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898B1 -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98B1
KR0185898B1 KR1019960036450A KR19960036450A KR0185898B1 KR 0185898 B1 KR0185898 B1 KR 0185898B1 KR 1019960036450 A KR1019960036450 A KR 1019960036450A KR 19960036450 A KR19960036450 A KR 19960036450A KR 0185898 B1 KR0185898 B1 KR 018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mold
outer panel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63A (ko
Inventor
하영욱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898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아우트 패널 길이 방향으로 장식적인 효과 및 아우트 패널의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몰드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몰드(2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상기 도어(10)의 이너 패널(14) 및 아우트 패널(12)이 접합된 좌우측 단부를 에워 쌓으며 결합되는 결속핀(30)을 나사 조임하고, 상기 도어(10)의 아우트 패널(12) 길이 방향으로 면접되는 내측면에는 접착 테이프(22)를 결합하여 아우트 패널(12)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이드 보디는 자동의 측면 즉,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주변을 사이드 보디라고 하며, 승용차의 주행중 사고에 의해 전복되었을 때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는 것과, 승용차의 사이드 충돌사고시 각 도어가 차 실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그것에 따른 내구성 등이 고려되어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도어는 아우트 패널과 이너 패널 그리고 도어 트림 및 윈도우로 구성되고, 주행중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필요치 않으므로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록(door lock)이 설치되며, 주행중 어린이가 장난하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일드 록(child lock)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윈도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가 설치되는데, 이 윈도 레귤레이터는 도어 글래스를 상하로 여닫는 장치로써, 도어 아우트 패널과 이너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고, 도어 핸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암과 와이어가 조합되어 있으며, 도어 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자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스위치를 눌러서 도어 글래스를 승하강 시키는 것을 파워 윈도라고 한다.
상기 도어에는 도어 힌지 및 오픈 스토퍼에 의해 사이드 보디에 결합되는데, 상기 도어 힌지(door hinge)는 도어의 개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첩을 말함과 동시에 도어 유지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으로, 사이드 보디의 아우트 패널 밖으로 힌지가 나가는 외힌지 방식이 있으며, 사이드 보디의 아우트 패널 내측에 힌지가 위치하는 내힌지 방식이 있다.
상기 오픈 스토퍼(open stopper)는 도어가 반정도 열리거나 또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승강하기 쉽게 하도록 언덕길이나 바람이 조금 강한 정도로는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도어에는 사이드 도어 빔(side door beam)이 설치되는데, 이 사이드 도어 빔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 시를 대비하여 도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내부에 설치된 보강 재를 말한다.
상기 도어 트림은 자동차 도어의 내장을 말하는 것으로, 자동차 내부의 탑승객이 접촉에 의한 충격 등을 흡수 완화시키는 쿠션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재질은 쿠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패드재 등으로 형성하며, 자동차의 바닥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플로어 트림이라고 한다.
상기 사이드 보디의 아우트 패널 길이 방향으로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몰드가 설치되어 장식적인 효과 및 아우트 패널을 보호하고 있다.
종래의 몰드는 도 3 에서와 같이 사이드 보디(팬더 패널,프런트 도어,리어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결속홈(310)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 결속홈(3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속핀(300)을 다수개 구비함과 동시에 이 결속핀(300)의 외부 면에 합성수지로 된 몰드(200)를 결합하여서 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몰드(200)는 도어 아우트 패널(140) 및 팬더 패널에 반드시 다수개의 결속홈(310)을 형성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우천시 또는 세차시 상기 결속홈(310)으로 빗물 또는 세차수가 유입되어 도어 아우트 패널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몰드(200) 상하부의 단부에는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 테이프(220)를 부착하여 도어 아우트(140) 패널에 부착하고 있으나, 이러한 접착 테이프(220)는 접착되는 면적이 적어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떨어져 나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몰드(200)의 결속핀(300)이 파손되어 몰드(200)가 도어 아우트 패널(140) 및 팬더 패널에서 떨어져 나갈시 외관상으로 다수개의 결속홈(310)이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몰드의 장착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몰드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상기 도어의 이너 패널 및 아우트 패널이 접합된 좌우측 단부를 에워 쌓으며 결합되는 결속핀을 나사 조임하고, 상기 도어의 아우트 패널 길이 방향으로 면접되는 내측면에는 접착 테이프를 결합하여 아우트 패널에 고정시키는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부 상세 단면 예시도
도 3 은 종래의 몰드 결합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2) : 도어 아우트 패널
(14) : 도어 이너 패널 (20) : 몰드
(22) : 접착 테이프 (30) : 결속핀
(32) : 걸림부 (34) : 보강부
(36) : 결속 볼트 (122) : 플랜지 부
(124) : 공간부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는 도어(10)의 이너 패널(14)과 접합되는 아우트 패널(12)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22)와, 상기 플랜지부(122)에 결합되는 결속핀(30)과, 이 결속핀(30)이 나사조임되는 몰드(20)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트 패널(12)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22)는 도어 이너 패널(14)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되는데, 이너 패널(14)과 밀착되어 접합되는 부분에서부터 점차 상향되게 경사짐과 동시에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122)와 도어 이너 패널(14)이 마주 보는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는 공간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22)는 각 도어(10)의 아우트 패널(12) 마다 형성되고, 길이는 몰드(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속핀(30)은 상기 플랜지부(122)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결합되는 걸림부(32)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122) 부터 도어 이너 패널(14)과 접합되는 일단부를 에워 쌓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결속핀(30)에는 보강부(34)가 형성됨과 동시에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몰드(20)는 상기 결속핀(30)의 보강부(34)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으로는 접착 테이프(22)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몰드(20)는 상기 결속핀(30)과 결속 볼트(36)로 나사조임되어 결합된다.
상기 몰드(20)는 결속핀(30)과 나사조임됨과 동시에 결속핀(30)이 도어 아우트 패널(12)에 형성된 플랜지부(122)와 결합되며, 접착 테이프(22)에 의해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다시 설명하면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보디 패널의 보호 및 장식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몰드(2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상기 도어(10)의 이너 패널(14) 및 아우트 패널(12)이 접합된 좌우측 단부를 에워 쌓으며 결합되는 결속핀(30)을 나사 조임하고, 상기 도어(10)의 아우트 패널(12) 길이 방향으로 면접되는 내측면에는 접착 테이프(22)를 결합하여 아우트 패널(12)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어 이너 패널(14)에 단부가 절곡되어 접합되는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단부는 도어 이너 패널(14)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하여 플랜지부(122)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며, 상기 결속핀(30)은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양단부 및 플랜지부(122)를 에워 쌓는 걸림부(32)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어(10)와 팬더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는 틈 사이로 결속핀(30)을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 결속핀(30)의 걸림부(32)를 도어 아우트 패널(12)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22)에 걸어서 결합하고, 동시에 접착 테이프(22)를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외측면 길이 방향으로 접착하면 몰드(20)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며 견고하게 몰드(20)를 도어(10)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몰드(20)가 구비하고 있는 장식적인 기능 및 패널 보호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어 아우트 패널(14)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아우트 패널 길이 방향으로 장식적인 효과 및 아우트 패널의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몰드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몰드의 장착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보디 패널의 보호 및 장식적인기능을 수행하는 몰드를 도어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몰드(2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상기 도어(10)의 이너 패널(14) 및 아우트 패널(12)이 접합된 좌우측 단부를 에워 쌓으며 결합되는 결속핀(30)을 나사 조임하고, 상기 도어(10)의 아우트 패널(12) 길이 방향으로 면접되는 내측면에는 접착 테이프(22)를 결합하여 아우트 패널(12)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너 패널(14)에 단부가 절곡되어 접합되는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단부는 도어 이너 패널(14)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하여 플랜지부(122)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핀(30)은 도어 아우트 패널(12)의 양단부 및 플랜지부(122)를 에워 쌓는 걸림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KR1019960036450A 1996-08-29 1996-08-29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KR018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450A KR0185898B1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450A KR0185898B1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63A KR19980016763A (ko) 1998-06-05
KR0185898B1 true KR0185898B1 (ko) 1999-04-01

Family

ID=1947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450A KR0185898B1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8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63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6336A (en) Hatchback door of a motor vehicle
US6890019B2 (en) Vehicle door impact beam arrangement
KR0185898B1 (ko) 자동차 도어 사이드 몰드의 장착 구조
US5080424A (en) Door cover and seal for a door
JPH07215148A (ja) 自動車の車室における乗員の保護構造
JPH044913Y2 (ko)
KR950009959Y1 (ko) 자동차의 루프 및 윈도우 몰딩
KR100210167B1 (ko) 자동차용 사이드프로텍터의 취부구조
KR100243585B1 (ko) 자동차의 범퍼카바 장착구조
KR0130280Y1 (ko) 자동차용 보조 도어글래스
KR0136850Y1 (ko) 버스용 창문의 인사이드몰딩 구조
KR19990020799A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장착구조
KR0133764B1 (ko) 자동차용 도어 유리창의 벨트라인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KR20040052069A (ko) 자동차용 투명 a필러구조
KR930001562Y1 (ko) 자동차커버용 수납케이스
KR100198872B1 (ko)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강성 보강용 완충 부재
KR200146031Y1 (ko) 자동차용 도어어셈블리의 임펙트구조
KR200203108Y1 (ko) 착탈식필러보강구조
KR0135213Y1 (ko) 자동차의 쐐기형 웨더 스트립 글라스 몰딩 장착구조
KR0152743B1 (ko) 도어의 코너 브라켓 취부구조
KR200152942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취부구조
KR200160385Y1 (ko) 자동차의 후드실링용 웨더스트립
KR200149082Y1 (ko)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KR20032091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호장치
JPH03523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