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082Y1 -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082Y1
KR200149082Y1 KR2019960055352U KR19960055352U KR200149082Y1 KR 200149082 Y1 KR200149082 Y1 KR 200149082Y1 KR 2019960055352 U KR2019960055352 U KR 2019960055352U KR 19960055352 U KR19960055352 U KR 19960055352U KR 200149082 Y1 KR200149082 Y1 KR 200149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stopper
glass frame
commercial vehicle
se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256U (ko
Inventor
강호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55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082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주행 중에 진동 소음을 일으키지 않게 개선된 상용차용 프론트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프론트도어에서 현지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멀리 위치하는 글라스 프레임 (6)의 모서리부분에 고무제 스톱퍼 (12)를 개폐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 설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톱퍼 (12)가 접촉하게 되는 차체 필라(10)로 안착공(18)을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스톱퍼 (12)가 안착공(18)에 삽입 위치함으로써 상기 글라스 프레임의 진동이 억제되게 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본 고안은 상용차용 프론트도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된 구조를 가진 상용차용 프론트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차량의 프론트도어는 운전자 또는 선탑자에게 승하차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주행 중에는 이들 운전자와 선탑자의 안전을 보호하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프론트도어는 일측변이 차체 필라에 힌지 연결되어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상용차의 경우에는 도어의 폭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상기 힌지에 의한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통상적인 상용차용 프론트도어의 적용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면에서 프론트도어는 아우터패널(2)파 인너패널(4)을 마주보게 붙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 양 패널(2) (4) 사이로는 글라스 프레임(6)이 개재되어서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패널 (4)의 내측은 트림부재 (8)로 피복되어 서 미장적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프론트도어는 힌지부재를 개재하여 차체 필라(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글라스 프레임 (6)은 비교적 가늘게 연장된 채널부재로 된 것이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쉽게 진동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글라스 프레임 (6)의 자체 구조적 문제 외에도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도어가 닫혀져 있을 때에도 상기 A부분은 차체 필라(10)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치한 상태로 놓여지고 있기 때문에 주행 중에 공진 소음을 일으킴은 물론, 필라(10)와 반복적 접촉을 일으킴에 따르는 불쾌한 소음도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프론트 도어를 닫을 때에도 날카로운 금속성을 일으켜 청각적으로 좋지 않게 된다. 게다가 상용차는 비포장 도로도 다반사로 주행해야 하고, 이 경우에 상기 글라스 프레임 (6)의 진동은 더욱 심하게 나타나 소음도 크게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글라스 프레임 (6)의 강도를 향상시켜서 진동이 억제 되게 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겠으나, 이 방법은 차량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웨더 스트립 등을 활용하여 글라스 프레임 (6)이 진동되더라도 소음이 일어나지 않게 할 수도 있겠으나, 이 방식은 승용차에 적합한 것이고, 비포장 도로를 수시로 주행해야 하는 상용차에서는 웨더 스트립의 수명이 짧아 기대할 정도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론트도어에서 현지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멀리 위치하는 글라스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고무제 스톱퍼를 개폐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 설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톱퍼가 접촉하게 되는 차체 필라로 안착공을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스톱퍼가 안착공에 삽입 위치함으로써 상기 글라스 프레임의 진동이 억제되게 한 상용차용 프론트도어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글라스 프레임의 스톱퍼는 외주면이 테퍼를 이루는 절추형으로 되는 것이 좋고, 이에 대응하는 안착공은 상기 스톱퍼의 절추형에서 중간 부분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설정하여 두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프론트도어를 닫아 놓았을 때에 상기 스톱퍼가 안착공으로 절반 정도 삽입된 상태가 되어 진동 억제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상용차용 프론트도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2도는 폐문 상태로 제1도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상용차용 프론트도어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제2도에 대응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아우터패널 4 : 인너패널
6 : 글라스 프레임 8 : 트림부재
10 : 필라 12 : 스톱퍼
14 : 연결부 16 : 절추형상부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제3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용차용 프론트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프론트도어의 글라스 프레임(6)은 종래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으나, 그 모서리부분에는 스톱퍼(12)가 삽착된 특징을 가진다.
상기 스톱퍼(12)는 글라스 프레임 (6)의 내측부재(6')에 미리 마련된 통공으로 연결부(14)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14)의 반대측단은 테퍼상을 이루는 절추형상부(16)로 되어서 프론트도어의 개폐방향에 나란하게 돌출 위치하게 되어 있다. 한편, 차체 필라(10)에는 상기 절추형상부(16)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로 안착공(18)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안착공(18)은 차체 필라(10)의 성형시에 미리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추형상부(16)치 최단외경 α보다 약간 큰 내경 β을 가지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내경 α은 상기 절추형상부(16)의 대략 중간부 외경에 상응하는 치수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프론트도어가 닫혀질 때에 상기 절추형상부(16)가 차체 필라(10)의 안착공(18)에 일치하여 삽입됨에 따라 진동이 억제된 상태로 닫혀져 있게 된다. 이 상태는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더라도 상기 스톱퍼 (12)의 절추형상부(16)가 안착공(18)에 반쯤 끼워진 채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글라스 프레임(6)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글라스 프레임 (6)의 주행 중 진동은 물론 프론트도어를 닫는 순간에도 상기 스톱퍼(16)가 차게 필라(10)에 먼저 접촉하게 되어 금속성 소음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고 가늘게 연장된 글라스 프레임을 보유하는 상용차용 프론트도어에 있어서, 주행중에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글라스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스톱퍼를 일체로 부착하고, 이 스톱퍼가 접촉하게 되는 차체 필라에 상기 스톱퍼를 받아 들여 위치 고정시켜 주는 안착공을 마련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도어를 닫아 놓았을 때에 상기 스톱퍼가 안착공에 맞춰져서 글라스 프레임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글라스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지 않고도 주행 중의 소음이나 폐문시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을 가진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프론트도어에서 힌지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멀리 위치하는 글라스 프레임 (6)의 모서리부분에 고무제 스톱퍼 (12)를 개폐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 설치 함과 아울러 상기 스톱퍼 (12)가 접촉하게 되는 차체 필라(10)의 대응부위로 안착공 (18)을 형성하고 있는 상용차용 프론트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프레임 (6)의 스톱퍼 (12)는 외주면이 테퍼를 이루는 절추형상부(16)를 보유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는 안착공(18)은 상기 스톱퍼 (12) 의 절추형상부(16)에서 대략 중간 부분의 직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게 설정된 상용차용 프론트도어.
KR2019960055352U 1996-12-24 1996-12-24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KR200149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352U KR200149082Y1 (ko) 1996-12-24 1996-12-24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352U KR200149082Y1 (ko) 1996-12-24 1996-12-24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256U KR19980042256U (ko) 1998-09-25
KR200149082Y1 true KR200149082Y1 (ko) 1999-06-15

Family

ID=1948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352U KR200149082Y1 (ko) 1996-12-24 1996-12-24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0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256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91794A (ja) 自動車のドア用トリム部材
KR200149082Y1 (ko) 상용차용 프론트 도어
US6425209B1 (en) Weather strip for supporting door glass of automobile
JP3324404B2 (ja) モール取付構造
JP3100292B2 (ja) 自動車用ドアのシール構造
JP3713607B2 (ja) 自動車の観音開き扉のシール構造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JP2527776Y2 (ja) 車両におけるサッシュレスドアのシール構造
KR200192382Y1 (ko) 자동차용 쿼터 인너 어퍼 센터 필러 트림의 보강구조
JP2591526Y2 (ja) サッシュレスドア車用ルーフキャリア
KR100527430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델타커버 장착구조
JP3328737B2 (ja) ハードトップ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542948Y2 (ja) サッシュレスドア型車のセンターピラー部構造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JPH04106010U (ja) 自動車用ドアグラスランの取付構造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970035241A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취부구조
KR19980050625U (ko) 자동차의 플로워패널어셈블리
JP2000318452A (ja) テイルゲートの装着構造
JPH10324157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トリム
KR19980046662U (ko) 도어새시의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KR20000004243U (ko)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구비된 소음방지용 스트립부재
KR970034798A (ko) 자동차 도어의 웨더 스트립
KR970041255A (ko) 자동차 실사이드의 보강구조
KR19990053331A (ko) 자동차용 도어의 오프닝웨더스트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