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028B1 - 축산분뇨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축산분뇨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028B1
KR102139028B1 KR1020200068740A KR20200068740A KR102139028B1 KR 102139028 B1 KR102139028 B1 KR 102139028B1 KR 1020200068740 A KR1020200068740 A KR 1020200068740A KR 20200068740 A KR20200068740 A KR 20200068740A KR 102139028 B1 KR102139028 B1 KR 10213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nure
drying
dry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102020006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2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animal substances or products obtained therefrom, e.g. manure
    • B01F15/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7/0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the waste being subjected to a whirling movement, e.g. cyclonic inci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01F2101/33Mixing compost ingredients or organic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2Combustion or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30Cyclonic combustion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축산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상기 분뇨공급수단(50)에 축산분뇨를 공급하고, 상기 연소기(60)와 교반기(A)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분뇨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건조통(20)의 내부에 축산분뇨를 공급하면, 축산분뇨가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되어 건조분뇨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40)을 구동시켜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된 건조분뇨가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으로 배출되도록 하면, 건조분뇨공급수단(90)이 상기 연소기(60)로 건조분뇨를 공급하여 건조분뇨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한다.
즉,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시켜 건조분뇨를 만들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연료로 사용함으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 및 재사용하여 축산분뇨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연료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산분뇨처리장치{excretion of livestock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축산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사 등에서 발생된 축산분뇨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비료로 사용하거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처리를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분뇨를 발효시키는 경우, 다량의 악취가 발생될 뿐 아니라, 다량의 순산분뇨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시설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축산분뇨를 처리하는 경우, 축산분뇨를 가열하기 위한 다량의 연료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7253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축산분뇨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11)에 대응되는 연통공(21)이 형성된 건조통(2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와 연통공(21)을 개폐하는 개폐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축산분뇨를 공급하는 분뇨공급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연소기(60)와,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교반하고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교반기(A)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건조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연소기(60)로 공급하는 건조분뇨공급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기(60)는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에 의해 공급된 건조분뇨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소기(60)는 외부케이스(61)와, 상기 외부케이스(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이 연결되는 투입구(62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61)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기구(62b)가 형성되며 하측 둘레부에는 통기공(62d)이 형성된 연소통(62)과, 상기 연소통(62)에 연결되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63)과, 상기 연소통(6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64)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통(62)의 상측 둘레부에는 급기공(62e)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62e)에는 상기 연소통(62)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급기관(62f)이 연결되고, 상기 급기팬(63)은 상기 급기관(62f)과 외부케이스(61)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공(62e)과 외부케이스(6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급기관(62f)을 통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소통(62)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기구(62b)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케이스(6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소통(62)의 통기공(62d)을 통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통(20)의 둘레면의 내부에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는 열매체(23)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건조통(20)의 전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건조통(20)의 전단부를 덮는 외부커버(13)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기(A)는 상기 건조통(20)의 내부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전단부는 상기 건조통(20)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71)과 상기 회전축(71)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측단에는 교반날(73)이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72)를 포함하는 교반부재(7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71)에 연결되어 교반부재(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와 하우징(10)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1)은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71)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연장된 부위에는 급기공(7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1)에서 건조통(20)의 내부에 위치된 부위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배기공(71b)이 형성되며, 상기 건조통(20)의 일측에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기관(24)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급기팬(30)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통공(14)을 통해 외부커버(13)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급기공(71a)과 배기공(71b)을 통해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되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배기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71)은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관통공(71d)이 형성된 외부회전축(71c)과, 상기외부회전축(71c)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내부회전축(71e)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83)는 클러치(83c)를 통해 상기 외부회전축(71c) 또는 내부회전축(71e)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장바(72)는 상기 외부회전축(71c)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바(72a)와, 상기 내부회전축(71e)의 둘레면에서 상기 관통공(71d)을 통해 외부회전축(71c)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바(72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73)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바(72a,72b)의 외측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83)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83c)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83)가 상기 외부회전축(71c) 또는 내부회전축(71e)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면, 상기 교반날(73)의 기울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상기 분뇨공급수단(50)에 축산분뇨를 공급하고, 상기 연소기(60)와 교반기(A)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분뇨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건조통(20)의 내부에 축산분뇨를 공급하면, 축산분뇨가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되어 건조분뇨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40)을 구동시켜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된 건조분뇨가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으로 배출되도록 하면, 건조분뇨공급수단(90)이 상기 연소기(60)로 건조분뇨를 공급하여 건조분뇨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한다.
즉,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시켜 건조분뇨를 만들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연료로 사용함으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 및 재사용하여 축산분뇨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연료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의 연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의 연소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의 작용을 되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11)에 대응되는 연통공(21)이 형성된 건조통(2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3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와 연통공(21)을 개폐하는 개폐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축산분뇨를 공급하는 분뇨공급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연소기(60)와,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교반하고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교반기(A)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건조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연소기(60)로 공급하는 건조분뇨공급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전후면에는 상기 건조통(20)이 결합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건조통(2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결합되어, 전후단이 상기 관통공(12)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10)에 용접결합되어, 건조통(20)의 전후면이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통(20)의 둘레면의 내부에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는 열매체(23)가 충진되어, 상기 연소기(60)에 의해 건조통(20)의 하측면이 가열될 때, 상기 열매체(23)가 공간부(22)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연소기(60)에서 발생된 열이 건조통(20)의 둘레면 전체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건조통(20)의 전단부를 덮는 외부커버(13)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와 하우징(10)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통공(14)이 형성되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연통공(14)을 통해 외부커버(13)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공(15)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통(20)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기관(2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통(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공(21)에서 배출구(11)로 연장되어 연통공(21)에서 배출된 건조분뇨가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가이드(25)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급기팬(30)은 상기 급기공(15)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작동시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과 건조통(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40)은 상단이 상기 외부케이스(6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배출구(11)를 막는 덮개판(41)과, 연결판(43)에 의해 상기 덮개판(41)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덮개판(41)이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연통공(21)에 결합되어 연통공(21)을 막는 막음판(42)과, 상기 외부케이스(6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이 상기 외부케이스(61)와 덮개판(41)의 외측면에 각각 힌지결합된 실린더기구(44)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4)가 신장되면 상기 덮개판(41)과 막음판(42)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밀폐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4)가 축소되면 상기 덮개판(41)과 막음판(42)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개방한다.
상기 분뇨공급수단(5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축산분뇨가 저장된 호퍼부재(51)와, 상기 호퍼부재(51)의 하단에서 상기 건조통(2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된 공급관(52)과, 상기 공급관(52)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53)와, 상기 이송스크류(53)에 연결된 구동모터(54)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54)로 이송스크류(53)를 회전시키면, 상기 호퍼부재(51)의 내부에 저장된 축산분뇨가 상기 공급관(52)을 통해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연소기(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61)와, 상기 외부케이스(61)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통(62)과, 상기 연소통(62)에 연결되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63)과, 상기 연소통(6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64)과, 상기 연소통(6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6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소통(62)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건조분뇨를 수집하는 수집통(6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61)는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통(6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이 연결되는 투입구(62a)가 형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61)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기구(62b)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배출구(6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통(62)의 하측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62d)이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소통(62)의 상측 둘레부에는 급기공(62e)이 형성되며, 상기 급기공(62e)에는 상기 연소통(62)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급기관(62f)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62c)에는 개폐댐퍼(6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댐퍼(66)에는 상기 외부케이스(61)의 전방으로 연장된 레버(66a)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66a)를 전후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개폐댐퍼(6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62c)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급기팬(63)은 연결관(63a)을 통해 상기 급기관(62f)과 외부케이스(61)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공(62e)과 외부케이스(6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기관(62f)을 통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도 3 및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통(62)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기구(62b)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케이스(6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소통(62)의 통기공(62d)을 통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되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상기 점화수단(64)은 상기 투입구(62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가스점화기를 이용한다.
상기 수집통(65)은 상기 외부케이스(61)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을 이용하여 상기 연소통(62)의 내부로 건조분뇨를 공급하면서, 상기 급기팬(63)을 이용하여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점화수단(64)을 작동시키면, 상기 투입구(62a)를 통해 공급된 건조분뇨가 점화수단(64)에 의해 점화되며, 일단 건조분뇨가 점화되면 상기 점화수단(64)을 정지시키더라도, 건조분뇨가 지속적으로 연소된다.
이때, 상기 통기공(62d)과 급기공(62e)을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투입구(62a)로 공급된 건조분뇨는 천천히 하강되면서 연소되고, 건조분뇨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구(62b)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건조통(20)의 하부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분뇨가 연소되고 남은 재는 하측으로 낙하되어, 연소통(62)의 내부 하측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66a)를 밀어 개폐댐퍼(66)를 회전시키면 상기 배출구(62c)가 개방되며, 연소통(62)에 쌓인 재는 하측으로 낙하되어 수집통(65)에 수집된다.
상기 교반기(A)는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재(7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71)에 연결되어 교반부재(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재(70)는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전단부는 상기 건조통(20)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71)과, 상기 회전축(71)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측단에는 교반날(73)이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7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71)은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71)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연장된 부위에는 급기공(7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1)에서 건조통(20)의 내부에 위치된 부위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배기공(71b)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83)는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체인(83b)과 스프로켓(83a)을 통해 상기 회전축(71)에 연결되어 회전축(71)을 일방향(도면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축산분뇨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기(60)를 이용하여 건조통(20)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83)로 교반부재(70)를 회전시키면, 교반날(73)이 건조통(20)의 내부에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통(20)의 원주방향으로 밀어 교반함으로써, 축산분뇨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소기(60)에 의해 건조통(20)이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급기팬(30)을 구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과 건조통(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가열되고, 상기 연통공(14)을 통해 외부커버(13)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회전축(71)의 급기공(71a)을 통해 회전축(7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기공(71b)을 통해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되어 건조통(20) 내부의 축산분뇨를 직접 가열하게 되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와 축산분뇨에서 발생된 습기와 기타물질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통(20) 내부의 축산분뇨가 건조되도록 한다.
그리고, 건조통(20) 내부의 축산분뇨가 완전히 건조되어 건조분뇨가 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개방하면, 건조통(20) 내부의 건조분뇨가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으로 배출된다.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은 상기 배출구(1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된 호퍼부재(91)와, 상기 호퍼부재(91)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소통(62)의 투입구(62a)에 연결된 공급관(92)과, 상기 공급관(92)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93)와, 상기 이송스크류(93)에 연결된 구동모터(94)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94)로 이송스크류(93)를 회전시키면, 상기 호퍼부재(91)의 내부에 저장된 건조분뇨가 상기 공급관(92)을 통해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막음판(42)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절단날(45)이 상기 건조통(2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절단날(45)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으로,상기 교반기(A)의 교반부재(70)가 회전될 때, 교반부재(70)의 교반날(73)과 맞물려 축산분뇨에 포함된 식물 섬유질을 절단함으로써,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발생되는 건조분뇨가 작게 분쇄되어 상기 연소기(60)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통(20)의 공간부(22)에는 히터(26)가 구비되어, 상기 연소기(60)를 이용하여 건조통(20)을 가열할 때, 상기 히터(26)를 0n시킴으로써, 열매체(23)의 초기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상기 분뇨공급수단(50)에 축산분뇨를 공급하고, 상기 연소기(60)와 교반기(A)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분뇨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건조통(20)의 내부에 축산분뇨를 공급하면, 축산분뇨가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되어 건조분뇨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40)을 구동시켜 건조통(20)의 내부에서 건조된 건조분뇨가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으로 배출되도록 하면, 건조분뇨공급수단(90)이 상기 연소기(60)로 건조분뇨를 공급하여 건조분뇨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한다.
즉,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시켜 건조분뇨를 만들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연료로 사용함으로,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 및 재사용하여 축산분뇨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연료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소기(60)는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기능만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연소기(60)에 내부에 물이 통과하는 열교환파이프를 설치하여, 연소기(60)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71)은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관통공(71d)이 형성된 외부회전축(71c)과, 상기외부회전축(71c)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내부회전축(71e)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83)는 클러치(83c)를 통해 상기 외부회전축(71c) 또는 내부회전축(71e)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72)는 상기 외부회전축(71c)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바(72a)와, 상기 내부회전축(71e)의 둘레면에서 상기 관통공(71d)을 통해 외부회전축(71c)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바(72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73)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바(72a,72b)의 외측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바(72a)는 상기 제2 연장바(72b)에 비해 좌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83)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83c)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83)가 상기 외부회전축(71c)에 연결되도록 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회전축(71c)과 제1 연장바(72a)가 먼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73)의 우측단이 하향되도록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바(72b)가 상기 관통공(71d)의 반시계방향쪽 단부에 걸리면, 외부회전축(71c)과 내부회전축(71e)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날(73)이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우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반대로, 상기 클러치(83c)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83)가 내부회전축(71e)에 연결되도록 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회전축(71e)과 제2 연장바(72b)가 먼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도 9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73)의 좌측단이 하향되도록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관통공(71d)의 시계방향쪽 단부에 걸리면, 외부회전축(71c)과 내부회전축(71e)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날(73)이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좌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산분뇨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83c)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83)가 상기 내부회전축(71e)과 외부회전축(71c)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교반날(73)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가 교반날(73)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가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건조통
30. 외부급기관 40. 개폐수단
50. 분뇨공급수단 60. 연소기
A. 교반기 90. 건조분뇨공급수단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11)에 대응되는 연통공(21)이 형성된 건조통(2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와 연통공(21)을 개폐하는 개폐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축산분뇨를 공급하는 분뇨공급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건조시키는 연소기(60)와,
    상기 건조통(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교반하고 축산분뇨가 건조되어 만들어진 건조분뇨를 상기 연통공(21)과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교반기(A)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건조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연소기(60)로 공급하는 건조분뇨공급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기(60)는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에 의해 공급된 건조분뇨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건조통(20)의 전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건조통(20)의 전단부를 덮는 외부커버(13)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기(A)는
    상기 건조통(20)의 내부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전단부는 상기 건조통(20)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71)과 상기 회전축(71)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측단에는 교반날(73)이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72)를 포함하는 교반부재(7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71)에 연결되어 교반부재(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급기팬(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외부커버(13)의 내부와 하우징(10)의 내부를 연결하는 연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1)은 내부에 공간부(22)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71)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연장된 부위에는 급기공(7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71)에서 건조통(20)의 내부에 위치된 부위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배기공(71b)이 형성되며,
    상기 건조통(20)의 일측에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기관(24)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급기팬(30)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통공(14)을 통해 외부커버(13)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급기공(71a)과 배기공(71b)을 통해 상기 건조통(20)의 내부로 공급되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배기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60)는
    외부케이스(61)와,
    상기 외부케이스(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건조분뇨공급수단(90)이 연결되는 투입구(62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61)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기구(62b)가 형성되며 하측 둘레부에는 통기공(62d)이 형성된 연소통(62)과,
    상기 연소통(62)에 연결되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63)과,
    상기 연소통(6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분뇨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64)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통(62)의 상측 둘레부에는 급기공(62e)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62e)에는 상기 연소통(62)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급기관(62f)이 연결되고,
    상기 급기팬(63)은 상기 급기관(62f)과 외부케이스(61)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공(62e)과 외부케이스(6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급기관(62f)을 통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소통(62)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기구(62b)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케이스(6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소통(62)의 통기공(62d)을 통해 연소통(62)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20)의 둘레면의 내부에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는 열매체(23)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1)은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관통공(71d)이 형성된 외부회전축(71c)과,
    상기외부회전축(71c)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내부회전축(71e)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83)는 클러치(83c)를 통해 상기 외부회전축(71c) 또는 내부회전축(71e)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장바(72)는
    상기 외부회전축(71c)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바(72a)와,
    상기 내부회전축(71e)의 둘레면에서 상기 관통공(71d)을 통해 외부회전축(71c)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바(72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73)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바(72a,72b)의 외측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83)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83c)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83)가 상기 외부회전축(71c) 또는 내부회전축(71e)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면, 상기 교반날(73)의 기울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처리장치.
  5. 삭제
KR1020200068740A 2020-06-08 2020-06-08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213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740A KR102139028B1 (ko) 2020-06-08 2020-06-08 축산분뇨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740A KR102139028B1 (ko) 2020-06-08 2020-06-08 축산분뇨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028B1 true KR102139028B1 (ko) 2020-07-29

Family

ID=7189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740A KR102139028B1 (ko) 2020-06-08 2020-06-08 축산분뇨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0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87B1 (ko) 2020-09-21 2020-11-13 (주)대광파워텍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2268152B1 (ko) * 2021-01-20 2021-06-21 권조일 축산분뇨처리장치
KR20230047552A (ko) 2021-10-01 2023-04-1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건조 장치
KR102616619B1 (ko) 2022-09-14 2023-12-22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건조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32Y1 (ko) 1999-07-01 2000-03-15 염호 가축분뇨의 건조처리장치
JP2004108728A (ja) * 2002-09-20 2004-04-08 Nishimura Tekkosho:Kk 温水乾燥機
KR101017454B1 (ko) * 2010-09-01 2011-02-25 오수록 습식 폐기물 탄화장치
KR101043070B1 (ko) * 2009-03-23 2011-06-21 (주)에너렉스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KR101434642B1 (ko) * 2014-04-08 2014-08-26 일양이엔지 주식회사 폐기물 건조장치
KR101558836B1 (ko) * 2015-01-13 2015-10-08 박성규 오파란 처리기
KR20170086893A (ko) * 2016-01-19 2017-07-27 이가희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32Y1 (ko) 1999-07-01 2000-03-15 염호 가축분뇨의 건조처리장치
JP2004108728A (ja) * 2002-09-20 2004-04-08 Nishimura Tekkosho:Kk 温水乾燥機
KR101043070B1 (ko) * 2009-03-23 2011-06-21 (주)에너렉스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KR101017454B1 (ko) * 2010-09-01 2011-02-25 오수록 습식 폐기물 탄화장치
KR101434642B1 (ko) * 2014-04-08 2014-08-26 일양이엔지 주식회사 폐기물 건조장치
KR101558836B1 (ko) * 2015-01-13 2015-10-08 박성규 오파란 처리기
KR20170086893A (ko) * 2016-01-19 2017-07-27 이가희 동물 사체 및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87B1 (ko) 2020-09-21 2020-11-13 (주)대광파워텍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2268152B1 (ko) * 2021-01-20 2021-06-21 권조일 축산분뇨처리장치
KR20230047552A (ko) 2021-10-01 2023-04-1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건조 장치
KR102549214B1 (ko) * 2021-10-01 2023-06-3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건조 장치
KR102616619B1 (ko) 2022-09-14 2023-12-22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 건조 장치
WO2024058305A1 (ko) *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 규원테크 고체 연료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028B1 (ko)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102225455B1 (ko) 축산분뇨 건조장치
KR101659814B1 (ko) 디스크 건조기
JP2009018304A (ja) 蓄糞資源の燃料及び堆肥化装置
KR20180054939A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102178487B1 (ko) 축산분뇨처리장치
JP2007105605A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1977012B1 (ko)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KR101178449B1 (ko) 습식 폐기물 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폐기물 재생설비
JPH0967580A (ja) 含水有機性廃棄物を乾燥及び炭化処理する方法とその処理装置
KR100724687B1 (ko) 감압 건조 탄화장치
US3749033A (en) Rotary kiln incinerator
KR100282014B1 (ko) 유기성 폐기물 및 농축산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화 및 사료화를위한 혼합 건조 장치.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JPS597894B2 (ja) 籾殻スト−ブ
KR100888810B1 (ko) 축분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2261305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 건조 처리장치
KR200487306Y1 (ko) 열풍 순환 건조구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68277Y1 (ko) 음식물 쓰레기의 고속진공 발효건조기
CN214501964U (zh) 快速免堆环保处理设备
JP2002265953A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設備
CN213708224U (zh) 一种节能稻壳碳化炉
KR102268152B1 (ko) 축산분뇨처리장치
KR0137473Y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용 발효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