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508Y1 - 차량용 프론트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론트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508Y1
KR200217508Y1 KR2020000029612U KR20000029612U KR200217508Y1 KR 200217508 Y1 KR200217508 Y1 KR 200217508Y1 KR 2020000029612 U KR2020000029612 U KR 2020000029612U KR 20000029612 U KR20000029612 U KR 20000029612U KR 200217508 Y1 KR200217508 Y1 KR 200217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ack
seatback
pres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기
김경록
Original Assignee
이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기 filed Critical 이현기
Priority to KR2020000029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508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백을 뒤쪽으로 젖힐 때 리어시트에 간섭되지 않고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차량용 프론트시트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시트백(20)이 상부시트백(22)과 하부시트백(24)으로 분할되되, 상기 상부시트백(22)에는 상부에 헤드레스트(26)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고정봉(22a)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하부시트백(24)에는 상기 고정봉(22a)을 삽입고정하는 홀더부재(24a)가 내장설치되어, 상기 상부시트백(22)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시트백(24)이 리어시트쿠션(30)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펼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프론트시트를 평면으로 펼쳐서 운전자와 탑승자들이 차실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론트시트 { A front seat for vehicle }
본 고안은 차량용 프론트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백을 뒤쪽으로 젖힐 때 리어시트에 간섭되지 않고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차량용 프론트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크게 운전석과 보조석에 설치된 분리식의 프론트시트와, 이 프론트시트 뒤쪽에 설치된 벤치식의 리어시트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시트쿠션을 앞뒤쪽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장치와, 시트백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프론트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00)의 뒤쪽에 시트백(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백(110)의 상부에 헤드레스트(120)가 삽입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100)은 위치조절장치(100a)를 통해 앞뒤쪽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시트백(110)은 각도조절장치(110a)를 통해서 앞뒤로 젖혀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120)는 시트백(110)의 상부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프론트시트는, 위치조절장치(100a)와 각도조절장치(110a)를 통해서 차실내에서 시트백(100)과 시트쿠션(11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프론트시트를 리어시트에 간섭되지 않게 완전히 펼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차량용 프론트시트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프론트시트가 리어시트에 간섭되지 않고 완전히 펼쳐질 수 있게 하여 차실내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론트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의 후방에 설치된 시트백 및, 이 시트백의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로 구성된 차량용 프론트시트에서, 상기 시트백은 상부시트백과 하부시트백으로 분할되되, 상기 상부시트백에는 상부에 헤드레스트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고정봉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하부시트백에는 상기 고정봉을 삽입고정하는 홀더부재가 내장설치되어, 상기 상부시트백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시트백이 리어시트쿠션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펼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프론트시트에 의하면, 하부시트백에서 상부시트백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뒤쪽으로 젖히면 프론트시트가 리어시트에 간섭받지 않고 완전히 펼쳐지게 됨으로써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필요할 때마다 차실내의 활동공간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론트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를 펼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를 펼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쿠션 12 : 위치조절장치
20 : 시트백 22 : 상부시트백
22a : 고정봉 24 : 하부시트백
24a : 홀더부재 26 : 헤드레스트
28 : 각도조절장치 30 : 리어시트쿠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를 펼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0)의 후방에 상부시트백(22)과 하부시트백(24)으로 분할된 시트백(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시트백(22)의 상부에 일체로 헤드레스트(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10)은 아래쪽에 설치된 위치조절장치(12)를 통하여 앞뒤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20)은 상기 시트쿠션(10)의 후방에 설치되되, 이 시트쿠션(10)에 하부시트백(24)이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시트백(24)의 상부시트백(22)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시트백(22)은 상부에 헤드레스트(26)가 일체로 부착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1쌍의 고정봉(22a)이 아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백(24)은 상기 고정봉(22a)을 끼워서 고정지지하는 홀더부재(24a)가 내장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백(22)의 고정봉(22a)이 하부시트백(24)의 홀더부재(24a)에 삽입되어, 아래쪽에서 차례로 하부시트백(24), 상부시트백(22), 헤드레스트(26)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고정봉(22a)과 홀더부재(24a)는 결합수단을 통해 단계적으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10)과 시트백(20)이 겹치는 측면에 각도조절장치(28)가 설치되어 시트쿠션(10)에 대해서 시트백(2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시트를 리어시트에 대해 완전히 펼칠 경우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위치조절장치(12)를 통해 프론트시트를 앞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후, 하부시트백(24)으로부터 상부시트백(22)을 분리시킨 다음, 각도조절장치(28)를 통해서 하부시트백(24)을 뒤쪽으로 젖혀 리어시트쿠션(1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한다. 여기서, 상부시트백(22)은 수평을 이루는 하부시트백(24)의 하단에 받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하부시트백(24)이 아래쪽으로 처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시트백(20)이 상/하부시트백(22,24)으로 분할되어, 프론트시트를 리어시트에 간섭받지 않고 완전히 펼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프론트시트에 의하면, 프론트시트가 리어시트와 동일면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지게 됨으로써, 차실내의 활동공간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운전자나 탑승자들이 편안한 상태로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시트쿠션(10)과, 이 시트쿠션(10)의 후방에 설치된 시트백(20) 및, 이 시트백(20)의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26)로 구성된 차량용 프론트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20)은 상부시트백(22)과 하부시트백(24)으로 분할되되, 상기 상부시트백(22)에는 상부에 헤드레스트(26)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고정봉(22a)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하부시트백(24)에는 상기 고정봉(22a)을 삽입고정하는 홀더부재(24a)가 내장설치되어, 상기 상부시트백(22)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시트백(24)이 리어시트쿠션(30)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펼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시트.
KR2020000029612U 2000-10-24 2000-10-24 차량용 프론트시트 KR200217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12U KR200217508Y1 (ko) 2000-10-24 2000-10-24 차량용 프론트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12U KR200217508Y1 (ko) 2000-10-24 2000-10-24 차량용 프론트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508Y1 true KR200217508Y1 (ko) 2001-03-15

Family

ID=7309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612U KR200217508Y1 (ko) 2000-10-24 2000-10-24 차량용 프론트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5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022B2 (en) Vehicle seat system, especially for aircraft
JP2013244244A (ja) 車両用シート
JP2004131044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ート組立体
US20010038220A1 (en) Stowable rear seat tray table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KR200217508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
JP2003104103A (ja) 有用車両の運転室
JPH0116662Y2 (ko)
KR100366584B1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JP2007537088A (ja) キャンピングカー等のためのリクライニングベンチシート
KR100203493B1 (ko) 자동차 시트용 이중접이식 테이블
KR01173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200158474Y1 (ko) 자동차 시트의 머리받침대
JPH0618538Y2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アームレスト構造
KR0135112Y1 (ko) 시트후방으로 접혀지는 헤드레스트의 구조
KR20210125349A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19980040851U (ko) 자동차의 시트용 탁자
JPS646143Y2 (ko)
KR960007633Y1 (ko) 자동차용 베드쿠션 가동장치
KR200196787Y1 (ko) 3열시트의 고정장치
KR200161428Y1 (ko) 가변형 시이트
KR19980029306U (ko) 자동차 프런트시트의 시트백 구조
KR19980077703A (ko) 세퍼레이트 시트의 암레스트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20043892A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