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316A -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 Google Patents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316A
KR19980025316A KR1019980013013A KR19980013013A KR19980025316A KR 19980025316 A KR19980025316 A KR 19980025316A KR 1019980013013 A KR1019980013013 A KR 1019980013013A KR 19980013013 A KR19980013013 A KR 19980013013A KR 19980025316 A KR19980025316 A KR 19980025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bracket
edge
suppor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근
이점판
Original Assignee
이부근
이점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근, 이점판 filed Critical 이부근
Priority to KR1019980013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316A/ko
Publication of KR1998002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316A/ko

Link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공장에서 코일형태로 권회되어 나오는 핫코일의 단부 에지부의 일정한 위치에 핫코일에 대한 각종정보가 표시된 라벨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은, 압연공장의 컨베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핫코일의 에지부 소정위치에 라벨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의 소정위치에는 일정간격으로 라벨을 접착대지와 분리시키면서 배출하는 라벨공급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라벨공급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된 로버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버트암(201)에는 상기 핫코일(1)의 에지부(4)를 감지하는 에지감지장치(400)와, 상기 에지감지장치(400)에 의해 감지된 에지부(4)의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하는 라벨부착장치(30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라벨공급장치(100)는 받침대(101)의 일측 상부에 라벨(2)이 수납된 라벨수납통(102)이 설치되고, 상기 라벨수납통(102)의 전방에는 다수의 에어분사구멍(103)이 형성되어 에어를 상향 분사시키는 테이블(104)이 실린더(105)에 의해 전후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104)의 선단부에는 테이블(104)의 상측으로 배출된 라벨(2)을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홀딩핀(106)이 실린더(107)에 의해 각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라벨부착장치(300)는 상기 로버트암(201)의 말단부측 소정위치에는 브라켓트(301)가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301)의 일측에는 1차브라켓트(302)가 설치되며, 상기 1차브라켓트(302)의 말단부에는 그리퍼브라켓트(303)가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그리퍼브라켓트(303)의 말단부에는 저면에 다수개의 공기흡입구멍(304)을 구비한 흡착플레이트(305)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301)와 그리퍼브라켓트(303)의 하부측 사이에는 실린더(301)에 의해 그리퍼브라켓트(303)를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탄력누름구(306)가 설치되고, 상기 흡착플레이트(305)의 전방측에는 선단부에 부착롤러(30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지지대(308)가 스프링(309)에 의해 하측으로 탄력이 작용하도록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에지감지장치(400)는 상기 로버트암(201)의 말단부에 L브라켓트(401)가 설치되고, 이 L브라켓트(401)에는 실린더(402)에 의해 승하강하는 거리측정봉(403)이 설치되며, 상기 L브라켓트(401)의 중앙부 소정위치에는 소정각도를 두고 가이드바(404)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바(404)에는 로드레스실린더(405)에 의해 승하강되는 슬라이더(406)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406)의 하단부에는 양측에 지지롤러(407)가 하향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소정길이의 로드부(408)가 상향돌출된 에지감지롤러(409)가 탄력적으로 하향설치되며 일측에는 선단부가 로드부(408)의 선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지지대(411)가 수직 설치된 텐션베이스(410)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411)와 로드부(408)의 선단부에는 힌지링크(412)를 지렛대형태로 설치하되, 로드부(408)와 지지대(411)와의 간격(a)보다 지지대(411)와 힌지링크(412)의 선단 접촉감지부(413)와의 간격(b)이 더 길게 설치하며, 상기 접촉감지부(413)의 하측에는 접촉감지부(413)와의 간극변화에 의해 에지부(4)를 최종적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4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본 발명은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공장에서 코일형태로 권회되어 나오는 핫코일의 단부 일정한 위치에 핫코일에 대한 각종정보가 표시된 라벨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으로 수출되는 핫코일에는 핫코일에 대한 재질이나 두께, 폭, 무게, 제조연월일, 가격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 라벨을 핫코일의 단부 일정한 위치에 부착하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핫코일단부의 일정위치에 라벨을 정확하게 부착시키기 위하여 초기에는 인력에 의존하여 부착하였으나, 다량으로 생산되는 핫코일에 라벨을 수작업에 의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비생산적이어서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라벨자동 부착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개발된 라벨자동 부착장치는 코일형태로 감긴 핫코일의 내부로 CCD카메라를 삽입한 뒤에 CCD카메라로서 핫코일의 에지부를 찾아낸 뒤에 라벨부착장치로서 에지부의 소정위치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이는 코일형태로 감긴 핫코일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그림자가 지거나 또는 긁힌 자국이 있을 경우에 상기 CCD카메라는 에지부와 그림자 등의 선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서 라벨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와, CCD카메라 등의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형태로 감은 핫코일의 내주연에 에지감지롤러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다가 에지감지롤러가 에지부를 통과시 발생하는 낙차를 지렛대식으로 증폭시켜 에지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위치를 거리측정봉으로 거리를 측정한 뒤에 라벨부착장치로서 정확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연공장의 컨베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핫코일의 에지부 소정위치에 라벨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접착대지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라벨이 라벨수납통(102)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라벨수납통(102)에 수납되어 있는 라벨이 접착대지와 분리되어 테이블(104)로 배출되며, 상기 접착대지와 분리된 라벨은 접착면이 하측 테이블(104)측으로 향하되, 테이블(104)에서 상향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테이블(104)에 라벨(2)이 붙지 않고 떠 있도록 한 상태에서 홀딩핀(106)으로 라벨(2)을 홀딩한 상태로 테이블(104)을 전후왕복 이동시켜 라벨(2)을 배출공급하는 라벨공급장치(100)와,
상기 테이블(104)의 상측에 떠 있는 라벨(2)을 공기흡입구멍(304)을 구비한 흡착플레이트(305)에 흡착시킨 뒤에 에지감지장치(400)에 의해 확인된 에지부(4)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롤러(307)로서 부착시키는 라벨부착장치(300)와,
지지롤러(407)와 에지감지롤러(409)를 로드레스실린더(405)로서 출몰 이동시켜 핫코일(1)의 내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지지롤러(407)와 에지감지롤러(409)를 회전시키다가 에지감지롤러(409)가 에지부(4)를 통과시 발생하는 낙차를 지렛대식으로 증폭시켜 에지부(4)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위치를 거리측정봉(403)으로 거리를 측정한 뒤에 라벨부착장치(300)로서 정확한 위치에 라벨(2)을 부착시키도록 하는 에지감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라벨공급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라벨부착장치의 구조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a는 에지감지장치 및 라벨부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b는 에지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b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핫코일 2. 라벨 3. 컨베어
4. 에지부
100. 라벨공급장치 101. 받침대 102. 라벨수납통
103. 에어분사구멍 104. 테이블 105. 실린더
106. 홀딩핀 107. 실린더
200. 로버트 201. 로버트암
300. 라벨부착장치 301. 브라켓트 302. 1차브라켓트
303. 그리퍼브라켓트 304. 공기흡입구멍 305. 흡착플레이트
306. 탄력누름구 307. 부착롤러 308. 롤러지지대
309. 스프링 310. 실린더
400. 에지(Edge)감지장치 401. L형 브라켓트 402. 실린더
403. 거리측정봉 404. 가이드바 405. 로드레스실린더
406. 슬라이더 407. 지지롤러 408. 로드부
409. 에지감지롤러 410. 텐션베이스 411. 지지대
412. 힌지링크 413. 접촉감지부 414. 감지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연공장의 컨베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핫코일의 에지부 소정위치에 라벨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도 1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베어(3)의 소정위치에는 일정간격으로 라벨(2)을 접착대지와 분리시키면서 배출하는 라벨공급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라벨공급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된 로버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버트암(201)에는 상기 핫코일(1)의 에지부(4)를 감지하는 에지감지장치(400)와, 상기 에지감지장치(400)에 의해 감지된 에지부(4)의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하는 라벨부착장치(30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라벨공급장치(100)는 도 2 및 도 5,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101)의 일측 상부에 라벨(2)이 수납된 라벨수납통(102)이 설치되고, 상기 라벨수납통(102)의 전방에는 다수의 에어분사구멍(103)이 형성되어 에어를 상향 분사시키는 테이블(104)이 실린더(105)에 의해 전후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104)의 선단부에는 테이블(104)의 상측으로 배출된 라벨(2)을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홀딩핀(106)이 실린더(107)에 의해 각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라벨부착장치(300)는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능한 로버트암(201)의 말단부측 소정위치에는 브라켓트(301)가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301)의 일측에는 1차브라켓트(302)가 설치되며, 상기 1차브라켓트(302)의 말단부에는 그리퍼브라켓트(303)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브라켓트(303)의 말단부에는 저면에 다수개의 공기흡입구멍(304)을 구비한 흡착플레이트(305)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301)와 그리퍼브라켓트(303)의 하부측 사이에는 실린더(301)에 의해 그리퍼브라켓트(303)를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탄력누름구(306)가 설치되고, 상기 흡착플레이트(305)의 전방측에는 선단부에 부착롤러(30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지지대(308)가 스프링(309)에 의해 하측으로 탄력이 작용하도록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지감지장치(400)는 도 7a 및 도 7b,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능한 로버트암(201)의 말단부에 L브라켓트(401)가 설치되고, 이 L브라켓트(401)에는 실린더(402)에 의해 승하강하는 거리측정봉(403)이 설치된다.
상기 L브라켓트(401)의 중앙부 소정위치에는 소정각도를 두고 가이드바(404)가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 가이드바(404)에는 로드레스실린더(405)에 의해 승하강되는 슬라이더(406)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406)의 하단부에는 양측에 지지롤러(407)가 하향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소정길이의 로드부(408)가 상향돌출된 에지감지롤러(409)가 탄력적으로 하향설치되며 일측에는 선단부가 로드부(408)의 선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지지대(411)가 수직 설치된 텐션베이스(410)가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411)와 로드부(408)의 선단부에는 힌지링크(412)를 지렛대형태로 설치하되, 로드부(408)와 지지대(411)와의 간격(a)보다 지지대(411)와 힌지링크(412)의 선단 접촉감지부(413)와의 간격(b)이 더 길게 설치하며, 상기 접촉감지부(413)의 하측에는 접촉감지부(413)와의 간극변화에 의해 에지부(4)를 최종적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4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연공장에서 코일형태로 감긴 핫코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어(3)에 적재되어 목적지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렇게 핫코일(1)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핫코일(1)의 내측 에지부(4)에 그 핫코일(1)의 각종정보가 표시된 라벨(2)을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핫코일(1)의 에지부(4)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라벨공급장치(100)에서 라벨(2)을 라벨부착장치(300)로 공급받아서 에지감지장치(400)를 핫코일(1)의 내주연으로 삽입시켜서 핫코일(1) 내측의 에지부(4)를 찾아서 라벨부착장치(300)로서 에지부(4)의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시키게 되는데, 라벨공급장치(100)로부터 라벨(2)이 공급되는 과정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5,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벨공급장치(100)의 테이블(104)이 라벨수납통(102)측으로 근접한 상태에서 라벨수납통(102)에서 접착대지에 부착되어 있던 라벨(2)이 분리되면서 접착면이 테이블(104)의 상면으로 향하도록 배출된다.
이때, 상기 라벨(2)의 접착면은 테이블(104)측으로 향한 상태이나 테이블(104)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에어분사구멍(103)을 통하여 에어가 상향 분사되므로 접착면이 하측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인데도 라벨(2)의 접착면이 테이블(104)의 상면에 붙지 않고 소정의 틈새를 두고 떠 있는 상태이다.
그 뒤, 테이블(104)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07)가 동작되면서 실린더(107)의 선단부에 각운동가능하게 힌지설치된 홀딩핀(106)이 각운동하여 홀딩핀(106)으로 테이블(104) 상측의 라벨(2)을 홀딩시키키게 되며, 그 뒤에 테이블이송용 실린더(105)가 동작하여 상면에 라벨(2)을 얹은 상태로 전방으로 테이블(104)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테이블(104)이 전방측으로 이동한 뒤에는 로버트(200)의 동작에 의해 로버트암(201)에 설치되어 있는 라벨부착장치(300)가 테이블(104)의 상측으로 이동해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벨부착장치(300)의 흡착플레이트(305)가 라벨(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테이블(104)의 상측으로 라벨부착장치(300)의 흡착플레이트(305)가 이동해온 뒤에는 실린더(107)가 하강하여 라벨(2)을 홀딩하고 있던 홀딩핀(106)이 라벨(2)의 홀딩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상기 라벨부착장치(300)의 흡착플레이트(305)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기흡입구멍(304)으로 에어를 흡입시키면 상기 흡착압력에 의해 테이블(104)의 상측에 떠 있던 라벨(2)이 흡착플레이트(305)의 저면에 달라붙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라벨(2)이 흡착플레이트(305)의 저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도 7a 및 도 7b,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부착장치(300)와 로버트암(201)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에지감지장치(400)의 지지롤러(407)와 에지감지롤러(409)가 로드레스실린더(405)에 의해 하강하면서 핫코일(1)의 내주면에 접촉하게되면, 로드레스실린더(405)의 동작이 정지되고 로버트암(201)의 회전에 의해 지지롤러(407)와 에지감지롤러(409)는 핫코일(1)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롤러(407)와 에지감지롤러(409)가 핫코일(1)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다가 지지롤러(407)와 에지감지롤러(409)가 에지부(4)를 통과하게 되면 지지롤러(407)는 에지부(4)를 탄력적으로 통과하나, 에지감지롤러(409)는 에지부(4)의 단차만큼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에지감지롤러(409)가 에지부(4)의 단차만큼 순간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에지감지롤러(409)의 상측에 연결된 로드부(408)가 상기 에지감지롤러(409)가 하강하는 낙차만큼 하강하게 되며, 이 승하강하는 로드부(408)의 선단부와 위치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411)의 선단부에 지렛대형태로 힌지설치된 힌지링크(412)는 로드부(408)가 하강하는 바대로 타측 접촉감지부(413)는 상측으로 각운동하여 지렛대식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힌지링크(412)는 로드부(408)의 선단부와 지지대(411)선단부의 간격(a)보다 지지대(411)선단부와 의 간격(b)이 더 길기 때문에 힌지링크(412)의 선단부에 설치된 접촉감지부(413)의 이동 폭이 증폭되면서 미세한 에지부(4)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촉감지부(413)의 이동 폭이 증가되면서 감지센서(414)와의 간극변화에 따라 에지부(4)를 감지하면 로버트암(201)의 회전이 정지되게 되고, 뒤이어 L브라켓트(401)에 설치된 실린더(402)의 동작에 의해 거리측정봉(403)이 하강하여 라벨(2)이 부착될 에지부(4)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거리측정봉(403)에 의해 라벨(2)이 부착될 거리를 측정한 뒤에는 라벨(2)이 흡착되어 있는 상기 라벨부착장치(300)에 신호를 보내어 로버트암(201)이 회전함과 동시에 탄력누름구(306)를 동작시키는 실린더(301)를 동작시켜서 부착롤러(307)로서 핫코일(1)의 에지부(4)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플레이트(305)가 탄력누름구(306)에 의해 하측으로 힌지식으로 눌리고 있으면서 부착롤러(307)가 스프링(309)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리기 때문에 라벨(2)을 핫코일(1)의 에지부(4) 소정위치에 단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은, 코일형태로 권회된 핫코일의 내주연에 에지감지롤러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다가 에지감지롤러가 에지부를 통과시 발생하는 낙차를 지렛대식으로 증폭시켜 에지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위치를 거리측정봉으로 거리를 측정한 뒤에 라벨부착장치로서 정확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음으로서, 장비의 오작동 없이 동작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압연공장의 컨베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핫코일의 에지부 소정위치에 라벨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의 소정위치에는 일정간격으로 라벨을 접착대지와 분리시키면서 배출하는 라벨공급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라벨공급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된 로버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버트암(201)에는 상기 핫코일(1)의 에지부(4)를 감지하는 에지감지장치(400)와, 상기 에지감지장치(400)에 의해 감지된 에지부(4)의 소정위치에 라벨(2)을 부착하는 라벨부착장치(30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라벨공급장치(100)는 받침대(101)의 일측 상부에 라벨(2)이 수납된 라벨수납통(102)이 설치되고, 상기 라벨수납통(102)의 전방에는 다수의 에어분사구멍(103)이 형성되어 에어를 상향 분사시키는 테이블(104)이 실린더(105)에 의해 전후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104)의 선단부에는 테이블(104)의 상측으로 배출된 라벨(2)을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홀딩핀(106)이 실린더(107)에 의해 각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라벨부착장치(300)는 상기 로버트암(201)의 말단부측 소정위치에는 브라켓트(301)가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301)의 일측에는 1차브라켓트(302)가 설치되며, 상기 1차브라켓트(302)의 말단부에는 그리퍼브라켓트(303)가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그리퍼브라켓트(303)의 말단부에는 저면에 다수개의 공기흡입구멍(304)을 구비한 흡착플레이트(305)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301)와 그리퍼브라켓트(303)의 하부측 사이에는 실린더(301)에 의해 그리퍼브라켓트(303)를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탄력누름구(306)가 설치되고, 상기 흡착플레이트(305)의 전방측에는 선단부에 부착롤러(307)가 회전 가능하다 설치된 롤러지지대(308)가 스프링(309)에 의해 하측으로 탄력이 작용하도록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에지감지장치(400)는 상기 로버트암(201)의 말단부에 L브라켓트(401)가 설치되고, 이 L브라켓트(401)에는 실린더(402)에 의해 승하강하는 거리측정봉(403)이 설치되며, 상기 L브라켓트(401)의 중앙부 소정위치에는 소정각도를 두고 가이드바(404)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바(404)에는 로드레스실린더(405)에 의해 승하강되는 슬라이더(406)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406)의 하단부에는 양측에 지지롤러(407)가 하향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소정길이의 로드부(408)가 상향돌출된 에지감지롤러(409)가 탄력적으로 하향설치되며 일측에는 선단부가 로드부(408)의 선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지지대(411)가 수직 설치된 텐션베이스(410)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411)와 로드부(408)의 선단부에는 힌지링크(412)를 지렛대형태로 설치하되, 로드부(408)와 지지대(411)와의 간격(a)보다 지지대(411)와 힌지링크(412)의 선단 접촉감지부(413)와의 간격(b)이 더 길게 설치하며, 상기 접촉감지부(413)의 하측에는 접촉감지부(413)와의 간극변화에 의해 에지부를 최종적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4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KR1019980013013A 1998-04-06 1998-04-06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KR19980025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13A KR19980025316A (ko) 1998-04-06 1998-04-06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13A KR19980025316A (ko) 1998-04-06 1998-04-06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316A true KR19980025316A (ko) 1998-07-06

Family

ID=6589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013A KR19980025316A (ko) 1998-04-06 1998-04-06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31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73B1 (ko) * 2002-11-12 2005-01-24 (주)오토엔 라벨자동부착장치의 라벨그립퍼
KR100501006B1 (ko) * 2001-08-03 2005-07-1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내경 끝단부 라벨부착 시스템
KR100760578B1 (ko) * 2001-11-13 2007-09-20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라벨지 부착방법
KR101514002B1 (ko) * 2014-02-27 2015-04-21 (주)신우기전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CN110199915A (zh) * 2019-07-02 2019-09-06 江苏宏盛景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检蛋机的整位装置
CN110316445A (zh) * 2019-07-31 2019-10-11 安徽华茂纺织股份有限公司 数字化纺织车间专用的rfid标签安装工具及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06B1 (ko) * 2001-08-03 2005-07-1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내경 끝단부 라벨부착 시스템
KR100760578B1 (ko) * 2001-11-13 2007-09-20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라벨지 부착방법
KR100467273B1 (ko) * 2002-11-12 2005-01-24 (주)오토엔 라벨자동부착장치의 라벨그립퍼
KR101514002B1 (ko) * 2014-02-27 2015-04-21 (주)신우기전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CN110199915A (zh) * 2019-07-02 2019-09-06 江苏宏盛景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检蛋机的整位装置
CN110199915B (zh) * 2019-07-02 2024-04-26 江苏宏盛景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检蛋机的整位装置
CN110316445A (zh) * 2019-07-31 2019-10-11 安徽华茂纺织股份有限公司 数字化纺织车间专用的rfid标签安装工具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7327B (zh) 自动贴标签机
KR19990071850A (ko) 라벨 작성 및 부착 장치와 이 장치의 작동방법
US20070022883A1 (en) Silkscreen printer machine and apparatus
CN115332120B (zh) 一种芯片自动检测封装装置
KR19980025316A (ko)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JP5765864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及びテーピングユニット
CN110890300A (zh) 一种卷料封装机及方法
JP5022851B2 (ja) ラベル貼付システム
CN112896591B (zh) 蓝膜上料式编带机
EP0120333B1 (en) Apparatus for packaging, weighing and labeling merchandise
KR20020004591A (ko) 라벨자동부착장치 및 그 방법
US4905445A (en) System for arranging chips in series
CN112572940A (zh) 一种自动称重扫码及贴标签设备
KR101673967B1 (ko) 불량 마킹용 스티커 공급 장치
CN215514538U (zh) 一种自动称重扫码及贴标签设备
CN210925963U (zh) 一种卷料封装机
CN211076464U (zh) 集成电路自动换载带测编一体机
WO2009035179A1 (en) Bad hanger detecting and removal apparatus for curing machine
JPH11114505A (ja) ディスクの板厚別仕分け装置
JPH07300119A (ja) 試験管ラベル自動貼着器
KR102523459B1 (ko) 라벨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라벨 부착 시스템
JPH03124538A (ja) ラベル貼着装置
CN217534908U (zh) 在线插标装置
KR20190047747A (ko) Rfid태그 검수시스템
CN209747474U (zh) 一种转塔式测试分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