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866A - 도어 패드의 보강재 - Google Patents

도어 패드의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866A
KR19980019866A KR1019960038113A KR19960038113A KR19980019866A KR 19980019866 A KR19980019866 A KR 19980019866A KR 1019960038113 A KR1019960038113 A KR 1019960038113A KR 19960038113 A KR19960038113 A KR 19960038113A KR 19980019866 A KR19980019866 A KR 1998001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oor
reinforcement
fla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866A/ko
Publication of KR1998001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866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패드의 플렌지의 체결되어 패드의 장탈착시 패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도어 패드의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파스너(5)에 의해 도어 내측 패널(10)의 결합부(11)에 체결되는 패드(4)에 있어서, 보강재(30)가 상기 패드의 플렌지(21)를 카바하며, 상기 패드(20)를 도어 내측 패널(40)의 결합부(41)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패드의 장탈착이 편리하고, 장탈착시 발생하는 패드의 손상을 방지하므로써 유지 보수비가 적게 든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패드의 보강재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패드의 보강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도어 패드의 플렌지에 체결되어 패드의 장탈착시 패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도어 패드의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2)에는 그래스(2)와, 상기 그래스(2)를 가이드하는 그래스 가이드(3)가 장착된다. 그리고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패드(4)가 장착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내측 도어 패널(10)에는 그래스(2)쪽으로 경사진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에는 패드(4)의 플랜지(4a)가 파스너(5)에 의해 고정된다.
즉, 종래에는 도어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어외판과 내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패드(4)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재질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프로필렌 폼으로 구성되어 체결 구조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패드의 장탈착시 플렌지가 쉽게 부러져서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였다. 또한 주행시 차량의 진동에 의해서 패드가 떨어지기도 하여, 도어 충돌시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의 플렌지에 체결되어 패드의 손상없이 도어 내측 패널에 패드의 장탈착을 쉽게하는 도어 패드의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어 패드의 보강재의 일예로서, 파스너에 의해 도어 내측 패널의 결합부에 체결되는 패드에 있어서, 보강재가 상기 패드의 플렌지를 카바하며, 상기 패드의 도어 내측 패널의 결합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어 패드의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 중앙에 체결홀이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 사이드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양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로 구성되어, 도어 패드의 플렌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도는 종래의 도어의 배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도어 패드 체결구조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도어 패드 체결구조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보강재가 장착된 패드의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도어 패드 체결구조의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보강재가 장착된 패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2 : 그래스
3 : 그래스 가이드4, 20, 50 : 패드
5 : 파스너10, 40, 70 : 내측 도어 패널
21, 51 : 플렌지30, 60 : 보강재
31 : 제 1 수직부32 : 수평부
33 : 제 2 수직부34 : 걸림부
52, 64 : 체결홀53 : 볼트
61 : 직선부62 : 경사부
63 : 수평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도어 패드 체결구조의 단면도이다.
내측 도어 패널(40)에는 그래스(2)쪽으로 경사진 결합부(41)가 형성되고, 보강재(30)는 패드(20)의 플렌지(21)를 카바하며, 상기 패드(20)를 상기 도어 내측 패널(40)의 결합부(41)에 체결시킨다.
상기 보강재(30)는 제 1 수직부(31)와, 상기 제 1 수직부(31)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좌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제 2 수직부(33)와, 상기 제 2 수직부(33)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걸림부(34)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34)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장착 편의성을 제공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보강재(30)는 패드(20)의 플랜지(21)의 상부 우측과 하부 좌측에 엇갈리게 체결되어 있어, 패드(20)의 체결시 고정력을 높이고 유격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드의 보강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패드(20)의 장착시 패드(20)의 상부 우측과 하부 좌측에 보강재(30)를 체결시키고, 도어 내측 패널(40)의 결합부(41)에 상기 패드(20)를 밀어서 끼우면 걸림부(34)가 상기 결합부(41)에 걸림으로써 체결된다. 탈착시에는 패드(20)를 당겨주면 간단히 탈착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를 참조하면,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도어 패드 체결구조의 단면도이고, 제 6 도는 보강재가 장착된 패드의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 패널(70)에는 그래스(2)쪽으로 경사진 결합부(71)가 형성되고, 패드(50)의 플렌지(51)에는 보강재(60)가 체결된다.
상기 패드(50)는 볼트(53)와 너트(54)에 의해 상기 결합부(71)에 장착된다.
상기 보강재(60)는 그 중앙에 체결홀(64)이 형성된 직선부(61)와, 상기 직선부(61)의 양 사이드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61)의 상기 경사부(62)의 양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6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드의 보강재를 패드(50)의 플렌지(51)에 부착시키고, 내측 도어 패널(70) 결합부(71)의 체결 구멍에 상기 패드(50)의 체결홈(52)과 보강재(60)의 체결홀(64)을 일치시킨 후, 볼트(53)와 너트(54)로써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패드의 보강재는 패드의 장탈착에 편리하며, 장탈착시 발생하는 패드의 손상을 방지하므로써 유지 보수비가 적게 든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파스너(5)에 의해 도어 내측 패널(10)의 결합부(11)에 체결되는 패드(4)에 있어서,
    보강재(30)가 상기 패드의 플렌지(21)를 카바하며, 상기 패드(20)를 도어 내측 패널(40)의 결합부(41)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패드의 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는 제 1 수직부(31)와, 상기 제 1 수직부(31)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좌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제 2 수직부(33)와, 상기 제 2 수직부(33)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걸림부(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패드의 보강재.
  3. 그 중앙에 체결홀(64)이 형성된 직선부(61)와, 상기 직선부(61)의 양 사이드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62)와, 상기 경사부(62)의 양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63)로 구성되어, 도어 패드(50)의 플렌지(5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패드의 보강재.
KR1019960038113A 1996-09-04 1996-09-04 도어 패드의 보강재 KR19980019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113A KR19980019866A (ko) 1996-09-04 1996-09-04 도어 패드의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113A KR19980019866A (ko) 1996-09-04 1996-09-04 도어 패드의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866A true KR19980019866A (ko) 1998-06-25

Family

ID=6632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113A KR19980019866A (ko) 1996-09-04 1996-09-04 도어 패드의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8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9866A (ko) 도어 패드의 보강재
US4752084A (en) Instrument pad arrangement in automotive vehicle
KR940000418Y1 (ko) 자동차용 레인가드(Rain Guard)겸용 브라켓트(Bracket)
KR100231585B1 (ko) 연료탱크 취부용 스트랩의 체결구조
KR100231583B1 (ko) 연료탱크취부용스트랩의체결구조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0132793Y1 (ko) 차량용 리어범퍼 보강구조
KR200146785Y1 (ko) 센터필러 보강 구조물
KR0173620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바디의 임팩트 바 결합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00200521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설치구조
KR100239321B1 (ko) 도어 암레스트의 보강구조
KR100381240B1 (ko) 자동차의 어린이 시트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0155387Y1 (ko) 도어 암레스트 구조
KR0185898B1 (ko)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KR100223684B1 (ko) 자동차 도어의 트림 프로텍트 체결구조
KR200147046Y1 (ko) 센터필러어퍼 보강구조
KR0107641Y1 (ko) 자동차용 도어 보조 록킹장치
JP2944927B2 (ja) 車両におけるマッドガードの取付構造
KR19980022076A (ko) 리어 펜더 패널 보강장치
KR19990003469U (ko) 자동차의 시트 결합구조
KR19980035537U (ko) 차량도어의 보강재
KR19980046830A (ko) 자동차용 범퍼(bumper) 취부구조
KR19980043739U (ko) 범퍼 설치구조
KR19980038014U (ko) 자동차 수송용 훅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