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451A - 유체 변동 장치용 밸브식 방출기구 - Google Patents

유체 변동 장치용 밸브식 방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451A
KR19980032451A KR1019970050721A KR19970050721A KR19980032451A KR 19980032451 A KR19980032451 A KR 19980032451A KR 1019970050721 A KR1019970050721 A KR 1019970050721A KR 19970050721 A KR19970050721 A KR 19970050721A KR 19980032451 A KR19980032451 A KR 1998003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charge
elastic
resilient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이토
Original Assignee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구보 마사요시
Publication of KR1998003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04C29/128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of the elastic type, e.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8Silencing the silencing means being arranged inside the pump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16K15/161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with biasing means in addition to material resiliency, e.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16K15/16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with limit s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 Y10T137/7892With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흡입 챔버와 밸브판의 한측면상에 있는 압축 챔버와, 밸브판의 다른 측면상에 있는 방출 챔버와, 압축 챔버와 방출 챔버 사이에 연장하는 밸브판내에 형성되고 방출 유체가 흐르는 개방단부를 가지는 통로를 포함하는 유체 변동 장치내에 사용하기 적합한 방출 밸브 조립체이다. 방출 밸브 조립체는 밸브판상에 배치된 탄성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방출 밸브의 한 단부는 밸브판에 고정된다. 탄성 밸브 부재는 굽힘으로 통로를 개방 폐쇄할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탄성 밸브 부재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탄성 밸브 부재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써 자동차 공기 조절 시스템의 유체 변동 장치내의 밸브식 방출 기구는 방출 밸브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차량의 승객간에 불쾌한 소음의 전파를 감소하고 밸브 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변동 장치용 밸브식 방출 기구
본 발명은 자동 공기 조절 시스템내에 사용된 냉매 압축기의 유체 방출 기구용 밸브식 방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냉매 압축기용 밸브식 방출 기구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도 2는 반(Ban)등의 미국 특허 제 5,120,205 호에 기술한 바와 같은 냉매 압축기내에 사용된 방출 밸브 기구를 도시한다. 여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냉매 압축기는 냉매 기수의 흡입, 압축과 방출의 연속 행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압축 챔버를 형성하는 압축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압축기는 추가로 전방 단부판(11)과 상기 전방 단부판(11)의 후방면상에 배치된 컵모양 케이싱(12)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개구(111)는 구동축(17)을 넣기 위해서 전방 단부판(11)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컵모양 케이싱(12)의 개구부의 내벽면에는 환형 돌출부(112)의 외주면이 끼워져 있다. 컵모양 케이싱(12)은 다수의 볼트(도시 생략)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전방 단부판(11)의 후단부면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컵모양 케이싱(12)은 전방 단부판(11)에 의해 덮여있다. O-형 부재(14)는 환형 돌출부(112)의 외주면과 컵모양 케이싱(12)의 내벽면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방 단부판(11)과 컵모양 케이싱(12)의 표면들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한다.
전방 단부판(11)은 구동축(17)을 둘러싸기 위한 전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슬리브부(18)를 형성하여 축 밀봉 캐비티를 이룬다. 구동축(17)은 환형 슬리브부(18)의 전방 단부내에 배치된 베어링(16)을 통해 환형 슬리브(1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17)의 내단부에는 디스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부(21)는 전방 단부판(11)의 개구(111)내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22)을 통해서 전방 단부판(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환형 슬리브부(18)의 축 밀봉 캐비티내에 구동축(17)상에는 축 밀봉조립체(15)가 조립되어 있다. 환형 슬리브부(18)의 외면상에 지지판(221)에 의해 전자기 코일(23)이 고정되어 있으며, 전자기 코일은 풀리(20)의 환형 캐비티내에 수용되어 있다. 환형 슬리브부(18)로부터 연장하는 구동축(17)의 외단부에 의해 전자자 판(24)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로므로서, 풀리(20)와, 전자기 코일(23)과 전기자 판(24)을 포함하는 자기 클러치가 형성되어진다.
구동축(17)은 외부 동력, 예를 들어, 상술한 자기 클러치와 같은 힘 전동 수단을 통하는 자동차 엔진에 의해서 구동된다. 고정 스크롤 부재(26)와, 오비팅 스크롤 부재(27)와, 스크롤 부재(26)를 선회하는 크랭크형 구동 기구(25)와 스크롤 부재(27)를 선회하는 회전 방지 기구(28)는 컵모양 케이싱(12)의 내부 챔버내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부재(26)는 원형 단부판(261)과, 상기 원형 단부판(261)의 전방면상에 부착되고 여기서부터 연장하는 나선 요소(262)와, 원형 단부판(261)의 후단부면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내나사 보스(265)를 포함한다. 보스(265) 각각의 단부면은 컵모양 케이싱(12)의 단부판(121)의 내면상에 안치되고 볼트(29)에 의해 단부판(121)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부재(26)는 컵모양 케이싱(12)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부재(26)의 원형 단부판(261)은 원형 단부판의 외주면과 컵모양 케이싱(12)의 내벽면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밀봉링(42)에 의해 방출 챔버(36)와 흡입 챔버(41)로 컵모양 케이싱(12)의 내부 챔버를 분할한다. 오비팅(선회) 스크롤 부재(27)는 흡입 챔버(41)내에 배치되고 원형 단부판(271)과 원형 단부판(271)의 전방면에 고정되고 이로부터 연장하는 나선 요소(272)를 포함한다. 스크롤 부재(27)를 선회하는 나선 요소(272)와 고정 스크롤 부재(26)를 선회하는 나선 요소(262)는 환형이고 방사방향 오프셋으로 서로 맞추어진다. 그러므로서, 나선 요소(262)와 나선 요소(272)사이에 적어도 한 쌍의 유체 포켓이 형성되어진다. 오비팅 스크롤 부재(27)는 크랭크형 구동기구(25)와 구동축(17)의 회전에 의해서 오비탈 직경 RO(도시 생략)에 영향을 주는 회전 방지 기구(28)에 접속되어 있으므로서, 압축기를 통과하는 유체를 압축한다. 각 나선 요소(262, 272)에는 축선 단부면상에 형성된 홈(30)이 제공되어 있다. 홈(30)내에 밀봉 요소(301)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각 나선 요소(262, 272)의 축선 단부면과 각 대향 단부판의 표면사이의 밀봉은 밀봉 요소(301)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비팅 스크롤 부재(27)가 구동될 때, 나선 요소(262, 272)사이의 선 접촉은 나선 요소(262, 272)의 나선 커브진면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유체 포켓은 나선 요소(262, 272)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외부 유체 회로로부터 컵모양 케이싱(12)상의 입구 포트(52)를 통하여 흡입 챔버(41)로 들어온 유체 또는 냉매 가스는 나선 요소(262, 272)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포켓으로 빨려 들어간다. 오비팅 스크롤 부재(27)가 선회하면, 유체 포켓내의 유체는 나선 요소(262, 272)의 중심으로 이동하며 체적감소를 가져온다. 압축 유체는 나선 요소(262, 272)의 중심에 있는 유체 포켓으로부터 방출홀(263)을 통해서 방출 챔버(36)로 방출되며, 방출홀은 나선 요소(262)의 중심 가까운 위치에 있는 고정 스크롤 부재(26)의 원형 단부판(261)내에 형성되어 있다. 압축 유체는 컵모양 케이싱(12)상에 형성된 출구포트(53)를 통해서 방출 챔버(36)로부터 외부 유체 회로, 예를 들어, 냉각 회로로 방출된다.
압축 챔버(41)는 방출홀(263)을 통해서 방출 챔버(36)와 연통한다. 방출 밸브 조립체는 방출 리드 밸브(31)와 밸브 리테이너(32)를 포함하며, 이들 둘은 고정 볼트(51)에 의해 고정 스크롤(26)의 후방면(264)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 시트(264a)는 방출홀(264)둘레의 고정 스크롤(26)의 원형 단부판(261)의 후방면(264)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방출 리드 밸브(31)는 냉매 가스의 흐름을 규제하고 압축기가 작동중이지 않을 때 공기갭 없이 후방면(264)의 밸브 시트(264a)에 대향해 안치되어 있다.
밸브 리테이너(32)는 후방면(26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출 리드 밸브(31)의 굽힘 이동을 제한한다. 방출 리드 밸브(31)는 후방면(264)으로부터 멀어지게 굽혀져서, 방출홀(263)을 개방하고 압축 챔버(41)와 방출 챔버(36)사이의 연통 통로를 설정한다. 방출 리드 밸브(31)는 압축 챔버내의 압력이 예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방출홀(263)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허용하는 스프링 상수를 가진다. 특히, 나선 요소(26, 27)에 의해 발생된 압축 가스로 채워져 있는 압력 챔버(41)와 방출 챔버(36)사이의 압력차가 증가할 때, 방출 리드(31)는 후방면(264)으로부터 멀리 굽혀지고, 방출홀(263)을 청소하고 압축 챔버(41)로부터 방출 챔버(36)로의 압축 가스의 방출을 허용한다.
가스가 방출하면, 압력차가 감소하고, 방출 리드 밸브(31)가 직선으로 펴져서 방출홀(263)을 닫도록 허용하면서 방출 챔버(36)로부터 압축 챔버(41)까지 가스의 백흐름(backflow)을 방지한다. 방출 리드 밸브(31)는 굽힘과 직선폄을 반복해서 짧은 시간에 방출홀(263)을 개방 폐쇄한다.
방출 리드 밸브(31)의 탄성 모듈은 방출 리드 밸브(31)가 직선으로 펴질 때 밸브 시트(264a)를 타격한다. 이 타격은 압축기내의 추가의 진동과 소음을 발생한다. 추가로, 반복 타격은 방출 리드 밸브(31)의 피로를 야기한다.
또한 압축기의 작업은 방출 리드 밸브(31)의 진동을 야기한다. 이 진동은 다른 단점외에, 압축기의 작업동안 방출홀(263)을 통해서 펄스 유체 전달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출 밸브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차량의 승객간에 불쾌한 소음의 전파를 감소할 수 있는 밸브식 방출 기구를 가지는 자동차 공기 조절 시스템의 유체 변동 장치내에 사용하기 적합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출 리드 밸브의 수명을 연장하는 밸브식 방출 기구를 가지는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방출 밸브 조립체는 흡입 챔버와 밸브판의 한측면상에 있는 압축 챔버와, 밸브판의 다른 측면상에 있는 방출 챔버와, 압축 챔버와 방출 챔버사이에 연장하는 밸브판내에 형성되고 방출 유체가 흐르는 개방단부를 가지는 통로를 포함한다. 방출 밸브 조립체는 밸브판상에 배치된 탄성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방출 밸브의 한 단부는 밸브판에 고정된다. 탄성 밸브 부재는 굽힘으로 통로를 개방 폐쇄할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탄성 밸브 부재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탄성 밸브 부재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롤형 냉매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출 밸브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형 냉매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방출 밸브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중 방출 밸브 조립체의 상세
단면도.
도 6은 압력과 크랭크각에 관한 본 발명과 종래 기술사이의 여러 가지 크기의 맥동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출 밸브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출 밸브 조립체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출 밸브 조립체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방출 리드 밸브 32: 리테이너
36: 방출 챔버 41: 압축 챔버
61: 지지 리드부재 261: 원형 단부판
263: 방출홀 264: 후방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상술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유사한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요소의 상세한 설명과 특징들을 여기서 생략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방출 밸브 조립체는 리테이너(32)와 방출 리드 밸브(31)사이에 배치된 지지 리드부재(61)를 포함한다. 지지 리드부재(61)는 리테이너(32)와 방출 리드 밸브(31)와 함께 고정 볼트(51)에 의해 고정 스크롤(26)의 후방면(26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리드부재(61)의 한 표면은 방출 리드 밸브(31)의 한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 있으므로 지지 리드부재(61)는 방출 리드 밸브(31)와 함께 작용한다.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는 접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향해서 미끄러진다. 지지 리드부재(61)는 스틸과 같은 금속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방출 리드 밸브(31)의 것과 유사한 형상과 두께를 가진다.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 양자 모두의 재료, 형상과 두께는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스프링 상수가 적당한 값을 가지어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도록 선택되어진다.
도 5는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가 작동중에 최대의 개방 변동를 가질 때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가 에지 부분에서 d 만큼 어긋난 사항을 도시한다.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는 방출 리드 밸브(31)가 개방할 때 도 5내의 실선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방출 리드 밸브(31)가 폐쇄할 때 점선에 의해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더욱 간단히 말하면, 지지 리드부재(61)는 방출 리드 밸브(31)에 대해서 거리d 로 미끄러진다. 방출 밸브 조립체의 작동중에,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압축 챔버(41)와 방출 챔버(36)사이의 압력차가 증가할 때, 방출 리드 밸브(31)는 후방면(264)으로부터 멀리 굽혀져 방출홀(263)을 개방하고 압축챔버(41)에서 나온 방출 압력가스는 방출 챔버(36)로 들어간다. 방출되어진 냉매가스의 속도가 높으므로, 네가티브 압력이 지지 리드부재(61)와 방출 리드 밸브(31)의 후방면에 가해져 지지 리드부재(61)와 방출 리드 밸브(31)를 지지하고 방출홀(263)을 지지한다.
이 배열체에서, 냉매가스내에 포함되어 있는 윤활유는 방출 리드 밸브(31)의 한 단부면과 지지 리드부재(61)의 한 단부면사이에 만들어진 공간으로 들어간다.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미끄럼 또는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서 발생되어진 마찰력은 방출 리드 밸브(31)에 가해진 네가티브 압력과, 스프링력과 가스력에 대향해 방출 리드 밸브(31)의 이동을 완충한다. 그러므로, 이 완충력은 압축기의 작동동안 방출 리드 밸브(31)의 진동을 방지하고, 방출 리드 밸브(31)가 폐쇄될 때 원형 단부판(261)의 밸브시이트(264a)를 타격하지 못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방출 조립체의 본 형상은 압축기의 진동과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리드 밸브(31)내의 진동을 제거하면 압축기는 방출홀(263)을 통한 펄스 유체 운반을 방지한다. 추가로, 진동을 제거하면 또한 방출 리드 밸브 조립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선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내의 구동기구(25)내에 제공된 크랭크 핀(25a)의 회전각에 대한 방출 챔버내의 방출 압력의 관계를 도시한다. 점선B는 종래 기술의 크랭크 핀(25a)의 회전각에 대한 방출 챔버내의 방출 압력의 관계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방출 챔버(36)내의 방출압력은 종래 기술의 압축기의 밸브 조립체내에서 맥동을 일으킨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방출 리드 밸브(31)가 아무런 진동 없이 개방 폐쇄하므로 방출 압력은 본 발명의 방출 밸브내에서 맥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 스크롤(26)의 원형 단부판(261)은 방출홀(263)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고정 볼트(51)의 주변으로 연장하는 요홈부(261a)를 포함한다. 방출 리드 밸브 조립체는 방출 리드 밸브(31), 지지 리드부재(61)와 리테이너(32)를 포함한다. 이들 모두는 고정 볼트(51)에 의해 고정 스크롤(26)의 후방면(264)에 고정되어 있다. 방출 리드 밸브(31)는 방출홀(263)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131a)와, 고정 볼트(51)에 고정된 기저부(131c)와, 밀봉부(131a)와 기저부(131c)를 접속하는 중간부(131b)를 포함한다. 압축기가 작동중이지 않을 때, 밀봉부(131a)는 방출 리드 밸브(131)후방면(264)과 접촉한 상태로 방출홀(263)을 폐쇄한다.
방출 리드 밸브(131)의 중간부(131b)는 경사방식으로 밀봉부(131a)의 한 당부로부터 기저부(131c)로 연장한다. 밀봉부(131a)와 기저부(131c)는 오프셋되어 있고, 기저부(131c)는 고정 볼트(51)가 들어갈 홀을 포함한다.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는 원형 단부판(264)에 고정되어 있고 스페이서(5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재료, 형상과 두께는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스프링 상수가 적당한 값을 가지어 방출 리드 밸브(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상호작용을 보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 방출 리드 밸브(31)가 지지 리드부재(61)에 대해서 미끄러지고 이들이 서로 굽혀질 때 방출홀(263)을 개방 및 폐쇄한다. 이 배열에서, 방출 리드 밸브(131)가 방출홀(263)을 개방 폐쇄할 때 F를 지레점으로 해서 굽혀지며, 반면에 지지 리드부재(61)는 방출홀(263)을 개방 폐쇄할 때 E를 지레점으로 해서 굽혀진다. 그러므로, 방출 리드 밸브(131)가 종래 기술의 방출 리드 밸브(31)와 동일하게 굽혀진다면, 어긋난 거리d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해서 증가한다.
결국, 방출 리드 밸브(131)는 제 1 실시예의 방출 리드 밸브(31)보다 더 쉽게 지지 리드부재(61)상에서 미끄러진다. 방출 리드 밸브(131)와 지지 리드부재(61)의 미끄럼에 의해 또는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서 발생된 마찰력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더욱더 방출 리드 밸브(131)에 가해진 네가티브 압력과, 스프링력과 가스력에 대향해 방출 리드 밸브(31)의 이동을 완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방출 리드 밸브 조립체에서, 지지 리드부재(161)는 적합하게 자유단부에 형성된 집속부(161b)와 고정 볼트(51)에 의해 방출 리드 밸브(31)와 함께 원형 단부판(261)에 고정된 메인부(161a)를 포함한다. 지지 리드부재(161)의 집속부(161b)는 표면폭이 지지 리드부재(161)의 단부를 향해서 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방출 리드 밸브(131)와 지지 리드부재(161)가 서로 겹쳐져서 만들어진 겹침영역은 지지 리드부재(161)가 후방면(264)으로부터 멀리 굽혀질 때 증가한다. 그러므로, 지지 리드부재(61)가 방출 리드 밸브(31)에 가해진 네가티브 압력과, 스프링력과 가스력에 대향해 방출 리드 밸브(31)의 이동을 완충하는 완충력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특히, 지지 리드부재(161)의 완충력의 증가는 방출 리드 밸브(31)의 굽힘량에 비례해서 방출 리드 밸브(31)의 되감기 스프링력의 증가를 가져온다. 결국, 방출 리드 밸브(31)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을 완충하는 적당한 완충력을 가지는 지지 리드부재(161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지 리드부재(61)는 적합하게 이들의 한 단부면상에 형성된 거친면(62)을 포함한다. 거친면(62)은 방출 리드 밸브(31)의 한 단부면과 직면한다. 한 실시예에서, 방출 리드 밸브(31)는 한 단부면상에 형성된 거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출 리드 밸브(31)의 한 단부면과 지지 리드부재(61)의 한 단부면의 미끄럼에 의해 발생되고 함유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마찰력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증가한다. 특히, 방출홀(263)을 폐쇄하도록, 방출 리드 밸브(31)에 가해진 네가티브 압력과, 스프링력과 가스력에 의해 발생된 방출 리드 밸브(31)의 이동을 완충함으로서 지지 리드부재(61)에 제공된 완충력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증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방출 리드 밸브(31)의 이동을 완충하기 위한 적당한 완충력을 가지는 지지 리드부재(61)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을 실현하므로 이 실시예에 대한 장점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과 개량을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호한 실시예는 유체 변동 장치, 즉, 스크롤형 압축기의 특정 형태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경사판 또는 요동 판형 유체 변동 장치와 같은 여러 형태의 유체 변동 장치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 공기 조절 시스템의 유체 변동 장치내에 사용하기 적합한 밸브 조립체의 밸브식 방출 기구는 방출 밸브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차량의 승객간에 불쾌한 소음의 전파를 감소할 수 있고, 방출 리드 밸브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13)

  1. 흡입 챔버와 밸브판의 한측면상에 있는 압축 챔버와, 상기 밸브판의 반대측면상에 있는 방출 챔버와, 상기 압축 챔버와 방출 챔버사이에 연장하는 밸브판내에 형성되고 방출 유체가 상기 조립체를 통해서 흐르는 개방단부를 가지는 통로를 포함하는 유체 변동 장치내에 사용하기 적합한 방출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상에 배치되고 한 단부가 밸브판에 고정되고, 굽힘으로 상기 통로를 개방 폐쇄할 수 있는 탄성 밸브 부재와,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탄성 밸브 부재상에 배치되어 있는 안정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수단은 한 단부가 상기 밸브판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밸브 부재와 함께 굽힘가능한 탄성 리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작동중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한 표면을 겹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탄성 리드 부재가 상기 탄성 밸브 부재와 겹쳐지는 영역이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변하도록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의 상기 형상은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자유 단부를 보다 좁게 접근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두께와 다른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형상과, 재료와 두께와 동일한 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판에 고정되어 있는 장소와 다른 한 단부에서 상기 밸브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판에 고정되어 있는 동일한 장소와 단부에서 상기 밸브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드 부재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와 접촉한 상태의 단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면은 거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브 부재는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단부면은 상기 탄성 리드 부재와 접촉하고 거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리드 밸브 조립체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의 굽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밸브판에 고정된 밸브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
KR1019970050721A 1996-10-01 1997-10-01 유체 변동 장치용 밸브식 방출기구 KR19980032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260463 1996-10-01
JP8260463A JPH10103243A (ja) 1996-10-01 1996-10-01 圧縮機の弁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51A true KR19980032451A (ko) 1998-07-25

Family

ID=1734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721A KR19980032451A (ko) 1996-10-01 1997-10-01 유체 변동 장치용 밸브식 방출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6786A (ko)
EP (1) EP0834654B1 (ko)
JP (1) JPH10103243A (ko)
KR (1) KR19980032451A (ko)
DE (1) DE6970626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0098A1 (de) * 1998-09-03 2000-03-09 Asea Brown Bover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ubentlastung eines Turboladers
WO2002061287A1 (de) * 2001-01-31 2002-08-08 Luk Automobiltechnik & Co. Kg Rückschlagventil
JP2002285965A (ja) 2001-03-27 2002-10-03 Sanden Corp 往復動圧縮機
KR100430281B1 (ko) * 2001-05-1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플레이트 구조.
KR20030051083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 밸브장치
US7063520B2 (en) * 2002-05-06 2006-06-20 Lg Electronics Inc. Suction valve assembly of reciprocating compressor
ATE359468T1 (de) * 2002-12-13 2007-05-15 Continental Ag Auslassventil für kompressor
JP2005140017A (ja) * 2003-11-06 2005-06-02 Sanden Corp 圧縮機
US20050249620A1 (en) * 2004-05-05 2005-11-10 Agrawal Nityanand J Discharge valve with dampening
JP4774834B2 (ja) * 2005-07-04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媒圧縮機
JP5072719B2 (ja) * 2008-06-05 2012-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DE102008035990B4 (de) * 2008-08-01 2012-01-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in Mikroventil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5421732B2 (ja) * 2009-10-30 2014-02-1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408057B1 (ko) * 2010-01-28 2014-06-1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
BRPI1005068A2 (pt) * 2010-12-30 2013-04-16 Whirlpool Sa compressor para refrigeraÇço e sistema de vÁlvulas para compressor
BR102014002144A2 (pt) 2014-01-28 2015-10-27 Whirlpool Sa arranjo de válvula e batente para compressor alternativo
DE202014009180U1 (de) 2014-11-14 2015-01-14 Technische Universität Ilmenau Druckgradientengesteuertes Lamellenventil mit einstellbarer Steifigkeit
JP2021165558A (ja) * 2020-04-06 2021-10-14 株式会社ミクニ リードバルブ
DE102021105373A1 (de) * 2021-03-05 2022-09-08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Filterelementanordnung und Filtersystem mit einer Filterelementanordn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165U (ja) * 1981-10-31 1983-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弁装置
JPS608577A (ja) * 1983-06-29 1985-01-17 Hitachi Ltd 圧縮機用吐出弁構造
JPS6278377U (ko) * 1985-11-01 1987-05-19
JPH01113166U (ko) * 1988-01-25 1989-07-31
JPH01144480U (ko) * 1988-03-28 1989-10-04
JPH0287981U (ko) * 1988-12-23 1990-07-12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791A (en) * 1874-12-15 Improvement in compound valves
US36863A (en) * 1862-11-04 William sewell
US939549A (en) * 1909-06-03 1909-11-09 Frederick C Reineking Reed air-intake regulator for carbureters.
US1375555A (en) * 1920-01-08 1921-04-19 William C Harvey Automatic fluid-regulating device
US1614124A (en) * 1926-08-07 1927-01-11 Ingersoll Rand Co Gas-compressor valve
US2118356A (en) * 1935-03-07 1938-05-24 Crosiey Radio Corp One-way valve
US2151746A (en) * 1936-07-14 1939-03-28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mpressor valve structure
DE678570C (de) * 1937-09-11 1939-07-18 Frankfurter Maschb Akt Ges Vor Selbsttaetiges Ventil mit federnden Ventilzungen
US2160401A (en) * 1937-11-11 1939-05-30 Dresser Mfg Company Valve mechanism for compressors
GB650642A (en) * 1948-09-29 1951-02-28 Refrigerator Units Ltd Improvements in reed valves of compressors
NL108432C (ko) * 1959-03-23 1900-01-01
US4218407A (en) * 1970-04-07 1980-08-19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Valved or progressively opening sparger with rigid upper seat
SE355642B (ko) * 1971-08-02 1973-04-30 Stal Refrigeration Ab
JPS5271732A (en) * 1975-12-12 1977-06-15 Tokico Ltd Valve device
JPS6037499Y2 (ja) * 1977-03-16 1985-11-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ドバルブ
US4235206A (en) * 1978-12-14 1980-11-25 Performance Industries, Inc. Two 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145231U (ja) * 1984-03-09 1985-09-26 株式会社 共立 リ−ドバルブ
JPS6165973A (ja) * 1984-09-06 1986-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の冷媒吐出弁装置
US4696263A (en) * 1985-07-12 1987-09-29 Performance Industries, Inc. Reed valv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120205A (en) 1990-01-11 1992-06-0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croll type compressor with improved bearing arrangement for drive shaft
US5203686A (en) * 1991-11-04 1993-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mpressor with span type discharge valve
JPH06101644A (ja) * 1992-09-21 1994-04-12 Sanden Corp 気体圧縮機の吐出弁
JPH06147042A (ja) * 1992-11-16 1994-05-27 Sanshin Ind Co Ltd 2サイクルエンジン
JPH08193575A (ja) * 1995-01-13 1996-07-30 Sanden Corp 弁板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165U (ja) * 1981-10-31 1983-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弁装置
JPS608577A (ja) * 1983-06-29 1985-01-17 Hitachi Ltd 圧縮機用吐出弁構造
JPS6278377U (ko) * 1985-11-01 1987-05-19
JPH01113166U (ko) * 1988-01-25 1989-07-31
JPH01144480U (ko) * 1988-03-28 1989-10-04
JPH0287981U (ko) * 1988-12-23 1990-07-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4654B1 (en) 2001-08-22
DE69706261T2 (de) 2002-05-02
DE69706261D1 (de) 2001-09-27
JPH10103243A (ja) 1998-04-21
US6006786A (en) 1999-12-28
EP0834654A1 (en) 199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451A (ko) 유체 변동 장치용 밸브식 방출기구
US5380176A (en) Valved discharge mechanism in a refrigerant compressor
KR100360953B1 (ko) 냉매압축기의밸브형배출장치
KR930004665B1 (ko) 배기량 제어기구를 가진 스크롤형 압축기
US5681155A (en) Scroll type compressor having an elastic body in the driven crank mechanism
KR100309758B1 (ko) 압력 맥동 경감형 압축기
JP2006300051A (ja) スクロール式圧縮機用の吐出弁
EP0717191A2 (en) Valved discharge mechanism of a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JP2000104684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CA2218971C (en) Compressor ball valve
EP1491769B1 (en) A device having a pulsation reducing structure and a passage forming body
US5213488A (en) Valved discharge mechanism of a refrigerant compressor
US5451148A (en) Check valve device for scroll compressor
US5249939A (en) Valved discharge mechanism of a refrigerant compressor
JPH08303365A (ja) スクロール気体圧縮機
US6183215B1 (en) Electric motor driven compressor
EP1808602A1 (en) Muffl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compressor
US5362218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counterweight
JP412178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055076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
KR102524602B1 (ko) 가변식 압축기용 체크 밸브
KR017691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헤드커버 마멸방지장치
JP3783720B2 (ja) 圧縮機
KR20190114531A (ko) 압축기
KR20240064308A (ko)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