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729A -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729A
KR19980022729A KR1019960042009A KR19960042009A KR19980022729A KR 19980022729 A KR19980022729 A KR 19980022729A KR 1019960042009 A KR1019960042009 A KR 1019960042009A KR 19960042009 A KR19960042009 A KR 19960042009A KR 19980022729 A KR19980022729 A KR 1998002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reatment tank
burner
exhaust gas
raw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하루 마쯔시다
다케오 마쯔모토
Original Assignee
기요하루 마쯔시다
다케오 마쯔모토
고천일
이원동
주식회사 웨이브환경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요하루 마쯔시다, 다케오 마쯔모토, 고천일, 이원동, 주식회사 웨이브환경개발 filed Critical 기요하루 마쯔시다
Priority to KR101996004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729A/ko
Publication of KR1998002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729A/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쓰레기가 대부분인 생쓰레기를 단시간 내에 분해처리할 수 있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쓰레기 처리시간을 단축하여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재킷(11), 교반날개(20)가 부착된 처리조(10)와, 버너(31)와, 공기출입구(45a), 에어덕트(45), 공기배출구(45b), 공기취출관(48)으로 구성되는 공기도입계통과, 공기배출관(51), 송풍기(52), 탈취통(53) 으로 구성되는 공기배출계통이 설치되어 있다.
버너(31)는, 재킷(11) 내의 열매체L을 삽입하여 처리조(10)의 수용물을 간접가열하고, 공기도입계통은, 처리조(10) 내에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를 보내어 수용물을 신속하게 적정온도로 승온시킨다. 공기배출계통은, 처리조(10) 내의 공기를 버너(31)의 배기가스와 혼합하여 악취성분을 열분해하여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본 발명은 주방쓰레기가 대부분인 생쓰레기를 단시간 내에 분해처리할 수 있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여 생쓰레기를 분해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호기성발효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일예로, 대형 처리조 내에 생쓰레기를 투입하여 발효열을 이용하여 전체 온도를 상승시켜, 발효에 의한 분해처리를 촉진시키고, 상기 처리조에는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처리조 내의 수용물을 교반하여 발효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해야 한다. 이때 이용되는 발효균은 '중간온도 발효균' 이라 불리는 것으로 약40∼50℃가 적정 온도이다. 발효균 중에는 약70∼80℃정도를 적정 온도로 하는 고온발효균이 있는데, 이러한 균류를 사용할 때는 발효에 의한 분해와 열분해를 병용할 수 있으므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고온발효균을 사용할 때는, 발효열에 의한 자연가열 외에 버너 등에 의한 강제가열을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에 의한 고온발효균을 사용할 경우에, 처리시간이 너무 길고, 처리하는 동안에 견디기 어려운 악취가 발생되어 일반 가정이나 사업소 등에 널리 보급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온발효균을 사용하여 버너 등에 의한 강제가열을 병용한다 해도 버너의 열량은, 수용물이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균이 사멸되지 않도록 극히 저열량으로 억제해야 되기 때문에 수용물 전체를 일정온도로 승온시키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1 배치(batch)를 처리하는 데에 1.5∼2일 이상을 필요로 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처리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악취처리가 극히 곤란한 문제점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상기 처리조를 재킷(jacket)구조로하고, 공기도입계통과 공기배출계통을 설치함으로써, 처리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악취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고온발효균을 이용하여 생쓰레기를 분해처리할 때, 생쓰레기를 적정온도로 가열, 교반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생쓰레기를 진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열용 재킷을 설치하여, 교반날개를 내장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버너실과 배기가스실, 상기 버너실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를 가열하는 버너, 상기 처리조 내로 가열된 공기를 보내는 공기도입계통, 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상기 버너의 배기가스와 혼합하여 배출하는 공기배출계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계통은 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배기가스실로 보내는 송풍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재킷에는 일단이 버너실로 개구되는 배기가스도입로와, 일단이 배기가스실로 개구되는 배기가스배출로가 연결되어 있고, 배기가스도입로, 배기가스배출로, 공기도입계통, 공기 배출계통에는 각각의 개폐댐퍼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계통에는 처리조의 출구부분에 집진필터와 탈취통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처리조에는 수용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원을 장착해도 된다.
이때, 처리조에는 가열용 재킷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생쓰레기로 이루어져 있는 수용물은 재킷 내의 물 또는 기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열매체를 삽입하여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고열량 버너로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공기도입계통은 처리조 내로 고온의 가열된 공기를 보내기 때문에 수용물을 상부부터 가열할 수도 있고 극히 단시간 내에 전체를 승온시킬 수 있다. 가열된 공기의 온도는 약250℃의 고온에서도 수용물에 충분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한 수용물의 내부가 지나치게 고온이 되지 않으므로 고온발효균이 사멸되는 경우가 없다.
단, 재킷 내의 열매체 온도는, 고온발효균을 보호하고 수용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대온도를 약120∼13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계통은 처리조 내의 공기를 버너의 배기가스와 혼합시켜 배출하기 때문에, 처리조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성분은 고온의 배기가스와 혼합시킴으로써 열분해되어 거의 완전한 무취상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계통은 처리조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송풍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부압상태로 유지되어 악취를 가져오는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기회를 최소화할 수 있고, 처리조 내를 730∼740mmHg의 부압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수용물의 건조시간을 약 5∼6%정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의 재킷에 개폐댐퍼가 부착된 배기가스도입로와 배기가스배출로를 설치할 때는, 처리조는 재킷 내의 물 또는 기름을 제거하여 버너로 직접 고온에서 가열하여 분해처리가 끝난 수납물을 건조시켜 탄화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재킷에는 배기가스도입로와, 배기가스배출로를 삽입하여 버너의 배기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도입로는 버너의 선단 가까이에 개구시키고, 이 때 배기가스는 버너에 불꽃이 있어도 된다. 또한 단화처리 중에는 처리조 내에 공기가 들어가면, 수용물이 발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공기도입계통과 공기배출계통의 각 개폐댐퍼는 모두 닫고 처리조 내를 밀폐한다.
공기배출계통에 집진필터를 설치하면, 수용물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배기가스와 함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집진필터는 포착된 분진을 그대로 처리조 내로 돌려보내는 형식이 바람직하다.
공기배출계통에 탈취통을 설치하면, 버너의 발생열량이 낮아져서 버너로 인한 악취성분의 열분해가 부족한 경우에도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또한 처리조 내의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으며 흡착제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인 형식으로 해도 되지만, 독립적으로 버너를 구비하는 열분해 형식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는 작동이 불필요할 때, 그것을 바이패스(bypath) 시키기 위해 전환관로를 필요로 하지만, 후자는 버너를 소화시킴으로써 그 작동을 간단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조에 진동발생원을 장착할 경우에는, 진동발생원은 수용물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고온발효균이 활성화되어 전체 분해처리시간을 한층 더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원으로는, 수백Hz에서 수십KHz정도의 음파영역 내지 초음파영역의 압전진동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은, 생쓰레기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고온발효균을 활성화하여 분해처리시간을 10∼20%이상 단축할 수 있다. 단, 이때의 진동수는 수백Hz에서 수십KHz정도의 음파영역 내치 초음파영역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1).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2).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凹部)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3).
도 6은 본 발명의 전체 모식을 도시한 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의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처리조 11 ; 재킷
13 ; 배기가스도입로 14 ; 배기가스배출로
13a ,14a ; 개폐댐퍼 15 ; 진동발생원
20 ; 교반날개 31 ; 버너
40b ; 버너실 40c ; 배기가스실
45c, 51a ; 개폐댐퍼 52 ; 송풍기
53 ; 탈취통 54 ; 집진필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을 첨부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는, 처리조(10)와 상기 처리조(10)에 내장되어 있는 교반날개(20)와 버너(31)를 주요부재로 한다(도1, 도2). 상기 처리조(10)를 포함하는 각 주요부재는 다리(41), (41)가 부착된 상자 형태의 케이싱(casing)(40) 내에 일체가 되도록 내장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0)는, 저면부가 단면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를 개방하는 반윈통상의 용기체로서, 양측 지지부재(10a), (10a)를 삽입하여, 케이싱(40) 내에 지지되어 있다. 처리조(10)의 저면부에는 긴 쪽 방향에 따라 양측벽부의 상단까지 연속되는 재킷(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킷(11)에는 물 또는 기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열매체 L이 일정 수준으로 충전된다. 재킷(11)의 상부에는 라벨조정기(11a)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열매체 L을 공급하는 공급관(11b)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재킷(11)의 최하부에는 배출관 (11c)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재킷(11)의 상부에는 열매체L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기(11d), 최상부에는 안전용 방출관(11e)가 설치되어 있다.
처리조(10)의 긴쪽 방향 양끝의 내면하부에는 진동발생원(15), (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발생원(15), (15)은, 수백Hz에서 수십㎑의 압전진동소자로서, 상기 처리조(10)에 수납되는 수용물에 대해 음파영역 내지 초음파영역의 진동을 가할 수 있고, 각 진동발생원(15)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원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교반날개(20)는 처리조(10)의 긴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내장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20)는, 양단부가 처리조(10)와 케이싱(40)을 공통으로 관통하는 구동축(21)과 스포크(spoke)(22), (22)가 삽입되어 있으며, 구동축(21)에 설치되는 한 쌍의 나선부재(23), (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부재(23), (23)는 상기 구동축(21)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져 있고 구동축(21)의 중앙부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상기 스포크(22), (22)는, 구동축(2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길이는 나선부재(23), (23)가 처리조(10)의 저면부 내면에 근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나선부재(23)의 외측단면, 즉, 처리조(10)의 내면을 향해 있는 단면에는 다수의 요홈(凹溝)(23a), (23a)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상기 구동축(21)의 양단부에는 상기 처리조(10)을 안쪽에서부터 실(seal)하는 실판(21a), (21a)이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4). 또한 구동축(21)의 양단부는 요동베어링(21b), (21b)에 의해 지지되고, 요동베어링(21b), (21b)은 설치브래킷(bracket) (21d), (21d)을 삽입하여 케이싱(40)의 바깥면에 장착되어 있다.
각 요동베어링(21b)은, 베어링케이스(21c)에 수납되어 있고, 베어링케이스(21c)는 한쌍의 상하방향 가이드레일(21d1), (21d1)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브라켓(21d)을 삽입하여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20)는, 상기 요동베어링(21b), (21b)이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구동축(21)이 수평축HL에서부터 경사질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설치브래킷(21d)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감속기(24a)가 부착된 모터(24)가 윗면에 탑재되어 있다. 감속기(24a)의 출력축은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24b)을 삽입하여 구동축(21)에 연결되어 있다. 단, 상기 감속기(24a)와 구동축(21) 사이에는 유니버설 커플링(24b)외에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를 함께 삽입하여 장착해도 된다.
상기 케이싱(40)의 전방측 상부에는, 상방으로 비스듬히 열린 투입용 개폐반(42)이 설치되어 있고(도 1), 상기 처리조(10)의 저면부에는 처리조(10)의 긴쪽방향 중앙부에 하방으로 열린 배출용 개폐문(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0)의 전면하부에는 상기 개폐문(12)에 대응되도록하여 배출용 슈트(chute)(43)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40)의 하부, 즉, 상기 처리조(10)의 하방에는 칸막이(40a)가 삽입되어 있고, 버너(31)을 설치하는 버너실(40b)과 굴뚝(44)의 기부를 연결하는 배기가스실 (40c)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5). 버너(31)와 굴뚝(44)은 각각 처리조(10)의 긴쪽 방향의 한쪽을 따라 케이싱(40)의 후방하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40a)는 케이싱(40)의 후방측의 측면에서 전방측의 측면을 향하여 케이싱(40)의 전폭의 약2/3이상을 나누고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40a)의 상단은 처리조(10)의 바닥면과 처리조(10)를 지지하는 한쪽의 지지부재(10a)의 아래면까지 도달한다(도 1).
상기 버너(31)의 전방에는 나팔모양으로 넓게 퍼지는 연소통(31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소통(31a)의 전면은 다수의 구멍을 메시(mesh)모양으로 개구되는 펀칭메탈(3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너실 (40b)과 배기가스(40c)에는, 배기가스도입로(13)와 배기가스배출로 (14)의 하단이 개구되어 있다(도 1, 도 5). 배기가스도입로(13)는, 버너(31)에 거의 반대방향이 되도록 케이싱(40)의 전부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배기가스배출로(14)는 상기 케이싱(40)의 후부내면을 따라 굴뚝(44)의 연결부분의 위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기가스도입로(13)와 배기가스배출로(14)의 각상단은, 처리조(10)의 재킷(11)의 최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하단에는 개폐댐퍼(13a), (1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굴뚝(44)은, 케이싱(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굴뚝(44)의 외주에는, 에어덕트(4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덕트(45)의 상, 하부에는 각각 공기출입구(45a)와 공기배출구(45b)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배출구(45b)는 케이싱(40)의 상부에 배설되어 있는 공기취출관(48)에 접속되어 있다(도 1, 도 2). 상기 공기취출관(48)은, 복수로 나누어져 있고 케이싱(40)의 내부에 도입되어 공통 확산날개(48a)와 (48a)를 삽입하여 처리조(10)의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공기배출구(45b)와 공기취출관(48) 사이에는 개폐댐퍼(45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0)의 위쪽에는, 공기배출관(51)의 선단이 개구되어 있다(도 1). 공기 배출관(51)은, 송풍기(52)와 탈취통(53) 이 설치되어 배기가스실(40c)에 접속되어 있다(도 5, 도 6). 단, 상기 공기배출관(51)에는 처리조(10)의 바로 위에 개폐댐퍼(51a)와 집진필터(54)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취통(53)은 상하로 긴 통체이고, 탈취통(53)의 저면부에는 버너(53a)가 위쪽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관(11b)을 삽입하여 열매체L을 공급하여 처리조(10)의 재킷(11)내에 상기 열매체L을 일정한 레벨까지 충전하고, 이 때, 배기가스도입로(13)와 배기가스배출로(14)의 개폐댐퍼(l3a), (14a)는 닫아 두고, 공기배출구(45b)과 공기취출관(48) 사이에 개폐댐퍼(45c)과 공기배출관(51)의 개폐댐퍼(51a)는 열어 둔다.
레벨조정기(11a)는 공급관(11b)과 배출관(11c)에 삽입, 장착되어 있는데,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개폐밸브를 개폐조작함으로써, 재킷(11) 내의 열매체L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반(42)을 열어 처리조(10)에 생쓰레기를 투입하여, 교반날개(20)를 회전시키고 버너(31)를 점화하여 진동발생원(15), (15)을 작동시키면, 처리조(10) 내의 수용물은, 버너(31)로 열매체L을 삽입하여 균일하게 간접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처리조(10)에는 일정량의 고온발효균을 투입하고, 버너(31)의 발생열량은 온도검출기(11d)를 삽입하여, 열매체L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열량을 발생시킨다. 단, 버너(31)은, 가스 또는 기름을 연료로 하여 버너실(40b) 내에서 연료를 분사연소시켜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실(40c)에 굴뚝(44)을 삽입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버너(31)의 연소용 공기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송풍기에 의해 버너(31)의 후방에서부터 공급되고, 이때 버너(31)는 3∼5%정도의 최적 잉여산소량이 되도록 연료량에 맞춰 공기량을 조정하고, 연소통(31a)은 버너(31)의 불꽃이 연소통(31a) 내로 거의 들어가도록 그 용적을 설정한다.
상기 버너(31)를 점화시키고 송풍기(52)를 기동시키면, 송풍기(52)는 처리조(10)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공기출입구(45a), 에어덕트(45), 공기배출구(45b)와 공기취출관(48)을 삽입하여 처리조(10)의 위쪽으로 고온의 가열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도6). 이는 처리조(10) 내로 들어가는 공기는 에어덕트(45) 내에서 굴뚝(44)에 의해 예열되고, 버너(31)의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 취출관(48)은 확산날개(48a),(48a)를 삽입하여 처리조(10)의 위쪽으로 개구되기 때문에, 공기취출관(48)에서부터 가열된 공기는 처리조(10) 내의 수용물에 대해 균열하게 송풍되어 수용물을 균일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즉, 공기출입구(45a)에서부터 공기취출관(48)의 확산날개(48a), (48a)에 이르는 일련의 계통은, 처리조(10)에 가열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도입계통을 형성한다.
이때, 처리조(10)의 위쪽으로 개구되는 공기 배출관(51)은, 송풍기(52)에 의해 공기취출관(48)으로부터 가열된 공기에 상당하는 처리조(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된 공기는 공기배출관(51)과 탈취통(53)을 통하여 배기가스실(40c)로 보내어지고 버너(31)의 배기가스와 혼합된 후, 굴뚝(4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일반적으로 처리조(10) 내의 공기는, 다량의 악취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공기 배출관(51), 송풍기(52)와 탈취통(53)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계통은 최종적으로 배기가스실(40c) 내에서 저리조(10)에서 보내어지는 공기를 고온의 배기가스와 혼합하여 악취성분을 열분해함으로써, 냄새가 없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공기배출계통은 공기배출관(51)의 처리조(10)의 출구부분에 집진필터(5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필터(54)는 처리조(10)에서 보내어지는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탈취통(53) 내의 버너(53a)는, 버너(31)의 발생열량이 낮아져서 배기가스실(40c)에서 무취성분의 열분해가 불충분하게 될 경우에 점화되어 탈취통(53) 내에서 악취성분을 열분해하기 위해서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버너(53a)는, 버너(31)의 발생열량이 온도검출기(11d)의 출력에 의해 콘트롤될 때, 버너(31)의 발생열량이 보완되어 점화제어 된다.
상기 교반날개(20)는, 나선부재(23), (23)를 감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구동축(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처리조(10) 내의 수용물을 처리조(10)의 중앙부로 가게 하고, 처리조(10)의 양단부에 가게하면서 수용물을 상하로 교반할 수 있다. 교반날개(20)는 나선부재(23), (23)의 요홈(23a), (23a)에 골편 등을 삽입했을 때는, 이것들을 처리조(10)의 내면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간단히 부술 수 있다.
단, 교반날개(20)는, 파쇄되지 않은 이물질이 삽입되었을 때는 요동베어링(21b), (21b)을 삽입하여 구동축(21)이 상하로 기울어져 예기치 않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진동발생원(15), (15)은, 처리조(10) 내의 수용물에 진동을 가하여 고온발효균을 활성화하여 분해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진동발생원(15), (15)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분해처리에 약14시간을 요하는 생쓰레기로 이루어진 수용물은 진동발생원(15), (15)를 작동시킴으로써 약11∼12시간의 처리시간으로 끝낼 수 있고, 건조도, 냄새 등 모든 점에 있어서도 처리 후 수용물의 성상이 우수하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전계통을 운반하면, 처리조(10) 내의 수용물은, 고온발효균에 의한 발효분해와 열분해가 병행되어 진행되고, 수 시간동안 건조된 가루상태 또는 입자상태로 분해처리할 수 있다. 처리가 완료된 후 버너(31), (53a)와 송풍기(52)를 정지시키고, 수용물을 중심부에 가게하는 방향으로 교반날개(20)를 운반하면서 저면부의 개폐문(12)을 열고, 슈트(43)를 삽입하여 처리가 끝난 수용물을 배출하면 된다. 또한 처리가 끝난 수용물은 취급이 용이하고 가축이나 물고기 양식용의 사료 또는 비료로,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해처리가 끝난 수용물의 건조도가 불충분할 때는 배기가스도입로(13)와 배기가스배출로(14)를 이용하여 저리조(10)를 직접 가열할 수도 있다. 즉, 배출관 (11c)을 열어 재킷(11) 내의 열매체L의 전량을 빼내고 나서 개폐댐퍼(13a), (14a)를 개방함으로써 버너(31)의 배기가스 일부는 배기가스도입로(13)와 배기가스 배출로(14)를 삽입하여 재킷(11) 내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이때는 개폐댐퍼(45c), (51a)를 모두 닫고, 송풍기(52)를 정지시켜, 버너(53a)를 소화시킨다.
이상과 같은 건조처리는 그 처리시간을 연장시켜, 버너(31)의 발생열량을 높임으로써 수용물을 탄화처리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탄화처리된 수용물은 체적과 중량이 현저히 낮아져서 취급과 폐기처리 측면에 있어서 한층 더 간편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반날개(20)의 각 나선부재(23)는 단면의 편측을 경사면(23b)에 형성시켜도 된다(도 7). 단, 경사면(23b)는, 각 나선부재(23)의 전장에 따라 형성되는 외에, 교반날개(20)의 중심부분에 상당하는 일단부를 포함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경사면(23b)은, 나선부재(23)에 따라 적당한 길이 마다 나선부재(23)에 대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경사면(23b)은 교반날개(20)이 요홈(23a), (23a)에 대해서 골편 등을 삽입할 때에 삽입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공기배출구(45b)에서 공기취출관(48)에 이르는 공기도입계통의 관로는 배기가스실(40c)과 버너실(40b)에 내장되어 도시되지 않는 열교환기를 경유시켜도 된다. 공기취출관(48)에서 보내어지는 가열된 공기를 한층 더 고온으로 하여 버너(31)의 발생열량을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단, 이때의 열교환기는 사관식 등의 간단한 비접촉형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킷이 설치되어 있고, 교반날개를 내장하는 처리조, 버너, 공기도입계통과, 공기배출계통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버너는 재킷 내의 열매체를 삽입하여 처리조의 수용물을 간접 가열하고, 공기도입계통은 처리조내에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수용물의 승온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 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기배출계통은 처리조 내의 공기를 버너의 배기가스와 혼합시킴으로써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열분해할 수 있고, 처리조 내를 부압으로 유지하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처리중에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해처리 중에 생쓰레기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처리시간을 약 10∼20%이상 단축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도 있다.

Claims (6)

  1. 가열용 재킷을 설치하여, 교반날개를 내장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버너실과 배기가스실, 상기 버너실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를 가열하는 버너, 상기 처리조 내로 가열된 공기를 보내는 공기도입계통, 상기 처리조내의 공기를 상기 버너의 배기가스와 혼합하여 배출하는 공기배출계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계통은 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배기가스실로 보내는 송풍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에는 일단이 상기 버너실로 개구되는 배기가스도입로와 일단이 상기 배기가스실로 개구되는 배기가스배출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가스도입로, 배기가스배출로, 공기도입로, 공기배출로에는 각각의 개폐댐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배출계통은 처리조의 출구부분에 집진필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계통에 탈취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 있어서, 처리조는 수용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원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
  6. 고온발효균을 이용하여 생쓰레기를 분해처리할 때, 생쓰레기를 적성 온도로 가열, 교반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생쓰레기에 진
    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KR1019960042009A 1996-09-24 1996-09-24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KR19980022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009A KR19980022729A (ko) 1996-09-24 1996-09-24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009A KR19980022729A (ko) 1996-09-24 1996-09-24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729A true KR19980022729A (ko) 1998-07-06

Family

ID=6632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009A KR19980022729A (ko) 1996-09-24 1996-09-24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7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99A (ko) * 2001-12-07 2002-03-29 김회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탱크 가열장치.
KR20030075557A (ko) * 2002-03-19 2003-09-26 김범홍 발효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99A (ko) * 2001-12-07 2002-03-29 김회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탱크 가열장치.
KR20030075557A (ko) * 2002-03-19 2003-09-26 김범홍 발효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4979A (en) Method of processing activated carbon
JP3303892B2 (ja) 生ゴミの高速発酵処理装置
KR19980022729A (ko) 생쓰레기 분해처리장치와 이것을 이용하는 생쓰레기 분해처리방법
KR1002740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857453A (ja) 生ごみの分解処理装置と、それを利用する生ごみの分解処理方法
KR101350238B1 (ko) 유기성폐기물 감량화 처리장치
JPH07204611A (ja) 生ごみの分解処理装置
KR1002320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25155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 장치 및 방법
JP3607109B2 (ja) 生ゴミ等用処理装置
JPH10103868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4359875A (ja) 医療関係廃棄物を固形燃料化する方法及びそのプラント
KR20015882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620262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H10103863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2268152B1 (ko) 축산분뇨처리장치
JP7240760B2 (ja) 有機物ごみ処理装置
JP2968767B2 (ja) 廃棄物の炭化処理方法
JPH07204620A (ja) マイクロ波による生ごみ処理装置
JP2008020080A (ja) 乾燥処理方法と装置
JPH0760226A (ja) 有機物の小型分解乾燥装置
JP3201590B2 (ja) 廃棄物の炭化処理装置
JPH04284206A (ja) 医療用廃プラの熔解処理装置
JPH1024280A (ja) 有機ごみ処理装置
JP2967188B2 (ja) 廃棄物の炭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