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044A - 자동판매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044A
KR19980032044A KR1019970006591A KR19970006591A KR19980032044A KR 19980032044 A KR19980032044 A KR 19980032044A KR 1019970006591 A KR1019970006591 A KR 1019970006591A KR 19970006591 A KR19970006591 A KR 19970006591A KR 19980032044 A KR19980032044 A KR 1998003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asket
stopper
merchandis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772B1 (ko
Inventor
쓰네오 가나쓰카
Original Assignee
쓰네오 가나쓰카
유겐가이샤 시루쿠호세고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75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23269A/ja
Application filed by 쓰네오 가나쓰카, 유겐가이샤 시루쿠호세고조 filed Critical 쓰네오 가나쓰카
Publication of KR1998003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box-like containers, e.g. videocassettes, 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을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가 상하 좌우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품진열대를 설치하여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자유자재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로 상품을 유지한다. 금전의 지불로 전제로하여,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을 수납하고 있는 상품수납부로부터 상품낙하위치로 바구니를 반송하여 바구니측의 조작으로 스토퍼의 위치를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구니에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이 수납, 유지되므로 바구니를 상품취출구까지 반송함으로써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토퍼를 변위시키는 구조, 즉 상품진열대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꺼내기 위한 구조에 포함되는 고가의 구동원이 바구니에만 설치됨으로써 값싼 대형 자동판매장치가 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전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전체의 종단측면도(縱斷惻面圖),
도 3(A)는 상품낙하기구(商品落下機構)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로서, 스토퍼(stopper)가 상품유지위치에 위치하는 대기(待機)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도 3(A)에 나타내는 상품낙하기구로서, 스토퍼가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위치하는 상품낙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품진열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바구니를 반송하기 위한 구조를 원리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바구니 레일(rail)에 대한 바구니 반송체(搬送體)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7은 바구니 레일에 대한 바구니 반송체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바구니 레일의 굴곡(屈曲)부분에 위치하는 바구니 반송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바구니의 배면도(背面圖),
도 10은 바구니의 측면도,
도 11(A)는 상품낙하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로서, 스토퍼가 상품유지위치에 위치하는 대기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도 11(A)에 나타내는 상품낙하기구로서, 스토퍼가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위치하는 상품낙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바구니를 반송하기 위한 구조를 원리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바구니 레일에 대한 바구니 반송체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바구니 레일에 대한 바구니 반송체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상품취출부(商品取出部)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투명판5:상품진열대
7:바구니 반송수단19:상품낙하기구(商品落下機構)
37:지정키(指定 key)PU:상품취출구(商品取出口)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대형 자동판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품을 수납, 유지하는 상품선반으로부터 바구니 반송에 의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형식의 자동판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자동판매장치에 있어서는, 쥬스나 담배 등의 특정 종류의 상품만을 판매하는 소형의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다종류(多種類)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대형 자동판매장치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자동판매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국의 특허/실용신안 공개공보인 특개소 50-79398호 공보, 특개소 50-70097호 공보, 특개소 52-128199호 공보, 실개소 53-21596호 공보, 특개소 52-38296호 공보 및 특개평 4-18459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대형 자동판매장치에서는, 상품을 진열하는 복수층의 상품선반과 상품진열대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꺼내는 구조와 꺼내어진 상품을 상품 취출구(取出口)까지 반송하는 구조를 기본적인 공통의 구조로서 갖추고 있다. 상기 각 공보에서는 꺼내어진 상품을 상품취출구까지 반송하는 구조로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에 의한 구조(특개소 50-79398호 공보)와 바구니에 의한 구조(특개소 50-70097호 공보, 특개소 52-128199호 공보, 실개소 53-21596호 공보)와 그 양쪽을 조합한 것과 같은 구조(특개소 52-38296호 공보, 특개평 4-184595호 공보)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예로서 예시한 상기 각 공보에 게재된 자동판매장치에 있어서, 상품진열대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꺼내는 구조는 상품진열대 각각에 적어도 하나씩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고가(高價)인 솔레노이드(solenoid)나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동원(驅動原)으로서 포함하기 때문에, 구동원이나 필요한 배선(配線) 등으로 인한 부품원가가 극히 상승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판매장치에서는, 상품진열대 등을 한쪽이 개구(開口)하는 상자모양의 본체 케이스 내에 수납하고 개구면에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투명판을 부착한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장치가 크게 됨에 따라 본체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비가 비싸지므로 대형 자동판매장치에서는 그 재료원가가 상승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다종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대형 자동 판매장치를 싼값으로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상품을 신속하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판매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점포(店鋪) 그 자체를 자동판매장치로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품의 잘못된 제공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객에 의한 상품의 취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판매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객에 의한 상품 취출작업의 안전성이 뛰어난 자동판매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방범성(防犯性)에 뛰어난 자동판매장치를 얻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을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가 상하 좌우의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품진열대와, 상품수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자유자래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와 스토퍼를 상품유지위치로 미는 스토퍼 가압부의 압력을 받아 스토퍼를 상품유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를 갖춘 상품낙하기구와, 상품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상품취출구와, 각 상품수납부로부터의 상품낙하위치와 상기 상품취출구로 상품수취(受取)용의 바구니를 반송하는 바구니 반송 수단과, 바구니에 설치되어 상품낙하기구의 스토퍼 변위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압력수단과, 상품진열대와 상품낙하기구와 바구니 반송수단을 가리고 상품취출구를 노출시키는 전면 패널과, 상품을 지정하는 지정키(指定 key)와, 입금을 접수(接受)하는 입금수단과, 바구니 반송수단에 의한 바구니 반송과 압력수단에 의한 스토퍼 상품유지 해제위치로의 변위를 실행시키고, 지정키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을 그 상품에 따른 금액의 입금수단에 의한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상품취출구까지 반송시키는 상품판매수단을 갖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이 수납된 상품수납부로부터 상품낙하위치까지 바구니를 반송하면 바구니측의 조작, 즉 압력수단에 의한 스토퍼 변위부의 압력에 의하여 스토퍼가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하여 그 상품이 바구니 안으로 수납, 유지된다. 거기서 원하는 모든 상품을 같은 조작으로 바구니에 수납 유지시킨 후에 바구니의 반송에 의하여 상품취출구에 매입(買入)된 상품을 반송시킴으로써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품진열대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꺼내게 되는데, 그로 인해 필요한 구조에 포함되는 구동원은 바구니에만 설치되므로 상품진열대의 모든 상품수납부에 그와 같은 구동원을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격감함으로써 부품원가가 비약적으로 절감된다.
다른 면에서 본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을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가 상하 좌우의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품진열대와, 상품수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와 스토퍼를 상품유지위치로 미는 스토퍼 가압부와 압력을 받아 스토퍼를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를 갖춘 상품낙하기구와, 상품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상품취출구와, 각 상품수납부로 부터의 상품낙하위치와 상품취출구로 상품수취(受取)용의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와, 바구니 지지이동기구를 구동시키는 바구니 구동부와, 바구니에 설치되어 상품낙하기구의 스토퍼 변위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변위하는 압력 기구와, 압력기구를 구동시키는 압력기구 구동부와, 상품진열대와 상품낙하기구와 바구니 반송수단을 가리고 상품취출구를 노출시키는 전면 패널과, 상품을 지정하는 지정키(指定 key)와, 입금을 접수(接受)하는 입금수단과, 바구니 구동부와 압력기구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에 의한 바구니 반송과 압력기구에 의한 스토퍼의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의 변위를 실행시키고, 지정키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을 그 상품에 따른 금액의 입금수단에 의한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상품취출구까지 반송시키는 상품판매수단을 갖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이 수납된 상품수납부로부터 상품낙하위치까지 바구니를 반송하면 바구니측의 조작, 즉 압력기구에 의한 스토퍼 변위부의 압력에 의하여 스토퍼가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하여 그 상품이 바구니 안으로 수납, 유지된다. 거기서 원하는 모든 상품을 같은 조작으로 바구니에 수납 유지시킨 후에 바구니의 반송에 의하여 상품취출구에 매입(買入)된 상품을 반송시킴으로써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품진열대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꺼내게 되는데, 그로 인해 필요한 압력기구의 압력구동부는 바구니에만 설치되므로 상품진열대의 모든 상품수납부에 그와 같은 구동원을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격감함으로써 부품원가가 비약적으로 절감된다.
또다른 면에서 본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을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를 갖춘 상품진열대와, 상품수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와 스토퍼를 상품유지위치로 미는 스토퍼 가압부와 압력을 받아 스토퍼를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를 갖춘 상품낙하기구와, 상품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상품취출구와, 각 상품 수납부로부터의 상품낙하위치와 상품취출구로 상품수취(受取)용의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와, 바구니 지지이동기구를 구동시키는 바구니 구동부와, 바구니에 설치되어 상품낙하 기구의 스토퍼 변위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변위하는 압력기구와, 압력기구를 구동시키는 압력기구 구동부와, 상품을 지정하는 상품지정수단과, 입금을 접수(接受)하는 입금수단과, 바구니 구동부와 압력기구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에 의한 바구니 반송과 압력기구에 의한 스토퍼의 상품유지 해제위치로의 변위를 실행시키고, 지정키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을 그 상품에 따른 금액의 입금수단에 의한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상품취출구까지 반송시키는 상품판매수단을 갖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이 수납된 상품수납부로부터 상품낙하위치까지 바구니를 반송하면 바구니측의 조작, 즉 압력기구에 의한 스토퍼 변위부의 압력에 의하여 스토퍼가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하여 그 상품이 바구니 안으로 수납, 유지된다. 거기서 원하는 모든 상품을 같은 조작으로 바구니에 수납 유지시킨 후에 바구니의 반송에 의하여 상품취출구에 매입(買入)된 상품을 반송시킴으로써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품진열대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꺼내게 되는데, 그로 인해 필요한 압력기구의 압력구동부는 바구니에만 설치되므로 상품진열대의 모든 상품수납부에 그와 같은 구동원을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격감함으로써 부품원가가 비약적으로 절감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자동판매장치 전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자동판매장치의 종단측면도이다. 도 2은 상품낙하기구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로서, (A)는 스토퍼가 상품유지위치에 위치하는 대기(待機)시의 상태, (B)는 스토퍼가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위치하는 상품낙하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상품 진열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바구니를 반송하기 위한 구조를 원리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바구니 레일에 대한 바구니 프레임(frame)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 7은 그 사시도이고, 도 8은 바구니 레일의 굴곡부분에 위치하는 바구니 반송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바구니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바구니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외관구성을 지닌다. 즉, 실내 삼면(三面)의 벽면(壁面)(1)에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한 전면 패널(panel)로서의 투명판(2)이 마루면(B)측으로 설치된 하부 레일부재(下部 rail部材)(3)와 천정면측으로 설치된 상부 레일부재(上部 rail部材)(4)에 의하여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하도록 유지되어 설치되고(도 2 참조), 이 투명판(2)의 안에 많은 종류와 개수의 상품(A)을 수납, 진열하는 상품선반이기도 한 상품진열대(5)와 각 상품(A)을 꺼내기 위한 바구니(6)를 반송이송시키는 바구니 반송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 중앙의 상품진열대(5)의 중앙위치에는 각종 조작을 받아들여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조작표시부(8)가 배치되어 있다. 거기서 자동판매장치는 투명판(2) 넘어로 보이는 상품진열대(5)의 상품(A)을 고객이 조작표시부(8)에서 지정하면, 조작표시부(8)에서의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지정된 상품(A)의 위치까지 바구니(6)를 이동시키고 상품진열대(5)의 상품(A)을 낙하시켜 바구니(6)에 수납, 유지시키고 이 바구니(6)를 조작표시부(8)의 하방에 배치된 상품취출구(PU)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품(A)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기본동작을 한다. 이와 같은 기본동작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실내에 있어서, 삼면 벽면(1)의 전면부에는 상품진열대(5)가 배열되어 있고, 이들 상품진열대(5)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9)를 갖는다. 이들 상품수납부(9)는 상하 좌우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 앞방향으로 내려오도록 경사시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진열대(5)의 구조를 도 2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대략 벽면(1)에 접하는 전방위치에는 복수개의 후부 프레임(後部 frame)(10)이 세워져 형성하고, 인접하는 후부 프레임(10) 사이에는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支持 frame)(11)이 상하로 배열되어 고정되어 있다. 벽면(1)으로부터 필요한 치수만큼 이격(離隔)시킨 전방위치에는 복수개의 전부 프레임(前部 frame)(12)이 세워져 형성되고, 이들 전부 프레임(12)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의 각도 조절공(角度 調節孔)(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진열대(5)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4)가 지지 프레임(11)에 자유자재로 회전하도록 걸려 있고 상품진열대(5)의 앞 부분이 모든 각도 조절공(13)에 자유자재로 착탈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편(支持片)(15)에 지지되어 있다. 상품진열대(5)에 있어서 상품(A)을 진열하는 영역은 칸막이(16)에 의하여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음으로써, 이것에 의하여 상품수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16)는 이 칸막이(16)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한 돌기부(突起部)(도시하지 않음)를 상품진열대(5)에 형성한 슬릿(slit)(S)에 결합시킴으로써 자유자재로 착탈하도록 부착되어져 있어 큰 사이즈의 상품(A)을 진열하는 경우에는 칸막이(16)를 필요한 수만큼 빼내어 넓은 진열폭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상품진열대(5)의 전단부에는 밑방향으로 굴곡시킨 가리개판(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리개판(17)의 이면측(裏面側)에는 그 가리개판(17)의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상품수납부(9)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A)을 조명하는 형광램프(18)가 부착되어져 있다. 또 자동판매장치의 배면부가 되는 벽면(1)에는 필요에 따라 컬러 패널 등을 부착하여 미관(美觀)을 향상시킨다.
계속해서 상품진열대(5)의 전단부의 이면측에는, 이 상품진열대(5)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A)을 낙하시키는 상품낙하기구(19)가 부착되어져 있다. 이 상품낙하기구(19)는 각 상품수납부(9)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낙하기구(19)를 도 2,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품낙하기구(19)는 스토퍼(stopper)(20)와 제2스토퍼(21)와 지축(支軸)(22)지점으로 자유자재로 회전하는 연결부재인 회전부재(回轉部材)(23)와 이 회전부재(23)를 회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stopper 變位部)(24)로 구성된다. 스토퍼(20)는 두개의 기둥모양의 부재로서, 상품진열대(5)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상품수납부(9)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상품유지위치와 이 상품 진열대(5)의 표면에서 하측으로 들어간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스토퍼(21)도 두 개의 기둥모양의 부재로서, 상품진열대(5)의 경사를 스토퍼(20)로부터 필요한 치수만큼 이격시킨 상방위치에 배치되어 상품진열대(5)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상품압상(押上)위치와 이 상품진열대(5)의 표면에서 하측으로 들어간 상품압상 해제위치로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재(23)는, 수평방향으로 병설되어 서로 고정된 한 쌍의 제1링크(link)(25a)와 제2링크(25b)를 갖추어 제1링크(25a)의 선단부에 스토퍼(20)가 자유자재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제2링크(25b)의 선단부에 제2스토퍼(21) 자유자재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23)에는 제1링크(25a)와 제2링크(25b)와의 사이에서 연장하는 한 개의 링크(26)를 갖추었으며, 이 링크(26)에는 3개의 연결용 구멍(26a, 26b, 26c)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변위부(24)는 기둥모양의 부재로서, 그 일단(一端)이 링크(26)의 연결용 구멍(26a, 26b, 26c)에 자유자재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가리개판(17)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23)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 가압부에 의하여 전방을 향하여 밀리고 있다. 따라서 상품낙하기구(19)는 통상 스토퍼(20)가 상품수납부(9)로부터 돌출하고 제2스토퍼(21)가 상품수납부(9)로부터 들어간 도 3(A)의 상태로 유지된다. 또 상품낙하기구(19)는 가리개판(17)에 의하여 정면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져 있다.
계속해서 바구니 반송수단(7)의 상세한 설명을 도 2, 도 5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품진열대(5)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상하 한 쌍의 바구니 레일(27)이 설치되어 이 바구니 레일(27)에 바구니(6)를 지지하는 바구니 반송체(28)가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하도록 부착되어져 있다. 바구니 반송체(28)는, 하측의 바구니 레일(27)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활차(滑車)가 끼워 넣어지고, 상측의 바구니 레일(27)쪽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착구조로 되어 있다. 결국 복수개의 롤러(roller)(29)로 바구니 레일(27)을 에워싸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품진열대(5)는 대략 ㄷ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맞추어서 바구니 레일(27)도 대략 ㄷ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때문에 바구니 레일(27)의 굴곡위치에 있어서, 바구니 반송체(28)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바구니 반송체(28)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하여 하측의 바구니 레일(27)에 끼워 넣어져 있는 도시하지 않은 활차는, 그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부착되어져 있고, 상측의 바구니 레일(27)을 에워싸는 롤러(29)의 일부는 스프링(SP)으로 당겨지면서 자유자재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바구니 반송체(28)는 X축 모터(30)로 구동되는 X축벨트 반송기구(31)에 의하여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구조이다. 바구니(6)는 바구니 반송체(28)에 자유자재로 승강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 승강동작을 실현하는 구조로서, Y축 모터(32)로 구동되는 Y축벨트 반송기구(33)가 바구니 반송체(28)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구니 반송수단(7)은 바구니(6)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바구니 지지(支持) 이동기구와 이 바구니 지지 이동기구를 구동하는 바구니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구니 지지 이동기구는 바구니 레일(27), 바구니 반송체(28), X축벨트 반송기구(31) Y축벨트 반송기구(33)로 이루어지고, 바구니 구동부는 X축 모터(30) 및 Y축 모터(32)로 이루어진다.
바구니(6)에는 상품진열대(5)에 자유자재로 붙었따 떨어졌다 하는 압력기구로서의 액추에이터(actuator)(34)와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액추에이터(34) 및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에 의하여 압력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34)는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로 구동됨으로써, 상품낙하기구(19)에 있어서의 스토퍼 변위부(24)를 누른다 또한 바구니(6)의 저판(底板)(6a)은 자유자재로 개폐(開閉)되며, 이 저판(6a)의 개폐동작은 바구니(6)의 하부에 부착된 저판구동부(底板驅動部)로서의 저판 구동모터(36)를 구동원으로 하여 실시된다.
또한 X축 모터(30), Y축 모터(32),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 및 저판 구동모터(36)의 구동제어는, 조작표시부(8)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각 모터(32, 35, 36)로의 제어신호의 전달 및 각 모터(32, 35, 36)로의 구동전력의 공급은, 상방의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설치된 트롤리(trolley)선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조작표시부(8)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조작표시부(8)는 마이크로컴퓨터를 내장하여 상품진열대(5)에 진열된 상품(A) 중에서 구입하려고 하는 상품(A)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키(37)와 금전투입구인 지폐 투입구(38) 및 동전 투입구(39)와 조작순서 등을 표시하는 안내 표시부(40)와 지정한 상품(A)의 리스트나 금액 등을 표시하는 지정상품 표시부(41)를 갖춘다. 지정키(37)는 지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지폐투입구(38) 및 동전 투입구(39)로부터 입금되 지폐나 동전은 주지(周知)의 ATM 머신(machine)과 동일한 처리로 입금처리를 하여 여기서 입금수단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의 상품판매장치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에 의하여 실행되는 상품판매수단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품판매수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상품판매수단은 지정키(37)에 의한 상품(A)의 지정과 입금수단의 실행이 실시된 후, 마이크로컴퓨터의 CPU로부터의 제어신호를 X축 모터(30)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Y축 모터(32)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저판 구동모터(36)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전달하여 각 모터(30, 32, 35, 36)를 구동시킴으로써 실시되는 처리이다. 처음에 X축 모터(30)와 Y축 모터(32)를 구동시켜 바구니 반송체(28)를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슬라이드시킴과 아울러, 바구니(6)를 승강시킴으로써 바구니(6)를 지정된 상품(A)의 상품수납부(9)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바구니(6)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를 구동시켜 액추에이터(34)를 회전시키고 액추에이터(34)로 스토퍼 변위부(24)를 눌러 스토퍼(20)를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2스토퍼(21)를 상품압상위치로 이동시키고 지정한 상품(A)을 상품수납부(9)로부터 낙하시켜 바구니(6)안에 수납, 유지시킨다. 지정한 상품(A)을 바구니(6)안에 수납, 유지시킨 후에, 다시 X축 모터(30)와 Y축 모터(32)를 구동시켜 바구니(6)를 상품위출구(PU)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바구니(6)가 상품취출구(PU)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저판 구동모터(36)를 구동시켜 바구니(6)의 저판(6a)을 벌려 수납, 유지된 상품(A)을 상품취출구(PU)에 낙하시킨다. 이상이 상품판매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동작이다.
또한 복수의 상품(A)이 지정된 경우에는, 이들 상품(A)을 바구니(6)안으로 수납, 유지시킨 후에 바구니(6)가 상품취출구(PU)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바구니(6) 안으로 한 번에 수납할 수 없는 수의 상품(A)이 지정된 경우에는, 바구니(6)가 상품수납부(9)와 상품취출구(PU)와의 사이를 2회 또는 그 이상의 회수에 걸쳐 왕복한다.
상기 조작표시부(8)는 전화회선(電話回線)을 이용하여 자동판매장치의 오너(owner)나 자동판매장치를 관리하는 전산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는 집계관리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판매장치의 오너나 관리자는 자동판매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도 판매 데이터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품(A)을 구입하려는 고객이 조작표시부(8)에 있어서, 지폐의 투입이나 상품(A) 지정 등의 소정의 조작을 하면 지정된 상품(A)을 수납하는 상품수납부(9)로부터 상품(A)의 낙하위치까지 바구니(6)가 반송이송된다. 바구니(6)의 반송이송은 X축 모터(30)를 구동원으로 하는 바구니 반송체(28)의 이동과 Y축 모터(32)를 구동원으로 하는 바구니(6)의 승강동작에 의거한다. 그리고 이 바구니(6)에 지정된 상품(A)을 낙하시켜 수납, 유지시킨 후에 바구니(6)를 상품취출구(PU)까지 반송이송시켜 바구니(6)의 저판(6a)을 벌림으로써, 상품(A)이 상품취출구(PU)에 낙하하여 상품(A)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1회의 거래는 종료한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상품(A)을 지정한 경우에는, 이들 상품(A)만을 동일동작으로 계속해서 바구니(6)에 수납, 유지시킨다.
다음에 상품낙하기구(19)에 의한 상품낙하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대기시의 상태이다. 이 대기시에 있어서는, 스토퍼(20)가 상품 유지위치에 위치해 있어 상품진열대(5)상에 진열된 상품(A1, A2, A3, …)의 낙하를 저지하고 있다. 한편 제2스토퍼(21)는 상품압상 해제위치에 위치해 있어 진열된 상품(A1, A2, A3, …)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도 주지않도록 되어 있다.
도 3(B)는 구입하는 상품(A)의 지정조작에 의거한 상품낙하시의 상태이다. 이 상품낙하시에 있어서는, 상품수납부(9)와 대면하는 바구니(6)의 액추에이터(34)가 구동되어 액추에이터(34)가 상품낙하기구(19)에 있어서의 스토퍼 변위부(24)를 누른다. 그러면, 회전부재(23)가 지축(22)을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동작을 따라 스토퍼(20)가 상품진열대(5)의 표면에서 하측으로 들어간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이동하고, 제2스토퍼(21)가 상품진열대(5)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상품압상위치로 이동한다. 스토퍼(20)가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품(A1)이 상품진열대(5)로부터 낙하하는 상태가 되고 이 때 이 상품(A1)의 후단측을 제2스토퍼(21)가 상방으로 향하여 밀어 들어올림으로써 상품(A1)의 낙하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품(A1)이 낙하함으로써, 다른 상품(A2, A3, …)이 상품진열대(5)의 경사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는데, 이들 상품(A2, A3, …)은 상품압상위치로 이동하는 제2스토퍼(21)에 닿아 멈춤으로써 2개 이상의 상품(A2, A3, …)이 연속해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액추에이터(34)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품낙하기구(19)가 대기시의 상태로 되돌아왔을 때에는, 제2스토퍼(21)가 상품압상 해제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스토퍼(20)가 상품유지위치로 이동하여 제2스토퍼(21)로 멈추어져 있는 상품(A2, A3…)이 상품진열대(5)의 경사를 따라 약간 하강한 후에 스토퍼(20)로 유지되어 다음의 상품판매에 대비하는 대기상태가 된다.
다음에 스토퍼 변위부(24)를 링크(26)에 연결할 때에, 연결하는 연결용 구멍(26a, 26b, 26c)을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이 변경에 의하여 대기시나 상품 낙하시에 있어서 스토퍼(20)와 제2스토퍼(21)의 정지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 변위부(24)를 연결용 구멍(26c)에 연결한다면 상품유지위치로 이동한 스토퍼(20)의 상방으로의 돌출치수가 작아지며, 상품압상위치로 이동한 제2스토퍼(21)의 상방으로의 돌출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상품수납부(9)에 수납하여 상품진열대(5)에 진열하는 상품(A)의 치수가 큰 경우나 상품진열대(5)의 경사각도를 크게 한 경우 등에는, 대기시에 있어서 스토퍼(20)의 상방으로의 돌출치수를 크게 하여 상품(A)의 유지를 확실하게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품낙하기구(19)의 구동원인 액추에이터(34) 및 액추에이터 구동모터(35)는 바구니(6)에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품낙하기구(19)의 구동원을 각 상품수납부(9)에 설치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원이나 그 배선으로 인한 부품의 수가 격감하여 부품원가가 비약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스토퍼(20)와 제2스토퍼(21)는 2개의 기둥모양의 부재이기 때문에 재료비가 싸므로 값싼 구조이다.
또한 스토퍼(20)는 진열되어 있는 상품(A1, A2, A3, …) 등을 정면측으로부터 보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음으로써, 진열되어 있는 상품(A)의 시각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장치는, 이 자동판매장치를 설치하는 실내의 벽면(1)을 자동판매장치의 배면부를 가리는 배면판으로 이용함으로써, 배면판을 새로이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 및 재료비가 큰 폭으로 감소하므로 재료원가가 절감되게 된다. 특히 자동판매장치를 대형화함에 따른 재료원가의 절감폭이 넓어진다.
또한 이 자동판매장치는 조립한 형태의 자동판매장치를 설치장소까지 반송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동판매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에 각 부품을 반입(반입搬入)하여 그 실내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수소원가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 또 이 자동판매장치는 판상(板狀)의 상품진열대(5) 횡폭(橫幅) 치수를 조절하여 그것에 따라 후부 프레임(10)이나 전부 프레임(12) 등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간단한 설계변경으로서, 실내의 사이즈에 딱 맞는 자동판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 삼면(三面)의 벽면(1)을 이용한 평면에서 볼 때 ㄷ자형의 자동판매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자동판매장치의 형상으로서는 평면에서 볼 때 ㄷ자형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실내 일면(一面)의 벽면만을 이용한 평면에서 볼 때 I자형 또는 실내 이면(二面)의 벽면을 이용한 평면에서 볼 때 L자형 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내의 전체가 자동판매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자동판매장치를 실내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실내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자동판매장치를 설치함에 적합한 장소로서는, 예를 들어 호텔의 로비, 주유소의 매점, 카지노 등이 고려된다.
다음에 상품낙하기구(19)의 변형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이 상품낙하 기구(19)는 한 쌍의 스토퍼(51)와 제2스토퍼(52)와 지축(53)을 지점으로 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하는 장방형(長方形) 판모양의 회전부재(54)와 이 회전부재(54)에 연결된 스토퍼 변위부(24)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5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부재(54)이 하단측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재(54)의 상단측 선단부는 이 회전부재(54)가 지축(53)을 지점으로 회전함으로써, 상품진열대(5)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상품압상위치와 이 상품진열대(5)의 표면에서 하측으로 들어간 상품압상 해제위치로 자유자재로 이동하는 제2스토퍼(52)가 된다. 회전부재(54)의 이면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연장한 링크(55)가 고정되어 있고 이 링크(55)에 스토퍼 변위부(24)가 자유자재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12 및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부분과 같은 부호로 나타내며 설명은 생략한다(이하 같음). 본 실시예는 바구니 반송수단의 구조를 바꾼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바구니 반송수단(7a)은 상하 한 쌍의 바구니 레일(27)과 이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바구니(6)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키고 유지시키는 바구니 반송체(28)를 갖는다. 상방의 바구니 레일(27)의 측면에는 선형 기어(線形 gear)인 타이밍 벨트(timing belt)(61)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바구니 반송체(28)는 상기 타이밍 벨트(61)와 맞물린 2개의 기어(62)와 이들 기어(62)와 대향하여 상부의 바구니 레일(27)을 협지(挾持)하는 롤러(29a)와 바구니 레일(27)의 상면부에 접하여 바구니 반송체(28)를 매달라 유지시키는 롤러(29b)와 하방의 바구니 레일(27)을 협지하는 롤러(29c)와 일방의 기어(62)를 구동시키는 기어구동부인 X축 모터(63)를 구비한다. 또한 바구니 반송체(28)에는 바구니(6)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Y축 모터(32)와 Y축벨트 반송기구(3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바구니 반송체(28)에는 이 바구니 반송체(28)가 바구니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나 바구니(6)가 승강할 때에 그 동작에 따른 음성을 내어 음향효과를 높이기 위한 스피커나 음원부(音源部)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바구니 레일(27)에 부착, 고정된 타이밍 벨트(61)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늘어나거나 손상을 입는 일이 없어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바구니 레일(27)이 굴곡하는 곳에 있어서도, 그 굴곡형상을 따라 마음대로 부착할 수가 있다. 때문에 바구니 반송체(28)를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스무스하게 또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타이밍 벨트(61)를 바구니 레일(27)에 부착,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링크모양의 타이밍 벨트를 이동시킨다는 일반적인 타이밍 벨트의 사용방식과 비교하여 필요한 타이밍 벨트의 치수가 대략 반으로 줄어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반송구동시에 타이밍 벨트가 흔들리는 것이 원인이 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바구니 반송수단의 구조를 바꾼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바구니 반송수단(7b)은 상하 한 쌍의 바구니 레일(27)과 이들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바구니(6)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키고 유지시키는 바구니 반송체(28)를 갖는다. 상하의 바구니 레일(27)의 측면에는 선형 기어(線形 gear)인 타이밍 벨트(timing belt)(61)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바구니 반송체(28)의 상하에는 각각 상기 타이밍 벨트(61)와 맞물린 2개의 기어(62)와 이들 기어(62)와 대향하여 상하의 바구니 레일(27)을 협지(挾持)하는 복수개의 롤러(29a)와 상방의 바구니 레일(27)의 상면부에 접하여 바구니 반송체(28)를 매달아 유지시키는 롤러(29b)와 상하 각각 1개의 기어(62)를 연결하는 회전축(64)과 이 회전축(64)과 상하의 기어(62)를 회전구동시키는 기어구동부인 X축 모터(65)를 구비한다. X축 모터(65)의 모터축(軸)에 고정된 기어(66)와 회전축(64)에 고정된 기어(67)와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68)가 감겨져 있다. 또한 바구니 반송체(28)에는 바구니(6)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Y축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이 Y축모터로 구동되는 볼 나사(ball screw)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바구니 반송수단(7b)은 중량물(중량重量物)의 상품(A)을 반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구니 반송체(28)나 바구니(6)의 중량을 무겁게 한 경우에 적합하다. 바구니 반송체(28)가 바구니 레일(27)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에, 상하의 기어(62)가 타이밍 벨트(61)와 맞물려 구동되기 때문에 바구니 반송체(28)나 바구니(6)안으로 수납, 유지시킨 상품(A)의 중량이 무거워져도 스무스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바구니(6)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하여 볼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바구니(6) 안으로 수납, 유지시킨 상품(A)의 중량이 무거워졌을 경우에도 바구니(6)를 스무스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2,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바구니 레일(27)에 부착, 고정시킨 타이밍 벨트(61)를 선형 기어로 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타이밍 벨트(61)를 사용하지 않고 바구니 레일(27)의 측면에 선형 기어를 직접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품취출부의 구조를 바꾼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장치의 상품취출구(PU)의 안쪽에는 이 상품취출구(PU)를 개폐하는 셔터(69)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69)에는 셔터 구동부인 셔터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셔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셔터(69)의 개방시(開放時)에는, 셔터(69)는 수평방향의 축(軸)의 중심을 갖는 지정축(指定軸)(70)의 주위로 회전하여 이점쇄선(二点鎖線)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앞방향으로 내려온 경사진 상태가 된다.
상기 상품취출구(PU)의 상방부에는 바구니 반송체(28)가 상품취출구(PU)의 뒤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스위치(檢知 switch)(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지 스위치의 검지에 의거하여 조작표시부(8) 내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제어가 행하여져 셔터(69)의 개방동작과 바구니(6)의 저판(6a)의 개방동작이 실시된다. 바구니(6)가 그 내부에 수납, 유지된 상품(A)을 낙하시키는 위치로 상승했을 때에 저판(6a)과 셔터(69)는 함께 개방되어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연속적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구니(6) 안으로 수납, 유지된 상품(A)은 저판(6a)나 셔터(69)의 위치를 활주하여 상품취출구(PU)의 저면부(底面部)로 낙하한다. 따라서 상품(A)을 구입하는 손님이 상품(A)을 꺼내기 위하여 상품취출구(PU)나 바구니(6) 안으로 손을 넣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구입한 상품(A)의 취출성이 향상된다. 또 상품을 꺼내기 위하여 바구니(6) 안으로 손을 집어넣는 사이에 바구니(6)가 재시동함에 따른 사고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저판(6a)과 셔터(69)가 소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3초간) 개방되면 그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저판(6a)과 셔터(69)는 폐쇄된다. 따라서 상품(A)의 판매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취출구(PU)는 셔터(69)로 폐쇄됨으로써 상품취출구(PU)에서 손이나 가구를 넣어 상품(A)을 꺼내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장치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표시부(8)가 투명판(2)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투명판(2)의 안쪽에서 이동하는 바구니(6)에 조작표시부(8)가 간섭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표시부(8)의 우측과 좌측에 1개씩 바구니(6)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제1~제4실시예에 나타낸 구조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을 그 각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짓는 것으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닌, 그 범위에 포함할 수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발명의 효과]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실시예 중에서 적당히 서술하였는데, 대표적인 청구항에 대응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청구항 1~3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품을 상품취출부로부터 꺼내기 위한 구동원을 바구니에만 설치하면 충분한 것이므로, 그 구동원 및 그 배선 등으로 인한 부품수를 격감시켜 부품의 원가를 큰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2항 및 10항의 발명에 의하면, 자동판매장치를 설치하는 실내의 벽면을 자동판매장치의 배면부를 가리는 배면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새로이 배면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부품수 및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재료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11, 18항의 발명에 의하면, 바구니를 바구니 반송체와 일체로 바구니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킬 때, 바구니 반송체에 부착된 기어를 바구니 레일에 설치된 선형 기어와 맞물리게 하여 이 기어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바구니 반송체를 바구니 레일을 따라 스므스하게 움직이게 함과 아울러 정확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형 기어를 바구니 레일에 고정된 타이밍 벨트로 형성한 경우에는(청구항 4, 12, 19), 장기간 사용하여도 늘어나거나 손상을 입는 일이 없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구니 레일이 굴곡하는 곳에도 그 굴곡형상을 따라 마음대로 고정할 수가 있다. 또 선형 기어를 바구니 레일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청구항 5, 13, 20), 선형 기어를 별도로 설치하여 이것을 바구니 레일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원가를 절감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 14, 21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품진열대로부터 상품을 낙하시킬 때에 스토퍼를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스토퍼를 상품압상위치로 이동시켜 낙하시키는 상품을 윗방향으로 밀어 들어올리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품진열대로부터의 상품의 낙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품압상위치로 이동한 제2스토퍼에 의하여 다음 상품이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기 때문에 상품낙하기구의 1회의 동작시에 2개 이상의 상품이 낙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 15, 22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품이 상품취출구에 낙하하므로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청구항 8, 16, 23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품 판매시에는 바구니의 저판과 상품취출구의 셔터가 개방되어 연속하는 경사상태가 되므로, 바구니의 안에 수납, 유지된 상품을 저판과 셔터의 위를 활주시켜 상품취출구에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품취출구로부터의 상품의 취출성(取出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을 꺼내기 위하여 바구니 안으로 손을 넣었을 때, 바구니가 불의(不意)로 이동했을 때에 발생하는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판매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취출구는 셔터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품취출구에서 손이나 기구를 넣어 내부의 상품을 꺼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방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복수개의 상품을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가 상하 좌우로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품진열대와,
    상기 상품수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상품유지위치로 미는 스토퍼 가압부와, 압력을 받아 상기 스토퍼를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를 갖춘 상품낙하기구와,
    상품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상품취출구와,
    각 상기 상품수납부로부터의 상품낙하위치와 상기 상품취출구로 상품수취(受取)용의 바구니를 반송하는 바구니 반송수단과,
    상기 바구니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낙하기구와 상기 스토퍼 변위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압력수단과,
    상기 상품진열대와 상기 상품낙하기구와 상기 바구니 반송수단을 가리고 상기 상품취출구를 노출시키는 전면 패턴과,
    상품을 지정하는 지정키(指定 key)와,
    입금을 접수(接受)하는 입금수단과,
    상기 바구니 반송수단에 의한 상기 바구니 반송과 상기 압력수단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의 변위를 실행시키고, 상기 지정키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을 그 상품에 따른 금액의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상품취출구까지 반송시키는 상품판매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자동판매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 반송수단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바구니 레일과,
    상기 바구니 레일을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키고 유지시키는 바구니 반송체와,
    상기 바구니 레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기어와,
    상기 바구니 반송체에 부착되어 상기 선형 기어와 맞물린 기어와,
    상기 기어를 구동시키는 기어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는 상기 바구니 레일에 고정된 타이밍 벨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는 상기 바구니 레일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낙하기구는,
    상기 상품수납부 중의 스토퍼 배치위치로부터 필요한 치수만큼 이격시킨 안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납부측으로 돌출하는 상품압상위치와 상기 상품수납부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상품압상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하도록 위치하는 제2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의 서로의 동작이 반전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연결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는 자유자재로 개폐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을 개폐동작시키는 저판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상품판매수단은 상품을 수납, 유지하는 상기 바구니를 상기 상품취출구의 윗방향으로 반송시키고 상기 저판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저판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품취출구를 개폐하여 개방시에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가 되는 셔터와 이 셔터를 개폐동작시키는 셔터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바구니는, 자유자재로 개폐됨으로써 개방시에 개방되는 상기 셔터와 연속하는 경사상태가 되는 저판과 이 저판을 개폐동작시키는 저판구동부를 갖추고,
    상품판매수단은 상품을 수납, 유지하는 상기 바구니를 상기 상품 취출구의 후부 상방으로 반송시키고, 상기 셔터구동부와 상기 저판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셔터와 상기 저판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9. 복수개의 상품을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가 상하 좌우의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품진열대와,
    상기 상품수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상품유지위치로 미는 스토퍼 가압부와, 압력을 받아 스토퍼를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를 갖춘 상품낙하기구와,
    상품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상품취출구와,
    각 상기 상품수납부로부터의 상품낙하위치와 상기 상품취출구로 상품수취(受取)용의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와,
    상기 바구니 지지이동기구를 구동시키는 바구니 구동부와,
    상기 바구니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낙하기구의 상기 스토퍼 변위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변위하는 압력기구와,
    상기 압력기구를 구동시키는 압력기구 구동부와,
    상기 상품진열대와 상기 상품낙하기구와 상기 바구니 반송수단을 가리고 상기 상품취출구를 노출시키는 전면 패널과,
    상품을 지정하는 지정키(指定 key)와,
    입금을 접수(接受)하는 입금수단과,
    상기 바구니 구동부와 상기 압력기구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바구니 반송과 상기 압력기구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의 변위를 실행시키고, 상기 지정키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을 그 상품에 따른 금액의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상품취출구까지 반송시키는 상품판매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자동판매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 지지이동기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바구니 레일과,
    상기 바구니 레일을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키고 유지시키는 바구니 반송체와,
    상기 바구니 레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기어와,
    상기 바구니 반송체에 부착되어 상기 선형 기어와 맞물린 기어와,
    상기 기어를 구동시키는 기어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는 상기 바구니 레일에 고정된 타이밍 벨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는 상기 바구니 레일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낙하기구는,
    상기 상품수납부 중의 스토퍼 배치위치로부터 필요한 치수만큼 이격시킨 안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납부측으로 돌출하는 상품압상위치와 상기 상품수납부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상품압상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하도록 위치하는 제2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의 서로의 동작이 반전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는 자유자재로 개폐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을 개폐동작시키는 저판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상품판매수단은 상기 바구니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바구니를 상기 상품취출구의 윗방향으로 반송시키고, 상기 저판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저판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품취출구를 개폐하여 개방시에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가 되는 셔터가 이 셔터를 개폐동작시키는 셔터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바구니는, 자유자재로 게폐됨으로써 개방시에 개방된 상기 셔터와 연속하는 경사상태가 되는 저판과 이 저판을 개폐동작시키는 저판구동부를 갖추고,
    상품판매수단은 상기 바구니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바구니를 상기 상품취출구의 후부 상방으로 반송시키고, 상기 셔터구동부와 상기 저판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셔터와 상기 저판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7. 복수개의 상품을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품수납부를 갖춘 상품진열대와,
    상기 상품수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품의 자유낙하를 저지하는 상품유지위치와 상품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상품유지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進退)하도록 위치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상품유지위치로 미는 스토퍼 가압부와, 압력을 받아 상기 스토퍼를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 변위시키는 스토퍼 변위부를 갖춘 상품낙하기구와,
    상품의 취출(取出)을 허용하는 상품취출기구와,
    각 상기 상품수납부로부터의 상품낙하위치와 상기 상품취출구로 상품수취(受取)용의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와,
    상기 바구니 지지이동기구를 구동시키는 바구니 구동부와,
    상기 바구니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낙하기구의 상기 스토퍼 변위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변위하는 압력기구와,
    상기 압력기구를 구동시키는 압력기구 구동부와,
    상품을 지정하는 상품지정수단과,
    입금을 접수(接受)하는 입금수단과,
    상기 바구니 구동부와 상기 압력기구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바구니 지지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바구니 반송과 상기 압력기구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상품유지 해제위치로의 변위를 실행시키고, 상기 지정키에 의하여 지정된 상품을 그 상품에 따른 금액의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입금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상품취출구까지 반송시키는 상품판매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 지지이동기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바구니 레일과,
    상기 바구니 레일을 따라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바구니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키고 유지시키는 바구니 반송체와,
    상기 바구니 레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선형 기어와,
    상기 바구니 반송체에 부착되어 상기 선형 기어와 맞물린 기어와,
    상기 기어를 구동시키는 기어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기어는 상기 바구니 레일에 고정된 타이밍 벨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는 상기 바구니 레일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낙하기구는,
    상기 상품수납부 중의 스토퍼 배치위치로부터 필요한 치수만큼 이격시킨 안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납부측으로 돌출하는 상품압상위치와 상기 상품수납부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상품압상 해제위치에 자유자재로 진퇴하도록 위치하는 제2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의 서로의 동작이 반전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연결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는 자유자재로 개폐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을 개폐동작시키는 저판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상품판매수단은 상기 바구니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바구니를 상기 상품취출구의 윗방향으로 반송시키고 상기 저판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저판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품취출구를 개폐하여 개방시에 앞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사상태가 되는 셔터와 이 셔터를 개폐동작시키는 셔터구동부를 갖추고,
    상기 바구니는, 자유자재로 개폐됨으로써 개방시에 개방된 상기 셔터와 연속하는 경사상태가 되는 저판과 이 저판을 개폐동작시키는 저판구동부를 갖추고,
    상품판매수단은 상기 바구니 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바구니를 상기 상품취출구를 후부 상방으로 반송시키고, 상기 셔터구동부와 상기 저판구동부에 구동제어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셔터와 상기 저판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
KR1019970006591A 1996-10-18 1997-02-28 자동판매장치 KR10024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75674A JPH09223269A (ja) 1995-12-14 1996-10-18 自動販売装置
JP8-275674 1996-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44A true KR19980032044A (ko) 1998-07-25
KR100240772B1 KR100240772B1 (ko) 2000-01-15

Family

ID=1755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591A KR100240772B1 (ko) 1996-10-18 1997-02-28 자동판매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40772B1 (ko)
TW (1) TW329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5615B1 (de) * 2015-08-25 2019-01-30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Auslösevorrichtung zum freigeben und sperren einer ausgabe eines stückgutes sowie verfahren zum ausgeben eines stückgutes
US9708123B2 (en) 2015-08-25 2017-07-18 Carefusion Germany 326 Gmbh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piece g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9498B (en) 1998-04-11
KR100240772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058B2 (en) Product transport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JPH09223269A (ja) 自動販売装置
US6556889B2 (en) Vending machine
WO2019128850A1 (zh) 自动售货机
CN111971716B (zh) 可食用产品和/或耐用品的自动分配器
US6415952B1 (en) Apparatus for carrying selected article to take-out window i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240772B1 (ko) 자동판매장치
US20040026446A1 (en) Small-sized vending machine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JP4186829B2 (ja) 自動販売機
KR20020083355A (ko) 자동상점 시스템
JP4888205B2 (ja) 自動販売機
JP2008176497A (ja) 自動販売機
CA2523393C (en) Product transport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JP200017293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11161843A (ja) 自動販売機
JP4258087B2 (ja) 自動販売機
KR200240218Y1 (ko) 자동상점 시스템
JPH10248688A (ja) 商品販売設備
JPH10245107A (ja) 物品搬送装置
JP200424089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H10188105A (ja) 自動販売機
JP3815168B2 (ja) 自動販売機
JPH11296744A (ja) 物品保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貸出装置
JPH0228790A (ja) ショーケース兼用形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