모드시의 UI 화상 UIP을 형성하는 파트 중, 공통파트(부호 『P(CM)-n』에 의해 표기되는 것)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와이드 모드시에 표시되는 UI 화상 UIP에 있어서는 종횡비 16:9의 표시 사이즈에 대응하여, 도 8에 도시된 시트파트 P(N)-1을 대신하여, 시트 파트 P(W)-1이 맵핑되어 있고, 이 시트 파트 P(W)-1상에, 윈도우 파트 P(CM)-3과, 각종 재생기능을 설정 가능한 패널 파트 P(CM)-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대하여 맵핑된다.
또한, UG 화상의 하측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2개의 프레임 파트도, 종횡비 16:9의 표시 사이즈에 대응하여,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파트 P(N)-2, P(N)-2를 대신하여, 프레임 파트 P(W)-2, P(W)-2가 맵핑된다.
여기에서, 도 8과 도 9의 각 UI 화상 UIP를 비교하면, 어떠한 정보 표시를 행하는 윈도우나, 사용자의 조작에 관련된 패널 형식의 영역으로 되도록 한 부분은 예를 들면, 터브 파트 P(CM)-1, 버튼 파트 P(CM)-2, 프레임 파트 P(CM)-2a 내지 2c, 윈도우 파트 P(CM)-3, 패널 파트 P(CM)-4, 패널 파트 P(CM)-5 등의 공통 파트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파트 P(N)-1, P(W)-1 및 프레임 파트 P(N)-2, P(W)-2를 이용하는 것으로, 종횡비 4:3과 16:9의 상위에 의한 UI 화상의 사이즈의 변경에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UI 화상 상에 있어서 조작이나 정보표시 등에 관련하여 주요하게 되도록 한 윈도우부분이나 패널부분은 노멀 모드시와 와이드 모드시로서는 사이즈가 변화하지 않게 되고, UI 화상 전체의 이미지로서도 특별히 큰 변화를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대하여도 특히 시각상의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노멀 모드시에 대응하여 준비된 UI 화상 데이터를, 와이드 모드시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확대하도록 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표시한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부분이나 패널부분이 가로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하여 변형, 화상 이미지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대하여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와이드 모드에 의해 수평 해상도(수직 화소수)가 확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멀 모드시에 대응하여 설정된 해상도에 의한 UI 화상 데이터를 횡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UI 화상부분의 해상 감이 열화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UI 화상의 형성 방법을 화상 처리의 관점에서 보면, UI 화상의 종류에 의한 것이지만, 노멀모드와 와이드 모드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공통파트도 비교적 대부분 존재하기 때문에, ROM(13)에 격납하기 위한 UI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량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ROM(13)의 기억가능 용량을 절약하여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ROM(13)에 격납되는 파트 단위의 UI 화상 데이터의 종류도 적게 종료되기 때문에, UI 화상 표시를 위한 제어부(12)의 처리능력에 대한 부담도 특별히 문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미래 적으로 UI 화상의 일부를 변경하게 될 필요성이 생긴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파트단위로 UI 화상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1개의 UI 화상 전체에 관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변경이 필요하게 된 부위에 관한 UI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만 데이터의 재기록을 행하면 되기 때문에, UI 화상의 규정 변경 등에 대하여도 높은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노멀모드와 와이드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 종류의 UI 화면을 표시한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경우, 도 10이 노멀 모드시에 표시되는 UI 화상을 도시하고, 도 11이 와이드 모드시에 표시되는 UI 화상을 도시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UI 화면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미디어의 리스트가 일람 표시된 「미디어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항목을 「프로그램 리스트」로서 등록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도, 도 8 및 도 9와 동일한 파트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파트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점선도, UI 화상을 형성하는 파트의 단락(경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노멀 모드 대응의 UI 화상 UIP에 있어서는 VGA : 640×480에 의한 유효 표시 영역 DA에 대응하는 비트 도표 사이즈의 시트 파트 P(N)-11이 맵핑되어 있고, 이 시트 파트 P(N)-11상에, 미디어 리스트가 표시되는 패널 파트 P(N)-12 및 프로그램 리스트가 표시되는 패널 파트 P(N)-13이 맵핑되어 있다.
상기 패널 파트 P(N)-12 및 패널 파트 P(N)-13은 노멀용파트이고, 예를 들면, 패널 파트 P(N)-12 및 패널 파트 P(N)-13에 있어서 한번에 제시 가능한 미디어 리스트의 후보 항목수는 노멀 모드시의 화상 사이즈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10개로 되어 있다.
또한, 시트 파트 P(N)-11상에 있어서는 패널 파트 P(N)-13의 하측에 대하여, 프로그램 리스트에 관한 설정 조작을 위한 패널 파트 P(CM)-11이 맵핑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과 동일 종류의 UI 화상을 와이드 모드에 대응하여 표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 도시한 UI 화상 UIP에서, 도 10과 동일 파트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경우에는 우선, WIDE-1 : 848×480의 유효표시 영역 DA에 대응하는 비트 도표 사이즈의 시트 파트 P(W)-11이 맵핑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트 파트 P(W)-11상에 대하여, 미디어 리스트의 패널파트 P(W)-12 및 프로그램 리스트의 패널 파트 P(W)-13 및 패널 파트 P(CM)-11이 맵핑되어 있다.
여기에서, 미디어 리스트의 패널 파트 P(W)-12 및 프로그램 리스트의 패널파트 P(W)-13은 와이드용 파트이고, 패널 파트 P(N)-12 및 패널 파트 P(N)-13에 있어서 두번에 제시 가능한 미디어 리스트의 후보 항목수는 예를 들면 13개로 증가하고 있다.
이 종류의 UI 화상 UIP인 경우에는 미디어 리스트 및 프로그램 리스트의 패널 파트에 대하여, 노멀 모드시와 와이드 모드시로 각각 다른 파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특히 와이드 모드시로 된 경우에는 확장된 수평 해상도(수직 화소수)를 유효하게 이용한 후에, 한번에 제시 가능한 후보 항목수를 증가시키는 등, 더욱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도 조작패널의 기능을 다하는 화상부분에 관해서는 패널 파트 P(CM)-11을 공통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노멀 모드시와 와이드 모드시로 표시되는 버튼키 등의 사이즈가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UI 화상의 종류에 의해서는 1종류의 UI 화상 전체가 1개의 파트로서 취급되는 것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도 7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한 UI 화상 표시로서는 노멀 모드와 와이드 모드의 절환이 VGA : 640×480과 WIDE-1 : 848×48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당연한 것으로서, 노멀 모드와 와이드 모드의 절환이 SVGA : 800×600과 WIDE-2 : 1060×600에 대응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노멀모드와 와이드 모드의 절환이 SVGA : 800×600과 WIDE-2 : 1060×600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UI 화상을 형성하는 UI 화상 데이터는 VGA와 WIDE-1의 조인 경우보다도 보다 고해상도의 비트 도표 데이터로 된다. 이 UI 화상 데이터자체의 해상도는 SVGA : 800×600 및 WIDE-2 : 1060×600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상기의 경우, UI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는 도 7에 의한 설명에 준하게 된다.
5. UI 화상 표시를 위한 처리동작
다음에, 지금까지 설명한 UI 화상 표시를 위한 제어부(12)에 의한 처리동작에 대하여 도 1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19)나 리모트 컨트롤러 RC의 조작에 의해서 소정의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101의 처리스텝에 의해 UI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루틴으로 이행한다.
제어부(12)는 계속되는 스텝 S102에 있어서 노멀모드와 와이드 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판별을 행하여, 노멀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와이드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S104로 진행한다.
S103에 있어서는 S101에서 표시하게 된 UI 화상을 형성하는 파트로서, ROM(13)의 노멀용 파트와 공통 파트가 격납되어 있는 영역에서 필요한 파트 데이터(및 맵핑위치 지정정보)를 판독하여, 이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UI 화상을 작성하도록 처리를 실행하여, 이 처리루틴이 빠진다.
한편, 스텝 S104에 있어서는 S101으로써 표시하게 된 UI 화상을 형성하는 파트로서, ROM(13)의 와이드용 파트와 공통파트가 격납되어 있는 영역에서 필요한 파트 데이터(및 맵핑위치 지정정보)를 판독하여, 이들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UI 화상을 작성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이 처리루틴이 빠지게 된다. 상기 스텝 S103 및 S104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런데, 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노멀모드에 있어서 VGA : 640×480과 SVGA : 800×600의 절환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와이드 모드에 있어서 WIDE-1 : 848×480과 WIDE-2 : 1060×600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구성을 갖고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동일 종류의 UI 화상일지라도, VGA와 SVGA, 및 WIDE-1과 WIDE-2로 각각 적합한 해상도의 UI 화상 데이터가 준비되어, 이들의 UI 화상 데이터가 ROM(13)에 격납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대응하는 경우의 화상 처리 동작으로서는 스텝 S103 및 S104의 처리에 있어서는 현재 동일 모드내에 있어서 어떠한 해상도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판별된 해상도에 대응하여 작성된 UI 화상 데이터를 ROM(13)으로부터 판독하도록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형태로서는 그래픽 표시 규격으로서 VGA에 근거하여, 종횡비 16:9의 화상에 대응하는 수평/수직 화소수(해상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그래픽 표시 규격에 근거하여 종횡비 16:9의 화상에 대응하는 수평/수직 화소수를 설정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16:9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수평/수직 화소수도,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WIDE-1 : 848×480과 WIDE-2 : 1060×600에만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드 모드 표시로서 또한 고해상도의 것을 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기기로서 세트 탑 박스(1)를 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하여,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게임기 등의 다른 기기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세트 탑 박스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장치 분야에서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수직/수평 화소수)를 규정하여, 이것에 의해서,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의 설정을 절환 화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로, 각각 적합하도록 작성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UI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는 UI 화상에 관하여는 옆폭이 확대되도록 하는 변형이 없게 되어, UI 화상 자체에 대하여도 종횡비 16:9로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해상도에 적합하면서, 옆길이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한 표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UI 화상에 있어서 키, 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패널 등에 구비하는 조작패널 등에 상당하는 화상부분에 대하여도,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와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로 그 사이즈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음과 동시에, UI 화상의 디자인의 관점에 관해서도 유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UI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UI 화상을 파트로 분할하여, 종횡비 4:3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의 UI 화상 표시에만 이용하는 노멀용 파트, 종횡비 16:9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만 이용하는 와이드용 파트 및 양자의 해상도 설정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파트의 3종류의 파트로 분류하여 관리함으로써, ROM에 격납해야 할 데이터 량의 소용량화나, 데이터 관리의 용이성의 촉진이 도모되고, 또한, UI 화상의 사용변경 등에 대한 자유도도 주어지게 된다.

Claims (7)

  1.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상의 해상도로서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1의 해상도와,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2의 해상도를 설정 가능한 해상도 설정 수단과,
    적어도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의 화상 데이터와,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과,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화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1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화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2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의 화상 데이타는:
    상기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가 되는 제1종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가 되는 제2종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 및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가 되는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소요의 상기 제1종의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호출하여,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의거한 화상 처리 영역상에 맵핑함으로써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소요의 상기 제2종의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호출하고,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의거한 화상 처리 영역상에 맵핑함으로써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종횡비는 4:3이고, 상기 제2의 종횡비는 16: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상의 해상도로서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1의 해상도와,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2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해상도 설정 공정과,
    적어도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의 화상 데이터와,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 격납공정과,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화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1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화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2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의 화상 데이타는:
    상기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가 되는 제1종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가 되는 제2종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 및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파트가 되는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처리 공정은:
    상기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소요의 상기 제1종의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호출하여,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의거한 화상 처리 영역상에 맵핑함으로써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겹납 수단으로부터 소요의 상기 제2종의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3종의 화상 데이터를 호출하여,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근거한 화상 처리 영역상에 맵핑함으로써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6. 표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화상의 해상도로서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1의 해상도와,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2의 해상도를 설정 가능한 해상도 설정 수단과, 적어도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의 화상 데이터와,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과,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화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1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화상도 설정시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2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화상 신호 출력 장치와,
    상기 제1의 종횡비, 또는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표시 화면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 신호 출력 장치에서 공급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제1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1의 해상도와, 상기 제2의 종횡비에 대응하는 제2의 해상도에 적합한 화상 표시 출력이 가능하도록 형태로 구성된 모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 출력 장치는 컴퓨터 장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KR1019970053056A 1996-10-16 1997-10-16 화상처리장치,화상처리방법및표시시스템 KR100571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93176A JPH10124021A (ja) 1996-10-16 1996-10-16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96-293176 1996-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891A true KR19980032891A (ko) 1998-07-25
KR100571295B1 KR100571295B1 (ko) 2006-10-13

Family

ID=1779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056A KR100571295B1 (ko) 1996-10-16 1997-10-16 화상처리장치,화상처리방법및표시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52590B1 (ko)
JP (1) JPH10124021A (ko)
KR (1) KR100571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200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3140A1 (de) * 1999-11-04 2001-05-23 Grundig Ag Vorrichtung zur Anpassung graphischer Navigationsmittel an unterschiedliche Bildseitenverhältnisse
US20050255924A1 (en) * 2000-03-03 2005-11-17 Cole Joseph W Gaming apparatus having door mounted display
JP4920834B2 (ja) * 2000-06-26 2012-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WO2002065764A2 (en) * 2001-01-04 2002-08-22 Becomm Corporation Universal media bar for controlling different types of media
US20030064784A1 (en) 2001-09-28 2003-04-03 William Wells Wide screen gaming apparatus
US20030222889A1 (en) * 2002-03-26 2003-12-04 Kenneth Parulski Portable imaging display device employing an aspect ratio dependent user interface control window
JP4169340B2 (ja) * 2002-11-25 200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用出力信号生成回路、デジタルカメラ及び表示パネル用出力信号生成方法
JP2005039794A (ja) 2003-07-18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処理方法及び表示処理装置
KR100565058B1 (ko) * 2003-08-2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적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정하는 dvd 플레이어 및그 동작 방법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GB2410638A (en) * 2004-01-28 2005-08-03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Automatic formatting of signals sent to a plurality of outputs by a media device
US20060007359A1 (en) * 2004-07-06 2006-01-12 Phanthavong Douangphachanh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deo modes in consumer electronics
JP4401884B2 (ja) 2004-07-16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3729417B1 (ja) * 2004-09-07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170653A1 (en) * 2005-02-01 2006-08-03 Eastman Kodak Company Pointing device with switch
US7760269B2 (en) * 2005-08-22 2010-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izing an image on a display
JP4218680B2 (ja) * 2005-11-24 2009-02-04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20070201833A1 (en) * 2006-02-17 2007-08-30 Apple Inc. Interface for defining aperture
JP4314253B2 (ja) * 2006-07-24 2009-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機器システム
US20100020104A1 (en) * 2007-01-15 2010-01-28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processing device,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processing program
US9250655B2 (en) * 2007-12-13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nging a display mod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1059351A (ja) * 2009-09-09 2011-03-2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D747338S1 (en) * 2012-11-28 2016-01-12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02848B2 (en) 2013-03-04 2017-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Optimized content delivery
JP6476631B2 (ja) 2013-09-19 2019-03-0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データ表示方法、プログラム
JP6366280B2 (ja) * 2014-01-16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信号判定装置、映像信号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673B2 (ja) * 1986-12-17 1996-06-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3179893A (ja) * 1989-12-08 1991-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US5329369A (en) * 1990-06-01 1994-07-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symmetric picture compression
JPH05181443A (ja) * 1991-07-01 1993-07-23 Seiko Epson Corp コンピュータ
CN1119482A (zh) * 1993-02-03 1996-03-27 尼托公司 图像投影的方法和设备
CA2175363C (en) * 1993-10-29 1999-12-21 Christopher J. Cooks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multiple versions of same motion picture stored on optical disk
JP3270276B2 (ja) * 1993-12-22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US5600347A (en) * 1993-12-30 1997-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rizontal image expansion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s
JPH0879663A (ja) * 1994-09-07 1996-03-22 Sharp Corp 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US5796442A (en) * 1994-11-02 1998-08-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format television reciever
US5689343A (en) * 1995-05-26 1997-11-18 Xerox Corporation Area mapping employing reference clusters for high quality noninteger resolution conversion with enhancement
US5767833A (en) * 1995-06-28 1998-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ternal bitmap support for devices that support multiple image forma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200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295B1 (ko) 2006-10-13
US6252590B1 (en) 2001-06-26
JPH10124021A (ja)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295B1 (ko) 화상처리장치,화상처리방법및표시시스템
US4200869A (en) Data display control system with plural refresh memories
US7826792B2 (en) Composite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assignment of function of operation button of remote controller of decoding device
JP3490472B2 (ja) ピクセル・ストリームを転送するアーキテクチャ
KR20050031913A (ko) 화상 혼합 방법 및 혼합 화상 데이터 생성 장치
JPH012769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193795A (ja) 文字放送受信機
US20050262445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5006066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091459A (en) On-screen-display circuit
US73623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olution of graphic image
US7043135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4689037B2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画面上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表現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362281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1103392A (ja) 画像枠生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デジタルテレビシステム
KR100282369B1 (ko) 영상신호 변환장치
JP3157484B2 (ja) インターネット情報表示装置
JPH06284353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制御装置
JP2822668B2 (ja) 表示制御装置
JPH1012402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KR100195092B1 (ko)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및 메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0188664B1 (ko) 부영상 표시 위치 제어 방법
JP2781924B2 (ja) スーパーインポーズ装置
KR980011379A (ko)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JPH0675553A (ja) 画面分割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