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961A - 디스크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961A
KR19980023961A KR1019970007753A KR19970007753A KR19980023961A KR 19980023961 A KR19980023961 A KR 19980023961A KR 1019970007753 A KR1019970007753 A KR 1019970007753A KR 19970007753 A KR19970007753 A KR 19970007753A KR 19980023961 A KR19980023961 A KR 1998002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turntable
guide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사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신사쿠 다나카
다나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사쿠 다나카, 다나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사쿠 다나카
Publication of KR1998002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경우에 따라서는 정보의 기록도)실시하는 디스크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간단하고 또 소형이며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디스크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디스크(6)를 좌우 한쌍의 디스크가이드(4)에 따라 삽입하고 디스크에서 디스크되밀음부재(40)를 밀어넣으면서 디스크를 턴테이블(5)상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이젝트부재(8)이 복귀하고, 이에 연동해서 디스크되밀음부재 및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하여 클램퍼(22)에 의해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며, 또 이젝트부재를 밀어넣음조작하면 디스크가 턴테이블로부터 해방되어 한쌍의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에 걸어맞춤하고 이어서 디스크되밀음부재의 복귀에 따라 디스크되밀음부재에서 디스크를 장치 외부로 향해서 되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재생장치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경우에 따라서는 정보의 기록도)실시하는 디스크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CD, VCD, DVD, CD-ROM 등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하는 디스크재생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치내에 삽입된 디스크를 반송기구에 의해 소정위치까지 끌어넣은 후 세팅기구에 의해 클램퍼를 이동해서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고 계속해서 반송기구를 디스크로부터 이반시켜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픽업에 의해 정보의 재생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종류의 디스크재생장치는 디스크반송장치와 세팅기구를 설치하고 또 이들의 기구를 구동하는 수단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또 대형이 되며 또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또 소형이며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디스크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재생장치는 디스크를 좌우 한쌍의 디스크가이드에 따라서 삽입하고 디스크에서 디스크되밀음부재를 밀어넣으면서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이젝트부재가 복귀하고 이것에 연동해서 디스크되밀음부재 및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한다.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하고 있을 때는 클램퍼가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킬 위치에 있고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와 걸어맞춤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는 클램퍼는 턴테이블로부터 이반한 위치에 있다.
또 이젝트부재를 밀어넣음조작하면 한쌍의 디스크가이드가 턴테이블상의 디스크에 걸어맞춤하고 계속해서 디스크되밀음부재의 복귀에 따라 디스크되밀음부재에서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장치 외부를 향해서 되민다.
이 구성에서는 디스크삽입은 최후까지 손으로 밀어넣음에 의해 실시하고 디스크의 꺼냄은 디스크되밀음부재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디스크반송기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디스크는 좌우 한쌍의 디스크가이드에 따라서 턴테이블상에 이끌고 한쌍의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함에 따라 클램퍼가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세팅기구도 각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들의 기구를 구동하는 수단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구성이 간단하고 또 소형이 되면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발명은 디스크삽입시는 디스크에서 디스크가이드를 밀어넣어가고 디스크의 꺼냄은 디스크가이드에서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장치 외부를 향해서 되미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그리고 이젝트부재가 복귀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이젝트부재에서 디스크가이드를 디스크로부터 이반시켜두고 이젝트부재의 밀어넣음조작에 의해 디스크가이드를 복동(復動)시킨다. 또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하고 있을 때는 클램퍼가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는 위치에 있고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와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클램퍼가 턴테이블로부터 이반한 위치에 있다.
이 구성에서는 디스크를 삽입할 때 디스크에서 디스크가이드를 밀어넣어가면서 삽입하고 디스크의 꺼냄은 디스크가이드에서 디스크를 되밀음하는 것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역시 디스크반송기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디스크는 디스크가이드에 의해 턴테이블상에 이끌어지고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하고 있을 때는 클램퍼가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세팅기구도 각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들의 기구를 구동하는 수단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구성이 간단하고 또 소형이 되고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메인샤시를 생략한 평면도.
도 3은 메인샤시를 생략한 평면도.
도 4는 메인샤시를 생략한 평면도 및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일부단면도.
도 6은 우측면도.
도 7은 턴테이블 및 클램퍼의 단면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의 사시도.
도 9는 디스크가이드의 단면도.
도 10은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1은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을 일부단면으 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을 일부단면으 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턴테이블 6: 디스크
8: 이젝트부재 14, 50, 70, 80: 디스크가이드
22: 클램퍼 40: 디스크되밀음부재
52: 걸음기구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재생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예를 들면 차량적재용으로써 사용되는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A)는 메인샤시를 생략한 평면도, 도 4(B)는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B)는 일부단면도, 도 6은 우측면도, 도 7은 이 장치에 사용되는 턴테이블 및 클램퍼의 단면도이다.
메인샤시(1)는 좌우에 아랫쪽으로 접어구부러진 측판(2)(우측의 측판만 도시한다)을 갖고, 이 좌우측판 사이에 서브샤시(3)가 고정되어 있다(도 1, 도 5).서브샤시(3)의 아랫면측에는 모터(4)가 고정되고 서브샤시(3)의 윗면측에 배치된 턴테이블(5)은 모터(4)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서브샤시(3)에는 또한 디스크(6)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픽업(7)이 장착되고 이 픽업(7)에서는 디스크(6)의 일부를 장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디스크(6)의 기록정보재생이 이루어진다(도 4(A)).
메인샤시우측판(2)의 외면에는 이젝트부재(8)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자유롭게 장착되고 이젝트부재(8)와 우측판(2)의 사이에 놓여진 인장스프링(9)에서 이젝트부재(8)에 대해 장치 전방으로 향하는 복귀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젝트부재(8)는 내측을 향해서 접어구부림형성된 접어구부린 작은조각(8a)을 가지는 동시에 윗쪽으로 돌출하는 캠핀(10) 및 걸어맞춤돌기(11)를 구비하고 있다(도 1, 도 6).
상기 메인샤시(1)의 전단부에는 디스크(6)를 착탈하는 디스크착탈구(12)를 구비한 합성수지부재(13)가 고정되어 있다(도 1). 착탈구(12)의 높이위치는 메인샤시(1)보다 약간 아랫쪽에 설정되고 그 좌우단부의 상하방향칫수는 디스크(6)의 두께칫수에 맞추어서 설정되지만 중간부분에서는 상하방향칫수를 조금 큰 듯이 설정하여 디스크(6)의 삽입을 쉽게 하고 있다.
상기 메인샤시(1)의 윗면에는 좌우 한쌍의 디스크가이드(14)가 장착되어 있다. 양 가이드(14)는 좌우대칭의 L형상을 이루고 메인샤시(1)전단의 좌우단부에 있어서, 각 굴곡부분이 지지축(15)을 지점으로 하여 수평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양 가이드(14)는 서로 연동관계를 가지도록 각 한변의 단부를 서로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또 각 가이드(14)의 다른 변은 아랫쪽으로 늘어뜨리고 각 늘어뜨림부의 내측에 메인샤시(1)의 아랫측면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홈(16)을 구비하고 있다(도 5). 이들의 가이드홈(16)은 디스크(6)의 외부둘레부를 안내하는 것으로써 그 높이위치 및 상하방향칫수는 상기 착탈구(12)의 좌우단부의 높이위치 및 상하방향칫수에 맞추어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양 디스크가이드(14)는 스프링(17)에 의해 서로의 가이드홈(16)을 이반시키는 방향의 회전운동력이 부여되고 있다.
상기 각 디스크가이드(14)의 다른 변에는 클램퍼지지판(18)이 지지축(19)을 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각 클램퍼지지판(18)은 아랫쪽을 향해서 경사하는 경사편(20)을 갖고, 메인샤시(1)에는 각 경사편(20)에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도 5). 그리고 재생동작이 실시되고 있을 때는 도 5(B)와 같이 양 클램퍼지지판(18)이 이반해서 각 경사편(20)을 걸어맞춤구멍(21)내에 깊게 삽입시키고 있다.
그런데 양 디스크가이드(14)가 서로의 가이드홈(16)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양 클램퍼지지판(18)은 서로 접근하고 각 경사편(20)을 걸어맞춤구멍(21)의 내측틀에 슬라이딩접촉시키면서 윗쪽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양 가이드홈(16)이 서로 평행하게 되면 양 클램퍼지지판(18)의 회전운동단 간격은 최소가 되고 이때 각 클램퍼지지판(18)의 경사편(20)은 도 5(A)와 같이 걸어맞춤구멍(21)으로부터 탈출해서 메인샤시(1)의 윗면에 접하고 각 클램퍼지지판(18)의 회전운동단을 최고높이위치에 지지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5)의 윗쪽에는 클램퍼(22)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램퍼(22)는 양 클램퍼지지판(18)이 서로 접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5(A)와 같이 양 클램퍼지지판(18)의 회전운동단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상기 턴테이블(5)로부터 윗쪽으로 이반하고 있다. 그런데 양 클램퍼지지판(18)이 이반함에 따라서 양 클램퍼지지판(18)도 서로 이반하고 경사편(20)이 도 5(B)와 같이 걸어맞춤구멍(21)내에 빠져들어가기 때문에 양 클램퍼지지판(18)의 회전운동단은 하강하면서 서로 이반한다. 따라서 턴테이블(5)상에 디스크(6)가 재치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양 클램퍼지지판(18)은 클램퍼(22)를 디스크(6)상에 내리면서 클램퍼(22)로부터 좌우로 이반하게 되는 것이다.
턴테이블(5)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윗면을 디스크(6)의 축심선방향의 위치를 규정하는 디스크지지면(23)으로 하고 있지만, 디스크지지면(23)보다 높은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모터(4)의 회전축에 장착하는 축구멍의 주위에는 고리형상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턴테이블윗면의 가장 외주부위 즉 디스크지지면(23)의 주위에는 테이퍼상의 가이드면(25)이 형성되고 디스크지지면(23)의 영역내에는 둥근고리형상의 자성체(철판등)(26)가 매립되어 있다.
한편 클램퍼(22)는 아랫면에 디스크지지면(23)에 디스크(6)를 지지시키는 누름부(27)와 디스크(6)의 중심구멍을 통해서 상기 오목부(24)내에 삽입하는 통형상의 돌기부(28)를 갖는다. 클램퍼(22)의 상기 누름부(27)에는 자성체(26)에 대향해서 둥근고리형상의 영구자석(29)가 매립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28)의 선단부에는 그 내주측과 외주측에 각각 테이퍼상의 가이드면(30, 3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돌기부(28)의 내주면에는 내측의 가이드면(30)에 계속해서 원통면(32)이 형성되고 오목부(24)내에는 원통면(32)과 끼워맞춤하는 원통면(33)이 형성되고 양 원통면(32, 33)끼리의 끼워맞춤에 의해 턴테이블(5)과 클램퍼(22)의 심맞춤이 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8)의 외주도 외측의 가이드면(31)에 계속해서 원통면(34)이 형성되고 이 원통면(34)을 디스크(6)의 중심구멍에 끼워맞추게 하여 디스크(6)의 축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메인샤시(1)의 윗면에는 도 1 내지 도 4(A)와 같이 제어부재(35)가 지지축(3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제어부재(35)는 이젝트부재(8)에 고정된 상기 캠핀(10)과 오른쪽의 디스크가이드(14)의 다른 조각의 사이에 개제하고 외측에는 캠핀(10)에 접하는 캠면(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36)에는 판스프링(39)을 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판스프링(39)을 제어부재(35)와 오른쪽 디스크가이드(14)의 다른 조각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그래서 도 3와 같이 이젝트부재(8)가 인장스프링(9)에 끌려서 장치 전방으로 복귀하고 있을 때에는 캠핀(10)이 캠면(37)의 골짜기부에 접하고 양 디스크가이드(14)를 스프링(17)의 탄성력으로 이반시키고 있지만, 도 2와 같이 이젝트부재(8)가 누름위치에 있을 때에는 캠핀(10)이 캠면(37)의 산부에 접하여 판스프링(39)을 오른쪽의 디스크가이드(14)의 다른 조각 외면에 강하게 밀어서 양 디스크가이드(14)를 스프링(17)에 대항하여 접근시키고 양 가이드홈(16)을 평행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서브샤시(3)상에는 디스크되밀음부재(40)가 지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디스크되밀음부재(40)는 회전운동단부에 맞붙음핀(42)을 갖고, 스프링(43)에 의해 맞붙음핀(42)에서 턴테이블(5)상의 디스크(6)를 되미는 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되고 있다. 되밀음부재(40)는 회전운동중심부근에 걸림조각(44)을 갖는다. 이 걸림조각(44)은 도 3과 같이 이젝트부재(8)가 인장스프링(9)에 끌려서 장치 전방으로 복귀하고 있을 때에는 이젝트부재(8)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1)가 걸림조각(44)의 단면(45)에 맞붙어서 되밀음부재(40)를 스프링(43)에 대항해서 회전운동한 왕동(往動)위치에 지지하지만 도 2와 같이 이젝트부재(8)가 밀어넣음조작되어 왕동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림조각(44)의 내측면(46)이 걸어맞춤돌기(11)에 맞붙고 이젝트부재(8)를 밀어넣음위치에 지지하도록 된다.
되밀음부재(40)의 회전운동중심부근에는 또한 맞붙음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되밀음부재(40)는 디스크(6)를 착탈구(12)로부터 삽입할 때 그 디스크(6)의 외주에 눌러져서 도 2의 위치로부터 도 3의 위치를 향해 왕동하지만 이때 걸림조각(44)의 내측면(46)이 걸어맞춤돌기(11)에 슬라이딩접촉한다. 그리고 내측면(46)이 걸어맞춤돌기(11)로부터 벗어나면 이번에는 이젝트부재(8)가 인장스프링(9)에 끌려서 복귀하는 단계에서 걸어맞춤돌기(11)가 걸림조각(44)의 단면(45)에 슬라이딩접촉하고 이에 따라 되밀음부재(40)가 또한 약간 회전운동하여 맞붙음핀(42)을 디스크(6)의 외주로부터 이반시키도록 되는 것이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삽입전은 도 1과 같이 이젝트부재(8)가 되밀음부재(40)의 걸림조각(44)에 의해 밀어넣음위치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젝트부재(8)의 캠핀(10)이 제어부재(35)의 캠면(37)의 산부에 맞붙고, 한쌍의 디스크가이드(14)를 접근시켜서 양 가이드홈(16)을 평행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때 클램퍼(22)는 도 5(A)와 같이 양 클램퍼지지판(18)의 회전운동단부에서 들어올려져서 턴테이블(5)로부터 이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6)를 착탈구(12)로부터 삽입하면 디스크(6)의 외부둘레부가 한쌍의 디스크가이드(14)의 가이드홈(16)에 걸어맞춘다. 그리고 그대로 디스크(6)를 밀어넣어가면 도 2와 같이 디스크(6)의 외주에서 되밀음부재(40)의 맞붙음핀(42)을 누르게 되고 되밀음부재(40)를 스프링(43)에 대항해서 왕동시킨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디스크(6)의 중심이 턴테이블(5)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곳까지 삽입하면 되밀음부재(40)의 걸림조각(44)이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되밀음부재(40)의 맞붙음부(47)가 이젝트부재(8)에 맞붙고 디스크(6)를 그 이상 밀어넣는 것은 금지된다. 그리고 이젝트부재(8)는 걸림조각(44)로부터 벗어남에 의해 인장스프링(9)에 끌려서 복동(復動)한다. 이때 도 4(B)와 같이 이젝트부재(8)의 접어구부린 작은조각(8a)이 걸림조각(44)의 단면(45)에 슬라이딩접촉해서 되밀음부재(40)를 또한 약간 왕동시키고, 맞붙음핀(42)을 디스크(6)의 외주로부터 이반시킨다. 되밀음부재(40)의 스프링(43)에 의한 복귀는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에 의해 금지된다.
또 이젝트부재(8)의 복귀에 따라 캠핀(10)이 제어부재(35)의 캠면(37)의 산부로부터 골짜기부로 이행하기 때문에 양 디스크가이드(14)가 스프링(17)에 의해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양 가이드홈(16)이 디스크(6)으로부터 이반한다. 이때 양 클램퍼지지판(18)의 회전운동단이 하강하면서 서로 이반하기 때문에 양 회전운동단에 지지되어 있던 클램퍼(22)는 디스크(6)상에 재치된다. 그래서 영구자석(29)과 자성체(26) 상호의 흡인력에 의해 디스크(6)는 턴테이블(5)의 디스크지지면(23)상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오목부(24)와 돌기부(28)의 서로의 원통면(33, 32)의 끼워맞춤에 의해 턴테이블(5)과 클램퍼(22)의 심맞춤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 돌기부(28)의 선단에 테이퍼상의 가이드면(3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퍼(22)와 턴테이블(5)의 심맞춤이 한층 쉽게 된다.
또한 턴테이블(5)의 디스크지지면(23)의 주위에 테이퍼상의 가이드면(2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삽입시에 디스크(6)를 디스크지지면(23)상에 쉽게 이끌 수 있다.
이젝트부재(8)의 복동(復動)에 관련해서 모터(4) 및 픽업(7)을 기동시키도록 해두면 디스크(6)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재생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재생동작상태에 있어서 이젝트부재(8)를 밀어넣음조작하면 우선 모터(4) 및 픽업(7)이 정지한다. 또 캠핀(10)이 제어부재(35)의 캠면(37)의 골짜기부로부터 산부로 이행하기 때문에 양 디스크가이드(14)가 서로 접근하고 양 가이드홈(16)이 디스크(6)의 외부둘레부를 안내할 수 있는 평행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부재(8)의 접어구부린 작은조각(8a)이 되밀음부재(40)의 걸림조각(44)의 단면(45)으로부터 벗어나 되밀음부재(40)가 스프링(43)에 끌려서 회전운동하고 디스크(6)를 맞붙음핀(42)에서 되민다. 이에 따라 디스크(6)는 착탈구(12)로부터 장치 외부로 크게 돌출하기 때문에 이것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이상의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6)의 장전은 디스크(6)를 최후까지 손으로 밀어넣음에 따라 실시하고 디스크(6)의 꺼냄은 디스크의 되밀음부재(40)의 복동(復動)에 의해 실시하기 때문에 디스크반송기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한쌍의 디스크가이드(14)가 디스크(6)로부터 이반하고 있을 때는 클램퍼(22)가 디스크(6)를 턴테이블(5)에 지지시키는 구성이 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6)를 턴테이블(5)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세팅기구를 각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크반송기구와 세팅기구를 구동하는 수단도 불필요하게 되고 구성이 간단하며 소형이 되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 디스크꺼냄조작을 하여 디스크되밀음부재(40)의 맞붙음핀(42)이 디스크(6)에 맞붙은 순간 디스크에 브레이크효과가 작용해서 디스크의 회전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맞붙음핀(42)의 디스크에 접촉하는 부위를 마찰재로 형성하면 디스크꺼냄조작을 실시하여 맞붙음핀(42)이 디스크에 맞붙었을 때의 브레이크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이젝트부재(8)의 밀어넣음조작을 손으로 하지 않고 모터력으로 실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디스크삽입시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에 눌러져서 왕동하고 디스크가이드의 복동(復動)에 의해 디스크를 되밀도록 한 점과 클램퍼를 지지하는 구조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주요한 점이다.
도 8은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디스크가이드(50)의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디스크가이드(50)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내측에 디스크(6)의 외부둘레부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홈(51)을 가진다. 서브샤시(3)의 윗면에는 걸림기구를 구성하는 지지레버(52)가 지지축(53)을 끼워서 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레버(52)의 회전운동단부에는 연결축(54)이 고정되고 이 축(54)에는 상기 디스크가이드(50)의 중앙부가 회전운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레버(5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되밀음부재(40)와 아주 비슷한 형상으로 회전운동중심부근에 걸림조각(56) 및 맞붙음부(57)를 갖고, 스프링(58)에 의해 복동(復動)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되고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이젝트부재(8)가 인장스프링(9)에 끌려서 장치 전방으로 복귀하고 있을 때는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가 걸림조각(56)의 단면(59)에 맞붙고, 지지레버(52) 및 디스크가이드(50)를 스프링(58)에 대항해서 왕동위치에 지지하지만 이젝트부재(8)가 수동으로 밀어 넣어진 왕동위치에 있을 때는 걸림조각(56)의 내측면(60)이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에 맞붙어서 이젝트부재(8)를 왕동위치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디스크가이드(50)는 그 양 단부의 외면을 메인샤시(1)의 측판(2)내면에 가이드되고 장치의 전후방향에 왕복운동자유롭게 되고 있다.
클램퍼(22)를 지지하는 클램퍼지지판(63)은 서브샤시(3)상에 상하방향회전운동자유롭게 장착되고 또 스프링(64)에 의해 아랫쪽으로의 회전운동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 클램퍼지지판(63)의 회전운동단부에는 판스프링(65)이 고정되고 이 판스프링(65)에 의해 클램퍼(22)를 지지하고 있다.
클램퍼지지판(63)은 아랫쪽에 경사하는 경사편(67)을 가진다. 이 경사편(67)은 이젝트부재(8)가 왕동할 때 해당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를 슬라이딩접촉시키고, 그 결과 클램퍼지지판(63)이 스프링(64)에 대항해서 윗쪽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삽입전은 도 8과 같이 이젝트부재(8)가 지지레버(52)의 걸림조각(56)에 의해 왕동위치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클램퍼(2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퍼지지판(63)의 회전운동단부에서 들어올려지고 턴테이블(5)로부터 이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6)를 착탈구(12)로부터 삽입하면 디스크(6)의 외부둘레부가 디스크가이드(50)의 가이드홈(51)에 걸어맞춤하고 그대로 디스크(6)를 밀어 넣어가면 디스크가이드(50)가 스프링(58)에 대항해서 왕동한다.
그리고 디스크(6)의 중심이 턴테이블(5)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곳까지 삽입하면 지지레버(52)의 걸림조각(56)이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지지레버(52)의 맞붙음부(57)가 이젝트부재(8)에 맞붙고 디스크(6)를 그 이상 밀어 넣는 것은 금지된다. 그리고 이젝트부재(8)는 인장스프링(9)에 끌려서 복동(復動)한다. 이때 이젝트부재(8)의 접어구부린 작은조각(8a)이 걸림조각(56)의 단면(59)에 슬라이딩접촉하여 지지레버(52)를 또한 약간 왕동시키고 디스크가이드(50)를 디스크(6)의 외주로부터 이반시킨다. 디스크가이드(50) 및 지지레버(52)의 스프링(58)에 의한 복귀는 이젝트부재(8)의 걸어맞춤돌기(11)에 의해 금지된다.
또 이젝트부재(8)의 복귀에 따라 걸어맞춤돌기(11)가 경사편(67)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클램퍼지지판(63)이 스프링(64)에 의해 아랫쪽으로 회전운동하고 클램퍼(22)는 디스크(6)를 턴테이블(5)상에 지지시킨다.
이어서 이젝트부재(8)의 수동에 의해 왕동시키면 이것에 관련해서 걸어맞춤돌기(11)가 경사면(67)을 누르고 클램퍼(22)를 턴테이블(5)로부터 이반시킨다. 또 걸어맞춤돌기(11)가 걸림조각으로부터 벗어나 지지레버(52) 및 디스크가이드(50)가 스프링(57)에 의해 복동(復動)하고 디스크가이드(50)에서 디스크(6)를 장치 외부를 향해서 되민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도 디스크(6)의 장전은 디스크(6)를 최후까지 손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실시하고 디스크(6)의 꺼냄은 디스크가이드(50)의 복동(復動)에 의해 실시하기 때문에 디스크반송기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디스크가이드(50)가 디스크(6)로부터 이반하고 있을 때는 클램퍼(22)가 디스크(6)를 턴테이블(5)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6)를 턴테이블(5)상에 지지시키기 위해서 세팅기구를 각별히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디스크반송기구와 셋팅기구를 구동하는 수단도 불필요하게 되고 구성이 간단하며 또 소형이 되고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디스크꺼냄조작을 하여 디스크가이드(50)가 디스크(6)에 맞붙은 순간, 디스크에 브레이크효과가 작용해서 디스크의 회전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해서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가이드의 변형예이고, 도 12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2가지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70은 좌우로 2분할된 디스크가이드이고 양 분할가이드(71)는 지지레버(52)의 회전운동단부에 설치된 연결축(54)에 회전운동자유롭게 연결되고 또 스프링(72)에 의해 항상 닫히는 방향의 회전운동력이 부여되고 있다.
그리고 디스크(6)가 턴테이블(5)상까지 삽입된 후 이젝트부재(8)의 복귀에 따른 지지레버(52)가 약간 회전운동해서 디스크가이드(70)를 디스크(6)로부터 이반시킬 때 양 분할가이드(71)의 연장단(73)을 메인샤시(1)의 후측판(1a)에 대고 양 분할가이드(71)를 스프링(72)에 대항해서 열도록 되어 있다.
디스크가이드(70)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연결축을 약간 이동하는 것만으로 디스크가이드(70)를 디스크(6)로 부터 비교적 크게 이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해서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도 디스크가이드의 변형예이고 도 13은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3가지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80은 좌우로 2분할된 디스크가이드이고 양 분할가이드(81)는 지지레버(52)의 회전운동단부에 설치된 연결축(54)에 회전운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실시형태와 달리 양 분할가이드(81)에는 스프링(82)에 의해 항상 열리는 방향의 회전운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들의 분할가이드(81)는 각 회전운동단(83)을 메인샤시(1)의 좌우측판(2)에 맞붙게 하여 닫음상태로 유지되고 있지만 디스크(6)가 턴테이블(5)상까지 삽입된 후 이젝트부재(8)의 복귀에 따라 지지레버(52)가 약간 회전운동해서 디스크가이드(80)를 디스크(6)로부터 이반시켰을 때 양 분할가이드(81)의 회전운동단(83)이 메인샤시(1)의 좌우측판(2)에 형성된 개구부(84)내에 들어가고 양 분할가이드(81)가 스프링(82)에 의해 열리도록 된다.
디스크가이드(80)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연결축(54)의 이동량과는 관계없이 디스크가이드(80)를 디스크(6)로부터 크게 이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제 3 및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가이드의 디스크에 접촉하는 부위를 마찰재로 형성하면 디스크꺼냄조작을 실시하여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에 맞붙었을 때의 브레이크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이젝트부재(8)의 밀어넣음조작을 손으로 하지 않고 모터력으로 실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재생장치에 의하면 디스크삽입은 최후까지 손으로 실시하지 않고 디스크꺼냄은 디스크되밀음부재 또는 디스크가이드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디스크반송기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디스크는 디스크가이드에 의해 턴테이블상에 이끌어지고 디스크가이드와 클램퍼를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세팅기구도 불필요하게 되고 이들의 기구를 구동하는 수단도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또 소형이 되며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디스크(6)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5)과,
    장치 외부로부터 삽입된 디스크의 외부둘레부와 걸어맞춰서 해당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상에 이끄는 좌우 한쌍의 디스크가이드(14)와,
    장치 외부로부터 삽입된 디스크에 눌러져서 왕동하고 복동(復動)시에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장치 외부를 향해서 되미는 디스크되밀음부재(40)와,
    복귀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디스크되밀음부재 및 한쌍의 디스크가이드를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로부터 이반시켜두고, 되밀음조작에 의해 한쌍의 디스크가이드를 디스크와 걸어맞춤가능한 위치에 복귀시키는 동시에 디스크되밀음부재를 복동(復動)시켜서 해당 디스크되밀음부재에 의해 밀어넣음위치에 걸리는 이젝트부재(8)와,
    상기 한쌍의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는 위치에 있고, 한쌍의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와 걸어맞춤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는 턴테이블로부터 이반하고 있는 클램퍼(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재생장치.
  2. 디스크(6)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5)과,
    장치 외부로부터 삽입된 디스크의 외주에 눌러져서 왕동하여 해당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이끌고, 복동(復動)시에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장치 외부를 향해서 되미는 디스크가이드(50, 70, 80)와,
    복귀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디스크가이드를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로부터 이반시켜두고, 밀어넣음조작에 의해 해당 디스크가이드를 복동(復動)시키는 이젝트부재(8)와,
    상기 디스크가이드가 복동(復動)위치에 있을 때 이젝트부재를 밀어넣음위치에 걸어두고,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에 눌러져서 왕동할 때 해당 3걸림을 푸는 걸림기구(52)와,
    상기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로부터 이반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지지시키는 위치에 있고, 디스크가이드가 디스크와 걸어맞춤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는 턴테이블로부터 이반하고 있는 클램퍼(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재생장치.
KR1019970007753A 1996-09-11 1997-03-07 디스크재생장치 KR19980023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62431 1996-09-11
JP8262431A JP3042769B2 (ja) 1996-09-11 1996-09-11 ディスク再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61A true KR19980023961A (ko) 1998-07-06

Family

ID=173756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753A KR19980023961A (ko) 1996-09-11 1997-03-07 디스크재생장치
KR1019970010645A KR19980023981A (ko) 1996-09-11 1997-03-26 디스크재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645A KR19980023981A (ko) 1996-09-11 1997-03-26 디스크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42769B2 (ko)
KR (2) KR19980023961A (ko)
CN (1) CN11764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3154B2 (ja) 1998-11-27 2005-11-0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2005044444A (ja) 2003-07-22 2005-02-17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8226333A (ja) * 2007-03-12 2008-09-25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機のクランプ装置
JP5799231B2 (ja) 2010-06-3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42769B2 (ja) 2000-05-22
KR19980023981A (ko) 1998-07-06
JPH1092077A (ja) 1998-04-10
CN1176458A (zh)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6905B2 (ko)
KR100257691B1 (ko) 디스크 재생장치
US6778487B2 (en) Turntab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c chucking apparatus and disc drive using the same
KR19980023961A (ko) 디스크재생장치
JP3713154B2 (ja) 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H0237622B2 (ja) Deisukupureeya
KR19990083540A (ko) 디스크로딩장치
US6577580B2 (en) Loading device in magneto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JP4180223B2 (ja) ディスク装置
JP3356086B2 (ja) ディスクのクランプ装置
KR100247781B1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의 디스크 안착용 트레이
KR100247782B1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JP3287092B2 (ja) ディスク装置
JPH109207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7231648B2 (en) Disk holding apparatus, and disk apparatus
JP302192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13207B2 (ja) 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H07307048A (ja) ディスク装置のクランプ構造
JP4403411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と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673468B2 (ja) ディスク装置
JPH0548256Y2 (ko)
KR100291027B1 (ko) 광디스크의클램핑장치
JP4080144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66367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디스크언클램핑장치
KR19980023982A (ko) 디스크로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