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596A - 드럼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596A
KR19980032596A KR1019970051324A KR19970051324A KR19980032596A KR 19980032596 A KR19980032596 A KR 19980032596A KR 1019970051324 A KR1019970051324 A KR 1019970051324A KR 19970051324 A KR19970051324 A KR 19970051324A KR 19980032596 A KR19980032596 A KR 1998003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hoe
drum
shaped link
lo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582B1 (ko
Inventor
아사이세이지
고바야시야스시
Original Assignee
모찌즈키아키히로
닛씬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찌즈키아키히로, 닛씬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찌즈키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3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8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eccentric or helical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4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46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 F16D51/48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with two linked or directly-interacting brake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46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 F16D51/48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with two linked or directly-interacting brake shoes
    • F16D51/50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with two linked or directly-interacting brake shoe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1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 F16D65/563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arranged adjacent to service brake actuator, e.g. on parking brake lever, and not subjected to service brake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브레이크시에는 효과와 안정성이 양호한 LT형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파킹 브레이크시에는 효과가 높은 DS형으로서의 기능을 계속 확보하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슈 간격 자동 조정 기능을 계속 확보하며, 더욱이 이음(異音)의 발생을 방지하고 충격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경량화를 가능하게 구성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럼 브레이크 장치는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 (8)에 인접하여 양 브레이크 슈(2, 3)사이에 슈 간격 조정 장치(12)를 현수 설치하고, 앵커(9)에 인접하여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16)를 설치하고, 한 쪽 브레이크 슈(2)의 중간부에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중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링크(11)의 한 쪽과 다른 쪽을 각각 상기 슈 간격 조정 장치(12)와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16)에 작동적으로 결합시킴과 함께, 서비스 브레이크시에서의 긴 막대 형상 링크(11)가 한 쪽 브레이크 슈(2)와 일체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드럼 브레이크 장치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브레이크시에는 리딩 트레일링형(LT형) 브레이크로서 작동하고, 파킹 브레이크시에는 듀오 서보형(DS형) 브레이크로서 작동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소 62 - 8652호 공보 및 미국 특허 5, 275, 260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양자의 브레이크 기본 기능은 같기 때문에 도 15에 근거하여 그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즉, 백킹 플레이트(a)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슈(b, c)와 이 브레이크 슈 (b, c)의 한 쪽 인접단 사이에 배치된 앵커 블록(d)과 양 브레이크 슈(b, c)의 다른 쪽 인접단 사이에 배치된 유압 실린더(g)와 한 쪽 브레이크 슈(b)의 한 쪽 끝단(i)에 원추형 접합된 파킹 레버(j)와 다른 쪽 브레이크 슈(c)에 요동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된 아이들 레버(k)와 양 브레이크 슈 (b, c)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로드(l 및 m)를 포함하고 제 1 로드(l)의 한 끝단(n)은 파킹 레버(j)에 결합하고 또 그 다른 끝단(o)은 아이들 레버(k)에 결합하며 제 2 로드(m)의 한 끝단(p)은 한 쪽 브레이크 슈(b)에 결합하고 또 그 다른 끝단(q)은 다른 쪽 브레이크 슈(c) 및 아이들 레버(k)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g)가 가압되면 양 브레이크 슈(b, c)는 앵커 블록(d)과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개방하여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결합하고 LT형 브레이크로서 이것을 제동한다.
또,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 파킹 레버(j)를 화살표(X)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 1 로드(l) 아이들 레버(k) 및 제 2 로드(m)의 순으로 작용력이 전달되고 한 쪽 브레이크 슈(b)는 앵커 블록(d)과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개방되어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결합한다. 이어서, 아이들 레버(k)가 제 2 로드(m)와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개방하고 해당 레버(k)의 피봇부가 다른 쪽 브레이크 슈(c)를 (Y)방향으로 누르고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결합한다. 또 한 쪽 브레이크 슈(b)의 한 쪽 끝단(i)에도 파킹 레버(j)의 반작용력이 화살표(Z)방향으로 움직인다.
브레이크 드럼에 화살표(R) 방향의 회전력이 더해(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지면 한 쪽 브레이크 슈(b)의 마찰력이 제 2 로드(m)에 전달되고 그 다른 끝단(q)이 다른 쪽 브레이크 슈(c)를 누르고 앵커 블록(d)에 지지되어져 DS형 브레이크로서 이것을 제동한다.
또, 브레이크 드럼에 화살표(R)방향과 반대의 회전력이 더해지면 다른 쪽 브레이크 슈(c)의 마찰력이 제 2 로드(m)로 전달되고 그 한 끝단(p)이 한 쪽 브레이크 슈 (b)를 누르고 앵커 블록(d)에 지지되어져 상기와 같은 DS형 브레이크로서 이것을 제동한다.
상기의 파킹 브레이크 작동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제 2 로드(m)의 다른 단 (q)이 아이들 레버(k)에 접촉하고 다른 쪽 브레이크 슈(c)와의 사이에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해당 슈(c)가 화살표(R)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의 간격 상당분 만큼 유압 실린더(g)의 피스톤이 밀려 되돌려지고 즉, 풋 페달이 밀려 되돌려져 불쾌감을 줌과 함께 다음 풋 브레이크시의 페달 스트로크가 크게 되어 버린다. 또, 역으로 제 2 로드(m)의 다른 끝단(q)이 다른 쪽 브레이크 슈에 접촉하고, 아이들 레버 (k)와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면 이 간격 상당분만큼 파킹 레버(j)의 스트로크가 크게 되어 즉, 핸드 레버의 스트로크가 크게 되어 버린다. 이들면에서 제 2 로드(m)의 다른 끝단(q)과 다른 쪽 브레이크 슈(c) 및 아이들 레버(k)의 어느 것이든지 간격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후자에 구비되어 있는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를 도 16에 근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조정 레버(r)는 그 절곡 형성된 끝단부(y)가 브레이크 슈(c)의 웨브에 회전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되고, 한 상부 암(s)이 상부 스트럿(t)의 홈에 결합함과 함께, 다른 상부 암이 상부 스트럿(t)의 스타 휠(u)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조정 레버(r)와 피봇 레버(v)의 사이에 스프링(w)이 팽팽하게 설치되고, 조정 레버(r)에 끝단부(y)를 지점으로서 반시계 방향의 가압력을 주고 있다.
라이닝이 마모하고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에서의 양 브레이크 슈(b, c)의 개방량이 소정의 수치를 넘으면 상부 암이 스타 휠(u)을 회전시켜 상부 스트럿(t)의 전체 길이를 자동적으로 신장시키고 그럼으로써 양 브레이크 슈(b, c)와 브레이크 드럼 (z)과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개선점이 있다.
<1>다른 쪽 브레이크 슈(c)에 아이들 레버(k)를 원추형 접합했을 때 해당 레버(k)가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그 성과를 확인하기 어렵다.
<2>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서의 각 브레이크 슈는 서로 인접하는 끝단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향하여 전체적으로 확장된다.
바꾸어 말하면, 양 브레이크 슈의 한 쪽측도 앵커 블록에서 일단 분리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차륜과 일체적인 브레이크 드럼이 회전하면 양 브레이크 슈나 로드 등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고 어느 것이든 한 쪽 브레이크 슈가 앵커 블록에 접촉하여 부딪히기 때문이지만 타격음을 내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앵커 블록에 충격 하중이 반복 작용하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3>종래예의 전자에 있어서는 부품 공차의 누적에 의해 아이들 레버는 제 2 로드에 접하거나 유격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적어도,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유격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주행중이나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시에 아이들 레버가 진동하여 이음을 발생시키고,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4>또, 다른 쪽 브레이크 슈(c)의 라이닝이 마모되어 가면, 제 2 로드(m)와 결합하는 브레이크 슈(c) 및 아이들 레버(k)의 결합점이 차차 상대 변위한다.
즉, 도 15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c)의 브레이크 센터 위치에서의 변위량(δ)과 해당 브레이크 슈(c) 및 아이들 레버(k)의 변위량(δc, δk)은 다음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된다.
다만,
H1: 앵커 d에서 브레이크 센터 (브레이크 슈 c와 아이들 레버 k의 피봇점)까지의 거리
H2: 브레이크 센터에서 제 2 로드 m까지의 거리
H3: 브레이크 센터에서 제 1 로드 1까지의 거리
: 라이닝의 마모량
여기에서, 거리 H1보다 H3쪽이 상당히 작기 때문에 브레이크 슈(c)의 변위량(δc)에 대해 아이들 레버(k)의 변위량(δk)이 상당히 크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종래예의 후자에 있어서는 라이닝의 마모에 따라서 조정 레버는 브레이크 슈와 일체가 되어 그 지지 블록과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이동하지만 피봇 레버는 아래 방향의 스트럿과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조정 레버를 가압하고 있는 조정 스프링의 가압력이 변화해 버리고 미세한 조정이 요구되는 자동 조정 작용에 악영향을 줄지도 모른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서비스 브레이크시에는 효과와 안정성이 양호한 LT형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파킹 브레이크시에는 효과가 높은 DS형으로서의 기능을 다하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슈 간격 자동 조정 기능이 계속 확보되고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충격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경량화를 꾀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백 플레이트 상에 한 쌍의 브레이크 슈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브레이크 슈의 한 쪽 인접단 사이에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를 설치함과 함께 다른 쪽 인접단 사이에 앵커를 설치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에 인접하여 양 브레이크 슈의 사이에 슈 간격 조정 장치를 걸쳐놓고 상기 앵커에 인접하여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를 설치하며 한 쪽 브레이크 슈의 중간부에 긴 막대 형상 링크의 중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링크의 한 쪽과 다른 쪽을 각각 상기 슈 간격 조정 장치와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에 작동적으로 결합됨과 함께 서비스 브레이크시에서의 긴 막대 형상 링크가 상기 한 쪽 브레이크 슈와 일체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제 1항에 기재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의 다른 쪽 끝단부를 상기 앵커에 가압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에 그 중간의 피봇부를 지점으로 하는 한 쪽 브레이크 슈의 개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함과 함께 한 쪽 브레이크 슈와의 사이에 회전을 규제하는 링크 회전 규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의 중간 피봇부를 지점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에 작용하는 개방 항력을 브레이크 슈의 한 쪽측보다 다른 쪽측이 커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제 4항에 기재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모양 링크의 중간 피봇부를 지점으로 하고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슈 리턴 스프링의 모멘트를 브레이크 슈의 한 쪽측보다 다른 쪽측이 크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 간격 조정 장치는 상기 양 브레이크 슈의 개방량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자동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제 1항에 기재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 또는 한 쪽 브레이크 슈의 중간부의 어느 것인가에 프레스로 일체로 성형한 돌기를 설치하고 해당 돌기를 상기 어느 것이든 다른 쪽 부재에 천공한 구멍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에 관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 - 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 - 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 - IV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 - V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변형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도 1의 VIII - VIII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X - X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5에 관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XIII - XIII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XIV - XIV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제 1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제 2 드럼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백 플레이트 2, 3, 2′,3′, 102, 103: 브레이크 슈
2a, 3a, 102a, 103a: 브레이크 슈의 액튜에이터쪽 인접단
2b, 3b, 102b, 103b: 브레이크 슈의 앵커블록 쪽 인접단
8, 108: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
9, 109: 앵커 블록 11, 11', 111: 긴 막대 형상 링크
11a, 111a: 돌기
11c, 111c: 브레이크 슈의 액튜에이터 쪽 절결홈
11d, 111d: 브레이크 슈의 앵커 블록 쪽 절결홈
11e, 111e: 아래쪽 단면 12: 슈 간격 조정 장치
13: 볼트 14: 튜브 부재
15: 소켓 부재
16, 116: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
17, 117: 브레이크 레버 18, 118: 스트럿
21, 121: 상부 리턴 스프링 22, 122: 하부 리턴 스프링
23: 슈 리턴 스프링 25, 25': 조정 레버
26, 26', 126: 조정 스프링 112: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
113: 조정 스트럿 114: 벨 크랭크 레버
이하 본 발명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1>서비스 브레이크 작동
예를 들면, 풋 페달(도시하지 않음)을 밟으면 액튜에이터(8)에 압력이 가해져 양 브레이크 슈(2, 3)의 한 쪽(2a, 3a)이 다른 쪽(2b, 3b)의 앵커 블록(9)과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개방하고 그 라이닝(6, 6)이 회전하고 있는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에 마찰 결합하여 이것을 제동한다. 이 때, 어느 한 쪽의 브레이크 슈(2, 3)가 셀프 서보성을 가지고 다른 쪽이 셀프 서보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LT형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이어서, 파킹 브레이크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각 부품의 회전 방향은 도1에 근거한다.
<2>파킹 브레이크 작동
예를 들면, 핸드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케이블을 거쳐 브레이크 레버(17)의 자유 끝단부(17b)가 오른쪽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 때, 브레이크 레버(17)는 그 레버비에 의해 기초부(17a)에 원추형 접합된 핀(19)을 지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럿(18)을 누른다.
스트럿(18)이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다른 쪽 절결홈(11d)부를 누르면 이 링크 (11)는 그 돌기(11a)를 지점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슈 간격 조정 장치(12)를 거쳐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절결홈(5b)에 전달되고 그럼으로써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한 쪽(3a)을 그 다른 쪽(3b)을 지점으로 개방하여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을 누른다.
또한, 브레이크 레버(17)를 당기면 긴 막대 형상 링크(11)에는 슈 간격 조정 장치(12)와 접촉하는 한 쪽 절결홈(11c)부를 지점으로 반 시계방향의 작용력이 발생하고, 이 작용력이 돌기(11a)를 거쳐 한 쪽 브레이크 슈(2)의 구멍(5a)으로 전달된다.
이 때, 하부 리턴 스프링(22)의 설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한 쪽 브레이크 슈(2)도 그 다른 쪽(2b)을 지점으로 개방하여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드럼을 누른다.
그리고, 지금,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드럼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더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마찰력이 슈 간격 조정 장치(12)를 거쳐 한 쪽 브레이크 슈(2)에 전달되고 이 브레이크 슈(2)의 다른 쪽(2b)이 앵커 블록 (9)에 지지되어 제동력을 일으키기 때문에 양 브레이크 슈(2, 3)는 셀프 서보성을 가지고 DS형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또, 브레이크 드럼에 반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더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한 쪽 브레이크 슈(2)의 마찰력이 슈 간격 조정 장치(12)를 거쳐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에 전달되고 그 다른 쪽(3b)이 앵커 블록(9)에 지지되어 상기와 같이 DS형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상기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서비스 브레이크시 및 파킹 브레이크시 모두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이 회전하기까지는 브레이크 슈(2, 3)가 앵커 블록(9)에서 분리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병용시에 있어서도 똑같은 작동을 하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2) 또는 (3)의 다른 쪽 인접단(2b) 또는 (3b)이 앵커 블록(9)에 접촉하여 타격음을 내거나 충격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즉, 종래와 같이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했을 때 브레이크 슈(2, 3)가 전체적으로 확장되어 그 다른 쪽 인접단(2b, 3b)이 앵커 블록(9)에서 분리되고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이 회전했을 때에 타격음을 내거나 앵커 블록(9)에 충격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실시예 1>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백 플레이트
(1)은 백 플레이트로, 그 중앙 구멍(1a)을 차축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 4군데의 볼트 구멍(1b)에서 정지 부재로 고정된다.
<2>브레이크 슈
(2, 3)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브레이크 슈로 각각 슈 림(4, 4)과 슈 웨브(5, 5)에서 단면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슈 림(4, 4)에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과 마찰 결합하여 이것을 제동하는 라이닝(6, 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공지된 판 스프링과 핀으로 이루어지는 슈 홀더 기구(7, 7)로써 백 플레이트(1) 위에 현수 설치되어 있다.
<3>서비스 브레이크용 액튜에이터
(8)은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브레이크 슈(2, 3)의 한 쪽 인접단(2a, 3a)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1) 위에 볼트 등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액튜에이터(8)는 유압식의 휠 실린더이지만 공압식의 휠 실린더라도 좋다.
<4>앵커 블록
(9)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브레이크 슈(2, 3)의 다른 쪽 인접단(2b, 3b) 사이에 설치된 앵커 블록으로 상기 백 플레이트(1)의 융기부 위에 보통 2개의 리벳(10, 10)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앵커 블록(9)은 리벳(10) 로크로 바꾸어 용접으로 고정시켜도 좋고 또, 직사각형의 판재로 바꾸어 핀 형상의 앵커 핀으로 고정시켜도 좋다.
요점은 브레이크 슈(2, 3)의 다른 쪽 인접단(2b, 3b)을 각각 지지 할 수 있다면 좋다.
<5>긴 막대 형상 링크
(11)은 한 쪽 브레이크 슈(2)의 슈 웨브(5)에 중첩되도록 설치된 긴 막대 형상의 링크로, 그 중간부에는 버링 가공에 의한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 (11a)가 슈 웨브(5)에 천공된 구멍(5a)으로 미끄러지고 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부분에는 절결홈(11c, 11d)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아래 방향 부분은 더욱 신장되고 그 아래 방향 끝단면(11e)이 앵커 블록(9)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의 돌기(11a)는 도 5에 도시하는 형상을 설명했지만 같은 프레스 성형이라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의 걸림 돌기(11b)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돌기(11a, 11b)는 모두 긴 막대 형상 링크(11)에서 일체로 프레스 성형으로 돌출 성형한 것이지만 슈 웨브(5)에 돌기를 형성하여 긴 막대 형상 링크(11)에 천공하여 설치해도 좋으며 별도의 핀을 사용하여 긴 막대 형상 링크(11)를 슈 웨브(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도 쉽게 가능하다.
<6>슈 간격 조정 장치
(12)는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과 브레이크 슈(2, 3)의 간격을 조정하는 슈 간격 조정 장치로 공지된 나사식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도면은 후에 서술하는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백 플레이트(1) 또는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한 구멍(1c)에서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써 볼트(13)와 일체의 조정 톱니(13a)를 회전하면 이것이 튜브 부재(14)로부터 나사 결합 및 분리되고 해당 조정 장치(12)의 전체 길이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15)는 볼트(13)의 한 쪽을 지지하는 소켓 부재이다. 상기 튜브 부재(14)와 소켓 부재(15)의 브레이크 슈(2, 3) 근방은 눌러져 판 모양을 띠고 있고 각각 절결 홈(14a, 1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홈(14a) 밑이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슈 웨브(5)에 형성된 절결홈(5b) 밑에 접촉하고, 절결홈(15a) 밑이 한 쪽 브레이크 슈 (2)의 슈 웨브(5)에 형성된 절결홈(5b) 밑과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한 쪽 절결홈 (11c) 밑에 접촉하고 있다.
다만, 실제상으로는 브레이크 슈(2) 및 긴 막대 형상 링크(11) 등에 가공 공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만큼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절결홈(11c) 밑은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7>파킹 브레이크용 액튜에이터
(16)은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로 포워드 풀 타입의 브레이크 레버(17)와 스트럿(18) 등으로 구성된다.
브레이크 레버(17)는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슈 웨브(5)에 중첩하도록 설치되고 그 기초부(17a)가 브레이크 슈(3)의 다른 쪽(3b)에 핀(19)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고 자유 단부(17b)에는 원격 조작용 컨트롤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래치(latch) 하기 위한 뒤집어 꺾어 성형된 홈이 형성되어 있다.
(17c)는 브레이크 부작동시에서의 브레이크 레버(17)의 제위치를 규제하는 돌기로 슈 림(4)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판 형상의 스트럿(18)의 양단에는 각각 절결홈(18a, 18b)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절결홈(18a) 밑이 브레이크 레버(17)의 절결홈(17d) 밑에 접촉함과 함께, 절결홈(18b) 밑이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절결홈(11d) 밑에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이 간격은 브레이크 레버(17)나 스트럿(18) 등의 가공 공차분인데 컨트롤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배색시에 흡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중에 도시된 (20)은 컨트롤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외부 케이싱을 부착하기 위한 파이프로 백 플레이트(1)에 고정되어 있다.
<8>상부 리턴 스프링
(21)은 상부 리턴 스프링으로 서비스 브레이크시에 작동하는 액튜에이터(8)에 인접한 양 브레이크 슈(2, 3)의 한 쪽(2a, 3a)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9>하부 리턴 스프링
(22)는 하부 리턴 스프링으로 앵커 블록(9)에 인접한 양 브레이크 슈(2, 3)의 다른 쪽(2b, 3b)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설치 하중은 브레이크 슈(2, 3)의 앵커 블록(9)측이 먼저 열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에 있어서
상부 리턴 스프링(21)의 설치 하중 : F 1 kg·f
하부 리턴 스프링 (22)의 설치 하중 : F 2 kg·f
브레이크 슈(2)의 긴 막대 형상 링크(11)와의 피봇점으로부터 하부 리턴 스프링(21)까지의 거리 : L 1 mm
브레이크 슈(2)의 긴 막대 형상 링크(11)와의 피봇점으로부터 하부 리턴 스프링(22)까지의 거리 : L 2 mm로 했을 때 브레이크 슈(2, 3)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F 1 × L 1< F 2 × L 2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실시예 2>
도 7은 슈 리턴 스프링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른 부품은 상기한 실시 예 1과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 부품에는 같은 부호를 써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2개의 슈 리턴 스프링(21, 22)을 대신하여 대략 U자 형상의 1개의 슈 리턴 스프링(23)으로 한 것으로 이 조금 두꺼운 선 스프링(23)은 그 중간부가 앵커 블록(9) 위에 놓여지고 양 자유 끝단의 절곡부(23a, 23a)를 양 브레이크 슈 (2, 3)에 천공하여 설치된 래치(latch) 구멍(5c, 5c)에 걸어 멈추게 하여 더욱 그 위치를 앵커 블록(9)측에 접근하게 한 것이다.
요점은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 브레이크 슈(2, 3)의 한 쪽(2a, 3a)이 먼저 열리도록 팽팽하게 설치되는 위치를 결정해 주면 좋다.
또, 슈 리턴 스프링은 상기한 2개의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결코 아니며 예를 들면 종래 예와 같이 하부 리턴 스프링을 2등분하는 등의 여러 종류의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3>
<1>구성
도 1, 도 3 및 도 8에 근거하여 서비스 브레이크시에 작동하는 인크리멘털 형의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를 구비시킨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한 쪽측에 고정된 핀(24)이 한 쪽 브레이크 슈(2)의 슈 웨브(5)에 천공된 긴 구멍(5d)을 유동 가능하게 관통시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세워진 상태의 설치부(24a)에 조정 레버(25) 중간부에 천공된 구멍(25a)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조정 레버(25)의 한 쪽 팔(25b)은 소켓트 부재 (15)의 절결홈(15a)의 단부면(15b)에 접촉되고, 다른 쪽 팔(25c)은 볼트(13)의 조정 톱니(13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핀(24)을 슈 웨브(5)에 고정하고 이 세워진 상태의 설치부(24a)에 조정 레버(25)를 축지지 해도 좋다.
(26)은 조정 스프링으로 조정 레버(25)의 반대쪽 팔(25d)과 슈 웨브(5)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 1에 있어서 조정 레버(25)에 핀(24)을 지점으로 반 시계 방향의 가압력을 주고 있다.
<2>슈 간격 자동 조정의 작동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양 브레이크 슈(2, 3)가 개방되면 슈 간격 조정 장치(12)는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에 추종되고 긴 막대 형상 링크(11)는 한 쪽 브레이크 슈(2)에 거의 일체가 되어 추종된다. 이 때 조정 레버(25)의 다른 쪽 팔(25c)은 핀(24)이 이동한 만큼과 상기 슈 간격 조정 장치(12)의 이동량을 더한 양에 상당하는 만큼, 도 1에 있어서 핀(24)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질 수 있다.
라이닝(6, 6)이 마모되어 조정 레버(25)의 다른 쪽 팔(25c)의 회전량이 조정톱니(13a)의 톱니 사이 피치를 넘으면 볼트(13)를 빠르게 회전시켜 튜브 부재(14)로부터 나사 분리되고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과 라이닝(6, 6)과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개방량 만큼 슈 간격 조정 장치(12)와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한 쪽 절결홈(11c)측과 조정 레버(25)등이 추종되지만 한 쪽 브레이크 슈(2)는 그 긴 구멍(5d)내에 핀(24)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조정 레버(25)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 브레이크시에 있어서의 조정 레버(25)의 회전량보다 작게 자동 조정 작용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브레이크 개방시에 있어서도 조정 스프링(26)의 가압력이 긴 막대 형상 링크(11)에 항상 작용하고 그 아래 방향 단면(11e)을 앵커 블록(9)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중에 해당 링크(11)가 진동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 4>
상기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서비스 브레이크시에 긴 막대 형상 링크(11)가 한 쪽 브레이크 슈(2)와 일체적으로 개방되는 구조라면 원하는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명백하며 그 변형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9 및 도 10은 긴 막대 형상 링크(11′)와 한 쪽 방향의 브레이크 슈 (2′)를 실질적으로 일체화하는 변형예이고, 이미 서술한 실시예에 변경을 더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의 오른쪽 귀퉁이에 대시를 그어서 설명한다.
즉,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아래 방향 끝단면(11e)을 앵커 블록(9)에 접촉하게 한 것을 대신하여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핀(24)의 브레이크 바깥쪽 측을 한 쪽 브레이크 슈(2′)의 슈 웨브(5′)에 천공된 긴 구멍(5′ d)의 브레이크 바깥쪽 측의 내면에 접촉한 것이고 조정 스프링(26)의 가압력에 의해 유지된다.
본 구성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작동 및 자동 조정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똑같이 따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다른 쪽에 설치한 돌기(11′f)를 슈 웨브(5′)에 설치된 큰 지름 구멍(5′e)의 브레이크 안쪽 측에 결합시켜도 좋고, 긴 막대 형상 링크(11′)의 한 쪽 등가장자리(11′g)를 슈 림(4′)의 내면에 결합시켜도 동등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시에, 긴 막대 형상 링크(11′)가 한 쪽 브레이크 슈(2′)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개방되고,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대 회전하는 구조라면 양호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라이닝(6, 6)이 마모되어 긴 막대 형상 링크(11) 조정 레버(25) 및 조정 스프링(26)이 한 쪽 브레이크 슈(2)와 거의 일체가 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 조정 작용에 어떠한 변동 요인을 주는 일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조정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도 11에 근거하여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즉, 실시예 3의 상기 장치를 브레이크 중심선에 대해서 거의 한 쌍으로 한 것이고 이미 상기한 실시예에 변경을 더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의 오른쪽 귀퉁이에 대시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조정 레버(25′)는 다른 쪽 브레이크 슈(3′)의 슈 웨브(5′)에 세운 상태로 설치된 핀(24′)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고, 조정 스프링(26′)에 의해 항상 시계 방향의 가압력이 주어지고 있다.
본 구성에 의한 슈 간격 자동 조정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 3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만일 브레이크 레버(17)가 끌어당기는 경향으로 세트된 경우에도 조정 레버(25′)와 조정 톱니(13a)와의 결합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조정 불량의 우려가 없다.
<실시예 6>
<1>구성
도 12 내지 도 14에 근거하여 서비스 브레이크시에 작동하는 원숏형의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파킹 브레이크를 크로스 풀형으로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부품에 대하여는 100단위의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1)은 백 플레이트, (102, 103)은 한 쌍의 브레이크 슈, (102a, 103a)는 브레이크 슈 (102, 103)의 한 쪽 인접단, (102b, 103b)는 브레이크 슈(102, 103)의 다른 인접단, (108)은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되는 액튜에이터, (109)는 앵커 블록, (111)은 긴 막대 형상 링크, (111a, 111c, 111d, 111e)는 링크(111)의 각각 돌기와 한 쪽 절결홈과 다른 쪽 절결홈과 아래 방향 끝단면, (121)은 상부 리턴 스프링, (122)는 하부 리턴 스프링이다.
하부 리턴 스프링(122)의 설치 하중은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 브레이크 슈 (102, 103)의 다른 쪽측(102b, 103b)이 먼저 열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112)는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이고 판 형상의 조정 스트럿(113), 벨 크랭크 레버(114) 및 스프링(126, 127) 등으로 이루어진다.
조정 스트럿(113)의 한 쪽에 형성된 절결홈(113a)밑이 긴 막대 형상 링크 (111)의 한 쪽 절결홈(111c)밑과 브레이크 슈(102)의 내면에 접촉하고, 이 스트럿 (113) 중간부에는 잘게 깍은 톱니(113b)가 깎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벨 크랭크 레버(114)의 중간부는 상기 스트럿(113)의 다른 쪽(113c)에 회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스트럿(113)의 길이 방향의 판면을 따라서 가동적으로 핀(115)으로써 축지지 되어 있고, 그 한 쪽의 부채 모양을 한 팔(114a)의 바깥 둘레에 절삭된 톱니(114b)가 상기 스트럿(113)의 절삭된 톱니(113b)에 서로 맞물려 있다.
또, 캠 면을 가지는 다른 쪽 팔(114c)은 브레이크 슈(103)에 형성된 직사각형 홈(103c)에 간격(δ1)을 가져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126)은 브레이크 슈(102)와 조정 스트럿(113)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조정 스프링, (127)은 조정 스트럿(113)과 핀(115)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스프링으로 양자의 설치 하중은 조정 스프링(126)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116)은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되는 크로스 풀형의 액튜에이터이며 브레이크 레버(117)와 스트럿(11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레버(117)는 그 한 쪽 손가락 형상부(117a)가 브레이크 슈(103)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절결홈(103d) 밑에 접촉하고, 다른 쪽 팔(117b)은 백 플레이트 (101)의 구멍(101d)을 유동 가능하게 관통하게 하여 역 L자 형상의 끝단부에는 컨트롤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설치 구멍(117c)이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레버(117)에는 백 플레이트(101)의 뒷면측에 접촉하여 제위치를 규제하는 돌기(117d)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스트럿(118)의 한 쪽에는 절결홈(118a)이 형성되고 그 홈(118a)내에 다른 방향의 브레이크 슈(103)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브레이크 레버(117)의 중간부를 회전 가능하게 핀(119)으로써 축지지 하고 있다.
스트럿(118)의 다른 쪽에도 절결홈(118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홈(118b)이 긴 막대 형상 링크(111)의 다른 쪽 절결홈(111d)부와 한 쪽 브레이크 슈(102)를 수용하고 있다.
<2>브레이크 작동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의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은 상기한 실시예 1과 같다. 파킹 브레이크 작동에 대해서도 브레이크 레버(117)가 크로스 풀형으로 변했을 뿐이다.
즉,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 케이블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117)의 설치 구멍 (117c)부를 당기면 해당 레버(117)는 브레이크 슈(103)와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핀(119)을 거쳐 스트럿(118)을 누르고 이 작용력이 긴 막대 형상 링크(111),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112), 다른 쪽 브레이크 슈(103)의 직사각형 구멍(103c)부의 순서로 전달되고 브레이크 슈(103)는 그 다른 쪽(103b)을 지점으로 한 쪽(103a)이 개방되어 브레이크 드럼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한다.
이어서, 긴 막대 형상 링크(111)의 돌기(111a)에는 조정 스트럿(113)과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브레이크 바깥 방향으로의 작용력이 부여되고, 그럼으로써 브레이크 슈(102)도 그 다른 쪽(102b)을 지점으로 한 쪽 방향(102a)이 개방되어 브레이크 드럼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서비스 브레이크시 및 파킹 브레이크시 모두 양 브레이크 슈(102, 103)의 작동은 상기의 실시예와 똑같이 따르고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슈 간격 자동 조정의 작동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양 브레이크 슈(102, 103)가 개방하면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112)는 조정 스프링(126)의 작용력에 의해 한 쪽 브레이크 슈(102)에 추종된다.
양 브레이크 슈(102, 103)의 라이닝이 마모되어 그 개방량이 상기 벨 크랭크 레버(114)부의 간격(δ1)과 잘게 깍은 톱니(114b)의 높이를 더한 값을 넘으면 해당 레버(114)가 핀(115)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1 톱니 상당분만큼 자동 조정 장치(112)를 신장시키고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과의 간격을 메운다.
또, 파킹 브레이크시에는, 도 12에 있어서 조정 스트럿(113)과 벨 크랭크 레버(114) 등이 다른 쪽 브레이크 슈(103)와 일체가 되어 왼쪽으로 움직이고 조정 스프링(126)이 늘어나 한 쪽 브레이크 슈(102)가 오른쪽으로 움직일 뿐이기 때문에 자동 조정 작용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시예 7>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고 예를 들면 인클리멘탈형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와 크로스 풀형 파킹 브레이크를 조합시켜도 좋고 원숏형 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와 포워드 풀형 파킹 브레이크와 조합시켜도 좋으며 또, 긴 막대 형상 링크(11, 11′, 111)를 슈 웨브(5)의 브레이크 드럼(도시하지 않음) 설치측면에 중첩하게 하는 등 많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 기술 분야에 익숙해진 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브레이크 슈에 대한 긴 막대 형상 링크의 한 쪽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면 양자를 임시조로 한 상태에서 슈 간격 조정 장치와의 결합점의 레버 어텐던트를 눈으로 보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성과를 간단히 체크할 수 있다
<2>라이닝이 마모되어도 슈 간격 자동 조정에 영향을 끼치는 조정 스프링 등이 브레이크 슈와 일체로 이동되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브레이크 드럼과 브레이크 슈의 간격을 얻을 수 있다.
<3>슈 리턴 스프링의 설치 하중과 설치 위치의 설계만으로 브레이크 슈의 앵커 측의 먼저 열림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적용이 용이하다.
<4>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슈가 앵커에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드럼과 일체로 한 쪽 브레이크 슈가 회전해도 타격음을 내지 않고 운전자에게 불쾌감이나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5>앵커에 충격 하중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앵커 주위의 강도를 낮출 수있고 이에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6>슈 간격 자동 조정 장치에 인클리멘탈 형이나 원 숏형을 적용할 수 있고 또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포워드 형이나 크로스 풀형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다.

Claims (7)

  1. 백 플레이트 상에 한 쌍의 브레이크 슈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의 한 쪽 인접단 사이에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를 설치함과 함께 다른 쪽 인접단 사이에 앵커를 설치한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에 인접하여 양 브레이크 슈 사이에 슈 간격 조정 장치를 현수 설치하고,
    상기 앵커에 인접하여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를 설치하고,
    한 쪽 브레이크 슈의 중간부에 긴 막대 형상 링크의 중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링크의 한 쪽과 다른 쪽을 각각 상기 슈 간격 조정 장치와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하는 액튜에이터에 작동적으로 결합함과 함께, 서비스 브레이크시에서의 긴 막대 형상 링크가 상기 한 쪽 브레이크 슈와 일체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의 다른 쪽 끝단부를 상기 앵커에 가압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에 그 중간 피봇부를 지점으로 하는 한 쪽 브레이크 슈의 개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함과 함께, 한 쪽 브레이크 슈와의 사이에 회전을 규제하는 링크 회전 규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의 중간 피봇부를 지점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에 작용하는 개방 항력을 브레이크 슈의 한 쪽측보다 다른 쪽측이 크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의 중간 피봇부를 지점으로 하고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슈 리턴 스프링의 모멘트를 브레이크 슈의 한 쪽측보다 다른 쪽측이 크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 간격 조정 장치는 상기 양브레이크 슈의 개방량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자동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막대 형상 링크 또는 한 쪽 브레이크 슈의 중간부의 어느 것인가에 프레스로써 일체로 성형한 돌기를 설치하고 해당 돌기를 상기 어느 것이든 다른 쪽 부재에 관통하여 설치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
KR1019970051324A 1996-10-08 1997-10-07 드럼브레이크장치 KR100493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612396A JP3338946B2 (ja) 1996-10-08 1996-10-08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96-286123 1996-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96A true KR19980032596A (ko) 1998-07-25
KR100493582B1 KR100493582B1 (ko) 2005-09-06

Family

ID=177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324A KR100493582B1 (ko) 1996-10-08 1997-10-07 드럼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5976A (ko)
EP (1) EP0836028B1 (ko)
JP (1) JP3338946B2 (ko)
KR (1) KR100493582B1 (ko)
DE (1) DE6973066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8947B2 (ja) * 1996-10-08 2002-10-28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3341147B2 (ja) * 1997-10-13 2002-11-05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2000097268A (ja) * 1998-09-21 2000-04-04 Nisshinbo Ind Inc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3341155B2 (ja) * 1999-02-23 2002-11-05 日清紡績株式会社 デュアルモード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00344467B1 (ko) * 1999-09-30 2002-07-19 주식회사 만도 주차용 제동장치를 갖춘 드럼브레이크
KR20010059838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의 후륜 브레이크
JP4622105B2 (ja) * 2000-06-23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ドラムブレーキ装置
US6556876B1 (en) * 2000-10-12 2003-04-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ybrid fuzzy closed-loop sub-micron critical dimension control in wafer manufacturing
US20030089561A1 (en) * 2001-11-13 2003-05-15 Manuel Barbosa Dual leading-shoe drum brake
JP2003269498A (ja) * 2002-03-11 2003-09-25 Nisshinbo Ind Inc デュアルモードドラムブレーキ装置
EP2021649B1 (en) * 2006-06-01 2012-03-07 Automotive Products Italia (SV) S.r.l. Drum brakes
US8177018B2 (en) * 2009-09-30 2012-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over-speed energizing brake system
CN105102841A (zh) * 2013-04-03 2015-11-25 株式会社Tbk 鼓式制动器
CN103899684A (zh) * 2014-04-22 2014-07-02 重庆市璧山宏向汽配有限公司 适用于拉臂式制动器的间隙调节机构
CN103899687A (zh) * 2014-04-22 2014-07-02 重庆市璧山宏向汽配有限公司 带自调间隙功能的拉臂式制动器
CN103899686A (zh) * 2014-04-22 2014-07-02 重庆市璧山宏向汽配有限公司 自调间隙的拉臂式制动器
CN103899692A (zh) * 2014-04-22 2014-07-02 重庆市璧山宏向汽配有限公司 专用于拉臂式制动器的自调间隙组件
CN107588124B (zh) * 2016-07-06 2023-11-24 泰州市扬帆车件有限公司 一种低磨耗的涨闸
DE102021211064A1 (de) * 2020-10-16 2022-04-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isches Trommelbremsmodul umfassend eine integrierte Betriebsbremse und eine integrierte elektrische Feststellbrems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5266A (en) * 1969-07-28 1971-04-20 Ford Motor Co Self-adjusting parking brake
JPS5733233A (en) * 1980-07-31 1982-02-23 Toyota Motor Corp Parking brake mechanism in internal expanding hydraulic oil brake system
US4364456A (en) * 1981-04-13 1982-12-21 The Bendix Corporation Drum brake having duo mode
GB8620538D0 (en) * 1986-08-23 1986-10-01 Automotive Prod Plc Automatic adjuster for drum brake
US5042623A (en) * 1989-04-03 1991-08-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ined parking brake lever and adjuster in a drum brake
US5275260A (en) * 1989-09-18 1994-01-04 Kelsey-Hayes Company Dual mode drum brake assembly
US5070968A (en) * 1989-09-18 1991-12-10 Kelsey-Hayes Company Leading/trailing drum brake having servo parking brake
FR2697600B1 (fr) * 1992-10-30 1994-12-02 Bendix Europ Services Tech Frein à tambour à actionnement mécanique.
US5360086A (en) * 1993-12-07 1994-11-01 Alliedsignal Inc. Drum brake with cam operated parking brake lever
US5720367A (en) * 1995-08-23 1998-02-24 Kelsey-Hayes Company Parking and emergency brake operating mechanism for dual mode drum brake assemlby
JP3245768B2 (ja) * 1996-04-03 2002-01-15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3341143B2 (ja) * 1996-04-04 2002-11-05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3338947B2 (ja) * 1996-10-08 2002-10-28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10757A (ja) 1998-04-28
KR100493582B1 (ko) 2005-09-06
EP0836028A2 (en) 1998-04-15
DE69730665D1 (de) 2004-10-21
EP0836028B1 (en) 2004-09-15
JP3338946B2 (ja) 2002-10-28
DE69730665T2 (de) 2005-09-22
EP0836028A3 (en) 1999-01-13
US6125976A (en) 200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82B1 (ko) 드럼브레이크장치
KR100493583B1 (ko) 드럼브레이크장치
KR100538348B1 (ko) 드럼브레이크장치
KR0161269B1 (ko) 서보 주차브레이크를 갖는 리딩/트레일링 드럼 브레이크
KR100538349B1 (ko) 드럼 브레이크 장치
JP3341150B2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US5062504A (en) Drum brake assembly having parking brake actuator adjuster with automatic brake adjustment during the service braking mode of operation
EP1128082A2 (en) Drum brake device
EP0896167B1 (en) Drum Brake Device
US6568513B1 (en) Drum brake
US8490759B2 (en) Drum brakes
JP2003269498A (ja) デュアルモード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S628439Y2 (ko)
KR19990024043A (ko) 드럼 브레이크 장치
JP3553590B2 (ja) ドラム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JP3774036B2 (ja) デュオサーボ式ドラムブレーキ
JP2010144791A (ja) シュー間隙自動調整装置を備えた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H0734238U (ja) ドラムブレーキ用自動間隙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