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604A -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604A
KR19980020604A KR1019960039119A KR19960039119A KR19980020604A KR 19980020604 A KR19980020604 A KR 19980020604A KR 1019960039119 A KR1019960039119 A KR 1019960039119A KR 19960039119 A KR19960039119 A KR 19960039119A KR 19980020604 A KR19980020604 A KR 19980020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witch
driver
contac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604A/ko
Publication of KR1998002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604A/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를 다접점 스위치로 구성하여 사용자 조작부의 갯수를 줄여서 운전자에게 윈도우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접점이 윈도우 갯수 이상이며 사용자 조작 레버가 2개 이하인 다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져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0)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다수 개의 모터로 이루어진 윈도우 모터부(60)와;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0)에서 인가되는 윈도우 개폐 신호가 일정시간(t)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만 윈도우 모터부(60)의 해당 모터를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윈도우 제어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이다.

Description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본 발명은 모터의 힘에 의해 윈도우 유리를 오르내림 하는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를 다접점 스위치로 구성하여 사용자 조작부의 갯수를 줄여서 운전자에게 윈도우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워 윈도우의 제어회로는 도 1에서와 같이, +전원()에 병렬 접속되어 각각의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한 다수 개의 윈도우 주스위치(11)와, 운전석 외의 윈도우 개폐를 제어하는 윈도우 주스위치(11)중 운전석 외의 윈도우 주스위치에 일대일로 접속되고 상기 윈도우 로크 스위치(12)를 통해 +전원()에 병렬 접속되는 다수 개의 윈도우 부스위치(20)와; 상기 운전석 주스위치(11)중 운전석 윈도우에 해당되는 윈도우 주스위치와 상기 운전석 부스위치(20)에 각각 접속되어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다수 개의 윈도우 모터(30)로 구성되었다.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10)는 해당 윈도우를 각각 제어하는 운전석 스위치(11a), 조수석 스위치(11b), 뒷좌석 왼쪽 스위치(11c), 뒷좌석 오른쪽 스위치(11d)로 이루어진 윈도우 주스위치(11)와, 운전석 외의 윈도우의 개폐를 제어하는 윈도우 로크 스위치(12)로 이루어져 운전석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 부스위치(20)는 각 해당도어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종래 파워 윈도우 제어회로는 운전석에서 4개의 윈도우 주스위치(11)를 조작하여 각 도어의 윈도우를 개폐하고, 윈도우 로크 스위치(12)를 조작하여 안전을 위해서 운전석 외의 각 도어에 위치한 윈도우 부스위치(20)의 조작으로는 윈도우가 개폐되지 않도록 했다. 즉, 윈도우 부스위치(20)로 해당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에서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10)중 윈도우 로크 스위치(12)를 온으로 조작된 상태에서만 운전석 이외의 각 좌석에서 해당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조수석 윈도우를 닫기 위해서는 첫째 운전석에서 윈도우 주스위치(11)중 조수석 스위치(11b)를 조작하여 접점a를 UP쪽에 접속시키면, 접점b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윈도우 모터(FR)에 닫힘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윈도우가 닫히고, 둘째 운전석에서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10)중 윈도우 로크 스위치(12)를 온으로 조작하고, 조수석에서 윈도우 부스위치(20b)를 조작하여 접점a'를 UP쪽에 접속시키면, 접점b'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 주스위치(11b)의 조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모터(FR)에 열림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윈도우가 닫힌다.
또한, 조수석 윈도우를 열기 위해서는, 첫째 운전석에서 윈도우 주스위치(11)중 조수석 스위치(11b)를 조작하여 접점b를 DOWN쪽에 접속시키거나 둘째, 윈도우 로크 스위치(12)를 온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조수석의 윈도우 부스위치(20b)를 조작하여 접점b'를 DOWN쪽에 접속시키면 윈도우 모터(FR)에 닫힘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윈도우를 열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파워 윈도우 제어회로에서 운전가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를 보면서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여 해당 윈도우를 열거나 닫아야 하고, 스위치를 잘못 선택하게 되면 원하지 않은 다른 윈도우가 작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워 윈도우 제어회로에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가 다수 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의 배치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스위치를 눈으로 보면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를 다접점 스위치로 구성하여 사용자 조작부의 갯수를 줄여서 운전자로 하여금 윈도우 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개폐시기키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다수 개의 모터로 이루어진 윈도우 모터부와,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윈도우 개폐 신호에 따라 윈도우 모터부의 해당 모터를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윈도우 제어부로 이루어진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는 접점이 윈도우 갯수 이상이며, 사용자 조작 레버가 2개 이하인 다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도우 제어부는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의 각 접점이 일정시간 이상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동작신호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는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닫힘 스위치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열림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워 윈도우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일반적인 파워 윈도우의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중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의 접점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용자 조작 레버가 1개인 경우의 접점 구성도,
(b)는 사용자 조작 레버가 2개인 경우의 접점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1 : 윈도우 열림 스위치
52 : 윈도우 닫힘 스위치60 : 윈도우 모터부
70 : 윈도우 제어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이 윈도우 갯수 이상이며 사용자 조작 레버가 2개 이하인 다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져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0)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다수 개의 모터로 이루어진 윈도우 모터부(60)와;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0)에서 인가되는 윈도우 개폐 신호가 일정시간(t)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만 윈도우 모터부(60)의 해당 모터를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윈도우 제어부(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0)는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닫힘 스위치(51)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열림 스위치(52)로 이루어진다.
자동차의 윈도우를 각각 개폐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50)는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 조작 레버를 1개로, (b)와 같이 사용자 조작 레버를 2개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운전자 윈도우 스위치(60)의 사용자 조작 레버를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 조작 레버를 1개로 구성하는 경우, 운전자는 1개의 사용자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가동접점을 각각의 고정접점에 위치시켜서 다수 개의 접점중 1개의 접점을 온시킨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 조작 레버를 2개로 구성하는 경우, 운전자는 제1사용자 조작 레버로 윈도우 열림 스위치(51)의 각 접점을 온/오프시키고, 제2사용자 조작 레버로 윈도우 닫힘 스위치(52)의 각 접점을 온/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사용자 조작 레버를 1개 또는 2개를 조작하므로 자동차의 모든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으며, 조작 레버의 수가 적고, 각 접점의 온/오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조작 레버를 눈으로 보지 않고도 충분히 조작할 수 있다.
자동차의 개폐되는 윈도우가 4개이고,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60)의 사용자 조작레버가 2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윈도우 열림 스위치(51)와 윈도우 닫힘 스위치(52)는 각각 다섯개의 접점을 가지며, 다섯 개의 접점중 하나인 제1접점(NC, NC')은 통상시 온 상태이고, 나머지 네개의 접점인 제2접점~제5접점(FR~RL, FR'~RL')은 통상시 오프 상태이며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부를 잡아 올리거나 또는 밀어서 순차적으로 온 상태를 만들어 각각 운전석 윈도우, 조수석 윈도우, 뒷좌석 오른쪽 윈도우 및 뒷좌석 왼쪽 윈도우의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수석 윈도우를 열려면 윈도우 열림 스위치(51)의 조작부를 잡아 올리거나 또는 밀어서 제3접점(FR)을 온 상태로 만들어 일정시간(t) 이상 유지시키고, 조수석 윈도우를 닫으려면 윈도우 닫힘 스위치(52)의 조작부를 잡아 올리거나 밀어서 제3접점(FR')을 온 상태로 만들어 일정시간(t) 이상 유지시킨다.
여기에서 운전자가 윈도우 열림 스위치(51)의 제3접점(FR)을 온시키는 과정에서 제2접점(FL)이 온되었다가 다시 오프되는데 상기 제2접점(FL)이 온되는 짧은 시간은 윈도우의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와 구분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윈도우 제어부(70)는 상기 윈도우 열림 스위치(51)와 윈도우 닫힘 스위치(52)의 각 접점이 상기 일정시간(t) 이상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열림신호 또는 닫힘 신호로 판단한다.
즉, 윈도우 제어부(70)는 윈도우 열림 스위치(51)의 제3접점(FR)이 일정시간(t) 이상 온 상태를 유지하면, 조수석 윈도우의 열림 신호로 판단하여 윈도우 모터부(60)에서 조수석 윈도우에 해당되는 모터(FRM)에 열림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조수석 윈도우를 열고, 윈도우 제어부(70)는 윈도우 닫힘 스위치(52)의 제3접점(FR')이 일정시간(t) 이상 온상태를 유지하면, 조수석 윈도우의 닫힘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FRM)에 닫힘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조수석 윈도우를 닫는다.
본 발명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를 다접점 스위치로 구성하여 사용자 조작부의 갯수를 1개 또는 2개로 구성한 것으로, 운전자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적은 수의 사용자 조작부를 작동시키므로 간편하게 각각의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다수 개의 모터로 이루어진 윈도우 모터부와,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윈도우 개폐 신호에 따라 윈도우 모터부의 해당 모터를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윈도우 제어부로 이루어진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는 접점이 윈도우 갯수 이상이며, 사용자 조작 레버가 2개 이하인 다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어부는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의 각 접점이 일정시간 이상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동작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윈도우 스위치는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상승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닫힘 스위치와,
    다수 개의 윈도우를 각각 하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열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KR1019960039119A 1996-09-10 1996-09-10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KR19980020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119A KR19980020604A (ko) 1996-09-10 1996-09-10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119A KR19980020604A (ko) 1996-09-10 1996-09-10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04A true KR19980020604A (ko) 1998-06-25

Family

ID=6652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119A KR19980020604A (ko) 1996-09-10 1996-09-10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6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0084A1 (en) Switch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4427929A (en) Window and door locking system for vehicles
US5495636A (en) Vacuum cleaner with independently operating on/off switches on the handle and the motor housing
US5331260A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vehicles
EP0368257A1 (en) Vehicle provided with an improv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window and sunroof movement
US5291103A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vehicles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9980020604A (ko) 다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EP0869040B1 (en) Control circuit for opening/closing device in a vehicle
EP1697174B1 (en) Switch arrangement
US20040201276A1 (en) Communication circuit and a control switch for vehicle window-opening mechanisms
JPH10220105A (ja) パワーウィンド用スイッチ及びパワーウィンド装置
KR20000006716U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장치
KR960009188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메인 스위치 장치
KR19980016159U (ko) 자동차 전동식 윈도우레귤레이터의 개별잠금장치
RU30322U1 (ru) Контроллер автомобильной двери
KR200154991Y1 (ko) 부가설치가능한 자동차용 오토파워윈도우 구동유니트
KR950005606Y1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제어회로
KR200148446Y1 (ko) 도어 로크 액츄에이터의 구동 제어장치
KR20060068419A (ko) 차량의 통합 파워 윈도우 스위치 구조
KR200148444Y1 (ko) 도어 로크 액츄에이터의 구동 제어장치
KR100202520B1 (ko) 파워윈도우 스위칭 시스템
KR0126287Y1 (ko) 파워 윈도우의 잠금 장치
KR20060016450A (ko)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KR200155105Y1 (ko) 운전석용 메인 파워 윈도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