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145U -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145U
KR19980031145U KR2019960044292U KR19960044292U KR19980031145U KR 19980031145 U KR19980031145 U KR 19980031145U KR 2019960044292 U KR2019960044292 U KR 2019960044292U KR 19960044292 U KR19960044292 U KR 19960044292U KR 19980031145 U KR19980031145 U KR 199800311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t
auxiliary
carpet
fitting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145U/ko
Publication of KR19980031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14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보조매트가 원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접혀지는 경우가 생겨 카페트가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의 카페트(120)와 보조매트(140)의 끝단이 차례로 접면 고정되게 한 크로스멤버(110)의 일측면에는 걸림고리(134)와 결합판(132)으로 된 체결브라켓(130)을 용접 결합한 것에 있어서, 그 체결브라켓(130)의 걸림고리(134) 주위로 끼움돌기(136)를 다수개 돌출 형성하고, 그 끼움돌기(136)의 끼움공(152)과 걸림고리(134)의 걸림공(154)이 형성된 보조결합판(150)이 부착 고정되도록 보조매트(140)의 이면에는 안착홈(142)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보조매트 설치시 결합판의 끼움돌기와 걸림돌기가 보조매트의 끼움공과 걸림공으로 각각 끼워져 결합 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보다 견고한 체결이 될 수 있게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브라켓의 결합판에는 끼움돌기와 걸림돌기를 형성하면서 보조매트에 부설된 보조결합판에는 끼움공과 걸림공을 형성함으로써, 보조매트 체결시 결합판와 보조결합판이 서로 면접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져 결합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내부의 플로어패널 상부로는 카페트가 설치되는 한편,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들을 위해 각종 시트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카페트는 플로어패널의 상부로 돌출 설치된 각종 배선 및 덕트 등의 부품들이 돌출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보기에 좋지 않고, 아울러 이러한 것들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시트에 착석한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들의 발이 놓이는 위치에 보조매트를 깔아놓게 된다. 이는 신발에 흙이라든지 각종 더러운 오염 물질에 의해 카페트가 더럽혀져 차내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조매트를 깔아 놓은 상태에서는 신발에 묻은 오염물이 직접 카페트에 떨어지지 않고 보조매트에 떨어지기 때문에 보조매트만을 탈거한 다음 털거나 세척을 하게 되면 차내부를 청소할 경우에도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로어패널(F)에는 사각공(22)이 다수개 형성된 카페트(20)를 크로스멤버(10)의 일측면까지 상치하고, 플로어패널(F)의 상부로 용접 결합된 크로스멤버(10)의 일측면에는 체결브라켓(30)의 결합판(32)를 용접 고정하되 그 결합판(32)의 표면에는 걸림고리(3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카페트(20)의 상면으로는 걸림고리(34)의 걸림공(42)을 다수개 형성한 보조매트(40)를 설치토록 하고 있었는 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보조매트(40)의 걸림공(42)이 체결브라켓(30)의 걸림고리(34)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유동이 생김에 따라 걸림고리(34)가 걸림공(42)으로 부터 쉽게 빠지게 되었다. 이에 보조매트(40)는 원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접혀지는 경우가 생겨 카페트(20)가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보조결합판에 형성된 끼움공과 걸림공으로 체결브라켓의 끼움돌기와 걸림돌기가 각각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결합 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페트와 보조매트의 끝단이 차례로 접면 고정되게 한 크로스멤버의 일측면에는 걸림고리와 결합판으로 된 체결브라켓을 용접 결합한 것에 있어서, 그 체결브라켓의 걸림고리 주위로 끼움돌기를 다수개 돌출 형성하고, 그 끼움돌기의 끼움공과 걸림고리의 걸림공을 형성한 보조결합판이 부착 고정되도록 보조매트의 이면에는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조매트 체결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보조매트 체결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종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F : 플로어패널
110 : 크로스멤버120 : 카페트
122 : 사각공130 : 체결브라켓
132 : 결합판134 : 걸림고리
136 : 끼움돌기140 : 보조매트
142 : 안착홈144 : 구멍
150 : 보조결합판152 : 끼움공
154 : 걸림공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 자동차의 카페트(120)와 보조매트(140)의 끝단이 차례로 접면 고정되게 한 크로스멤버(110)의 일측면에는 걸림고리(134)와 결합판(132)으로 된 체결브라켓(130)을 용접 결합하게 된다.
그 체결브라켓(130)의 걸림고리(134) 주위로 끼움돌기(136)를 다수개 돌출 형성한다.
그 끼움돌기(136)의 끼움공(152)과 걸림고리(134)의 걸림공(154)을 형성한 보조결합판(150)이 부착 고정되도록 보조매트(140)의 이면에는 안착홈(142)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22)는 카페트(120)에 다수개 형성된 사각공이고, (144)는 보조매트(140)에 형성된 구멍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플로어패널(F)의 상부에는 각종 배선등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가려주거나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페트(120)를 설치해 주게 되고, 그 카페트(120)의 상부에는 신발에 묻은 흙 등으로 카페트(120)가 쉽게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매트(140)가 설치된다. 이때 그 보조매트(140)의 끝단을 고정해 주어야만 하는 데, 이를 위해 보조매트(140)에는 보조결합판(150)이 설치되어 체결브라켓(130)의 결합판(132)를 접면 고정시켜 그 접촉 면적이 확대되게 한 고안이다.
여기서, 상기 카페트(120)와 보조매트(140)의 체결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보면서 살펴 볼 때 카페트(120)의 끝단을 플로어패널(F)을 거쳐 크로스멤버(110)의 일측면까지 깔아놓게 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멤버(110)의 일측면에는 체결브라켓(130)의 결합판(132)가 용접 또는 볼팅 방법으로 체결되어 있는 데, 그 결합판(132)에 간섭되지 않도록 카페트(120)에는 사각공(122)을 형성한다. 이어, 카페트(120)의 상부에는 보조매트(140)를 올려놓는 데, 그 보조매트(140)의 이면으로 형성된 안착홈(142)에는 보조결합판(150)이 부착 고정된다. 이때 그 보조결합판(150)의 끼움공(152)과 걸림공(154)에는 상기 결합판(132)의 끼움돌기(136)와 걸림돌기(136)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그러면 종래보다 체결 부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매트(140)에는 구멍(144)을 형성하여 결합판(132)에 형성된 끼움돌기(136)와 걸림돌기(136)가 간섭되지 않게 한다. 이후 상기 보조매트(140)를 떼어낼 경우 그 보조매트(140)를 잡아 당기게 되면, 결합판(132)에 형성된 끼움돌기(136)와 걸림돌기(136)는 보조결합판(150)에 형성된 끼움공(152)과 걸림공(154)으로부터 빠져 보조매트(14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에 따르면, 보조매트 이면의 안착홈에는 끼움공과 걸림공이 형성된 보조결합판을 형성하면서 체결브라켓의 결합판에는 끼움돌기와 걸림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보조매트 설치시 결합판의 끼움돌기와 걸림돌기가 보조매트의 끼움공과 걸림공으로 각각 끼워져 접촉 면적을 확대시킴에 따라 보다 견고한 체결이 될 수 있게 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카페트(120)와 보조매트(140)의 끝단이 차례로 접면 고정되게 한 크로스멤버(110)의 일측면에는 걸림고리(134)와 결합판(132)으로 된 체결브라켓(130)을 용접 결합한 것에 있어서,
    그 체결브라켓(130)의 걸림고리(134) 주위로 끼움돌기(136)를 다수개 돌출 형성하고, 그 끼움돌기(136)의 끼움공(152)과 걸림고리(134)의 걸림공(154)을 형성한 보조결합판(150)이 부착 고정되도록 보조매트(140)의 이면에는 안착홈(14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KR2019960044292U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KR199800311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292U KR19980031145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292U KR19980031145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145U true KR19980031145U (ko) 1998-08-17

Family

ID=5398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292U KR19980031145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1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044B1 (en) Airbag device
KR19980031145U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JP3656939B2 (ja) 樹脂成形品の固定構造
JP3644200B2 (ja) フットレストの取付構造
KR200154038Y1 (ko) 버스의 바닥재가 설치되는 측면필라의 단면구조
JPH0228105Y2 (ko)
KR19980031239U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체결구조
KR0138715Y1 (ko)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JP4014023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100368379B1 (ko) 자동차의 카매트 고정 구조
KR100456946B1 (ko) 버스용 내부덮개 구조
KR0132585Y1 (ko) 자동차용 매트 고정장치
KR100333864B1 (ko) 다목적 와이어 하니스 클립
KR200154022Y1 (ko) 버스의 바닥재가 설치되는 측면필라의 단면구조
JP3173241B2 (ja) トランクトリムの取付構造
KR100188599B1 (ko) 콘솔박스의 고정구조
KR200143921Y1 (ko) 자동차용 콘솔 고정구조
JP3506110B2 (ja) 車両用外装部品の取付け構造
JP3334772B2 (ja) 車両用シートの固定装置
KR19980042540U (ko) 자동차의 실내바닥 카페트와 보조 매트 결합구조
KR100380490B1 (ko) 자동차용 브라켓 어셈블리
JP2003127738A (ja) シート取付構造
JPH10211864A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ープレート取付構造
JP3922515B2 (ja) フロントバンパー取付部の車体構造
KR200198401Y1 (ko) 자동차 내장재용 취부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