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002B1 -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 Google Patents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002B1
KR101514002B1 KR1020140023716A KR20140023716A KR101514002B1 KR 101514002 B1 KR101514002 B1 KR 101514002B1 KR 1020140023716 A KR1020140023716 A KR 1020140023716A KR 20140023716 A KR20140023716 A KR 20140023716A KR 101514002 B1 KR101514002 B1 KR 10151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teel material
attaching
uni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신우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기전 filed Critical (주)신우기전
Priority to KR102014002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을 발행하는 발행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행부로부터 발행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에 부착핀으로 부착하는 부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부착부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라벨부착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Label attachment device and attach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강재에 라벨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 생산 공정에서는 각종 강재에 강재의 사양과 작업정보 등을 기재하고 있다.
생산된 강재의 특성을 통해 사용 용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러한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고온의 강재에 페인트로 마킹하여 정보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강재에 라벨을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을 발행하는 발행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행부로부터 발행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에 부착핀으로 부착하는 부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부착부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라벨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팔 및 상기 회전팔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팔은 상기 라벨이 발행되면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에 상기 라벨을 지지시키고, 상기 라벨이 지지된 후 상기 회전팔은 다시 원래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을 발사하는 부착건 및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건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건이 이동하여 강재에 위치하면 상기 강재를 감지하는 강재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착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재 감지부가 상기 부착건이 상기 강재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실린더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강재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라벨이 부착되기 전에 상기 강재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거될 이물질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물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강재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발행부에서 라벨을 발행하는 발행단계 상기 발행단계에서 발행된 라벨을 강재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에서 이송된 라벨을 부착핀으로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라벨부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는 이송부가 상기 발행부에서 발행된 라벨을 회전시켜 강재의 높이까지 라벨을 이동시키는 회전운동단계, 상기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한 라벨이 실린더에 의해 직선으로 이동하여 강재의 위치에 놓이는 직선운동단계 및 부착부에 마련된 강재 감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강재감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부착부에 마련된 부착건이 상기 부착핀을 발사하여 부착핀으로 상기 라벨을 상기 강판에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부착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이물질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는 상기 강재의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위치의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부가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이물질 감지부가 이물질의 제거 위치를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라벨부착장치는 강재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부착핀으로 정보가 기재된 라벨을 강재에 부착함으로써, 냉각시 발생하는 스케일에 의해 떨어져 나갈 우려가 없으며, 부착핀에 의해 단단히 부착되고, 고온의 강재에 부착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라벨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2는 라벨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부착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라벨부착장치를 상부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가요성 패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이면 무엇이든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부착장치를 상부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라벨부착장치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장치(1)는 베이스부(100), 발행부(110) 및 이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본 발명 라벨부착장치(1)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발행부(11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행부(110)로부터 발행된 라벨을 라벨부착장치(1)가 강재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베이스부(100)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행부(110)는 부착될 강재의 사양 또는 작업정보 등이 기재된 라벨을 발행할 수 있다. 상기 라벨은 종이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발행부(110)는 종이를 발행하는 프린터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금속을 생산해 내는 금속 라벨을 발행하는 기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강재의 사양 또는 작업정보 등을 기록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강재에 수작업으로 페인트 마킹을 하였다. 페인트 마킹시에 강재의 온도는 약600도씨 에서 약800도씨의 고온으로 작업자가 페인트 마킹을 함에 있어서 안전 사고의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강재의 생산 과정에서 강재의 표면에 많은 이물질 등이 발생할 수 있고 강재의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가 있어 이러한 상태의 강재에 페인트 마킹을 하는 경우 마킹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페인트 마킹을 할 당시에는 강재가 매우 고온이나 마킹을 한 이후에 강재가 냉각되면서 강재의 표면에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발생한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면서 굳어진 페인트 마킹이 함께 떨어져나가 강재의 사양/ 작업 정보 등이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장치(1)를 이용하여 강재의 사양/ 작업 정보가 기재된 라벨을 발행하여 부착핀으로 라벨을 강재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발행부(110)로부터 발행된 라벨은 강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발행부(110)로부터 발행된 라벨을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31), 회전팔(133) 및 지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팔(133)은 상기 회전축(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1)과 함께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5)는 상기 회전팔(133)에 설치되며 상기 발행부(110)로부터 발행된 라벨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5)는 상기 회전팔(133)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130)의 일단에 라벨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5)는 라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으로든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135)는 흡착 패드로 구비될 수 있다. 라벨이 금속 재질으로 마련되는 경우, 진공상태에서 상기 흡착 패드에 흡착 시켜 라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라벨이 상기 지지부(13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강재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바 이동 시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팔(133)은 평상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행부(110)로부터 라벨이 발행되면, 라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팔(133)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팔(133)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131)이 위치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13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지부(135)가 강재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던 회전팔(133)이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35)가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약 9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팔(133)이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5)를 발행된 라벨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5)가 라벨의 위치에 놓이게 되면 라벨은 상기 지지부(135)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된다.
라벨이 상기 지지부(135)에 지지된 후 상기 회전팔(133)은 상기 회전축(131)과 함께 다시 회전할 수 있다. 발행된 라벨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한 경로로 반대로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의 위치에 상기 이송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35)가 위치한 일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던 회전팔(133)이 회전축(131)과 함께 포물선을 그리며 약 90도 회전하여 라벨이 지지된 상태의 지지부(135)가 위치한 일단이 강재의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라벨부착장치의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장치(1)는 상기 이송부(130)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5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50)는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된 라벨을 강재에 부착핀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50)는 몸통부(151),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는 부착건(153) 및 상기 부착건(153)의 일측에 위치하는 강재 감지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건(153)은 라벨을 강재에 부착시키는 상기 부착핀(미도시)를 발사할 수 있다.
상기 라벨은 다양한 방법으로 강재에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부착건(153)을 이용하여 부착핀에 의해 라벨을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부착핀이 강재의 내부까지 박혀 라벨을 안정적으로 강재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건(153)에서 부착핀이 발사될 때 부착핀이 받는 힘이 부착핀이 강재에 박힐 때 강재에 전달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벨부착장치(1)는 라벨을 부착건(153)을 이용해 부착핀에 의해 강재에 부착시키므로 라벨이 안정적으로 단단히 부착되어 강재 생산 과정에서 떨어질 우려가 없다.
상기 부착건(153)은 부착핀이 발사되는 노즐(1530) 및 방아쇠 실린더(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15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51)의 전방에 두께가 얇고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라벨이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1530)으로부터 부착핀이 발사되므로 라벨의 일면에 강재가 위치하고 반대면에는 상기 노즐(1530)이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아쇠 실린더(15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5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라벨과 상기 노즐(1530)이 강재의 부착 위치에 놓이면 상기 방아쇠 실린더(1540)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노즐(1530)로부터 부착핀이 발사되어 라벨이 강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강재 감지부(155)는 상기 몸통부(151)에 설치되며 라벨과 노즐(1530)이 강재에 위치하면 강재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부착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실린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70)는 본 발명 라벨부착장치(1)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70)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부(150) 및 상기 이송부(130)가 인접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린더(170)가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00), 상기 부착부(150) 및 상기 이송부(130)가 일체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상기 발행부(110)에서 발행된 라벨을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시킬 수는 있으나 한 번에 강재에 라벨을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라벨을 이동시키기는 어렵다.
이에, 직선운동 하는 실린더(170)를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부착부(150) 및 라벨이 지지된 상태의 이송부(130)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된 라벨(10)은 상기 부착부(150) 및 상기 이송부(130)와 함께 부착될 강재의 위치까지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강재의 라벨이 부착될 위치까지 이송부(130), 부착부(150), 라벨(10)이 이동한 경우에는 직선 운동을 정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강재 감지부(15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재 감지부(1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50)의 몸통부(151)에 설치되어 강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 라벨부착장치(1)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50) 및 상기 라벨(10)가 강재(20)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감지부(155)가 강재(20)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17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재부(155)가 상기 강재(20)를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170)의 직선 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라벨부착장치를 상부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본 발명 라벨부착장치(1)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부(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20)에 위치하여 라벨(10)이 부착되기 전에 강재(2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강재에 이물질이 발생된 상태에서 라벨을 부착하게 되면 강재의 표면이 고르지 않아 부착시 어려움이 있고 부착된 뒤에도 이물질이 제거된 표면에 라벨을 부착한 경우보다 부착의 견고성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라벨을 부착하기 전에 상기 이물질제거부(190)에 의해 강재(2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제거부(190)는 상기 강재(20)에 대해 이동하며 강재(2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제거부(190)는 일정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고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이동하며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 라벨부착장치(1)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이물질 감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감지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190)의 일측에 위치하며 강재(20)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이물질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 감지부(210)가 강재(20)의 라벨(10)이 부착될 위치에 이물질이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물질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190)가 횡행하며 강재(20)의 피막을 제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방법은 발행단계(S10), 이송단계(S30) 및 부착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발행부(110)로부터 강재(20)의 사양 및/또는 작업 정보 등이 기재된 라벨(10)을 발행하는 발행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행단계(S10)에서 발행된 라벨(10)은 상기 발행부(110)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를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발행단계(S10)가 종료된 후 이송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송단계(S30)는 상기 발행단계(S10)에서 발행된 라벨(10)을 강재(20)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송단계(S30)는 라벨(10)이 강재(20)의 높이까지 이동하는 회전운동단계(S31), 강재(20)의 높이까지 이동한 라벨(10)이 강재(20)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직선운동단계(S33) 및 강재(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강재감지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운동단계(S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에 포함된 회전팔(133)이 회전축(131)과 함께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라벨(10)을 강재(20)의 높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운동단계(S31)에서는 단순히 라벨(10)을 강재(20)의 높이까지만 이동시키므로 강재(20)의 정확한 위치에 라벨(10)을 부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직선운동단계(S33)에서 라벨(10)을 직선으로 강재(20)의 부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운동단계(S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부착된 실린더(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단계(S33)에 의해 라벨(10)이 이동하다가 강재의 위치에 놓이면 상기 강재 감지부(155)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강재 감지부(155)가 강재(20)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린더(170)의 이동이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단계(S30)가 종료되어 라벨(10)이 부착하고자 하는 강재(20)의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부착단계(S9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착단계(S90)는 부착건(153)에서 부착핀을 발사하여 라벨(10)을 강재(20)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부착단계(S90)에 의해 부착핀으로 라벨(10)이 강재(20)에 견고하게 부착되면 본 발명 라벨부착방법이 종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부착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발행단계(S10), 이송단계(S30), 부착단계(S90)를 포함하며 순차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강재(20)의 표면에 이물질이 발생된 상태에서 라벨(10)을 부착하게 되면 라벨(10)의 부착의 견고성이 저하되며 강재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라벨(10) 부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단계(S30)가 수행된 후 상기 부착단계(S90)가 수행되기 전에 이물질 제거 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70)에서 라벨(10)이 부착될 위치의 강재(20)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질 제거부(19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단계(S30)가 수행된 후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70)가 수행되기 전에 이물질 감지 단계(S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강재(20)에 발생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이물질 감지부(210)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한 후에 이물질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송단계(S30)가 수행된 후 먼저 이물질 감지부(210)로부터 이물질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 단계(S50) 및 이물질 제거 단계(S70)를 수행한 후 상기 부착단계(S90)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단계(S90)에 의해 부착핀으로 라벨(10)이 강재(20)에 견고하게 부착되면 본 발명 라벨부착방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라벨부착장치 10: 라벨 20: 강재
100: 베이스부 110: 발행부 130: 이송부
131: 회전축 133: 회전팔 135: 지지부
150: 부착부 151: 몸통부 153: 부착건
155: 강재 감지부 170: 실린더 190: 이물질 제거부
210: 이물질 감지부

Claims (12)

  1. 강재에 라벨을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을 발행하는 발행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행부로부터 발행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에 부착핀으로 부착하는 부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부착부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라벨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팔; 및
    상기 회전팔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라벨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팔은 상기 라벨이 발행되면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에 상기 라벨을 지지시키고, 상기 라벨이 지지된 후 상기 회전팔은 다시 원래 상태로 회전하는 라벨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을 발사하는 부착건; 및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건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건이 이동하여 강재에 위치하면 상기 강재를 감지하는 강재 감지부;를 포함하는 라벨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착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재 감지부가 상기 부착건이 상기 강재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실린더를 정지시키는 라벨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강재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라벨이 부착되기 전에 상기 강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라벨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거될 이물질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라벨부착장치.
  8. 강재에 라벨을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행부에서 라벨을 발행하는 발행단계;
    상기 발행단계에서 발행된 라벨을 강재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에서 이송된 라벨을 부착핀으로 상기 강재에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라벨부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는 이송부가 상기 발행부에서 발행된 라벨을 회전시켜 강재의 높이까지 라벨을 이동시키는 회전운동단계;
    상기 강재의 높이까지 이동한 라벨이 실린더에 의해 직선으로 이동하여 강재의 위치에 놓이는 직선운동단계; 및
    부착부에 마련된 강재 감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강재감지단계;를 포함하는 라벨부착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부착부에 마련된 부착건이 상기 부착핀을 발사하여 부착핀으로 상기 라벨을 상기 강재에 부착하는 라벨부착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부착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이물질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는 상기 강재의 상기 라벨이 부착되는 위치의 이물질을 이물질 제거부가 제거하는 라벨부착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이물질 감지부가 이물질의 제거 위치를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벨부착방법.
KR1020140023716A 2014-02-27 2014-02-27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KR10151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716A KR101514002B1 (ko) 2014-02-27 2014-02-27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716A KR101514002B1 (ko) 2014-02-27 2014-02-27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002B1 true KR101514002B1 (ko) 2015-04-21

Family

ID=5305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716A KR101514002B1 (ko) 2014-02-27 2014-02-27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0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16A (ko) * 1998-04-06 1998-07-06 이부근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KR19990011541A (ko) * 1997-07-24 1999-02-18 김종진 강판의 라벨부착장치
JP2009126528A (ja) * 2007-11-20 2009-06-11 Daido Steel Co Ltd ラベル貼付装置
JP2011020688A (ja) * 2009-07-13 2011-02-03 Lintec Corp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41A (ko) * 1997-07-24 1999-02-18 김종진 강판의 라벨부착장치
KR19980025316A (ko) * 1998-04-06 1998-07-06 이부근 핫코일용 라벨부착머신
JP2009126528A (ja) * 2007-11-20 2009-06-11 Daido Steel Co Ltd ラベル貼付装置
JP2011020688A (ja) * 2009-07-13 2011-02-03 Lintec Corp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30B1 (ko)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US6080250A (en) Device for preparing and applying labels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TE458610T1 (de) Druckvorrichtung
TWI448677B (zh) Marking device
JP4755452B2 (ja) 接着剤塗布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ラベル貼付装置、並びに接着剤の膜厚測定方法
US5849143A (en) Precision label application
CN104441936A (zh) 一种全自动触摸屏印刷机
US20170166344A1 (en) Method, a transfer drum and an apparatus for labeling articles
KR101514002B1 (ko)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방법
JP2007176494A (ja) ラベル貼付装置およびラベル貼付システム
JP2017001724A (ja) ラベル貼付装置
JP6928363B2 (ja) ラベル貼付装置
US8733416B2 (en) Label applicator
JP2011057248A (ja) ラベル貼り付け装置
KR20170104033A (ko) 스크라이빙 장치
EP2758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labels
KR101200783B1 (ko) 라벨부착장치
JP3625443B2 (ja) びんの肉厚計測装置および肉厚計測方法
JP6260302B2 (ja) ラベラ
JP2012209395A (ja)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KR10260591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CN107999337A (zh) 一种用于印刷包装的点胶取料机构
JP5324148B2 (ja) ラベル貼付装置
KR101991266B1 (ko) 스크라이빙 장치
JP2006272292A (ja) 粘性流体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