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108A - 비디오 계수들의 양방향 스캐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계수들의 양방향 스캐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108A
KR19980032108A KR1019970016973A KR19970016973A KR19980032108A KR 19980032108 A KR19980032108 A KR 19980032108A KR 1019970016973 A KR1019970016973 A KR 1019970016973A KR 19970016973 A KR19970016973 A KR 19970016973A KR 19980032108 A KR19980032108 A KR 19980032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ignal
signal
address
coding
buff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8268B1 (ko
Inventor
손재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8003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양방향 이산 코사인 변환(DCT) 계수 스캐닝 장치는 버퍼 메모리, DCT계수 스캔 순서에 따라 제 1 어드레스 신호를 제 2 어드레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를 토대로한 어드레스 발생기, 버퍼 메모리를 위한 신호로서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 또는 제 3 어드레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부, 및 코딩 또는 디코딩 동안 상기 버퍼 메모리에 기입되도록 양자화된 DCT계수 도는 디코드된 DCT계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부를 포함한다. 코딩 동안, 양자화부로부터의 양자화된 DCT계수들은 상기 제 3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된 버퍼 메모리의 위치들에 기입되고, 제 2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된 버퍼 메모리의 위치들로부터 런랭쓰 및 레벨 코딩부로 독출된다. 디코딩 동안, 런랭쓰 및 레벨 디코딩부로부터 디코된 DCT계수들이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된 버퍼 메모리의 위치들에 기입되고, 상기 제 3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된 버퍼 메모리의 위치들로부터 역양자화부로 독출된다.

Description

비디오 계수들의 양방향 스캐닝 장치 및 방법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T계수 스캐닝 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엠팩-2 타입 DCT계수 스캔시 지그재그 스캔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 은 엠팩-2 타입 DCT계수 스캔시 교대의 스캔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룩업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발명의상세한설명]
[발명의목적]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본 발명은 다중처리순서들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차원 데이터의 양방향 스캐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 스탠다드 비디오 코덱에서 이산 코사인 변환(DCT) 계수의 스캐닝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JPEG, MPEG-1, MPEG-2, H.261 및 H.263과 같은 비디오 표준들은 지그재그순으로 DCT계수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코딩은 라스터 스캔순서로 DCT계수의 2차원 배열을 발생하고 양자화할 수 있으나 런랭쓰 및 래벨코딩(RLC)에 대해서 지그재그 순서로 DCT계수들을 취한다. 지그재그 순서는 충분히 압축될 수 있는 보다 긴 런(run)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런랭쓰 코딩은 지그재그 순서를 사용한다.
따라서, 인코딩 및 디코딩 동안 DCT계수를 정리(reoder)하기 위한 스캐닝처리가 DCT계수의 양자화 또는 역양자화와 런랭쓰 코딩 또는 디코딩 사이에 흔히 수행된다.
지그재그 순서대신, MPEG-2 표준은 선택적으로 교대(Alternate)의 스캐닝 순서를 고용한다. 그 교대의 스캐닝 순서는 특히, 인터레이스트(Interlaced)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데 강력하다. 왜냐하면 교대의 스캐닝 순서가 비디오신호의 인터레이스트 성분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비디오 표준에 따른 데이터 압축과 신장을 위한 비디오 코덱(Codec)에 있어서, 순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계수배열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이 필요하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스탠다드 비디오 코덱에 있어서, 양ㅇ향 DCT계수 스캐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고, 모든 비디오 압축과 신장에 채택되는 DCT계수의 스캔 변환을 위한 로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양방향 코사인 변환(DCT) 계수 스캐닝 장치는 버퍼 메모리;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제 1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고 룩업 테이블로부터 DCT계수에 대한 바람직한 스캔순서에 의존하는 제 2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기; 및 전형적으로 라스터 스캔순서에 의존하는 제 2 어드레스 신호 또는 제 3 어드레스신호를 상기 버퍼 메모리를 위한 어드레스신호로서 선택하는 제 1 선택부를 포함한다. 코딩동안, 양자화부로부터 양자화된 DCT계수는 상기 제 3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버퍼 메모리의 위치들에 기입되고, 상기 제 2 어드레스신호에 의해서 런랭쓰 및 레벨코딩부로 독출한다. 디코딩동안, 런랭스 레벨과 레벨 디코딩부로부터 디코드된 DCT계수가 상기 제 2 어드레스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버퍼 메모리의 위치들에 기입되고, 상기 제 3 어드레스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버퍼 메모리의 위치로부터 역양자부로 독출된다. 제 2 선택수단은 코딩동안 양자화부로부터 기입된 양자화된 데이터 또는 디코딩동안 디코딩부로부터 기입된 디코드된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양방향 이산 코사인 변환(DCT)계수 스캐닝 방법은 코딩/디코딩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DCT계수 스캔순서에 따라 상기 코딩/디코딩부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양방향 스캐닝을 허용한다. 코딩방향에 대해서, 상기 방법은 라스터 스캔 순서로 양자화된 DCT계수들을 버퍼 메모리에 기입하고, 상기 변환된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규정된 것과 같은 스캔 순서로 상기 버퍼 메모리로부터 상기 DCT계수들을 독출하여 상기 코딩부로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코딩에 대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변환된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규정된 위치들에 디코드된 DCT계수들을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버퍼 메모리로 기입하고 역양자화를 위해서 DCT계수들을 버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덱의 양자화 및 역양자화부는 어드레스 신호들이 DCT계수들의 이차원 배열인 로우 및 칼럼을 나타내는 임의의 순서에 있어서, 순차적인 어드레스 또는 교대적인 어드레스 신호와 동일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의구성및작용]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탠다드 비디오 코덱에 대한 DCT계수 스캐닝 장치(100)를 나타낸다.
스캐닝 장치(100)는 어드레스 발생기(10), 제 1 및 제 2 선택부(20,30), 버퍼 메모리(40)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발생기(10)는 제 1 어드레스 신호(RLC-adr)를 수신하고, DCT계수 스캔 순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신호(RLC-adr)와 룩업 테이블로부터 제 2 어드레스 신호(ZZ-adr)를 발생한다.
선택부(20)는 제 1 제어신호(mux-sel0)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신호(ZZ-adr) 또는 제 3 어드레스 신호(QNT-adr)를 선택한다. 제 3 어드레스 신호(QNT-adr)는 DCT계수들을 양자화 또는 역양자화할 때 사용되는 순서(전형적으로 라스터 스캔 순서)에 의존한다.
독출제어신호(buf-oe)가 요구될 때, 버퍼 메모리(40)는 선택부(20)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서 식별되는 위치에 있는 버퍼 메모리(40)의 DCT계수를 대표하는 데이터 신호(RLC-di) 또는 데이터 신호(QNT-di)를 발생한다.
선택부(30)는 제 2 제어신호(mux-sel1)에 응답하여 코딩을 위한 양자화된 DCT계수를 대표하는 데이터 신호(QNT-do) 또는 역양자화를 위한 디코드된 DCT계수를 대표하는 데이터신호(RLC-do)를 선택한다.
기입제어신호(buf-we)가 요구될 때, 선택부(30)는 선택회로(20)로부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버퍼 메모리(40)의 위치에 기입된 데이터신호를 선택하고, 코딩부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RLC-di)가 어드레스 신호(ZZ-adr)에 의해 지시되는 어드레스로부터 독출된다.
디코딩 모드에서, 디코딩부로부터의 데이터신호(RLC-do)가 어드레스 신호(ZZ-adr)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기입하기 위해서 선택되고, 양자화부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QNT-di)가 어드레스 신호(QNT-adr)에 의해 지시되는 어드레스로부터 독출된다.
어드레스 발생기(10)는 어드레스 신호(RLC-adr)로부터 신호(ZZ-adr)를 발생할 때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각 룩업 테이블은 DCT계수가 코우드화된 위치를 차례로 지시하는 값으로 DCT계수가 양자화되는 위치를 차례로 지시하는 값의 맵을 만든다.
엠팩-2와 같은 다소의 표준들을 위해 다른 스캔 순서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신호(ALT-scan)는 특별한 스캔을 위해서 적절한 룩업 테이블을 선택한다. 만약 스캔제어신호(ALT-scan)가 0상태에 있다면 상기 룩업 테이블은 도 2 에 도시된 지그재그 스캔 순서에 해당되는 변환을 제공하고, 반면 제어신호(ALT-scan)가 1상태에 있다면 상기 룩업 테이블은 도 3 에 도시된 교대의 스캔 순서에 해당되는 변환을 제공한다.
도 4 는 어드레스 발생기(10)가 6비트 어드레스 신호(RLC-adr)와 신호(ALT-scan)로부터 발생되는 모범적인 신호(ZZ-adr)의 6비트 값들을 나타낸다.
입력신호들(RLC-adr, ALT-scan)과 더블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된 출력신호(ZZ-adr)를 갖는 룩업 테이블은 예를들어, 리드 온리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ry),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입출력 신호들간의 요구되는 응답을 가지는 조합로직(Conbinational Logic)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가 사용되는 곳에 신호들(RLC-adr, ALT-scan)은 신호(ZZ-adr)의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저장위치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룩업 테이블들 은 또한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한 로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부(20)는 6비트 제어신호(mux-sel0)에 응답하는 멀티플랙서를 포함하고, 어드레스 발생기(10)로부터의 6비트 스캔 어드레스 신호(ZZ-adr) 또는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6비트 어드레스 신호(QNT-adr)를 선택한다. 선택부(30)는 제어신호(mux-sel1)에 응답하는 n비트 멀태플렉서를 포함하고,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n비트 데이터 신호(QNT-do) 또는 RLC과정에서 발생되는 n비트 데이터 신호(RLC-do)를 선택한다.
참조숫자 n은 비디오 코덱에서 수행된 압축표준으로서 양자화된 DCT계수를 대표하기 위해 사용된 최대 비트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양자화부 또는 역양자화부는 어드레스 신호(QNT-adr)에 의해 식별된 DCT계수의 양자화 또는 역양자화를 수행한다. 또한, 런랭쓰 및 레벨 코딩 또는 디코딩부는 어드레스 신호(RLC-adr)에 따라 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버퍼 메모리(40)는 8×8배열의 n비트 DCT계수들을 저장하는 64×n 비트 버퍼 메모리를 구비한다.
8×8배열의 각 DCT계수는 DCT계수들이 라스터 스캔 순서에 해당되는 위치의 버퍼 메모리(40)에 저장된다. 기입된 n비트 데이터를 독출은 양자화 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신호(QNT-di) 또는 RLC처리시 데이터 입력신호(RLC-di)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멀티 스탠다드 비디오 코덱에 있어서, 순방향 역방향 스캐닝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코딩모드에 있어서, 양자화부는 8×8배열의 DCT계수를 양자화하고 상기 DCT계수를 n비트 데이터 신호(QNT-do)로서 스캐닝장치(100)에 전송한다. 상기 DCT계수는 전형적으로 라스터 스캔 순서로 양자화되어 전송되지만(즉, 8×8배열의 상단 로우인 제 1 로우, 다음으로 제 2 , 제 3 , 제 4 ,제 5 ,제 6 , 제 7, 제 8로우 순서) 교대적으로 임의의 순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드레스 신호(QNT-adr)는 신호(QNT-do)에 의해 대표되는 DCT계수를 포함하는 3개의 최상위 비트들이 8×8배열의 로우를 나타내고 3개의 최하위 비트들이 데이터 신호(QNT-do)에 의해서 대표되는 DCT계수를 포함하는 칼럼을 나타내는 포맷을 가진다. 라스터 스캔 순서의 전송에 대해서 어드레스 신호(QNT-adr)는 000000b부터 111111b까지 순차적으로 증가된다. 만약 DCT계수가 한 컬럼씩 순서대로 전송된다면 어드레스 신호(QNT-adr)의 3개의 최상위 비트들은 3개의 최상위 비트가 증가되는 각 시간전에 000b부터 111b까지 증가된다. 만약 DCT계수가 다른 순서로 전송된다면 그에 알맞게 어드레스 신호(QNT-adr)가 변화되어야 한다.
선택부(20)는 어드레스 신호(QNT-adr)를 선택하고, 선택부(30)는 데이터 신호(QNT-do)를 선택한다. 양자화된 데이터 신호(QNT-do)가 버퍼 메모리(40)에서 어드레스 신호(QNT-adr)에 의해 지시되는 저장 위치에 기입되도록 기입제어신호(buf-we)가 버퍼 메모리(40)에 요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퍼(40)는 8×8배열에 해당되는 64개의 DCT계수들로 채워진다.
그 후에 RLC부는 어드레스 신호(RLC-adr)를 어드레스 발생기(10)에 적용한다. 신호(RLC-adr)에 의해 대표되는 어드레스는 버퍼(40)로부터 독출된 각각의 양자화된 값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증가된다. 어드레스 발생기(10)는 제어신호(ALT-scan)에 의해 선택된 스캐닝형에 따라 신호(RLC-adr)를 신호(ZZ-adr)로 변환한다. 만약 제어신호(ALT-scan)이 0이라면 도 2 의 지그재그 스캔순서에 해당되는 도 4 의 룩업 테이블 (a)가 선택되고, 반면 신호(ALT-scan)이 1이라면 도 3 의 교대의 스캔 순서에 해당되는 도 4 의 룩업 테이블(b)이 선택된다.
어드레스 발생기(10)는 어드레스 신호(RLC-adr)를 선택된 룩업 테이블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로 대체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신호(ZZ-adr)를 발생시킨다. 선택부(20)는 버터 메모리(40)에 전송되도록 어드레스 신호(ZZ-adr)를 선택한다. 따라서, 독출제어신호(buf-oe)가 요구될 때 버퍼 메모리(40)에서 어드레스 신호(ZZ-adr)에 의해서 식별되는 저장위치에 있는 DCT계수가 데이터 신호(RLC-di)로서 코딩부에 독출된다. 도 2 또는 도 3 에 의해 규정되는 지그재그 스캔 순서는 데이터가 독출되어 인코드되는 순서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디코딩 모드에 있어서, 데이터는 라스터 스캔 순서로 버퍼 메모리(40)에 기입되고, 결정된 스캔 순서 예를들어 런랭쓰 및 레벨 코딩부에 대해서 지그재그 순서로 또는 교대의 스캔 순서로 독출된다.
디코딩 모드에 있어서, 런랭쓰 및 레벨 코딩부는 입력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DCT계수들을 디코드하고 디크드된 값을 나타내기 위해서 데이터 신호(RLC-do)를 설정한다. 신호(RLC-adr)에 의해서 대표되는 관련된 값은 버퍼 메모리(40)에서 또 다른 양자화된 DCT계수들을 기입하기 위해서 신호(RLC-do)가 바뀔 때마다 증가한다. DCT계수들은 지그재그 스캔 순서로 또는 교대의 스캔 순서로 디코드된다. 어드레스 발생기(10)는 신호(RLC-adr)를 버퍼 메모리(40)에 디코드된 DCT계수를 저장하기 위한 위치를 대표하는 신호(ZZ-adr)로 변환한다. 교대의 스캔제어신호(ALT-scan)는 런랭쓰 및 레벨 코딩에 사용된 스캔 순서에 따라 설정된다. 도 4 의 룩업 데이블 '(a)'는 도 2 의 지그재그 스캔 순서에 해당하고 교대의 스캔제어신호(ALT-scan)가 0상태에 있을 때 선택된다. 도 4 의 룩업 테이블 '(b)'는 도 3 의 교대의 스캔 순서에 해당하고, 교대의 스캔제어신호(ALT-scan)가 1상태에 있을 때 선택된다. 어드레스 발생기(10)는 디코딩부로부터의 신호(RLC-adr)에 의해 지시되는 어드레스를 선택된 룩업 테이블과 관련된 어드레스로 대체함으로서, 제 2 어드레스 신호(ZZ-adr)를 발생한다. 선택부(20)는 기입동작동안 어드레스 신호(ZZ-adr)를 선택하여 버퍼 메모리(40)에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선택부(30)는 데이터 신호(RLC-do)를 선택하여 버퍼 메모리(40)에 전송한다. 기입제어신호(bef-we)가 요구될 때 디코딩부로부터의 데이터 신호(RLC-do)는 버퍼 메모리(40)에 기입된다. 그러므로, 디코드된 DCT계수들은 도 2 또는 도 3 의 스캔 순서로 기입되지만 이차원배열의 위치에 따른 위치들에 저장된다. 그 후에 버퍼 메모리(40)로부터 디코드된 DCT계수들을 독출하기 위해서 선택부(20)는 신호(buf-oe)가 요구될 때 어드레스 신호(QNT-adr)를 선택한다. 버퍼 메모리(40)에 저장된 DCT계수가 독출된고 데이터 신호(QNT-di)로서 라스터 스캔 순서로 역양자화부에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디코딩 모드에 있어서, 지그재그 순서나 교대의 스캔 순서로 디코드된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40)에 기입된 다음 라스터 스캔 순서로 독출되고 역양자화 된다.
순방향 및 역방향 스캐닝 장치(100)는 어드레스 발생기(10)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적절한 스캔 순서들을 채택할 수 있으므로 스캐닝 장치(100)가 JPEG, MPEG-1, MPEG-2, H.261 및 H.263을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 압축 및 신장 표준에 채택될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제공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스캐닝 장치(100)는 코딩과 디코딩 양자를 위한 어드레스 변환을 사용하여 양방향(코딩 및 디코딩) 스캐닝을 허용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4)

  1. 제 1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고 스캔 순서를 규정하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제 2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수단;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와 제 3 어드레스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수단;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신호와 제 2 데이터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된 저장 위치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된 저장 위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 신호 및 제 1 데이터 신호는 런랭쓰 및 레벨 코딩/디코딩 동작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는 양자화/역양자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순서가 지그재그 순서 및 교대의 스캔 순서중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하나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어드레스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대한 어드레스로 인가되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및 조합로직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한 칼럼씩 순서대로 독출하거나 기입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장치.
  8. 코딩/디코딩부에 의해 사용되는 스캔 순서에 따라 코딩/디코딩부의 제 1 어드레스 신호를 제 2 어드레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코딩/디코딩부의 DCT계수들을 버퍼 메모리에 기입하는 단계; 및 DCT계수들을 버퍼 메모리로부터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입단계는 코딩 동안 양자화부로부터의 DCT계수들이 양자화부의 제 3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버퍼 메모리의 저장위치에 기입되고, 디코딩 동안 코딩/디코딩부로부터의 DCT계수들이 제 2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버퍼 메모리의 저장위치들에 기입되고,
    상기 독출단계는 코딩동안 상기 DCT계수가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되는 저장위치들로부터 독출되어 코딩/디코딩부로 이송되고, 디코딩 동안 상기 DCT계수가 상기 제 3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식별된 저장위치들로부터 독출되어 양자화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 신호는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제 1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어드레스신호는 상기 스캔 순서에 따라 바뀌는 제 2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는 양방향 스캐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어드레스 신호는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제 3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제 1 어드레스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ㅇ향 스캐닝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디코딩부는 코딩 동안 DCT계수들이 독출되는 순서로 상기 DCT계수들에 대해 런랭쓰 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디코딩동안 상기 코딩/디코딩부는 버퍼 메모리에 기입된 DCT계수들을 발생하기 위해 비트 스트림에 대해 런랭쓰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부는 코딩동안 상기 DCT계수들을 양자화하고 디코딩동안 상기 DCT계수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캐닝 방법.
KR1019970016973A 1996-10-28 1997-05-02 비디오 계수들의 양방향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0218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38,567 US5959872A (en) 1996-10-28 1996-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scanning of video coefficients
US8/738,567 1996-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08A true KR19980032108A (ko) 1998-07-25
KR100218268B1 KR100218268B1 (ko) 1999-09-01

Family

ID=2496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973A KR100218268B1 (ko) 1996-10-28 1997-05-02 비디오 계수들의 양방향 스캐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59872A (ko)
JP (1) JP3816204B2 (ko)
KR (1) KR100218268B1 (ko)
CN (1) CN1122418C (ko)
DE (1) DE19738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5539A1 (de) * 1999-04-23 2000-1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rechnergestützten auslesen bzw. speichern von transformationskoeffizienten sowie computerprogramm-erzeugnisse und computerlesbare speichermedien
AU2002214922A1 (en) * 2000-08-31 2002-04-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es of 8psk modulation
CN1496608A (zh) * 2001-06-06 2004-05-12 ������������ʽ���� 解码装置、解码方法、查找表以及解码程序
FR2831016A1 (fr) * 2001-10-11 2003-04-18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codage de donnees video codees selon la norme mpeg
US7042942B2 (en) * 2001-12-21 2006-05-09 Intel Corporation Zigzag in-order for image/video encoder and decoder
US6985529B1 (en) * 2002-01-07 2006-01-10 Apple Computer, Inc. Generation and use of masks in MPEG video encoding to indicate non-zero entries in transformed macroblocks
US7145952B1 (en) 2002-01-07 2006-12-05 Apple Computer, Inc. Dynamic selection of field/frame-based MPEG video encoding
TWI231101B (en) * 2004-04-21 2005-04-11 Faraday Tech Corp Method and processing circuit of the data encoder
US20060227865A1 (en) * 2005-03-29 2006-10-12 Bhaskar Sherigar Unified architecture for inverse scanning for plurality of scanning scheme
KR20120009618A (ko) * 2010-07-19 2012-0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파수변환단위 분할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2447895B (zh) 2010-09-30 2013-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扫描方法及装置、反扫描方法及装置
US8954017B2 (en) * 2011-08-17 2015-02-10 Broadcom Corporation Clock signal multiplication to reduce noise coupled onto a transmission communication signal of a communication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811A (en) * 1987-07-09 1994-12-0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Data encoding
FR2627926A1 (fr) * 1988-02-29 1989-09-01 Labo Electronique Physique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 de signaux video numeriques, et dispositif de decodage correspondant
DE68906259T2 (de) * 1989-05-12 1993-12-09 Rai Radiotelevisione Italiana Gerät zur Diskret-Kosinus-Transform-Kodierung digitaler Videosignale.
US5530478A (en) * 1991-08-21 1996-06-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ata compressing apparatus
US5666461A (en) * 1992-06-29 1997-09-09 Sony Corporation High efficiency encoding and decoding of picture signals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36368A (ja) 1998-05-22
US5959872A (en) 1999-09-28
CN1182332A (zh) 1998-05-20
CN1122418C (zh) 2003-09-24
KR100218268B1 (ko) 1999-09-01
JP3816204B2 (ja) 2006-08-30
DE19738917A1 (de)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5512B1 (en)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697967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18268B1 (ko) 비디오 계수들의 양방향 스캐닝 장치 및 방법
US583883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zing image data and quantization errors using single quantizing unit and pluralities of quantization tables
KR100683380B1 (ko) 영상 압축 부호화를 위한 변환 및 역변환 방법 및 장치
KR20010078393A (ko) 스케일 가능한 코딩방법
TW535412B (en) Progressive JPEG deco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S62188565A (ja) 画像デ−タ量子化方法および装置
JP2839389B2 (ja) 逆量子化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復元装置
US20090245672A1 (en) Entropy encoding circuit and encoding method thereof
JPH0779415B2 (ja) 圧縮データの復号方法
JP2962537B2 (ja) 2次元データのエネルギー分布による走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3269186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3590648B2 (ja) 原画像データの圧縮処理の方法及び原画像データの伸張処理の方法
KR0147617B1 (ko) 역양자화부의 메모리 어드레싱을 이용한 역스캔 및 런-길이 복호장치
JPH0556270A (ja) 逆量子化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復元装置
KR100565707B1 (ko) 가변길이 부호화 테이블 구조 및 이 것을 이용한 가변길이 부호화 방법
JPH04326654A (ja) 画像データ圧縮伸張装置
JP2007188361A (ja) メモリ制御方法、メモリ制御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0134358B1 (ko) 가변 스캔방법을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
JP3996965B2 (ja) ビデオ信号圧縮符号化装置
JP2512195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JPH0937261A (ja) 符号化方式及び装置
JPH04271664A (ja) 画像データ圧縮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復元装置
JPH09238344A (ja) 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