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199U -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199U
KR19980024199U KR2019960037588U KR19960037588U KR19980024199U KR 19980024199 U KR19980024199 U KR 19980024199U KR 2019960037588 U KR2019960037588 U KR 2019960037588U KR 19960037588 U KR19960037588 U KR 19960037588U KR 19980024199 U KR19980024199 U KR 19980024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affle
flow
tank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1029Y1 (ko
Inventor
김신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0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2Floats in the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유동 방지용 베플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연료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판 형상의 베플을 연료탱크 내부에 용접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용접부위에 틈이 발생할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증기가 누설되거나, 연료탱크의 잔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베플이 연료유동에 따른 소음을 확실히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료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는 베플을 연료탱크(100) 내에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10)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는 내연료성 고무(220)가 덮혀져 있는 플로터 형태의 베플(200)을 구성하므로써, 플로터 형태의 베플(200)이 연료의 표면 위에 놓여져 연료의 유동에 따라 상기 베플(200)이 연료와 밀착되어 함께 유동되게 되므로 연료의 유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연료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연료가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연료증기의 양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의 유동 방지용 베플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는 턴시드(주석-납도금강판)에 의한 상,하 또는 전, 후 2 부품의 프레스 성형품을 팥고물넣은 과자식으로 외주 플랜지부를 심용접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또 트럭에 있어서는 강판을 장방형단면으로 말아서 양끝의 뚜껑판과 스포트용접한 다음 말아죄어서 접합부에 땜납을 쌓아올린 것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것은 프레스형 비용이 삭감되어 소량생산에 알맞다.
그리고 연료탱크는 강철제인 것 외에 수지제의 것이 있다. 수지제의 탱크는 성형의 자유도가 높고, 경량이며, 녹쓸지 않는다는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확대되어 나갈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지는 연료가 투과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각종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다. 실용화되어 있는 것으로는 연료탱크의 성형시 F₂가스를 불어넣는 슬폰화처리 및 나일론 층을 사이에 끼우는 다층성형 등이 있다. 다만 불화처리와 슬폰화처리는 가스자체에 독성이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의 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연료연료증기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연료계를 폐쇄계로 해서 연료증기를 캐니스터내의 입상활성탄에 흡착시키는 시스템을 채용한다. 그리고 흡착된 가솔린 성분은 엔진인테이크내의 음압을 이용하여 캐니스터에서 엔진으로 빨려들어서 연소된다. 그리고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연료 잔량계로 신호를 보내는 기능이 있는데, 이에는 플로터암식과 버티컬식이 있다. 상기 플로터암식은 플로터의 부력을 이용하여 연료의 액면을 감지하고 플로터의 위치를 그 회전중심 근처에 설치한 저항판에서 전기저항값으로 바꿔어놓는 구조이며, 플로터암식은 구조가 단순하고 값이 싼 반면, 액면요동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액면변동이 적은 곳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버티컬식은 접점을 내장한 플로터가 섭동축을 겸한 저항판에 대하여 연료의 액면을 감지해서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저항판의 섭동길이를 길게 잡을 수 있어서 플로터식에 비하여 더 자세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는 기화기타입에서는 엔진으로 짜넣어진 메커니컬펌프로 뽑아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료의 분사량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인덱센타입 엔진에서는 연료탱크 내에 전기식 펌프를 배치하는 것이 주류이다. 이런 까닭은 연료탱크 내의 펌프로서 엔진으로 연료를 보내기 위하여 연료배관내가 정압으로 되어 베이퍼록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연료 공급계에서의 유량변동이나 엔진근처에서의 열에 의한 베이퍼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량의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고 잉여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리턴계를 설정해서 연료를 순환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의 흡입구에는 이물이나 물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연료의 잔량이 적은 경우의 선회시나 경사시, 연료의 요동에 의한 공급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부에 연료를 확보하는 선회조를 설정하여 안정적인 연료공급을 하고 있다.
또한 탱크내에서 뽑아올린 연료는 파이프나 고무호스에 의해서 도중에 스트레이너를 거쳐 엔진으로 공급된다. 연료파이프는 내면 또는 양면에 구리도금을 한 띠장을 파이프형으로 둥글게 하여 이음새를 전기저항용접한 것을 쓰고 있다. 그리고 통상 방청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면에는 아연도금 또는 주석-납도금을 한 위에 수지피막을 코팅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나일론계의 수지파이프를 채용하고 있는 것도 있다.
그리고 연료탱크 내에는 주행중 연료의 급격한 유동에 의한 소리와 연료계 플로터의 변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료탱크의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해주기 위하여 베플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10)의 내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격판과 같은 베플(20)을 제작하여 연료탱크(10) 내부에 용접하여 설치하였는데, 이는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용접부위에 틈이 발생하게 되면 연료의 연료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갈 우려가 있고, 상기 틈새로 연료가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료의 잔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베플(20)이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있는 연료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베플을 구성하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를 다수개가 연설되도록 하고 그 외주연은 내연료성 고무가 덮혀져 있는 플로터 형상의 베플을 형성하므로써, 연료의 증발 표면적을 감소시켜 연료증기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연료가 유동되는 폭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자동차 연료 유동 방지용 베플을 제공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연료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는 베플을 연료탱크 내에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는 내연료성 고무가 덮혀져 있는 플로터 형태의 베플을 구성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료의 표면 위에 설치되어 연료의 유동에 따라 상기 베플이 연료와 밀착되어 함께 유동되게 되므로 연료의 유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연료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연료가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연료증기의 양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료탱크 200 : 베플
210 : 몸체 211 : 중공부
220 : 내연료성 고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베플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료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는 베플을 연료탱크(100) 내에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10)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는 내연료성 고무(220)가 덮혀져 있는 플로터 형태의 베플(20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0)은 연료 펌프(300)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탱크(100)에 있던 연료가 주행중 급격한 유동을 하게되어 소리가 날 경우, 플로터 형태의 베플(200)이 연료의 표면위에 놓여 상기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있는 것이며, 연료의 증발표면적을 상기 베플(200)이 감소시키므로 연료가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연료증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연료의 표면 위에 놓여진 베플(200)은 연료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연료와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연료의 유동과 함께 유동을 하게 되므로, 연료의 심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연료의 잔유량 적을 경우에도 상기 베플(200)이 표면에 밀착되어 유동을 최대한 감소켜 출렁거리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료탱크(100) 내에서 베플(200)이 유동시, 다수개가 연설된 몸체(210)의 외주연이 내연료성 고무(220)에 의해 덮혀져 베플(200)과 연료탱크(100) 내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료탱크(100)의 연료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연료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연료증기는 연료탱크(100)의 압력을 상승시켜, 연료탱크(100)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대기오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연료의 증발표면적을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료의 증발표면적을 베플(200)이 최대한 줄여줄 수 있으므로 연료증기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베플을 플로터 형태로 연료의 표면에 설치하여 놓으므로써, 연료와 상기 베플이 밀착되어 연료의 급격한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연료증기가 발생하게 되는 연료 증발표면적이 상기 베플로 인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연료증기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는 베플(baffle)을 플로터(floater)형태로 하여 연료의 표면에 항시 떠있도록 하므로써, 연료의 증발 표면적을 줄여 연료증기의 양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료의 잔유량이 적을 경우, 연료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연료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는 베플을 연료탱크(100) 내에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10)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는 내연료성 고무(220)가 덮혀져 있는 플로터 형태의 베플(20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의 유동 방지용 베플.
KR2019960037588U 1996-10-31 1996-10-31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KR200141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88U KR200141029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88U KR200141029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99U true KR19980024199U (ko) 1998-07-25
KR200141029Y1 KR200141029Y1 (ko) 1999-04-01

Family

ID=1947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588U KR200141029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0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85B1 (ko) * 2003-10-15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의 구조
KR100508175B1 (ko) * 2002-12-04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87B1 (ko) * 2008-11-25 2009-04-09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레져용 선박의 연료탱크 안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75B1 (ko) * 2002-12-04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KR100508185B1 (ko) * 2003-10-15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1029Y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693B1 (en) Vapor canister and fuel tank assembly
CA1258004A (en) Marine propulsion device fuel distribution system
US7279095B2 (en) Fuel supply device
US6179145B1 (en) Serviceable sealed fuel tank
US6807952B1 (en) Fuel tank and fuel flow control device
JP3274084B2 (ja) キャニスタ
US7617851B2 (en)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US6964268B2 (en) Fuel tank having a venting system
JPH10184466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9980024200U (ko) 자동차 연료의 유동 방지용 베플
KR19980024199U (ko) 자동차 연료의 유동방지용 베플
KR19980024197U (ko) 자동차 연료의 유동 방지구조
JP2007223534A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CN110792538A (zh) 汽车燃油装置
CN206206040U (zh) 用于车载加油油气系统的集成式燃油泵
KR0120244Y1 (ko) 자동차용 연료장치의 연료탱크
CN219220610U (zh) 燃油系统和具有其的车辆
CN214305808U (zh) 一种三通接头
RU72523U1 (ru)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клапан
KR100289558B1 (ko) 자동차 연료장치의 연료펌프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링 결합구조
KR100205996B1 (ko) 자동차용 연료 공급 장치
KR19990026417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구비된 롤오버 밸브
KR200193478Y1 (ko) 차량용 연료펌프 플랜지
KR100232080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100427076B1 (ko) 캐니스터 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