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306U -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306U
KR19980029306U KR2019960042369U KR19960042369U KR19980029306U KR 19980029306 U KR19980029306 U KR 19980029306U KR 2019960042369 U KR2019960042369 U KR 2019960042369U KR 19960042369 U KR19960042369 U KR 19960042369U KR 19980029306 U KR19980029306 U KR 199800293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
seatback
fixing means
fro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2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306U/ko
Publication of KR19980029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30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런트시트(F)의 시트백(10)을 상하 이분하여 형성한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 상기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의 기립상태를 고정하도록 측부에 설치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해지하고 상부시트백(11)을 후방으로 절첩가능하도록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에 연결설치한 절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런트시트와 리어시트를 평평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런트시트의 시트백을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리어시트의 시트쿠션과 연결되는 풀플랫(Full Flat) 기능을 갖도록 한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런트시트(Front Seat)는 보통 승용차량의 앞좌석에 위치되는 좌석으로서, 승차원의 신체특성에 알맞는 안락하고 편리한 착석상태를 이루도록 시트 전체가 전후로 이동되는 기능과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등받이인 시트백을 전후로 각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백의 각도조절은 승차원의 안락한 착석자세를 이루도록 하는 목적 이외에 보다 편한 자세로 쉬고자 할 때, 즉 운전자의 경우 주차시키고 잠시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와 같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SB)을 최대한 후방으로 각도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트백이 완전히 젖혀지도록 하여 평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풀플랫(Full Flat)기능이라 일컫는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구조에서는 시트백(SB)을 후방으로 젖힐 때, 상기 프런트시트(F)와 리어시트(R)와의 간격이 충분히 넓지 않으므로 리어시트(R)의 시트쿠션(SC)에 상기 프런트시트(F) 시트백(SB)의 상단 부위가 접하게 되어 시트백(SB)의 완전한 젖힘상태(풀플랫 상태)를 이룰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승차원의 신체도 완전한 스트레칭 자세를 이룰 수 없어 사용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런트시트에 착석한 승차원이 편안히 누운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프런트시트의 시트백을 평평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가)는 상부시트백 절첩상태 측면도,
(나)는 상부시트백 절첩상태에서 하부시트백을 절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시트의 시트백을 뒤로 젖힌 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프런트시트10 ; 시트백
11 ; 상부시트백12 ; 하부시트백
13 ; 힌지14 ; 후크
15 ; 돌출걸이20 ; 시트쿠션
30 ; 헤드레스트R ; 리어쿠션
SC ; 시트쿠션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런트시트(F)의 시트백(10)을 상하 이분하여 형성한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
상기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의 기립상태를 고정하도록 측부에 설치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해지하고 상부시트백(11)을 후방으로 절첩가능하도록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에 연결설치한 절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런트시트(F)의 시트백(10)을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으로 구분된 이중구조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의 측부에는 상기 상·하부시트백(11)(12)의 기립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여러 가지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시트백(11)에 장착된 후크(14)와 하부시트백(12)에 장착된 돌출걸이(15)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백(11)을 후방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시트백(11)(12)의 배면부에는 한정하지 않는 절첩수단을 형성하는 바, 이러한 절첩수단 힌지(1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보다 안락한 자세를 얻기 위하여 시트백(10)을 완전히 펼쳐져 평면을 이루는 풀플랫 상태로 하고 싶을 때는 먼저 시트백(10) 상부의 헤드레스트(30)를 탈거시키고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의 기립상태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수단인 후크(14)와 돌출걸이(15)를 해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시트백(11)을 후방으로 젖히면 힌지(13)를 축으로 점선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시트백(12)과 절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상부시트백(11)이 절첩된 상태인 하부시트백(12)을 후방으로 젖히면 도 2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시트(R)와 프런트시트(F) 사이의 공간에 재치되어 하부시트백(12)의 눕혀진 내측면이 리어시트(R)의 시트쿠션(SC)와 거의 평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의 프런트시트(F)로부터 후방의 리어시트(R)에 이르는 평평한 공간이 형성되어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식을 마치고 원상태로 복귀할 때는 역순으로 하부시트백(12)을 기립시킨 후, 절첩되었던 상부시트백(11)을 다시 세우고 고정수단으로 기립상태를 고정하며 헤드레스트(30)를 조립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런트시트의 시트백을 젖혀 리어시트에 이르는 평평한 자리를 만들 수 있는 것이어서 승차원의 거주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런트시트(F)의 시트백(10)을 상하 이분하여 형성한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
    상기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12)의 기립상태를 고정하도록 측부에 설치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해지하고 상부시트백(11)을 후방으로 절첩가능하도록 상부시트백(11)과 하부시트백에 연결설치한 절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시트백(11)에 장착된 후크(14)와 하부시트백(12)에 장착된 돌출걸이(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힌지(1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KR2019960042369U 1996-11-27 1996-11-27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KR199800293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369U KR19980029306U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369U KR19980029306U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06U true KR19980029306U (ko) 1998-08-17

Family

ID=5398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369U KR19980029306U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30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681B2 (en) Headrest for vehicle seat
JPH1178635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9980029306U (ko)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JP2595601Y2 (ja) 幼児用シートに切替可能な車輌用シート
JP2604569Y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329728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オットマン装置
JPH0116662Y2 (ko)
JPH0228099Y2 (ko)
KR200217508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
JPS6322105Y2 (ko)
JPS625392Y2 (ko)
JPH0558572U (ja) バスの床構造
JPH07101277A (ja) 車両用シート
KR19980077703A (ko) 세퍼레이트 시트의 암레스트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147457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JP2000245570A (ja) 自動車用座席のオットマン
JPH11137369A (ja) 座 席
JPH0636997Y2 (ja) スライド式シート
JPH092121A (ja) 自動車のシート支持装置
KR0137760Y1 (ko) 자동차의 보조시트 설치구조
JPH0121861Y2 (ko)
JPH0140759Y2 (ko)
JPS5914276Y2 (ja) キヤブオ−バ車の座席装置
JP2000264115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980008743A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