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450A -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450A
KR20060016450A KR1020040064883A KR20040064883A KR20060016450A KR 20060016450 A KR20060016450 A KR 20060016450A KR 1020040064883 A KR1020040064883 A KR 1020040064883A KR 20040064883 A KR20040064883 A KR 20040064883A KR 20060016450 A KR20060016450 A KR 2006001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door lock
terminal
unloc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문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450A/ko
Publication of KR2006001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서 절환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1단자에 연결된 제1저항과,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된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에 동시에 연결되는 입력포트가 구비된 전자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입력포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Door lock/unlock signal input circuit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유니트 SW1 : 운전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
SW2 : 조수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
R1 ~ R4 : 저항 RY1, RY2 : 릴레이
M1, M2, M3, M4 : 모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도어 락/언락신호를 입력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는 도어 락/언락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락/언락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라운드에 대해 오픈 또는 크로즈되어 스위치 온/오프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로 입력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가 상기와 같이 입력된 스위치 온/오프신호에 따라 엑추에이터를 작동시켜서 자동차 도어를 락 또는 언락한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 시스템은, 전자제어유니트가 2개의 입력포트를 사용하여 락/언락 스위치로부터 각각 락신호와 언락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다.
즉, 전자제어유니트에는 락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포트와 언락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포트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입력포트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도어 락/언락신호가 1개의 입력포트를 통해 전자제어유니트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입력포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락/ 언락신호 입력회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서 절환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1단자에 연결된 제1저항과,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된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에 동시에 연결되는 입력포트가 구비된 전자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저항값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 시스템은, 운전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1)와, 조수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2), 저항(R1 ~ R4), 전자제어유니트(10), 릴레이(RY1, RY2), 모터들(M1, M2, M3, M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서 절환되며, 상기 제1단자에는 제1저항(R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단자에는 제2저항(R2)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은 전자제어유니트(10)의 입력포트(P1)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수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3단자와 제4단자 사이에서 절환되며, 상기 제3단자에는 제3저항(R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단자에는 제4저항(R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저항(R3)과 제4저항(R4)은 전자제어유니트(10)의 입력포트(P2)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저항값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3저항(R3)과 제4저항(R4)의 저항값은 서로 다르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는 입력포트(P1, P2)를 통해 입력된 도어 락신호가 입력되면 제1릴레이(RY1)를 작동시켜서 제1내지 제4모터(M1, M2, M3, M4)를 정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도어락을 수행하고, 도어 언락신호가 입력되면 제2릴레이(RY2)를 작동시켜서 제1내지 제4모터(M1, M2, M3, M4)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도어언락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는 입력포트(P1, P2)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전압값에 따라 도어 락신호인지 또는 도어 언락신호인지를 판단하는데, 상기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저항값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3저항(R3)과 제4저항(R4)의 저항값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어를 락시키기 위해 운전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1)를 조작하여 제1단자로 절환하면 상기 제1단자에 연결된 제1저항(R1)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신호, 즉 도어 락신호가 전자제어유니트(10)의 입력포트(P1)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는 제1릴레이(RY1)를 작동시켜서 제1내지 제4모터(M1, M2, M3, M4)를 정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도어락을 수행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도어를 언락시키기 위해 운전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1)를 조작하여 제2단자로 절환하면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된 제2저항(R2)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신호, 즉 도어 언락신호가 전자제어유니트(10)의 입력포트(P1)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는 제2릴레이(RY2)를 작동시켜서 제1내지 제4모터(M1, M2, M3, M4)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도어 언락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를 락시키기 위해 조수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2)를 조작하여 제3단자로 절환하면 상기 제3단자에 연결된 제3저항(R3)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신호, 즉 도어 락신호가 전자제어유니트(10)의 입력포트(P2)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는 제1릴레이(RY1)를 작동시켜서 제1내지 제4모터(M1, M2, M3, M4)를 정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도어락을 수행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도어를 언락시키기 위해 조수석 도어 락/언락 스위치(SW2)를 조작하여 제4단자로 절환하면 상기 제4단자에 연결된 제4저항(R4)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신호, 즉 도어 언락신호가 전자제어유니트(10)의 입력포트(P2)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는 제2릴레이(RY2)를 작동시켜서 제1내지 제4모터(M1, M2, M3, M4)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도어 언락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도어 락/언락신호가 1개의 입력포트를 통해 전자제어유니트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입력포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에서 절환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1단자에 연결된 제1저항과,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된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에 동시에 연결되는 입력포트가 구비된 전자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저항값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KR1020040064883A 2004-08-17 2004-08-17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KR20060016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83A KR20060016450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83A KR20060016450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50A true KR20060016450A (ko) 2006-02-22

Family

ID=3712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83A KR20060016450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6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8531A (zh) * 2013-01-17 2015-09-16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电压编码布线的电器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8531A (zh) * 2013-01-17 2015-09-16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电压编码布线的电器锁
US10597904B2 (en) 2013-01-17 2020-03-24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ock with voltage encoded wi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1909A2 (en) Vehicle window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US7550867B2 (en) Method and safety system for a displacement device of a motor vehicle
US20090152890A1 (en) 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s
JPH10102859A (ja) 車両のドアロック装置
US8918249B2 (en) Dual function electronic control unit
JP4085375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060016450A (ko) 자동차의 도어 락/언락신호 입력회로
US7526370B2 (en) Alternative input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04276912A (ja)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US7906927B2 (en) Signal input method and opening/closing controller
KR101000134B1 (ko) 차량 도어 제어회로
JP6984542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JPH10140899A (ja) チャイルドロックシステム
US20050104452A1 (en) Key control of device that is dependent upon current direction
KR101920368B1 (ko) 도어 래치 일체형 테일 게이트의 회로 및 인쇄회로기판
JP335360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20040201276A1 (en) Communication circuit and a control switch for vehicle window-opening mechanisms
KR20060008406A (ko)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
KR0126287Y1 (ko) 파워 윈도우의 잠금 장치
JPH087015Y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装置
JP3528573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システム
KR200280623Y1 (ko) 파워윈도우 원격구동장치
KR20060083677A (ko) 차량의 도어 구동모터 제어회로
JP2023141417A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