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366U -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366U
KR19980031366U KR2019960044515U KR19960044515U KR19980031366U KR 19980031366 U KR19980031366 U KR 19980031366U KR 2019960044515 U KR2019960044515 U KR 2019960044515U KR 19960044515 U KR19960044515 U KR 19960044515U KR 19980031366 U KR19980031366 U KR 199800313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e
vehicle
shock absorber
rigidity
wheelhou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366U/ko
Publication of KR19980031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366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에 관한 것으로, 쇽업소버가 장착되도록 측면이 세로방향으로 만곡되어 수용홈(1)을 형성하는 자동차의 휠하우스(2)에 있어서, 상기 휠하우스(2)의 측면 가로방향으로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브(3)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어 자동차의 측면충돌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차체의 용접시에도 변형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쇽업소버도 보다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어 차체에 용접으로 장착될 때에 형상의 변경을 방지하고 측면충돌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휠하우스는 차체의 사이드 판넬(도시되지 않음)에 용접으로 취부되는 바, 이 휠하우스는 휠의 바로 윗쪽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중에 휠에 의해 자갈이나 이물질 등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차체의 진동이나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쇽업소버가 장착되게 되게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휠하우스(101)에 쇽업소버(도시되지 않음)를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홈(102)과 장착구멍(103)이 형성되어, 이 수용홈(102)에 쇽업소버가 수용되면서 상기 장착구멍(103)에 보울트를 매개로 체결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휠하우스는 휠을 단지 감싸주기 주기 위해 단순히 만곡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성이 취약해서 차체에 용접시에 변형될 염려가 있었고, 또 자동차의 측면이나 후방추돌시에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기가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켜 차체의 용접시에 변형을 방지하고, 쇽업소버도 보다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측면이나 후방충돌시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쇽업소버를 감싸주는 형태로 만곡되게 형성되면서 측면에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브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휠하우스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비드에 의해 휠하우스의 구조적 변형을 줄일 수 있고 충격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휠하우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휠하우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용홈 2 : 휠하우스
3 : 리브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휠하우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인 바, 즉 쇽업소버가 장착되도록 측면이 세로방향으로 만곡되어 수용홈(1)을 형성하는 자동차의 휠하우스(2)에 있어서, 상기 휠하우스(2)의 측면 가로방향으로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브(3)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휠하우스(2)의 전체적 형상으로 볼 때 쇽압소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기 위해 세로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휠하우스(2)의 가로방향에 대해 다수개의 비드(3)를 형성시킴으로써, 세로방향은 물론 가로방향으로도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어 휠하우스(2)에 걸리는 충격이나 하중이 어느방향에서 인가되어도, 구조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휠하우스(2)의 세로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은 쇽업소버를 장착하기 위해 세로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측면이 담당하게 되고, 가로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은 가로방향으로 형성시킨 상기 비드(3)에 의해 적절히 보상되므로 휠하우스(2)의 전체적인 강성이 보강되게 되고, 휠하우스(2)의 강성보강으로 상기 휠하우스(2)의 차체에 대한 체결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어 자동차의 측면이나 후방충돌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에 용접시에도 변형될 염려가 없고, 또 쇽업소버를 상기 하우징에 보다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에 의하면,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어 자동차의 측면충돌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차체의 용접시에도 변형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쇽업소버도 보다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쇽업소버가 장착되도록 측면이 세로방향으로 만곡되어 수용홈(1)을 형성하는 자동차의 휠하우스(2)에 있어서,
    상기 휠하우스(2)의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브(3)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강성을 증대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휠하우스 구조.
KR2019960044515U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Ceased KR199800313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515U KR19980031366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515U KR19980031366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366U true KR19980031366U (ko) 1998-08-17

Family

ID=5398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515U Ceased KR19980031366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3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1366U (ko) 자동차의 휠하우스구조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19990019567A (ko)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0177257B1 (ko) 차량의 론지튜디널 프레임과 휠하우스의 어셈블리 보강구조
KR100412845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200147667Y1 (ko) 차량의 휠하우스 클랙 방지용 지지판
KR0119205Y1 (ko) 자동차의 범퍼스테이구조
KR0123269Y1 (ko) 자동차의 범퍼폐시아 측면보강구조
KR100192403B1 (ko) 승용차의 맥퍼슨형 서스펜션용 프론트로어아암의 설치구조
KR200219635Y1 (ko) 지프형 차량의 프레임
KR200147668Y1 (ko) 차량의 휠하우스 크랙 방지용 지지판
KR0123764Y1 (ko) 자동차용 뒷범퍼의 보강구조
KR19990032170U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19980046928A (ko) 자동차의 프런트 에이프런 레인포스먼트
KR19980049213U (ko) 자동차용 리어로워의 보강구조
KR19990008707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범퍼 커버 구조
KR19990005844U (ko) 자동차의 리어 사이드 락커패널 강도 보강구조
KR19980025671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KR19990012021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범퍼 빔 구조.
KR19990034883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KR19980026479U (ko) 자동차용 핸들 떨림 방지구조
KR19980012922U (ko) 자동차용 범퍼지지 프레임
KR19980025673U (ko) 자동차용 핸들 떨림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1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204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