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441U -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 Google Patents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441U
KR19980019441U KR2019960032591U KR19960032591U KR19980019441U KR 19980019441 U KR19980019441 U KR 19980019441U KR 2019960032591 U KR2019960032591 U KR 2019960032591U KR 19960032591 U KR19960032591 U KR 19960032591U KR 19980019441 U KR19980019441 U KR 199800194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temperature
pipe
propell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선
Original Assignee
최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선 filed Critical 최효선
Priority to KR2019960032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441U/ko
Publication of KR19980019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44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 프로펠러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방사형의 보호망에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금속 파이프를 부착하고 금속 파이프에 냉수 및 온수를 실내 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냉온수와 선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실내 온도 및 습도의 고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선풍기의 프로펠러의 앞뒤에 형성되어 있는 선풍기 보호망의 일측에는 상기 선풍기에서 생성된 기류의 온도를 상승 및 하강 시키는 기류온도 변화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선풍기 보호망 전면에 냉온수 공급파이프를 설치하여 선풍기에 의해 생성된 강제기류의 온도를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온도에 따라서 송풍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풍기 프로펠러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방사형의 보호망에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금속 파이프를 부착하고 금속 파이프에 냉수 및 온수를 실내 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냉온수와 선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실내 온도 및 습도의 고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계절중 비교적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풍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보아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 전동모터(미도시)와, 변속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변속 전동모터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프로펠러(5) 및 변속 전동모터의 분당 회전속도(Revolutions Per Minute;R.P.M)를 사용자가 임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6) 및 리모트 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5)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프로펠러(5) 후방의 공기를 앞으로 밀어냄으로 이와 같은 프로펠러(5)에 손이나 그밖의 이물질이 닿게되면 인체에 손상 및 프로펠러(5)의 파손이 발생하게 됨으로 프로펠러(5)의 앞뒤에는 방사형의 얇은 철선으로 일정 패턴을 형성한 보호망(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선풍기(10)에 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조작버튼이 눌려지면 프로펠러(5)가 회전하면서 프로펠러(5) 뒤쪽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앞쪽으로 밀어내어 인체가 쾌적함을 느끼는 적정 기류(0.5∼1m/sec)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선풍기는 이미 언급한 바 있듯이, 4 계절중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만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1년중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해체 하여 보관하거나, 또한 여름철 사용 기간중에도 장시간 선풍기를 사용하게 되면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변속 전동모터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선풍기에서 생성된 강제 기류의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선풍기의 보호망의 외측에 냉온수 공급배관 및 냉온수 순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실내의 온도가 높다고 판단하면 냉온수 공급배관에 냉수를 공급하여 냉수와 선풍기의 기류에 의해 저온의 기류를 생성하고, 실내의 온도가 낮다고 판단하면 온수를 냉온수 공급배관에 공급하여 고온의 기류를 생성하여 송풍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풍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금속 파이프2: 제 1 연결부
3: 제 2 연결부4: 고정장치
5: 프로펠러7: 보호망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송풍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는 선풍기의 프로펠러의 앞뒤에 형성되어 있는 선풍기 보호망의 일측에 선풍기에서 생성된 기류의 온도를 상승 및 하강 시키는 기류온도 변화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 송풍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풍기(10)는 크게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 전동모터와, 변속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변속 전동모터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프로펠러(5) 및, 상기 변속 전동모터의 분당 회전속도(Revolutions Per Minute;R.P.M)를 사용자가 임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6) 및 리모트 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5)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프로펠러(5)의 후방의 공기를 앞으로 밀어냄으로 이와 같은 프로펠러(5)에 손이나 그밖의 이물질이 닿게되면 인체에 손상 및 프로펠러(5)의 파손이 발생하게 됨으로 프로펠러의 앞뒤에는 방사형의 얇은 철선으로 일정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보호망(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호망(7)의 외측면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금속 파이프(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금속 파이프(1)는 보호망(7)의 원주쪽으로부터 점차 보호망(7)의 중심쪽으로 나선형으로 말려들어오다 보호망(7)의 중심부에서 다시 외측으로 나선형을 그리면서 말려나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금속 파이프(1)의 형상은 도 2에 자세히 도시하였다.
또한, 금속 파이프(1)의 일측에는 외부의 냉온수공급원(미도시)의 냉온수공급배관(미도시)에 연결되도록 제 1 연결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냉온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냉온수가 냉각 또는 덥혀진 후, 외부의 냉온수 저장소(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배관(미도시)이 연결되도록 제 2 연결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2)와 제 2 연결부(3)에는 선풍기의 보호망(7)과 금속 파이프(1)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송풍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체감온도를 낮추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금속 파이프(1)의 제 1 연결부(2)에 냉수공급배관을 연결한 후, 냉수를 상기 금속 파이프(1)로 공급하고, 상기 조작부(6)의 조작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변속 전동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프로펠러(5)가 회전하여 사용자쪽으로 강제기류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강제기류는 냉수에 의해 냉각된 금속 파이프(1)에 의해 열을 잃고 차가운 기류로 바뀌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체감온도를 높이고자 하면, 사용자는 상기 금속 파이프(1)의 제 1 연결부(2)에 온수공급배관을 연결한 후, 상기 조작부(6)의 조작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의 냉수 공급시와 마찬가지로 생성된 강제기류는 온수에 의해 덥혀진 금속 파이프(1)를 통과하면서 더운 기류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강제기류에 의해 열을 얻어 온도가 상승한 냉수와, 강제기류에 의해 열을 빼앗겨서 온도가 하강한 온수는 금속 파이프(1)의 제 2 연결부(3)를 통해 냉온수 저장소로 유입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금속 파이프(1)의 제 1 연결부(2)와 제 2 연결부(3)를 신축 가능한 재질의 연결 파이프(8)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8)의 중간에 소형 순환모터(9)와 소용량의 냉수 저장소(9a)를 설치한다.
상기 냉수 저장소(9a)에는 냉수 저장소(9a)의 냉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소형 히터(9b)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순환모터(9)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냉수 및 온수를 대폭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냉수를 금속 파이프(1)에 공급할 경우에는 소형 순환모터(9)만 구동시켜 금속 파이프(1)로 냉수를 공급해주면 되고, 온수를 금속 파이프(1)에 공급할 경우에는 소형 순환모터(9)의 구동과 동시에 소형 히터(9b)를 같이 작동시켜 냉수 저장소의 냉수를 적정 온도로 가열해주면 앞에서 기 언급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선풍기의 보호망의 전면에 냉온수 공급파이프를 설치하여 선풍기에 의해 생성된 강제기류의 온도를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온도에 따라서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상의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선풍기의 프로펠러의 앞뒤에 형성되어 있는 선풍기 보호망의 일측에는 상기 선풍기에서 생성된 기류의 온도를 상승 및 하강 시키는 기류온도 변화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온도 변화수단은 소정 직경을 갖는 파이프이고, 상기 파이프에는 소정 온도를 갖는 액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유입된 액체가 배출되는 제 2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냉수 공급원 또는 온수 공급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파이프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연결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파이프의 소정 위치에 냉수,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KR2019960032591U 1996-10-02 1996-10-02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KR199800194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591U KR19980019441U (ko) 1996-10-02 1996-10-02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591U KR19980019441U (ko) 1996-10-02 1996-10-02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441U true KR19980019441U (ko) 1998-07-15

Family

ID=5397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591U KR19980019441U (ko) 1996-10-02 1996-10-02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44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87B1 (ko) * 2006-12-06 2008-04-21 최신규 다기능 냉온풍기
KR101130961B1 (ko) * 2010-03-24 2012-04-04 이성규 냉온수를 이용한 선풍기
WO2019013579A1 (ko) * 2017-07-13 2019-01-17 송재하 냉각 산소를 토출하는 냉풍장치
WO2019088644A1 (ko) * 2017-10-30 2019-05-09 송재하 산소를 토출하는 냉풍장치의 냉각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87B1 (ko) * 2006-12-06 2008-04-21 최신규 다기능 냉온풍기
KR101130961B1 (ko) * 2010-03-24 2012-04-04 이성규 냉온수를 이용한 선풍기
WO2019013579A1 (ko) * 2017-07-13 2019-01-17 송재하 냉각 산소를 토출하는 냉풍장치
KR20190007673A (ko) * 2017-07-13 2019-01-23 송재하 냉각 산소를 토출하는 냉풍장치
WO2019088644A1 (ko) * 2017-10-30 2019-05-09 송재하 산소를 토출하는 냉풍장치의 냉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9441U (ko) 송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선풍기
AU2003254916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4384189A (en) Convection radiator
KR100586904B1 (ko) 온실용 열풍기
JPH0343562Y2 (ko)
KR200252181Y1 (ko) 냉,온풍이 토출되는 의자 겸용 선풍기
KR200242228Y1 (ko) 온풍기의초음파가습기
KR910003544Y1 (ko) 가습장치가 형성된 선풍기
KR200202386Y1 (ko) 열풍장치를 갖는 선풍기형 히터
GB2450308A (en) Fan heater
JPH1163521A (ja) 温水暖房装置
JP2573581Y2 (ja) 扇風機能付き電気こたつ
KR0138433B1 (ko) 냉풍겸용 선풍기
KR870000432Y1 (ko) 환풍기를 겸한 벽 부착용 온풍기
JPH0257850A (ja)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方法
KR100936129B1 (ko) 송풍장치를 갖는 사계절용 전기 매트
KR200316314Y1 (ko) 온풍기
JP2847304B2 (ja) 温風乾燥装置における温風温度の制御方法
JP2787623B2 (ja) 床暖畳
KR200191272Y1 (ko) 급속 온풍기
KR200312517Y1 (ko) 온풍기
JP3409584B2 (ja) 温風暖房機の制御装置
JP2001304672A (ja) スポット空調システム
JP2000336734A (ja) 局部洗浄装置
KR960005741Y1 (ko) 전기난로의 공기 대류 방향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