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517Y1 - 온풍기 - Google Patents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517Y1
KR200312517Y1 KR20-2002-0034451U KR20020034451U KR200312517Y1 KR 200312517 Y1 KR200312517 Y1 KR 200312517Y1 KR 20020034451 U KR20020034451 U KR 20020034451U KR 200312517 Y1 KR200312517 Y1 KR 200312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eating
motor
gea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배
Original Assignee
우동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동배 filed Critical 우동배
Priority to KR20-2002-0034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24C7/06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온풍기 본체, 모터, 모터 하우징, 반사경, 발열부, 회전축, 제1 날개, 고정핀, 제2 날개, 캡, 보호 프레임 및 모터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제1 및 제2 발열선을 구비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선형의 발열선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한 온풍기는 복수개의 날개 및 발열부를 구비하므로써 온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이 넓은 구역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며, 그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풍기는 온풍이 후방으로 배출되므로써 한대의 온풍기에 의해 다수대의 온풍기 효과를 내게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수 있으며, 운반, 관리, 보관의 측면에서도 그만큼 불편함을 줄일수 있다.

Description

온풍기{Electric Heater Fan}
본 고안은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기구는 여러 종류의 것들이 제공되어 있으나 그 중 전기를 이용한 난방기구는 비교적 좁은 공간이나, 쾌적한 실내공기 및 청결한 바닥상태가요구되는 장소의 난방에 널리 이용된다.
특히, 온풍기는 전기 에너지를 저항체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이 열에 의해 난방효과를 내도록 한 것으로서, 발열체(저항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전 날개에 의해 앞쪽으로 보내어 난방효과를 내도록 되어 있다.
도 14는 종래의 온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에 도시된 온풍기는 커버판체(501), 스텐드(502), 후방캡(505), 송풍팬(506), 송풍안내통체(508), 절연체(509) 및 발열체(51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풍기는 한개의 송풍팬을 구비하므로서, 난방효과가 우수하지 못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의 난방에만 이용되고 넓은 공간의 난방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하나의 온풍기를 사용할 경우에 온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이 골고루 미치지 않거나 바람이 전혀 진행되지 않는 구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영업 장소 등에서는 이와 같은 온풍기의 바람이 미치지 않는 구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수의 온풍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같이, 온풍기의 회전 날개가 풍향조절 기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회하는 경우에도 사각지대가 발생하므로 다수의 온풍기를 사용해야 하는 비경제적 요소가 있었다. 또한 다수의 온풍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지하는 공간도 커지고, 운반, 관리, 보관의 측면에서도 그만큼 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 및 반사판을 구비하여 온풍기의 바람이 미치는 구역을 넓히므로써 용이하게 실내 온도를 높히는 온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 회전축과 제2 메인기어 사이에 장착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온풍기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온풍기가 맞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온풍기가 맞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온풍기가 맞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발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온풍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풍기 본체 20 : 모터
30 : 모터 하우징 35 : 반사경
40 : 발열부 50 : 회전축
60 : 제1 날개 70 : 제2 날개
75 : 캡 80 : 보호 프레임
90 : 모터덮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온풍기는 온풍기 조절 스위치와 지지대를 구비한 온풍기 본체; 상기 온풍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온풍기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보호 프레임을 지지하는 모터 하우징; 반구 형상으로서, 그 중심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전면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발열부; 상기 모터의 중심으로부터 소정크기로 연이어지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 및 제2 메인 기어를 각각 구비하는 주 회전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1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1 고정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2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날개; 상기 주 회전축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중간에 상기 주 회전축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어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되는 고정핀; 상기 제2 날개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캡; 상기 제1 및 제2 날개를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 및 상기 모터를 덮는 모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온풍기를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 회전축과 제2 메인기어 사이에 장착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온풍기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온풍기가 맞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온풍기는 온풍기 본체(10), 모터(20), 모터 하우징(30), 반사경(35), 발열부(40), 회전축(50), 제1 날개(60), 고정핀(65), 제2 날개(70), 캡(75), 보호 프레임(80) 및 모터덮개(90)를 포함한다.
온풍기 본체(10)는 풍향, 풍속, 발열량 조절, 타이머 등의 온풍기 조절 스위치(12)와 지지대(14)를 구비하여 온풍기를 지지한다.
모터(20)는 상기 온풍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온풍기 날개(60, 7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모터 하우징(30)은 상기 모터(20)의 전면부에 위치한다.
반사경(35)은 반구 형상으로서, 그 중심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30)의 전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반구의 끝단에는 원주를 따라 소정크기의 돌기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발열부(4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경(35)은 후술하는 회전축(50)이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소정크기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후술하는 보호 프레임(8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발열부(40)는 상기 반사경(35)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회전축(5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회전축(50)을 중심으로 원형의 제1 발열선(42) 및 제2 발열선(4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42, 44)은 상,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46)에 의하여 고정되며, 전원 공급선(43)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42, 44)의 소정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전원 공급단자(45)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4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볼륨(VR : 가변저항)(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륨을 변화시키므로서 필요로 하는 발열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볼륨을 오프시키면 온풍기를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다.
회전축(50)은 주 회전축(51), 제1 고정축(56), 제2 고정축(58)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35)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상기 주 회전축(51)은 상기 모터(2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크기로 연이어져 후술하는 제1 날개(60)를 구동하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52) 및 제2 메인 기어(5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 메인 기어(52)의 일측면은 주 회전축(51)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53)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53)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메인 기어(52)를 고정하는 나사(54)를 구비하며 상기 주 회전축(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제1 고정축(56)은 그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30)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제1 보조기어(57)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57)는 상기 제1 메인 기어(52)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5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고정축(58)은 그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30)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제2 보조 기어(59)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보조기어(59)는 상기 제1 보조 기어(57)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기어(57)와 반대방향(즉, 주 회전축과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메인 기어(55)는 상기 제2 보조기어(59)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보조 기어(59)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주 회전축(5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 메인기어가(55)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메인기어(55) 내측 일부에 주 회전축(51)의 외주면을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어링(6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날개(60)는 상기 제2 메인 기어(55)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5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핀(65)은 상기 제1 날개(60)와 후술하는 제2 날개(70)의 사이에 상기 주 회전축(51)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된다.
제2 날개(70)는 상기 주 회전축(51)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5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캡(75), 보호 프레임(80) 및 모터덮개(90)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하, 상기 고안에 따른 온풍기의 동작 및 바람의 방향을 설명한다.
만약, 상기 주 회전축(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주 회전축(51)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 메인 기어(5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52)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조 기어(5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보조 기어(57)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보조 기어(5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보조기어(59)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메인 기어(5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52)의 회전 방향과 반대가 된다.
즉, 제1 날개(6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날개(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날개(60)는 바람을 상기 발열부(40)로 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발열부(40)에 의하여 바람이 온풍이 되며, 상기 온풍은 상기 반사경(35)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반사경(35)의 주변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나아가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온풍기가 맞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의 방향을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6에 도시된 온풍기가 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온풍기팬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온풍기팬에 비하여 제2 날개(170)의 전면에 제2 발열부(150)가 추가로 형성되며, 반사경(130)에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관통구멍(132)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발열부(150)는 제2 날개(17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원형의 제1 발열선(142) 및 제2 발열선(14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142, 144)은 상,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146)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공급선(143)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142, 144)의 소정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전원 공급단자(145)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만약, 제1 날개(16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날개(1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날개(160)는 바람을 상기 제1 발열부(140)로 향하도록하므로써 상기 제1 발열부(140)에 의하여 바람은 온풍이 되며, 상기 온풍은 상기 반사경(130)의 관통통로(132)를 관통하여 후면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상기 제2 날개(170)는 바람을 상기 제2 발열부(150)을 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제2 발열부(150)에 의하여 바람은 온풍이 되며, 상기 온풍은 전면부 방향으로 나아간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온풍기가 맞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의 방향을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온풍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2연식 온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온풍기는 온풍기 본체(210), 모터(220), 모터 하우징(230), 반사경(235), 회전축(240), 제1 날개(250), 고정핀(255), 제2 날개(260), 발열부(270), 캡(280), 보호 프레임(285) 및 모터덮개(290)를 포함한다.
반사경(235)은 반구 형상으로서, 그 중심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230)의 전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반구의 끝단에는 원주를 따라 소정크기의 돌기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발열부(27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경(235)은 후술하는 회전축(240)이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소정크기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보호 프레임(285)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소정의 위치에 바람이 관통하는 관통구멍(237)을 구비한다.
회전축(240)은 주 회전축(242), 제1 고정축(244)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235)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상기 주 회전축(242)은 상기 모터(220)의 중심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제1 날개(250)를 구동하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246) 및 제2 메인 기어(247)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 메인 기어(246)의 일측면에는 주 회전축(242)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248)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248)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메인 기어(246)를 고정하는 나사(249)를 구비하며 상기 주 회전축(2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제1 고정축(244)은 그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230)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제1 보조기어(245)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245)는 상기 제1 메인 기어(246)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246)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메인 기어(247)는 상기 제1 보조기어(245)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 기어(245)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주 회전축(242)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2 메인기어(247) 내측 일부에 주 회전축(242)의 외주면을 따라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날개(250)는 상기 제2 메인 기어(247)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24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핀(255)은 상기 제1 날개(250)와 후술하는 제2 날개(260)의 사이에 상기 주 회전축(242)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된다.
제2 날개(260)는 상기 주 회전축(242)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24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발열부(270)는 상기 주 회전축(24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날개(250)와 제2 날개(26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발열부(270)는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원형의 제1 발열선(272) 및 제2 발열선(27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272, 274)은 상, 하,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276)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공급선(273)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272, 274)의 소정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전원 공급단자(275)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만약, 제1 날개(250) 및 제2 날개(2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날개(250)는 바람을 상기 발열부(270)로 향하도록 하므로써 반사경(235)의 관통통로를 통하여 바람을 흡입하고, 상기 발열부(270)에 의하여 바람은 온풍이 되어 상기 제2 날개(260)에 전달되며, 상기 제2 날개(260)는 상기에서 흡입된 온풍을 전방으로 내보낸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발열부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나선형의 발열선(344)을 구비하며, 그 양측 끝단에는 전원 공급단자(345)에 연결된 전원 공급선(343)이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34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볼륨(VR : 가변저항)(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륨을 변화시키므로서 필요로 하는 발열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볼륨을 오프시키면 온풍기를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1 메인기어의 일 측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감지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감지부(400)는 회전 원판(410), 센서부(420) 및 지지대(4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원판(410)은 상기 제1 메인기어(402)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 원판(41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홀(412)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420)는 상기 회전 원판(410)으로부터 소정간격 양측으로 이격되어 발광소자(422) 및 수광소자(424)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회전 원판(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412), 발광소자(422) 및 수광소자(424)가 일직선상에 놓일때 수광소자(424)에서 불빛이 보이게 된다.
상기 지지대(430)는 상기 발광소자(422) 및 수광소자(424)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는 전원 공급선을 구비하며, 상기와 같은 작동 감지부(400)는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그 동작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온풍기는 복수개의 날개 및 발열부를 구비하므로써 온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이 넓은 구역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열부를 볼륨(VR : 가변저항)으로 저항을 변화시키므로써 필요로 하는 열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볼륨을 오프시키면 선풍기로 쓸 수 있다.
또한, 온풍기의 온풍이 후방으로도 배출되므로써 한대의 온풍기에 의해 다수대의 온풍기 효과를 내게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수 있으며, 운반, 관리, 보관의 측면에서도 그만큼 불편함을 줄일수 있다.

Claims (13)

  1. 온풍기 조절 스위치와 지지대를 구비한 온풍기 본체;
    상기 온풍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온풍기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보호 프레임을 지지하는 모터 하우징;
    반구 형상으로서, 그 중심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전면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발열부;
    상기 모터의 중심으로부터 소정크기로 연이어지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 및 제2 메인 기어를 각각 구비하는 주 회전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1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1 고정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2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날개;
    상기 주 회전축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중간에 상기 주 회전축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어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되는 고정핀;
    상기 제2 날개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캡;
    상기 제1 및 제2 날개를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 및
    상기 모터를 덮는 모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발열부; 및
    상기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볼륨(V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열부는 상기 주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의 제1 발열선 및 제2 발열선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은 상, 하,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에 연이어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열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의 발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 하,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에 연이어져 지지되며, 상기 발열선의 양측 끝단에는 각각 전원 공급선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기어는 상기 주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메인 기어를 고정하는 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는 상기 제1 고정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보조기어는 상기 제2 고정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보조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메인 기어는 상기 주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보조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보조 기어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기어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원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홀을 구비하는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양측으로 이격되어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각각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는 전원 공급선을 구비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비한 온풍기 본체 및 모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 반사경, 제1 발열부, 주 회전축, 제1 고정축, 제2 고정축, 제1 날개, 제2 날개, 고정핀, 캡, 보호 프레임 및 모터덮개를 좌, 우 대칭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2002-0034451U 2002-11-18 2002-11-18 온풍기 KR200312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51U KR200312517Y1 (ko) 2002-11-18 2002-11-18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51U KR200312517Y1 (ko) 2002-11-18 2002-11-18 온풍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153U Division KR200316314Y1 (ko) 2003-03-03 2003-03-03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517Y1 true KR200312517Y1 (ko) 2003-05-13

Family

ID=4940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451U KR200312517Y1 (ko) 2002-11-18 2002-11-18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5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247B1 (en) Ceiling fan with attached heater and secondary fan
KR20110078803A (ko)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US7043146B2 (en) All season heat fan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powered by rotating rings and ball bearings
KR100917670B1 (ko) 냉온 선풍기
US5333235A (en) Electric heater assembly for attachment to ceiling fans
KR200316314Y1 (ko) 온풍기
KR200312517Y1 (ko) 온풍기
US6089726A (en) Lamp shade heater device
KR200419390Y1 (ko) 선풍기 겸용 히터
KR200219902Y1 (ko) 히터겸용 선풍기
JP2702767B2 (ja) 遠赤外線温風器
KR200322904Y1 (ko)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히터
KR200303977Y1 (ko) 환풍기
KR200349630Y1 (ko) 선풍기 겸용 온풍기
JPH05168517A (ja) 遠赤外線ヘアードライヤー
JP2702759B2 (ja) 遠赤外線温風器
US1515731A (en) Combination fan and heater
KR200202386Y1 (ko) 열풍장치를 갖는 선풍기형 히터
KR100348757B1 (ko) 온풍기
KR20020071259A (ko) 히터 겸용 선풍기
KR100317849B1 (ko) 선풍기겸용 전기히터
CN214711016U (zh) 一种护发吹风机
KR20030066890A (ko) 선풍기형 팬히터
KR101125839B1 (ko) 히팅 겸용 선풍기
KR200194145Y1 (ko) 히터 겸용 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