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57Y1 -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57Y1
KR200147457Y1 KR2019940014050U KR19940014050U KR200147457Y1 KR 200147457 Y1 KR200147457 Y1 KR 200147457Y1 KR 2019940014050 U KR2019940014050 U KR 2019940014050U KR 19940014050 U KR19940014050 U KR 19940014050U KR 200147457 Y1 KR200147457 Y1 KR 200147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est
arm rest
rear seat
pivot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154U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14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57Y1/ko
Publication of KR960001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60N2/859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Abstract

승용차 뒷좌석(2)의 등받이 중간부에 헤드 레스트(8)를 설치하되, 이 헤드 레스트(8)가 통상의 아암 레스트(4)를 전개시킨 때는 뒷좌석(2)의 등받이 후방측으로 젖혀져 후방 시계의 장애가 되지 않게 하고, 또 반대로 아암 레스트(4)를 접어 넣었을 때는 뒷좌석(2)의 중간 등받이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어 뒷좌석(2)의 중간부에 탑승한 승객에게 헤드 레스트(8)가 제공되게 하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제2도는 헤드 레스트가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제3도는 헤드 레스트가 기립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뒷좌석 4 : 아암 레스트
8 : 헤드 레스트 10 : 가이더
12 : 슬라이드 축 14 : 구동링크
16 : 종동링크 20 : 축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 뒷좌석의 등받이 중간에 설치되는 아암레스트에 의해 중간좌석의 헤드 레스트가 연동되게 구성한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뒷좌석은 양 측방에 마련된 좌석의 등받이에 각각 헤드 레스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중간 좌석에는 통상적으로 운전중의 후방시계 장애를 이유로 헤드레스트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통상이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정황을 참작해서 뒷좌석에 3인 승차시에는 중간 좌석까지 헤드 레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 헤드 레스트는 2인 승차시에 후방으로 젖혀져서 운전자의 후방시계에 대한 장애로 되지 않게 하는 장치를 착안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용차 뒷좌석에 3인이 탑승하는 경우에만 헤드 레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뒷좌석의 등받이 중간부 상측에 헤드 레스트를 설치하되, 이 헤드 레스트는 아암 레스트의 전개시에 뒤로 젖혀져 후방 시계의 장애로 되지 않게 하고, 반대로 아암 레스트를 접어 넣은 때는 뒷좌석 등받이의 중간부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어 헤드 레스트로 제공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승용차 뒷좌석(2)의 등받이 중간부에 절첩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암 레스트(4)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승용차 뒷좌석(2)에 일체로 형성된 양측 헤드 레스트(6)의 사이에는 중간측 헤드 레스트(8)가 별개체로 배치되며, 또한 뒷좌석(2)의 등받이 내측에는 1쌍의 가이더(10)가 아암 레스트(4)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다.
상기한 가이더(10)에는 각각 슬라이드 축(12)이 활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승강하게 된다.
각각의 슬라이드 축(12)에는 아암 레스트(4)에 일단부가 힌지된 구동링크(14)의 타단부가 추축 연결되면서, 동시에 헤드 레스트(8)의 종동링크(16) 중간부에 일단부가 힌지되어 추축 연결된다.
상기한 종동링크(16)는 뒷좌석(2)의 등받이 중간부 내측에 고정 장착된 축수(20)에 의해 그 일단부가 힌지되고, 타단부는 헤드 레스트(8)의 양측면을 추축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링크(14)는 슬라이드축(12)에 의해 가이더(10)를 타고 이동 변화하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비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뒷좌석(2)에 2인이 탑승하였을 때 예상되는 상태도이다.
2인이 탑승한 경우에, 통상은 아암 레스트(4)를 전개시켜 놓게 되며, 이러한 아암 레스트(4)의 전개로 인하여 구동링크(14)는 슬라이드 축(12)을 가이더(10)의 하사점까지 끌어내려 주게 되면서 위치도 내려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종동링크(16)를 도면의 시계방향 X로 연동 선회시켜서 헤드 레스트(8)를 뒷좌석(2)의 후측으로 젖혀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 레스트(8)가 뒤로 젖혀짐에 따라 운전자는 후방시계의 장애를 느끼지 않게 된다.
또, 3인이 탑승한 때에 아암 레스트(4)는 탑승자에 의해 접혀지게 되며, 이렇게 아암 레스트(4)가 접혀 넣어진 상태는 제3도에 묘사되어 있다.
제3도에서, 아암 레스트(4)가 접혀 넣어 질 때, 구동링크(14)가 슬라이드 축(12)을 가이더(10)의 상사점까지 밀어 올리면서 종동링크(16)를 도면의 반시계방향 Y에 따라 연동 선회시키게 된다. 그 결과로 모든 링크(14)(16)는 대략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면서 헤드 레스트(8)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뒷좌석(2)의 후측으로부터 기립하게 되어 중간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헤드 레스트(8)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뒷좌석에 배치되는 아암 레스트의 절첩상태에 따라 중간측 헤드 레스트가 젖혀지거나 또는 등받이 상측으로 기립하게 됨으로써 뒷좌석에 3인이 탑승하였을 때에만 헤드 레스트가 기립 설치되어 중간의 탑승자가 겪게 되는 불편을 해소함과 동시에 2인 탑승시에는 중간의 헤드 레스트가 젖혀져서 운전자의 후방 시계에 장애로 작용하는 일이 없게 하는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Claims (1)

  1. 승용차의 뒷자석(2) 중간부에 배치되는 통상의 아암 레스트(4)와 상기한 뒷좌석(2)의 등받이 내측 중간부에서 상기한 아암 레스트(4)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가이더(10)와, 상기한 뒷좌석(2)의 등받이 내측의 상방에 배치되는 축수(20)와, 상기한 축수(20)에 일단부가 힌지된 종동링크(16)의 타단부로 추축 연결되어 상기한 뒷좌석(2)의 등받이 중간부 상측에서 기립 전도 가능하게 배치되는 헤드 레스트(8)와, 상기한 가이더(10)에 의해 정의되는 궤적을 타고 활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드 축(12)과, 상기한 아암 레스트(4)에 일단부가 힌지되고, 중간에서 상기한 슬라이드 축(12)에 추축 연결되는 슬라이드 축(12)으로 타단부가 추축 연결되어서 상기한 타 일단부가 종동링크(16)의 대략 중간부에 추축 연결되는 구동링크(14)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KR2019940014050U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KR200147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050U KR200147457Y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050U KR200147457Y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54U KR960001154U (ko) 1996-01-17
KR200147457Y1 true KR200147457Y1 (ko) 1999-06-15

Family

ID=1938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050U KR200147457Y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54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0261B1 (en) Vehicle rear seat device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JP2003063293A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WO1997028019A1 (en) A vehicle seat and armrest arrangement
KR200147457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JPH08258599A (ja) 自動車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乗用車
JPH0632165A (ja) 3人掛けの座席
JP3305575B2 (ja) 子供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48304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3268417B2 (ja) 自動車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乗用車
EP0748715B1 (en) Auxiliary seat for vehicles
CN220465299U (zh) 座椅、座椅系统和交通工具
KR1004107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JP4077389B2 (ja) 乗り物用座席
KR200144425Y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차 시트
JP4095008B2 (ja) 乗り物用座席
KR20050044210A (ko) 자동차용 풀-프랫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구조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50034042A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JP5445911B2 (ja) 車両用シートの構造
JP3807572B2 (ja) 簡易ベッド
KR0125227Y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의 절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