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152B1 - 축산분뇨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축산분뇨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152B1
KR102268152B1 KR1020210007937A KR20210007937A KR102268152B1 KR 102268152 B1 KR102268152 B1 KR 102268152B1 KR 1020210007937 A KR1020210007937 A KR 1020210007937A KR 20210007937 A KR20210007937 A KR 20210007937A KR 102268152 B1 KR102268152 B1 KR 10226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using
pipe
chamber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조일
Original Assignee
권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조일 filed Critical 권조일
Priority to KR102021000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4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conductive heating arrangements, e.g. heated drum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6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 F26B11/047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mixing, stirring or convey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e.g. mounted to the wall, rotating with the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축산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축산분뇨를 건조시켜 건조분뇨를 생산하고, 이와 같이 생산된 건조분뇨를 연소시켜 축산분노를 건조시킴으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축산분뇨를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산분뇨처리장치{excretion of livestock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축산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사 등에서 발생된 축산분뇨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비료로 사용하거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처리를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분뇨를 발효시키는 경우, 다량의 악취가 발생될 뿐 아니라, 다량의 순산분뇨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시설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축산분뇨를 처리하는 경우, 축산분뇨를 가열하기 위한 다량의 연료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7253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축산분뇨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형성된 건조통(20)과, 상기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과, 상기 투입구(21)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축산분뇨를 공급하는 축산분뇨공급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연소기(50)와,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교반하고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교반기(6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건조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연소기(50)로 공급하는 건조분뇨공급수단(70)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기(50)는 상기 건조통(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배기구(51a)가 형성된 연소통체(51)와, 상기 연소통체(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연소통체(51)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연소챔버(51b)와 하측의 급기챔버(51c)로 구획하며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관(52a)이 구비된 격판(52)과, 상기 연소통체(51)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챔버(51b)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53)과, 급기관(55)을 통해 상기 연소통체(51)의 급기챔버(51c)에 연결된 급기팬(54)과, 상기 연소통체(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52a)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출관(56)과, 상기 배출관(56)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56)으로 배출된 재를 배출관(56)의 단부로 밀어 배출하는 배출스크류(57)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은 상기 배출구(2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된 호퍼부재(71)와, 상기 호퍼부재(71)에서 상기 연소통체(51)의 연소챔버(51b) 내부로 연장된 공급관(72)과, 상기 공급관(72)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74)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73)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72)의 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급기관(55)은 분기관(55a)을 통해 상기 공급관(72)의 기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90)은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상측의 정화챔버(91b)와 하측의 배출챔버(91c)로 구획하는 격판(91a)이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흡입구(91d)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정화챔버(91b)와 연결되는 배기관(91e)이 구비된 정화케이스(91)와, 상기 정화챔버(91b)를 막도록 구비되어 흡입구(91d)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92)와, 상기 정화챔버(91b)의 내부에 구비되며 급수수단(94)에 의해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부재(92)의 외측면으로 분사하여 필터부재(92)의 내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상기 배출챔버(91c)로 배출되도록하는 물분사수단(93)과, 상기 배출챔버(91c)에 연결되어 배출챔버(91c)로 배출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95)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단(95)은 상기 배출챔버(91c)에 형성된 배출구(91f)에 연결된 배출관(95a)과, 상기 배출관(95a)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95c)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91f)로 배출된 오염물질을 상기 배출관(95a)의 전단부로 배출하는 배출스크류(95b)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95a)은 전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축산분뇨를 건조시켜 건조분뇨를 생산하고, 이와 같이 생산된 건조분뇨를 연소시켜 축산분노를 건조시킴으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축산분뇨를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의 정화수단을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의 정화수단의 배출수단을 도시한 배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형성된 건조통(20)과, 상기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과, 상기 투입구(21)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축산분뇨를 공급하는 축산분뇨공급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연소기(50)와,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교반하고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상기 투입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교반기(6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건조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연소기(50)로 공급하는 건조분뇨공급수단(7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8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통(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이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21)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2)는 상기 투입구(2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0)은 상단이 건조통(2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배출구(22)를 막는 덮개판(31)과, 상기 덮개판(3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덮개판(31)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34)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34)는 상단이 상기 분뇨공급수단(40)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판(3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34)가 신장되면 상기 덮개판(31)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배출구(22)를 밀폐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34)가 축소되면 상기 덮개판(31)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배출구(22)를 개방한다.
상기 축산분뇨공급수단(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축산분뇨가 저장되며 하단이 상기 투입구(21)에 연결된 호퍼부재(41)와, 상기 호퍼부재(41)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4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부재(41)의 내부에 축산분뇨를 공급하면, 공급된 축산분뇨가 자중에 의해 상기 투입구(21)를 통해 건조통(20)의 내부로 천천히 공급된다.
상기 연소기(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통(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배기구(51a)가 형성된 연소통체(51)와, 상기 연소통체(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연소통체(51)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연소챔버(51b)와 하측의 급기챔버(51c)로 구획하며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관(52a)이 구비된 격판(52)과, 상기 연소통체(51)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챔버(51b)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53)과, 급기관(55)을 통해 상기 연소통체(51)의 급기챔버(51c)에 연결된 급기팬(54)과, 상기 연소통체(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52a)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출관(56)과, 상기 배출관(56)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56)으로 배출된 재를 배출관(56)의 단부로 밀어 배출하는 배출스크류(57)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통체(5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격판(52)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깔때기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다수개의 급기공(52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기관(55)은 외측단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급기관(55)에 연결되는 급기팬(54)이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56)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중간부까지 연장되도록 연소통체(5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5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배출관(56)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격판(52)의 상측, 즉, 상기 연소챔버(51b)의 내부로 건조분뇨를 공급하고, 상기 점화수단(53)을 작동시켜 건조분뇨를 점화시킨 후, 상기 급기팬(54)을 작동시키면, 상기 급기챔버(51c)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된 후 상기 급기공(52b)을 통해 연소챔버(51b)로 공급되어, 연소챔버(51b)의 내부에 있는 건조분뇨가 원활하게 연소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건조분뇨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은 연소통체(51)의 배기구(51a)를 통해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연소챔버(51b)의 내부에서 건조분뇨가 연소되고 남은 재는 상기 연장관(52a)을 통해 배출관(56)으로 배출되며, 상기 구동모터(58)로 배출스크류(57)를 회전시키면, 배출관(56)으로 배출된 재가 배출관(56)의 단부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도어(12)를 열고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된 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60)는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재(61)와, 상기 교반부재(61)에 연결되어 교반부재(6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기(50)로 건조통(20)을 가열하면서, 상기 구동모터(62)로 교반부재(61)를 회전시키면,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가 교반되면서 건조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을 제어하여 상기 투입구(21)과 배출구(11)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교반부재(61)를 회전시키면, 건조통(20)의 내부에서 축산분뇨가 교반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는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의 호퍼부재(71)로 배출된다.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은 상기 배출구(2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된 호퍼부재(71)와, 상기 호퍼부재(71)에서 상기 연소통체(51)의 연소챔버(51b) 내부로 연장된 공급관(72)과, 상기 공급관(72)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74)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7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72)의 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4)를 구동시키면, 상기 호퍼부재(71)의 내부에 저장된 건조분뇨가 상기 공급관(72)을 통해 연소기(50)의 연소챔버(51b)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기(50)에 구비된 급기관(55)은 분기관(55a)을 통해 상기 공급관(72)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54)을 작동시키면, 급기관(55)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가 분기관(55a)을 통해 공급관(72)으로 공급되어, 건조분뇨가 배출관(56)을 통해 원활히 연소기(5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급기팬(80)은 상기 하우징(10)의 후측면에 연결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연소기(50)가 더욱 원활히 연소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정화수단(90)으로 강제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정화수단(90)은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상측의 정화챔버(91b)와 하측의 배출챔버(91c)로 구획하는 격판(91a)이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흡입구(91d)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정화챔버(91b)와 연결되는 배기관(91e)이 구비된 정화케이스(91)와, 상기 정화챔버(91b)를 막도록 구비되어 흡입구(91d)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92)와, 상기 정화챔버(91b)의 내부에 구비되며 급수수단(94)에 의해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부재(92)의 외측면으로 분사하여 필터부재(92)의 내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상기 배출챔버(91c)로 배출되도록하는 물분사수단(93)과, 상기 배출챔버(91c)에 연결되어 배출챔버(91c)로 배출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9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케이스(91)는 상기 하우징(10)의 후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챔버(91c)와 연결되는 배출구(91f)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재(92)는 물에 젖은 상태에서 필터링기능이 발휘되는 습식필터를 이용한다.
상기 물분사수단(93)은 상기 필터부재(92)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필터부재(92)의 외측면에 물을 분사하여 필터부재(92)가 물에 젖도록 함과 동시에, 필터부재(92)의 내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씻어내어 오염물질이 물과 함께 하측으로 흘러내려 배출챔버(91c)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급수수단(94)은 상기 물분사수단(93)과 수도관을 연결하는 급수관(94a)과, 상기 급수관(94a)에 구비된 급수펌프(94b)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수단(95)은 상기 배출챔버(91c)에 형성된 배출구(91f)에 연결된 배출관(95a)과, 상기 배출관(95a)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95c)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91f)로 배출된 오염물질을 상기 배출관(95a)의 전단부로 배출하는 배출스크류(95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95a)은 전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급기팬(80)을 구동시켜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하우징(10)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정화케이스(9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필터부재(92)를 통과하게 되며,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필터부재(92)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배기관(91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92)의 내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은 물분사수단(93)에 의해 분사된 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 하측의 배출챔버(91c)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배출챔버(91c)에 수집된 오염물질은 슬러지와 같은 형태를 띄게 되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상기 배출수단(95)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상기 연소기(50)와 교반기(6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축산분뇨공급수단(40)을 이용하여 건조통(20)의 내부에 축산분뇨를 공급하면, 축산분뇨가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되어 건조분뇨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30)을 구동시켜 상기 배출구(11)와 투입구(21)를 개방하면,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된 건조분뇨가 교반기(60)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와,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의 호퍼부재(71)에 수집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건조분뇨공급수단(70)의 호퍼부재(71)에 수집된 건조분뇨는 상기 연소기(50)로 공급되어 연소됨으로써, 건조통(20)을 가열하게 된다.
즉, 축산분뇨를 건조시켜 건조분뇨를 생산하고, 이와 같이 생산된 건조분뇨를 연소시켜 축산분노를 건조시킴으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축산분뇨를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정화수단(90)을 이용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실시간으로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 상기 연소기(50)에서 건조분뇨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이 상기 건조통(20)의 외측에 부착되어, 건조통(20)의 열전도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80)이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기압을 향상시킴으로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정화수단(90)으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기 호퍼부재(4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호퍼부재(41)의 하단을 막는 막음판(44)과, 상기 덮개판(31)과 막음판(44)을 연결하는 링크부재(46)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막음판(44)은 상단이 상기 호퍼부재(41)의 내부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호퍼부재(4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41a)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바(45)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재(46)는 양단이 상기 덮개판(31)의 일측과 상기 연장바(45)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34)로 덮개판(31)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링크부재(46)에 의해 막음판(44)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호퍼부재(41)의 하단을 막음으로써, 호퍼부재(41)에 저장된 축산분뇨가 건조통(2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덮개판(31)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된 건조분뇨를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의 허버부재(71)로 배출하고자 할 때, 자동을 상기 막음판(44)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축사분뇨공급수단(40)의 호퍼부재(41)의 하단을 막음으로써, 호퍼부재(41)에 저장된 건조되지 않은 축산분뇨가 하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건조분뇨공급수단(70)의 허버부재(71)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건조통
30. 개폐수단 40. 축산분뇨공급수단
50. 연소기 60. 교반기
70. 건조분뇨공급수단 80. 외부급기팬
90. 정화수단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형성된 건조통(20)과,
    상기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과,
    상기 투입구(21)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축산분뇨를 공급하는 축산분뇨공급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연소기(50)와,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교반하고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교반기(6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건조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연소기(50)로 공급하는 건조분뇨공급수단(70)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기(50)는
    상기 건조통(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배기구(51a)가 형성된 연소통체(51)와,
    상기 연소통체(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연소통체(51)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연소챔버(51b)와 하측의 급기챔버(51c)로 구획하며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관(52a)이 구비된 격판(52)과,
    상기 연소통체(51)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챔버(51b)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53)과,
    급기관(55)을 통해 상기 연소통체(51)의 급기챔버(51c)에 연결된 급기팬(54)과,
    상기 연소통체(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52a)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출관(56)과,
    상기 배출관(56)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5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56)으로 배출된 재를 배출관(56)의 단부로 밀어 배출하는 배출스크류(57)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은
    상기 배출구(2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된 호퍼부재(71)와,
    상기 호퍼부재(71)에서 상기 연소통체(51)의 연소챔버(51b) 내부로 연장된 공급관(72)과,
    상기 공급관(72)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74)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73)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72)의 단부는 상기 격판(52)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급기관(55)은 분기관(55a)을 통해 상기 공급관(72)의 기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90)은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상측의 정화챔버(91b)와 하측의 배출챔버(91c)로 구획하는 격판(91a)이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흡입구(91d)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정화챔버(91b)와 연결되는 배기관(91e)이 구비된 정화케이스(91)와,
    상기 정화챔버(91b)를 막도록 구비되어 흡입구(91d)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92)와,
    상기 정화챔버(91b)의 내부에 구비되며 급수수단(94)에 의해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부재(92)의 외측면으로 분사하여 필터부재(92)의 내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상기 배출챔버(91c)로 배출되도록하는 물분사수단(93)과,
    상기 배출챔버(91c)에 연결되어 배출챔버(91c)로 배출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95)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단(95)은
    상기 배출챔버(91c)에 형성된 배출구(91f)에 연결된 배출관(95a)과,
    상기 배출관(95a)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95c)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91f)로 배출된 오염물질을 상기 배출관(95a)의 전단부로 배출하는 배출스크류(95b)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95a)은 전단부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70)은
    내부에 축산분뇨가 저장되며 하단이 상기 투입구(21)에 연결된 호퍼부재(41)와,
    상기 호퍼부재(41)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42)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부재(4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호퍼부재(41)의 하단을 막는 막음판(44)과,
    덮개판(31)과 막음판(44)을 연결하는 링크부재(46)를 더 포함하여, 실린더기구(34)로 상기 덮개판(31)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링크부재(46)에 의해 상기 막음판(44)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호퍼부재(41)의 하단을 막음으로써, 상기 호퍼부재(41)에 저장된 축산분뇨가 건조통(2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장치.
KR1020210007937A 2021-01-20 2021-01-20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226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37A KR102268152B1 (ko) 2021-01-20 2021-01-20 축산분뇨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37A KR102268152B1 (ko) 2021-01-20 2021-01-20 축산분뇨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152B1 true KR102268152B1 (ko) 2021-06-21

Family

ID=7659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37A KR102268152B1 (ko) 2021-01-20 2021-01-20 축산분뇨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32Y1 (ko) 1999-07-01 2000-03-15 염호 가축분뇨의 건조처리장치
KR20020033957A (ko) * 2000-10-31 2002-05-08 윤복현 자가 연소 및 건조식 슬러지 처리장치
KR102139028B1 (ko) * 2020-06-08 2020-07-29 김인철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2178487B1 (ko) * 2020-09-21 2020-11-13 (주)대광파워텍 축산분뇨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32Y1 (ko) 1999-07-01 2000-03-15 염호 가축분뇨의 건조처리장치
KR20020033957A (ko) * 2000-10-31 2002-05-08 윤복현 자가 연소 및 건조식 슬러지 처리장치
KR102139028B1 (ko) * 2020-06-08 2020-07-29 김인철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2178487B1 (ko) * 2020-09-21 2020-11-13 (주)대광파워텍 축산분뇨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87B1 (ko)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건조장치
KR102268152B1 (ko) 축산분뇨처리장치
CN211424405U (zh) 一种环保型垃圾焚烧炉
CN105546549A (zh) 一种垃圾脱氯装置及其脱氯方法
JPH11286684A (ja) 連続炭化炉
KR200280671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120064326A (ko) 버너의 직,간접열을 이용한 악취공기 연소 탈취장치
CN214700718U (zh) 一种半固态危险废物焚烧前预处理装置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20090072887A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 시스템
KR100294422B1 (ko) 소각 가스로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CN207741114U (zh) 车载式垃圾处理装置
CN205424935U (zh) 一种垃圾脱氯装置
KR102588331B1 (ko) 음식물 및 식품 찌꺼기 발효 건조 감량처리장치
KR200339926Y1 (ko) 보일러
CN218178895U (zh) 一种具有尾气净化功能的垃圾焚烧炉
CN112984528B (zh) 污泥干化焚烧装置及其污泥焚烧方法
CN217057542U (zh) 一种垃圾处理焚烧炉
CN213983575U (zh) 一种便于低品质垃圾焚烧的机械炉
CN212057315U (zh) 生活固体废弃物处理用焚烧装置
JP2707210B2 (ja) 廃棄物処理装置
KR960003580B1 (ko)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